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555,#fff> 역사 | 역사 (대한민국) |
| 종류 | 패블릿 · 폴더블 스마트폰 · 롤러블 스마트폰 · 듀얼 디스플레이폰 · 스위블 스마트폰 · 쿼티 스마트폰 · 러기드폰 · 게이밍폰 · 스마트폴더 | |
| 목록 | 제조사 목록 · 제품 목록 | |
| 구매 | 신규가입 · 번호이동 · 기기변경 · 단말기 자급제 | |
| 커뮤니티 | 미니기기 코리아 · 세티즌 · 디시인사이드 (휴대폰 · 스마트폰 · 아이폰 · 갤럭시) · 디벨로이드 | |
| 운영체제 | Android · iOS | |
| 소프트웨어 | 상단바 · 내비게이션 바 | |
| 기타 | 문제점 · 영향 (중독, 노모포비아) · 폰카메라 · 무게 · 일체형 배터리 · 스펙다운 · D-ARS · 화면 크기 · 단자 · 보호유리 · 절연띠 · 펀치홀 디스플레이 · 노치 디자인 · 배터리 · 이모지 | |
| 분류 · 판매량 · 이동통신 · 전화 및 문자 연동 시스템 · 데이터 요금제 · 폰덕후 · 모바일뱅킹 · NTT 도코모 스마트폰 분류법 · 추노마크 | ||
| <colbgcolor=#555> | <colbgcolor=#555><nopad> |
| 다이나믹 아일랜드[1] | 인피니티 디스플레이[2] |
1. 개요
디스플레이에 구멍을 뚫어놓은 디자인 요소.디스플레이 중 미사용 영역이 카메라 구멍만큼으로 작게 만든 것을 의미한다. 카메라 렌즈에 맞게 원형으로 뚫는 것이 보통이며, 이름의 펀치는 종이에 구멍을 뚫는데 사용하는 도구 펀치에서 따온 것이다. 펀치홀과 홀펀치라는 표현이 둘 다 쓰이지만, 해외에서는 'Hole punch(홀펀치)’를 더 쓰는 추세이고, 한국 내에서는 펀치홀이란 표기를 더 자주 사용한다.
2. 역사
삼성전자가 2018년 12월 갤럭시 A9 Pro에 해당 디스플레이를 최초로 탑재하여 공개하였다. 이 모델의 실제 판매 개시일은 2019년 1월 25일인데, 이를 이용해 화웨이가 3일 앞선 1월 22일에 Honor View 20을 출시하며 '세계 최초 펀치홀 디스플레이 탑재 스마트폰'이라고 언론플레이를 하기도 했다. #펀치홀 디자인은 과거의 노치 디자인보다 전면부에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영역이 더 넓어져 화면을 더 크고 많이 표시할 수 있기에 효율적이다.[3] 카메라 외의 모든 센서를 디스플레이 밑으로 집어 넣을 수 있어야 구현이 가능한 기술이므로[4] 노치 디자인보다 한 단계 진보된 디스플레이로 평가받는다.
생긴것부터 애매해서 호불호가 갈렸던 노치 디자인[5]에 비해 평가가 괜찮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펀치홀이 상단 가운데로 이동하고 크기가 작아져 별로 신경쓰이지 않는데다가 팝업 카메라 등 다른 방식에 비해 물리적으로 고장날 요소도 없기 때문에 2020 즈음을 필두로 거의 모든 제조사의 모델에 채용되고 기존의 노치 디자인은 하위 보급형 모델에만 남아있는 등 노치 디자인을 빠르게 퇴출시키고 휴대폰의 사실상 표준 디자인으로 자리잡았다. 펀치홀 도입이 많이 늦은 애플도 iPhone 14 Pro & iPhone 14 Pro Max에 Dynamic Island라는 이름으로 이런 디자인을 도입하고, 더 나아가 이 펀치홀 부분을 재치있게 활용하기 시작했다.[6]
펀치홀까지 아예 없애버리고 디스플레이 밑에 카메라를 넣는 것이 최종적인 과제이다. 어쨋튼 버려지는 공간인 것은 매한가지이기 때문. 이를 구현한 UDC가 개발되어 이는 갤럭시 Z 폴드3-갤럭시 Z 폴드6까지, 그리고 여럿 중국제 최고급 스마트폰에 적용되었느나, 카메라 화질이 별로고 디스플레이 화질 또한 카메라 있는 부분은 별로라 갈 길이 아주 멀다.[7]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펀치홀 디자인은 상당히 오랫동안 유지될 것이다.
