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20:24:05

라시드 팬드래건(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

1. 개요2. 라시드 팬드래건
2.1. 개요2.2. 성능과 평가
3. 라시드 팬드래건(청년)
3.1. 성능3.2. 전용 무기와 추천 장비3.3. 평가
4. 둘러보기

1. 개요

파일:창모 라시드.jpg 파일:창모 라시드(청년).jpg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라시드 팬드래건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런칭과 함께 영웅 등급인 소년 버전으로 등장했고, 이후 청년 버전이 전설 등급 캐릭터로 추가되었다. 둘 모두 녹속성.

2. 라시드 팬드래건

2.1. 개요

런칭과 함께 실장된 녹속성 참격 캐릭터.
외모가 끔찍하게 너프된 회잔 버전 일러스트 기반인 관계로 본작에서도 미소년으로서의 면모를 보기는 어렵다.

2.2. 성능과 평가

기본 직업은 파이터. 티어 3 클래스는 로얄나이트/아크나이트/크루세이더. 크로우의 수련을 받기 전이므로 초필살기도 없고 전무도 없다.

고유 패시브는 '광휘의 별'. 주변 2칸 내에 아군이 있다면 공격력, 주문력이 상승하며, 적을 공격하면 자신의 체력이 회복된다. 재밌는 점은 아군과 협공했을 경우 협공한 아군도 회복된다는 점.

전설 등급 캐릭터들도 자주 채용하는 아크나이트가 있어서 키우면 기본은 할 수 있겠지만 그게 전부. 육성이 그다지 추천되지 않는 캐릭터이다.

여담이지만 공식 이미지에서 들고 있는 무기는 신성검이다.

3. 라시드 팬드래건(청년)


우리가 이길 거란 자만심이 모든 걸 그르쳤죠.
하지만 이제 더 이상 똑같은 실수는 하지 않을 거예요.
24년 5월 14일 추가된 녹속성 전설 참격 캐릭터. 외모는 한결 나아졌다는 평. 기본 초상화가 묘하게 띠꺼운 표정을 짓고 있는게 문제일 뿐

참고로 크로우와의 수련을 마친 후 스토리에서의 모델링과는 달리 플레이어블 청년 라시드는 망토를 걸치고 있기 때문에, 사실 드래곤 나이트가 아니라 킹에 해당하는 상태가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아무리 원작에서 3단 진화하는 캐릭터라지만 본작에서도 동일 인물을 동일 창2 시기 기반으로 3개 버전이나 내는 건 어렵지 않겠냐는 것. 이 연장선상에서 지금까지 묘사된 적이 없는 투르 전쟁 시기의 중년 검성이나 서풍에서의 노년 검성의 모습이 추가될 가능성을 제시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 다만 영웅전쟁 챕터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청년 라시드는 평범하게 플레이어블 청년 라시드와 동일한 모델링을 사용하고 있어서 확정된 건 없는 상황.

3.1. 성능

기본 직업은 역시 파이터. 티어 3 클래스는 검성/드래곤 나이트/커맨드 나이트로, 출시 당시에 전부 신규 클래스였기 때문에 제작진에서 대놓고 신경 쓴 캐릭터임을 드러냈다. 초필살기는 전통의 설화난영참.
  • 고유 패시브는 '왕국의 미래'. 일단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공격력이 조건없이 그냥 상승하는 것 부터 비범한데, 액티브 스킬로 버프를 받으면 스킬의 TP 소모량이 1 감소하는 '결의' 버프를 획득하고 버프를 걸어준 아군에게 보호막도 걸어준다. 또한 그냥 상승하는 공격력은 각성 레벨에 따라 증가하는데다 5각성부터는 남은 스킬 쿨타임이 제일 긴 스킬의 쿨타임도 1 감소하는 효과가 추가된다.
    다만 '버프'가 조건인데 보호막은 버프로 취급하지 않는다. 때문에 에스메랄다의 전무나 니나의 워런트 배리어 등으로 라시드에게 보호막을 걸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는다.

