최근 수정 시각 : 2023-09-02 00:52:02

학술 데이터베이스

<colbgcolor=#000> 과학 연구 · 실험
Scientific Research · Experiment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000,#fff> 배경 과학적 방법
기반 수학(미적분학 · 선형대수학 · 미분방정식) · 통계학(수리통계학 · 추론통계학 · 기술통계학)
연구·탐구 논증(귀납법 · 연역법 · 유추(내삽법 · 외삽법)) · 이론(법칙 · 공리 · 증명 · 정의 · 근거이론 · 이론적 조망) · 가설 · 복잡계(창발) · 모형화(수학적 모형화) · 관측 · 자료 수집 · 교차검증 · 오컴의 면도날 · 일반화
연구방법론 합리주의 · 경험주의 · 환원주의 · 복잡계 연구방법론 · 재현성(연구노트)
통계적 방법 혼동행렬 · 회귀분석 · 메타분석 · 주성분 분석 · 추론통계학(모형(구조방정식) · 통계적 검정 · 인과관계와 상관관계 · 통계의 함정 · 신뢰도와 타당도)
측정·물리량 물리량(물리 상수 · 무차원량) · 차원(차원분석) · 측도 · 단위(단위계(SI 단위계 · 자연 단위계) · 단위 변환) · 계측기구 · 오차(불확도 · 유효숫자)
실험 실험설계 · 정성실험과 정량실험 · 실험군과 대조군 · 변인(독립 변인 · 조작 변인 · 종속 변인 · 변인 통제) · 모의 실험(수치해석) · 맹검법 · 사고실험 · 인체실험 · 임상시험 · 실험 기구
연구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헬싱키 선언 · 연구투명성 · 연구동의서 · 연구부정행위 · 표절(표절검사서비스) · 편향 · 문헌오염 · 자기교정성 · 연구윤리위원회
논문·과학 공동체 소논문 · 리포트 · 논문제출자격시험 · 연구계획서 · 형식(초록 · 인용(양식 · 참고문헌) · 감사의 글) · 저자 · 학회 · 세미나 · 학술대회 · 동료평가 · 지표 · 학술 데이터베이스 · 게재 철회 · 학제간 연구
철학 관련 정보 · 연구방법론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자연과학 관련 정보 · 물리학 관련 정보 · 통계 관련 정보 · 사회과학 조사연구방법론 }}}}}}}}}

1. 설명2. 종류
2.1. 한국2.2. 미국2.3. 유럽2.4. 일본2.5. 중국
3. 외부 링크4. 관련 문서

1. 설명

학술세계 정보의 바다. 전 세계의 대학원생들과 연구자들, 그리고 학자들이 논문을 검색하고 정보를 찾는 곳이며 학술DB라고도 불린다.

일반인들 입장에서는 접근성이 극히 떨어지고, 사실 접속해 봤자 할 수 있는 것도 거의 많지 않다. 그나마 뭘 좀 열람하려고 해도 금세 "더 보고 싶으면 돈 내놓아라"메시지가 뜨곤 한다.[1] 하지만 대학원생들과 교수들, 박사들, 연구자들 사이에서 이들의 존재는 가히 절대적이다. 이들의 서비스를 한 번이라도 거치지 않는 연구는 없다.

다루는 범위 자체는 그야말로 광대해서,[2] 흔히들 인터넷을 "정보의 바다" 라고 하지만, 이들 학술DB를 새롭게 접해보게 되면 그야말로 또 다른 바다가 또 있었음을 실감하게 될 정도이다.