3. 상태표시줄 크기 비교
실제 전면카메라의 펀치홀 크기를 측정하기는 쉽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스크린샷을 통해 측정이 용이한 "상태표시줄(Status Bar)의 높이(= 펀치홀 지름 크기 + 최상단 공백 크기)"를 px 단위로 측정하여 정리하였다. 타 기기와의 비교가 용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좁은 폭 해상도는 1080px로 환산하였다. 같은 물리적 크기(mm)의 펀치홀(≒카메라 렌즈)을 갖고 있어도 상대적으로 화면이 큰 스마트폰일수록(inch) 펀치홀(≒ 상태표시줄) 영역이 보다 적은 면적(px)을 점유한다.노치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폰은 ▼ 표시.
- 63px 급: 일반 16:9 기기 (디스플레이 면적의 3.3%를 상태표시줄이 점유)
- 67px 급: 노트20U (2.8% 점유) / LG V50▼ (3.0% 점유)
- 70px 급: LG G8▼ (3.0% 점유)
- 73px 급: S20+ (3.0% 점유)
- 74px 급: S20U (3.1% 점유)
- 75px 급: S21+ (3.1% 점유) / S21U (3.1% 점유) / 갤럭시 A90 5G▼ (3.1% 점유)
- 76px 급: LG VELVET▼ (3.1% 점유)[8]
- 78px 급: S20 (3.3% 점유) / A32▼(3.3% 점유)
- 80px 급: S21 (3.3% 점유) / 와이드4▼ (3.4% 점유/ 실제 720*53px)
- 83px 급: A31▼ (3.5% 점유)
- 86px 급: 노트10+ (3.8% 점유)
- 88px 급: S20 FE (3.7% 점유)
- 90px 급: 노트10 (3.9% 점유) / iPhone X▼ (3.8% 점유/ 실제 1125*94px)
- 91px 급: A 퀀텀 (3.8% 점유)
- 92px 급: 노트20 (3.8% 점유) / Z플립 (3.5% 점유) / LG Q51▼ (3.9% 점유/ 실제 720*61px)
- 93px 급: A51 (3.9% 점유)
- 100px 급: LG Q92 (4.2% 점유)
- 102px 급: A21s (4.3% 점유/ 실제 720*68px)
- 108px 급: S10+ (4.7% 점유)[9]
- 113px 급: S10 (5.0% 점유)[10]
- 134px 급: A9 Pro (5.7% 점유)[11]
- 139px 급: LG Q70 (6.0% 점유)
- 기타: Z 폴드2 (88px 3.9% of 1768 x 2208px)
4. 적용 기기
| 범례 | |||
| 좌측 펀치홀 | 중앙 펀치홀 | 우측 펀치홀 | 우측 UDC[12] |
| ◀ | ◆ | ▶ | ▷ |
4.1. 삼성전자 (인피니티 O 디스플레이)
- 갤럭시 S 시리즈
- 갤럭시 S10e | S10 | S10+ | S10 5G ▶
- 갤럭시 S10 Lite ◆
- 갤럭시 S20 | S20+ | S20 Ultra ◆
- 갤럭시 S20 FE ◆
- 갤럭시 S21 | S21+ | S21 Ultra ◆
- 갤럭시 S21 FE ◆
- 갤럭시 S22 | S22+ | S22 Ultra ◆
- 갤럭시 S23 | S23+ | S23 Ultra ◆
- 갤럭시 S23 FE ◆
- 갤럭시 S24 | S24+ | S24 Ultra ◆
- 갤럭시 S24 FE ◆
- 갤럭시 S25 | S25+ | S25 Edge | S25 Ultra ◆
- 갤럭시 S25 FE ◆
- 갤럭시 노트 시리즈 ◆
- 갤럭시 노트10 | 노트10+ ◆
- 갤럭시 노트10 Lite ◆
- 갤럭시 노트20 | 노트20 Ultra ◆
- 갤럭시 Z 시리즈
- 갤럭시 Z 폴드2 ◆▶[13]
- 갤럭시 Z 폴드3 ◆▷[14]
- 갤럭시 Z 폴드4 ◆▷
- 갤럭시 Z 폴드5 ◆▷
- 갤럭시 Z 폴드6 ◆▷
- 갤럭시 Z 폴드 스페셜 에디션 ◆▶[15]
- 갤럭시 Z 폴드7 ◆▶[16]
- 갤럭시 Z 플립 | Z 플립 5G ◆
- 갤럭시 Z 플립3 ◆
- 갤럭시 Z 플립4 ◆
- 갤럭시 Z 플립5 ◆[N]
- 갤럭시 Z 플립6 ◆[N]
- 갤럭시 Z 플립7 ◆▶[19]
- 갤럭시 Z 플립7 FE ◆[N]
- 갤럭시 A 시리즈
- 갤럭시 A9 Pro ◀[21]
- 갤럭시 A60 ◀
- 갤럭시 A11 ◀
- 갤럭시 A21 | A21s ◀
- 갤럭시 A51 ◆
