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17:35:59

크로우(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

1. 개요2. 작중 행적3. 성능4. 전용 무기와 추천 장비5. 평가6. 둘러보기

1. 개요


아이스 팬드래건이미 죽은 지 오래다.
내게 남은 건 오직 이 검과 와의 승부 뿐이야.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크로우.

2024년 1월 23일에 실장된 청속성 참격 캐릭터. 창세기전 2 스토리 라인의 변곡점을 책임지는 캐릭터이니만큼, 런칭 출시 캐릭터를 제외하면 첫번째 픽업 대상 캐릭터였는데도 실장이 늦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2. 작중 행적

메인 스토리의 행적은 2편 그대로인데, 코스모스 사가 외전으로 드디어 그라테스 대회전을 다룬 스토리가 추가되었고, 기존에 팬덤에서 내렸던 평가와 거의 일치하는 행적을 보였음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안 그래도 오만한 성격이었는데 눈 앞에서 아론다이트가 격파 당하고 아버지가 죽은 것을 목격해[1] 그대로 이성을 잃어버렸고, 팬드래건 측의 전술적 이점을 전부 내다버린 채 흑태자에게 일기토를 신청했다가 깨지고 멘탈붕괴를 일으켜 그대로 전장을 내팽개치고 적전 도주를 하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 지크 스태포드가 어떻게든 병사들을 독려하며 고군분투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랄빵이 난 팬드래건 병사들은 흑태자에 의해 모조리 도륙당하는 대참사가 나게 된다. 흑태자가 패배한 아이스의 면전에서 일갈하는 "소문만큼 대단한 실력은 아니군. 하지만 지휘관으로서는 더 최악[2]이다."는 그야말로 팬덤 평가 반영의 결정체.

3. 성능

<nopad> 파일:창모 크로우.jpg
기본 직업은 파이터. 티어 3 클래스는 소드마스터/블레이드마스터/다크 나이트. 초필살기로 설화난영참을 지니고 있다.

고유 패시브는 '집념의 검'. 체력이 일정 비율 이하라면 공격력이 증가한다. 또한 사망 시 해당 전투 동안 1회 한정으로 100% 체력으로 부활하며, 자신을 죽인 상대를 공격할 때 치확이 상승하고 상대가 크로우를 공격할 때에는 치확이 감소하는 버프가 걸린다. 문제는 3턴 내에 자신을 죽인 상대를 처치하지 못하면 즉시 사망한다는 것.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인 셈이다.

티어 3 클래스의 경우 공격과 생존의 밸런스가 좋은 소드마스터, 극공형인 블레이드 마스터, 범위 공격의 다크 나이트가 있다. 보통은 귀격섬을 익힐 수 있는 블레이더 루트를 타서 극공형인 블레이드 마스터로 가는 쪽이 우선적으로 추천되는 육성 루트. 소드마스터나 다크나이트가 나쁘지는 않은데 블레이드 마스터의 패시브는 공격 시마다 공격력 15% ~ 20% 상승을 3중첩까지 쌓을 수 있는 '검혼' 버프를 제공하기 때문에 생존하기만 하면 공격력이 최대 60%나 오르고, 거기다 턴당 1회 한정으로 피해가 50% 감소하는 특성도 붙어있어서 공방의 밸런스가 좋기 때문에 이쪽으로 종결 클래스까지 삼는 경우가 많다. 만약 다크나이트에서 다크 임브레스를 가져온다면 한 번에 검혼을 3중첩 할 수도 있다고.

주력 전용기는 귀격섬. 2칸 내의 적 1체를 지정해 공격한 후 주변 3칸 안의 한 곳으로 순간 이동할 수 있다. 원거리 공격이 가능하고 공격 후 순간 이동이 달려있어 이동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 스킬을 2티어 직업인 블레이더에서 익힐 수 있기 때문에 육성 편의성도 약간은 높은 편이다. 단일 폭딜러로 굴린다면 귀격섬에 원거리 대응용 단월섬을 조합하곤 한다.
또다른 전용기로는 블레이드 마스터에서 배울 수 있는 귀폭열파가 있다. 캐릭터 주변 8칸에 데미지를 주고 1턴간 TP 회복을 막는 제압 디버프를 거는 광역기. 배율이 낮고 제압도 유용하게 쓰긴 어려워서 잘 채용되지는 않는 편.

초필살기인 팬드래건 왕가의 성명절기 설화난영참은 3칸 내 지정 타일로 이동하면서 주변 3칸 내의 적에게 광역 피해를 뿌리는 초필살기. 냉기 둔화를 부여하므로 빙한계 스킬이 있는 동생들(라시드, 이올린) 등과의 조합이 좋고, 베라딘과도 쓸 수 있다.

4. 전용 무기와 추천 장비

전용 무기는 역시 창세기전 시리즈와 역사를 함께한 바리사다. 기본적으로 공퍼 옵션이 달려있으며, 디버프에 걸린 적을 공격하면 피해와 치확이 상승하고 피격된 적에게 냉기를 부여한다.