그러나 일단 이들의 서비스를 활용할 수단과 지식을 갖고 있다면, 대학생도 얼마든지 접근할 수는 있다. 그때부터 인류 지성의 최전선을 마음껏 누비면서 온갖 심도있는 데이터와 정보들에 거의 무제한적으로 접근이 가능해지게 된다. 절대 다수는 대학 도서관을 이용하는데, 대학 도서관 소속의 PC로 접속할 경우 해당 대학교의 학술지원 서비스와 연계함으로써 별의별 희귀한 논문들을 풀 텍스트로 무제한 열람하는 게 가능하다. 굳이 대학 도서관 소속 PC가 아니더라도 대학 도서관 홈페이지를 이용해서 접속하면 열람이 가능하다. 물론 이런 접근과 열람이 모든 문헌들에서 그렇게 쉬운 것만은 아니지만. 우리 대학교에는 없지만 타 대학교나 정부에서 직접 운영하는 도서관[3]에는 존재한다면, 이것도 택배를 부치든 어떻게 하든 간에 지지고 볶아서 열람하는 것 자체는 가능하다. 자세한 방법은 다니는 대학교의 도서관 사서들에게 물어보자. 나라에서는 "책바다 서비스" 라는 것도 따로 운영하고 있으니 참고.

대개의 검색엔진들이 다들 그렇듯이 다양한 연산자와 고급검색 기능을 지원하며, 학술활동을 위한다는 정체성답게 저널명, 학자명, 발행연도, 키워드, 학문분야 등등으로 필터링을 하면서 타깃을 좁혀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논문을 쓸 때 문헌연구를 하는 방식이 두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레퍼런스를 열심히 타고 다니면서 이런저런 연구들을 읽어가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로는 예상되는 키워드나 주요 학자명, 선호하는 저널을 중심으로 찾아가는 방법이 있다. 두 가지 모두, 학술DB의 역할은 핵심적이다.

일단 대학교를 통한 접속이 인증되면 이메일 정보 하나만으로 무료가입(!)이 가능하며, 검색키워드 저장, 논문 리스트, 이메일 알림, 신간 알림 같은 서비스까지 섬세하게 지원해준다. 게다가 유명한 학술DB들은 심지어 피인용수임팩트 팩터 같은 데이터들을 방대하게 종합하여 보고서로 출력해 주기도 하며, 이메일에 연동하여 논문들을 다른 학자들에게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자신과 관심사를 함께하는 다른 연구자들과 알림 서비스를 공유하기도 하는 등, 잘만 쓰면 학술활동이 한없이 효율적이고 편리해진다. 즉, 일단 익숙해지고 나면 그야말로 연구자가 쓰기 나름이다.

많은 학술DB에서 국내 학술문헌을 검색하는 데에는 다소간 어려움이나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인용이 "비교적" 다소간 중구난방인 것도 있고, 연구인력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인력의 풀 자체가 크지 못한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한국인들은 성씨이름을 붙여 쓰다 보니 많은 해외 DB들이 데이터 취급에 많이 헷갈려한다고. 문헌정보학 전문가들의 많은 노고와 고생을 통해 여기까지 올 수 있었지만, 앞으로도 그분들의 더 많은 수요가 예상되는 부분이다.

국내에서 한글로 지원하는 DB들도 있는데, 한국학술정보 원문검색시스템(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그리고 DBpia 같은 것들이 있다.

2. 종류

2.1. 한국

  • DBpia: 국내 학술논문서비스. 3,915종 간행물 제공. (2021년 기준)
  • KISS: 범분야적인 1,785종 국내 학술지 제공.
  • RISS: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링크를 제공한다. 학위논문은 대부분 무료이기 때문에 중고등학생, 무학자 등이 가장 저렴하게 학문을 맛볼 수 있는 길.
  • Scinapse: Pluto Network라는 한국인팀이 만든 학술 검색 엔진. 컬렉션 및 저널/저자 페이지와 같은 여러 기능이 있어 유용하다.