- 갤럭시 A71 ◆
- 갤럭시 A52 | A52 5G | A52s 5G ◆
- 갤럭시 A72 ◆
- 갤럭시 A53 5G ◆
- 갤럭시 A73 5G ◆
- 갤럭시 A35 5G ◆
- 갤럭시 A36 5G ◆
- 갤럭시 M 시리즈
- 갤럭시 F 시리즈
- 갤럭시 C 시리즈
- 갤럭시 퀀텀 시리즈
4.2. LG전자
LG전자는 '홀인 디스플레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플래그십
- Q 시리즈
- K 시리즈
- LG K51S ◀
- LG K42 ◆
- LG K62 ◆
- LG K92 5G ◆
- LG전자/스마트 워치
4.3. Apple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ynamic Island#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ynamic Islan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iPhone 14 Pro ◆
- iPhone 14 Pro Max ◆
- iPhone 15 ◆
- iPhone 15 Plus ◆
- iPhone 15 Pro ◆
- iPhone 15 Pro Max ◆
- iPhone 16 ◆
- iPhone 16 Plus ◆
- iPhone 16 Pro ◆
- iPhone 16 Pro Max ◆
- iPhone 17 ◆
- iPhone Air ◆
- iPhone 17 Pro ◆
- iPhone 17 Pro Max ◆
4.4. 구글
- Pixel 4a ◀
- Pixel 5 ◀
- Pixel 5a ◀
- Pixel 6 ◆
- Pixel 6 Pro ◆
- Pixel 6a ◆
- Pixel 7 ◆
- Pixel 7 Pro ◆
- Pixel 7a ◆
- Pixel Fold ◆[22]
- Pixel 8 ◆
- Pixel 8 Pro ◆
4.5. 화웨이
4.6. 모토로라
- Moto One Vision ◀
4.7. vivo
- Z1 Pro ◀
- S5 ▶
4.8. OnePlus
- 플래그십
- OnePlus 8 ◀
- OnePlus 8 Pro ◀
- OnePlus 8T ◀
- OnePlus 9 ◀
- OnePlus 9R ◀
- OnePlus 9 Pro ◀
- OnePlus 9RT ◀
- OnePlus 10 Pro ◀
- OnePlus 10T ◆
- OnePlus 10R ◆
- OnePlus 11 ◀
- OnePlus 11R ◆
- OnePlus Open ▶
- 보급형
- OnePlus Nord ◀
- OnePlus Nord N10 ◀
- OnePlus Nord N100 ◀
- OnePlus Nord 2 ◀
- OnePlus Nord CE ◀
- OnePlus Nord CE 2 ◀
- OnePlus Nord CE 2 Lite ◀
- OnePlus Nord CE 3 ◆
- OnePlus Nord CE 3 Lite ◆
- OnePlus Nord 3 ◆
4.9. 노키아
- X71 ◀
4.10. 샤오미
- 샤오미 Mi 시리즈
- Redmi 시리즈
- Redmi Note 시리즈
- Redmi Note 9 ◀
- Redmi Note 9S ◆
- Redmi Note 9 Pro Max ◆
- Redmi Note 9 5G ◀
- Redmi Note 9 Pro 5G ◆
- Redmi Note 9T ◀
- Redmi Note 10 ◆
- Redmi Note 10 5G ◆
- Redmi Note 10S ◆
- Redmi Note 10 Pro ◆
- Redmi Note 10 Pro Max ◆
- Redmi Note 10 Pro 5G ◆
- Redmi Note 11 ◆
- Redmi Note 11 Pro ◆
- Redmi Note 11 Pro Plus ◆
- Redmi Note 11T Pro ◆
- Redmi Note 11T Pro Plus ◆
- Redmi Note 12
- Redmi Note 12 Pro ◆
- Redmi Note 12 5G ◆
- Redmi Note 12 Pro 5G ◆
- Redmi Note 12 Pro Plus ◆
- Redmi Note 12 익스플로러 에디션 ◆
- Redmi Note 12 프로 스피드 ◆
- Redmi Note 12 터보 ◆
4.11. BALMUDA
4.12. Nothing
5. 관련 문서
- Dynamic Island: 애플의 펀치홀 기술을 변형한 요소.
