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3 13:54:05

올레 뢰머

올레 뢰머
Ole Rømer
파일:Rømer,_Ole_(ur_Berømte_danske_maend).jpg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본명 Ole Christensen Rømer
올레 크리스텐센 뢰메르
출생 1644년 9월 25일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오르후스
사망 1710년 9월 19일 (65세)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코펜하겐

1. 개요2. 일생3. 업적
3.1. 뢰머의 빛의 속력 측정3.2. 온도 체계

1. 개요

덴마크천문학자.

빛의 속력을 최초로 측정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밖에도 손수 만든 온도계를 바탕으로 한 뢰머온도 체계도 개발하였다.

2. 일생

1644년 9월 25일,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오르후스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학문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고등 교육은 당시 덴마크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인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받았으며, 주로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했다. 그가 대학에 재학하던 시기, 코펜하겐 천문대는 독일 출신 천문학자 튀코 브라헤의 관측 기록을 보관하고 있었고, 이 자료는 뢰머의 초기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660년대 말, 프랑스의 천문학자 장 피카르(Jean Picard)가 지구 자오선의 측량을 위해 덴마크를 방문하였고, 이때 뢰머는 피카르의 측량 작업에 조수로 참여하였다. 피카르는 뢰머의 수학적 능력을 높이 평가하였고, 1672년 그를 프랑스로 초청하였다. 뢰머는 이후 파리로 건너가 프랑스 왕립 천문대(Observatoire de Paris)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게 되었으며, 이 시기에 루이 14세의 후원 아래 관측 및 과학 실험에 참여하였다. 그는 파리에서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조반니 카시니 등 여러 유럽 과학자들과 교류하였다.

파리에서 머무는 동안 뢰머는 목성의 위성 이오(Io)의 식(蝕) 현상을 정기적으로 관측하였으며, 이오가 목성 뒤로 들어가는 시간을 반복적으로 측정하였다. 그는 관측 중 지구와 목성 간 거리의 변화에 따라 이오의 식 시각이 예측보다 빨라지거나 늦어지는 현상을 발견하였고, 이를 통해 빛의 속도가 유한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1676년 그는 프랑스 과학아카데미에서 해당 결과를 발표하였고, 이를 통해 빛이 무한히 빠르지 않다는 가설을 수학적 관측을 통해 제안한 첫 번째 과학자 중 한 명으로 기록되었다.

그는 당시 빛이 "즉시 도달하는 것"이라는 기존 개념을 반박하였으며, 이오의 식이 지연되거나 앞당겨지는 시간 차이를 기준으로 빛이 태양-지구 거리(1 AU)를 통과하는 데 약 22분이 걸린다고 계산하였다. 이 수치는 이후 실험들에 의해 조정되었지만, 뢰머가 제시한 방법론은 천문 관측을 통해 자연현상의 기본적 성질을 간접적으로 측정한 사례로 간주되었다. 뢰머는 이 발견을 기반으로 시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개선에도 참여하였으며, 특히 정밀한 진자 시계를 제작하는 데 공헌하였다.

1670년대 후반, 덴마크로 돌아왔으며, 코펜하겐 대학교의 수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천문학 교육뿐 아니라 수학, 광학, 도량형 체계 등에도 관심을 두고 강의하였다. 이후 그는 코펜하겐 천문대를 재건하거나 장비를 보완하는 데 힘썼으며, 덴마크의 표준 시간 체계 정립이나 덴마크 내의 측량 및 지도 제작 프로젝트에 관여하였고, 정확한 지리 좌표 측정을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1705년, 뢰머는 코펜하겐 시의 시장으로 선출되었으며, 과학자이자 행정관으로서의 역할을 병행하게 되었다. 그는 시민들의 일상생활과 과학 기술이 연결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고, 도로 개수, 수도시설 개선, 시간 체계의 표준화 등 행정 업무에 참여하였다. 그는 시간 측정 정확도를 위해 전국 공공시계의 보정 체계를 마련하였고, 규격 단위의 통일을 통해 무게와 길이의 기준을 조정하려 하였다. 이 시기의 활동은 과학적 지식을 행정과 공공정책에 적용하려는 시도의 일환이었다.

그는 생애 후반에도 천문 관측을 계속하였으며, 특히 새로운 장비 개발과 측정 정확도 향상에 주력하였다. 그러나 1728년 코펜하겐 대화재로 인해 그의 개인 기록과 관측 장비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1710년 9월 19일에 사망하였으며, 유해는 덴마크에 매장되었다.

3. 업적

1728년 코펜하겐 화재 때 그가 출판한 논문들이 불타 소실된 관계로 오늘날 그의 이름으로 출간된 공식 문건은 남아있는 게 거의 없으나 조수였던 페더 닐슨 호레보우(Peder Nielsen Horrebow, 1679~1764)가 뢰머의 연구노트나 업적을 따로 정리해서 그나마 빛을 보고 있다. 해당 내용들은 1910년에 덴마크의 수학자이자 번역가인 튀라 에이베(Thyra Eibe, 1866~1955)와 물리학자인 키어스틴 비에룸 메이어(Kirstine Bjerrum Meyer, 1861~1941)에 의해 라틴어로 번역되어 '올레 뢰머의 비망록'(《Ole Rømers Adversaria》)으로 출판되었다.

3.1. 뢰머의 빛의 속력 측정

1676년, 뢰머는 목성의 위성인 이오의 (월)식을 이용해서 최초로 빛의 속력을 계산해냈다.

파일:la2OWtN.jpg

그는 이오가 식이 발생할 때, 지구가 공전궤도에서 가까이 있을 때(H)가 멀리 있을 때(E)보다 22분 빨리 나타난다는 것을 관측했는데, 이를 통해서 빛이 공전궤도를 통과하는데 22분이 걸린다는 것을 유추해내어 빛의 속력을 212,000km/s로 계산했다.

3.2. 온도 체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뢰머온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뢰머온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뢰머온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