또한 아이스 팬드래건 실장과 함께 추가된 아이스의 전무인 설화난영도 전무로서 활용할 수 있다. 빙한계 스킬 데미지가 올라가는 스킬이 달려있어서 범용성은 나빠지는 대신 설화난영참 한정으로 데미지가 강해지고, 빙한계 스킬 시전시 TP를 1 획득해서 일종의 TP 페이백이 된다. 3각시에는 빙한계 스킬 사용시 추가 공격/스킬 기회 획득이라는 강력한 강화 효과가 붙지만 크로우는 빙한계 스킬이 설화난영참 밖에 없어서 잘 활용하지 못하고, 6각에서 추가되는 핵심 무기 스킬인 '빙정' 효과도 아이스 전용이라 크로우는 쓰지 못한다. 그래서 추천되기보다는 선택지가 늘었다는 정도의 감상.

방어구의 경우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다양하게 소화할 수 있는 편. 보통은 낭천 복장 모티브인 일기당천 풀셋이나 한조 복장 모티브인 살수2+영웅급 장비인 협객2 정도가 권장된다. 치명타 관련 옵션을 잘 챙겼다면 본인을 모티브로 한 까마귀 세트도 좋은 선택.

악세사리는 저주의 눈동자를 주는 것이 권장된다. 적과의 전투 전에 디버프를 걸기 때문에 거의 모든 적에게 바리사다의 패시브를 작동시킬 수 있고, 적의 공격력과 주문력을 깎기 때문에 생존에도 큰 도움이 되기 때문. 워낙 궁합이 좋다보니 거의 크로우의 전용 악세사리 취급을 받는다.

5. 평가

초고성능 필수요소급 근딜러. 생존은 강력한 부활기에 맡기고 블레이드 마스터의 강력한 검혼 3중첩을 살려 공격에 몰빵해, 죽기 전에 죽이고 설사 죽어도 부활해 자폭으로 죽기 전에 자신을 죽인 상대를 죽여 생존하는 스타일의 극공형 캐릭터.누구 오빠 아니랄까봐 이 양반도 복수의 화신이다 그런데 그러면서도 매우 강력한 부활기와 블레이드 마스터의 피해 감소 버프, 저눈 악세와의 궁합 덕에 생존력도 탁월해서 세팅이 완성된 크로우는 런칭 이후 PVP던 PVE던 필수급 캐릭터로 꼽히는 강력함을 자랑한다. 명함 단계에서도 그럭저럭 성능이 나오는데 강화 효율도 좋아 최종적으로 S급의 성능을 자랑하는 강캐로 탈바꿈하기 때문에 신규 유저에게 가장 추천되는 캐릭터 중 하나.

2024년이 다 지나갈 때까지도 치유 반전을 들고 대놓고 저격픽으로 출시된 종손녀 이외에는 크로우에게 우위를 점하는 캐릭터가 감히 나타나지 못했고, 그나마도 크로우 저격 외의 성능이 애매하다보니 결국 결투장의 지배자로 군림했다.

이러한 위엄은 해를 넘긴 25년 들어서 자신의 불구대천지원수흑태자가 부활을 씹고 퇴장시켜버리는 스킬인 암명연살검을 들고 와서야 겨우 빛이 바랬는데, 그럼에도 흑태자 외의 대응책이 마뜩찮은 것은 여전하다. 그 흑태자 정도가 아니면 카운터픽이 없다는 시점에서 크로우가 얼마나 강력한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6. 둘러보기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의 캐릭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 활력의 나무
전설 아리아나 위버 낭천 한조 슈리 스탐가르드
랜담 켈빈스 카림 니디아 라시드 팬드래건(청년) 크리스
클라우제비츠 팬드래건 에밀리오 실버
영웅 라시드 팬드래건 데니스 알렌 카메오 보포트 카자 아미고
클라리스 아이올로스 루벤스 하이젠버그
희귀 아르시아 란디노
자유의 불꽃
전설 칼스 브란트 쿤 그리어 사라 란드그리드 알시온 블랙소드
듀나미스 램브란트 엘리자베스 팬드래건 에스메랄다 크리스티앙 데 메디치
영웅 달리아 이그리트 하야 벨 반 다이크 세실리 나레쥬노
슈안 노르 생기르
희귀 로카르노 스탠리 엔데 마버트 로벨 필즈
지성의 결정체
전설 크로우 베라딘 기쉬네 드리포드 모르가이나 쉴렌
메이 노틸런 코델리아 오스틴 캐서린 스펜서 메리 팬드래건
로베르토 데 메디치 아이스 팬드래건
영웅 니나 필로테스 일지매 로빈 보니르 에리히 슐츠
세실 루미너스 신디 로즐리
희귀 캐빈 헤이스팅스 아리아나 위버 Jr.
신념의 빛
전설 이올린 팬드래건 아이린 사르데스 듀란 램브란트 에리카 마이어스
리나 맥로레인 죠안 카트라이트
영웅 엔닐 디아 리오나 윌라드 백옥당 사이렌 우드빌
희귀 스트라이더 녹스
욕망의 그림자
전설-아우터 원 흑태자
전설 디아블로 빈센트 번스타인 카슈타르 귄터 이루스
오필리어 버킹엄 샤른호스트 제인 쇼어
영웅 G.S 비쉬누 만 카심
희귀 사키스키
}}}}}}}}} ||




[1] 원 역사에 비해 아이스가 전장에 합류하는 시점이 더 늦어져서, 겨우 합류하자 마자 아론다이트가 대파된 모습을 보게 되었다.[2] 무협소설에서 흔히 나오는, '최상급에 비교급을 중첩해 (패배한 적에게) 티배깅하는 표현'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