티어 3 클래스의 경우 공증이 강력한 검성, 강력한 범위 공격 강화 버프를 주변에 부여하는 드래곤 나이트, 버프기 중심의 커맨드 나이트로 구성된다.
  • 검성은 전용기인 검풍섬을 익힐 수 있으며, '전투 공격' 시에 공격력이 상승하고 반격 피해를 적게 받고 '전투 공격' 후 이동력과 '전투 공격 시 공격력 상승' 버프인 '기세'를 얻는 패시브를 가진 클래스다. 공증 수치가 높은데 기세 버프로 더더욱 올라서 가장 무난한 선택지라 보통 1순위로 찍는 클래스. 다만 본작에서 '전투 공격'은 광역 피해를 입히는 경우를 제외한 공격 형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요컨대 후술할 자비에르 브레스와 초필살기 설화난영참을 사용할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광역기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소 흠결이 있는 셈.
  • 드래곤 나이트는 전용기인 자비에르 브레스를 익힐 수 있으며, 주변 3칸 아군에게 범위 공격 피해량을 증가시키는 버프 '빙룡의 가호'를 걸어주고 '전투 공격' 시에 공격력의 20% 만큼 추가 빙한 마법 피해와 일정 확률로 냉기 둔화 효과까지 거는 패시브를 가진 클래스이다. 대놓고 광역 공격 스킬 위주 운용에 맞춰진 클래스인데, 아군에게도 버프가 적용되는 것이 큰 장점.
  • 커맨드 나이트는 함성 스킬 사용 시에 대상 아군의 디버프 1개를 추가로 제거하고, 자신의 공격력 상승과 피격 데미지 감소를 부여하는 버프를 획득하며, 추가 공격/스킬 기회를 획득하는 버프 특화계 패시브를 가진 클래스이다. 습득 스킬은 공격력 25%, 방어력/저항력 20%를 상승시키는 전투의 함성. 라시드는 나이트에서 아군에게 추가 공격/스킬 기회를 부여하는 활기의 함성도 배우기 때문에 쌍버퍼로서의 소양이 충분하다. 다만 딜러로서의 소양이 워낙 뛰어나기 때문에 버퍼로서의 활용은 좀 밀리는 편. 흑태자 출시 이후 버퍼로 굴리는 경우에도 광역기 버프를 위해 드나를 택하지 커맨드 나이트를 택하지는 않는다.

전용기는 검풍섬과 자비에르 브레스를 습득할 수 있다.
  • 검풍섬은 사거리가 1~2, 배율이 170%에 달하는 강력한 단일 공격기로, 적을 공격한 후 기본 공격시 50% 확률로 공격력의 30%만큼의 추가타가 발동하는 '질풍' 버프를 얻는 추가 효과까지 붙어있는 우수한 스킬이다. TP 소모량이 3이나 되어 단일 스킬로서는 높은 축에 들지만, 라시드의 고유 패시브에 소모 TP -1 효과가 있으므로 실질 2 TP로 쓸 수 있는 것도 장점.
  • 자비에르 브레스는 전후좌우 중 한 방향을 지정해서 3x4 범위에 빙한 마법 피해를 주는 기술이다. 광역기이면서도 배율이 90%로 제법 높은 편인데다 덤으로 2턴간 이동력을 깎는 냉기 둔화와 피 치명타 확률을 올려주는 동상까지 디버프를 2종이나 건다. 이런 강력한 성능 때문에 TP 소모량도 4로 높고 쿨타임도 3턴으로 긴 편이니, 고유 패시브로 메꿔보자.

초필살기인 팬드래건 왕가의 성명절기 설화난영참은 3칸 내 지정 타일로 이동하면서 주변 3칸 내의 적에게 광역 피해를 뿌리는 초필살기로 크로우와 동일. 냉기 둔화를 부여하는데 냉기 둔화는 중첩되면 1턴간 행동 불능이 되는 빙결로 업그레이드되므로 빙한계 스킬이 있는 형제자매들(크로우, 이올린)과의 조합이 좋고, 역시 마찬가지로 팬드래건 독립 투쟁의 주적이었던 베라딘과도 궁합이 좋다.

3.2. 전용 무기와 추천 장비

전용 무기는 진 바리사다. 디버프 추뎀 위주였던 크로우의 바리사다와는 달리 라시드 자신에게 버프가 있을 경우 피해량과 치확이 증가하고 '전투 공격 시' 입는 피해량이 감소하는 무기 스킬이 달려있다. 또한 '전투 공격' 후에 적에게 냉기 둔화를 30% 확률로 부여한다. 버프가 있을 때 피해량+치확 증가는 좋은 효과지만 냉기 둔화는 단일기 한정이라 자비에르 브레스나 설화난영참에는 적용되지 않는 부분이 아쉽다.