2.2. 미국

  • ACS Publication : 미국화학회 제공. 화학분야 논문및 관련 저널 검색 제공.
  • AIP Publishing : 미국물리협회 제공, 물리학 분야 특화.
  • APS Publication : 미국물리학회 제공, 물리학 분야 특화. Physical Review에 속한 저널들에 게재된 학술 문서들을 여기서 볼수 있다.
  • A&HCI(Art and Humanities Citation Index): 예술 및 인문과학 논문 인용색인
  • EBSCO
  • ERIC : 교육학 분야 특화. 초록 제공 및 원문(full-text) 일부 제공.
  • IEEExplore : 전기전자공학&컴퓨터과학 분야의 끝판왕, 문자그대로 전자공학& 컴퓨터과학 분야의 모든 것을 볼수 있다.
  • JSTOR : 순수수학, 경제분야 사회과학, 영문 문학, 출판인쇄물의 데이터가 많음.
  • ProjectMuse : 문학/역사/경제/정치/의약학 분야 특화.
  • PubMed : 미국국립보건연구원(NIH)와 미국국립생물정보센터(NCBI)에서 운영하는 생명과학, 의학 분야 특화의 DB. 가장 광범위한 DB중 하나이다.
  • RISM : 음악 데이터베이스.
  • SciFinder : 미국화학회 제공. 1억 2천만개 이상의 유기 및 무기 물질과 8천 5백만 건 이상의 반응식 데이터, 관련 저널 검색 제공. 화학 및 관련 과학 자료에서 가장 큰 통합 데이터 베이스.
  • Springer : Springer 제공. 1,504종 저널 원문 제공.
  • Taylor & Francis : 범분야적인 1,000종 저널 제공.
  • Web of Science (WoS) : 톰슨로이터 제공. 12,000종 저널 원문, 서지검색/인용검색 서비스 제공.
  • SCIE / SCI
  • SSCI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사회과학인용색인
  • ISI :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 미국의 과학 정보 연구소 DATABASE : 과학기술분야 학술잡지에 게재된 논문의 색인을 수록한 데이터베이스로써 SCI 를 운영한다. 또한 다른 세가지 데이터 베이스가 있다. 확장판인 SCIE 와 사회과학논문 인용색인은 SSCI그리고 '예술 및 인문과학논문 인용색인A&HCI 이다..
  • Wiley Online Library
  •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 ProQuest
    • SpringerLink
  • Semanticscholar: 인공지능 학술 데이터베이스

2.3. 유럽

  • ScienceDirect : Elsevier 제공. 1,800종 저널 제공.
  • SCOPUS : Elsevier 제공. 범분야적인 서지검색/인용검색 서비스 제공.
    • SJR(SCimago Journal Rank)
  • Knovel : 2000년 미국에서 개발된 엔지니어를 위한 공학전자도서관. 기술서적, 핸드북, 매뉴얼, 가이드라인 등이 원문전체로 제공되며, 이를 기반으로 재료물성정보를 표와 그래프로 정리하여 제공함. 2013년 Elsevier에 인수됨.

2.4. 일본

  • J-STAGE :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에 의해 관리되는 일본 학술 저널이다.
  • CiNii(샤이니) : 일본 국립 정보학 연구소에서 운영하는 학술 논문이나 도서, 잡지 등의 학술 정보 데이터베이스이다.

2.5. 중국

  • CNKI : 전자 저널 형태로 통합하려고 만든 중요한 중국 지식 기반 정보 자원이다. 결과적으로 CNKI는 가장 권위있고, 포괄적인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큰 소스의 중국 기반 정보 자원이다. 가장 최근의 전개된 중국 정치학, 경제학, 인문학, 사회과학, 과학 기술을 반영한다.

3. 외부 링크

4. 관련 문서



[1] 만일 개인용 데스크탑에서 이용해야 한다면, 자신이 소속된 대학교 도서관에 로그인한 상태로 그쪽을 경유하여 접속하면 된다.[2] 단, 무조건 광대함을 추구하지는 않는다. DB마다 제각기 검색대상으로 삼는 학술문헌들에 대한 기준이 다르기 때문.[3] 국가전자도서관, 국회도서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