- 노치 디자인
- UDC
[1] 파일 속 기기는 iPhone 14 Pro.[2] 파일 속 기기는 갤럭시 S20+.[3] 관점에 따라 그 반대로 보기도 한다. 펀치홀은 노치보다 디스플레이를 더 깊게 파고들기 마련이다. 따라서 콘텐츠를 볼 수 있는 가용부가 더 줄어들고 레터박스나 상태표시줄 같은 영역만 더 넓어져, 의미없는 흰 바탕/검은 바탕만 더 늘어나게 되었다고 보기도 한다.[4] 다만 일부 기기의 경우, 상단 베젤에 넣는 경우도 있다. 가령 LG Q52라던가.[5] 특히 애플의 커다란 U자 노치는 'M자탈모'라는 밈이 따로 만들어질 정도로 불호가 심했다.[6] 아직도 펀치홀(또는 노치 디자인)을 채택하지 않은 메이저 제품은 소니의 엑스페리아가 있으며, 대신 위아래 베젤을 카메라 유닛이 들어갈수 있는 최소한의 넓이로 만들어 대응하고 있다. 그외 특수목적 휴대폰의 경우에도 없을 수 있다.[7] 디스플레이 픽셀 간격을 일부러 넓게, 소량으로 배치해서 틈새 사이로 상을 카메라에 도달하게 하고, 이 도달된 결과물을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보정하는 방싯이니 어쩔 수 없다.[8] 참고로 펀치홀은 없지만 LG WING (3.1% 점유)도 벨벳과 같은 크기의 상태표시줄을 갖고 있다.[9] 비율 상으로는 S10의 것보다 작지만, 전면 카메라가 2개라서 펀치홀이 타원형으로 길쭉하기 때문에 S10보다 화면을 점유하는 면적이 더 크다. S10 5G도 마찬가지.[10] 대형 펀치홀의 전형. 출시 직후 펀치홀 전용 배경화면 만들기가 유행하였다.[11] 최초(2018.12)의 펀치홀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상태표시줄 높이가 두 배가 되었다.[12] 갤럭시 Z 폴드 계열.[13] 메인 디스플레이와 커버 디스플레이 모두 펀치홀이 적용되었다. 메인 디스플레이의 펀치홀은 우측에 치우쳐져 있으므로 ▶ 표시.[14] 커버 디스플레이만 적용되었고 메인 디스플레이의 경우 UDC가 들어가있어서 카메라가 가려져있다. 물론 메인 디스플레이도 소프트웨어적으로 만들어 줄 수 있다. 이 경우 전작인 Z 폴드2처럼 ▶ 에 카메라가 위치한다.[15] 기술적으로는 UDC가 들어갔지만 소프트웨어로 막아둔 것으로 추정된다.[16] UDC가 없어지면서 갤럭시 Z 폴드2처럼 메인 디스플레이에 다시 완전한 펀치홀이 들어갔다.[N] 메인 디스플레이에는 펀치홀이 적용되었으나 커버 디스플레이에는 아랫쪽 하단에 카메라 2개의 노치가 적용되었다.[N] [19] 메인 디스플레이와 커버 디스플레이에 모두 펀치홀이 적용되어 있다. 커버 디스플레이에는 광각 렌즈와 초광각 렌즈, 플래시가 있어 우측 하단에 3개의 펀치홀이 있다. 펼쳤을 때 후면에 해당하는 카메라인 만큼, 삼성전자 스마트폰 중 펀치홀의 크기가 가장 크며, 삼성전자 스마트폰 최초로 3개 이상의 펀치홀이 적용된 제품이다.[N] [21] 갤럭시 최초 탑재[22] 메인 디스플레이는 베젤로 했다.[23] 위 아래 여백이 충분함에도 펀치홀을 적용하여 비판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