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bgcolor=#d00c33><colcolor=#fff> | |||
| | |||
| 출생 | 1646년 4월 15일 | ||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국 플렌스부르크 두보르 성 | |||
| 사망 | 1699년 8월 25일 (향년 53세) | ||
|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코펜하겐 | |||
| 재위기간 | 덴마크&노르웨이 국왕[1] | ||
| 1670년 2월 9일 ~ 1699년 8월 25일 | |||
| 서명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00c33><colcolor=#fff> 가문 | 올덴부르크 가문 | |
| 배우자 | 헤센카셀의 샤를로테 아말리 (1667년 결혼) | ||
| 자녀 | 프레데리크 4세, 크리스티안 빌헬름, 크리스티안, 소피 헤드비그, 크리스티아네 샤를로테, 카를, 이름 불명의 딸, 빌헬름 | ||
| 아버지 | 프레데리크 3세 | ||
| 어머니 |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조피 아말리 | ||
| 형제 | 아나 소피, 프레데리카 아말리에, 빌헬미네 에르네스티아, 외르겐, 울리케 엘레오노레 | ||
| 종교 | 루터교회 | }}}}}}}}} | |
1. 개요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국왕.2. 생애
덴마크와 노르웨이 국왕 프레데리크 3세와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조피 아말리의 맏아들로 할아버지 크리스티안 4세가 살아있던 1646년 태어났다. 1650년 덴마크와 노르웨이 왕위 계승자로 지명되었고, 1665년 칙령으로 공식적인 태자가 되었다. 1670년 부왕 프레데리크 3세의 서거로 덴마크와 노르웨이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그는 코펜하겐 대성당이 아닌 힐레뢰드의 프레데릭스보르 성 예배당에서 대관식을 치렀고, 이후 크리스티안 8세까지 덴마크 국왕의 대관식은 프레데릭스보르 성 예배당에서 열렸다.즉위 후 스웨덴에게 빼앗긴 스코네를 되찾기 위해 스코네 전쟁을 일으켰으나 스웨덴 국왕 칼 11세와 맞붙은 룬드 전투에서 패전한 후 더이상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프랑스의 개입으로 스코네 탈환 시도는 좌절되었다. 스웨덴과 평화 협정을 체결하며 막내 여동생 울리케 엘레오노레를 칼 11세와 결혼시켰다.
이후 내치에 힘쓰며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뤼베크, 함부르크 등 북독일 지역과의 무역을 활성화시켰다. 개인적으로 과학에 흥미를 보여 올레 뢰머의 천문학 연구를 지원하기도 했다.
사냥 사고의 여파로 사망했으며 유해는 로스킬레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3. 가족
- 헤센-카셀의 샤를로테 아말리: 1650년 4월 27일 ~ 1714년 3월 27일 [2]
- 프레데리크 4세: 1671년 10월 11일 ~ 1730년 10월 12일
- 크리스티안 빌헬름: 1672년 12월 1일 ~ 1673년 1월 25일
- 크리스티안: 1675년 3월 25일 ~ 1695년 6월 27일
- 소피에 헤드비히: 1677년 8월 28일 ~ 1735년 3월 13일
- 크리스티아네 샤를로테: 1679년 1월 18일 ~ 1689년 8월 24일
- 카를: 1680년 10월 26일 ~ 1729년 6월 8일
- 딸(이름 불명): 1683년 7월 17일 ~ 1683년 7월 17일
- 빌헬름: 1687년 2월 21일 ~ 1705년 11월 23일
- 삼쇠 공녀 소피 아말리에 모스: 1654년 3월 28일 ~ 1719년 1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