방어구의 경우, 치명타보다는 공격력 그 자체에 투자를 하는 캐릭터다보니 드래곤 나이트로 자비에르 브레스를 활용하는 광역 딜을 할 때는 공격력 증가가 있는 한조 복장 모티브인 살수(전설)2+협객(영웅)2 조합이 추천되고 그 외에는 전투시 공격력 증가와 물리관통 효과가 있는 낭천 복장 모티브인 일기당천 세트가 추천되는 편이다.

악세사리도 단일딜과 광역딜 위주로 달라지는 편. 검성으로 단일딜 위주로 굴릴 때는 공격 시 관통 옵션을 주는 영웅 등급의 늑대 송곳니 풀각이나 공격력 증가 및 치확 증가/치뎀 감소가 있는 균형의 칼날이 사용된다. 늑대 송곳니의 전설 등급 악세사리인 사수의 마탄은 풀각이 힘들고, 체력이 아닌 저항력 증가 옵션이라 애매한 편. 그 외에는 영웅 등급의 상처 악화의 부적을 쓰는 경우도 있는데 광역기나 원거리 기술에는 치유 감소 옵션이 안 들어가서 딱 맞지는 않는다.

단일딜/광역딜 범용으로는 공격력을 증가시키고 치뎀을 감소시키는 참격 딜러 국밥템인 고대 영웅의 반지가 베스트. 물몸인 라시드에게는 치명타 피해 감소와 치명타 피해를 입을 경우 시 회복해주는 옵션이 정말 큰 도움이 된다. 그 외에도 치명타 데미지를 올려주는 전설 등급 톱날 화살촉도 쓸 수는 있지만 라시드는 치확이 높은 편이 아닌데다 치확 딜러의 화살촉 수요가 높기 때문에 라시드에게 주기는 아깝다는 평.

3.3. 평가

조건 없는 공증이 달려있는 사기적인 고유 패시브와 강력한 전용기 2종으로 무장해 녹 속성의 캐릭터 중에서도 손꼽히는 강함을 자랑하는 캐릭터. PVP에서는 버프 받고 달려와서 날리는 1턴 자비에르 브레스가 한동안 위용을 떨치기도 했다. 다만 커맨드 나이트가 아닌 한 생존이나 방어 관련 버프가 일절 없어서 은근히 물몸이고, 고유 패시브를 살리려면 버프를 하나 받기는 해야 하는 부분도 있어 마냥 무지성으로 굴리기는 어려운 캐릭터.

25년 들어서는 이너브레이크 업데이트의 첫 수혜자가 되어 더욱 강해졌다. 다만 동시에 세계관 최강자인 흑태자가 강림했기 때문에, 딜러로서 주로 쓰이던 과거와는 다르게 드래곤 나이트+전투의 함성+활기의 함성 조합으로 1턴 아수라파천무를 서포트하는 버퍼 운용도 고려해볼만하게 되었다.

어쨌든 딜러로서든 버퍼로서든 활용 범위가 넓어 육성 가치가 높은 캐릭터. 녹 속성 전설이 필요하다면 1순위로 고려할 만하다.

4. 둘러보기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의 캐릭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 활력의 나무
전설 아리아나 위버 낭천 한조 슈리 스탐가르드
랜담 켈빈스 카림 니디아 라시드 팬드래건(청년) 크리스
클라우제비츠 팬드래건 에밀리오 실버
영웅 라시드 팬드래건 데니스 알렌 카메오 보포트 카자 아미고
클라리스 아이올로스 루벤스 하이젠버그
희귀 아르시아 란디노
자유의 불꽃
전설 칼스 브란트 쿤 그리어 사라 란드그리드 알시온 블랙소드
듀나미스 램브란트 엘리자베스 팬드래건 에스메랄다 크리스티앙 데 메디치
영웅 달리아 이그리트 하야 벨 반 다이크 세실리 나레쥬노
슈안 노르 생기르
희귀 로카르노 스탠리 엔데 마버트 로벨 필즈
지성의 결정체
전설 크로우 베라딘 기쉬네 드리포드 모르가이나 쉴렌
메이 노틸런 코델리아 오스틴 캐서린 스펜서 메리 팬드래건
로베르토 데 메디치 아이스 팬드래건
영웅 니나 필로테스 일지매 로빈 보니르 에리히 슐츠
세실 루미너스 신디 로즐리
희귀 캐빈 헤이스팅스 아리아나 위버 Jr.
신념의 빛
전설 이올린 팬드래건 아이린 사르데스 듀란 램브란트 에리카 마이어스
리나 맥로레인 죠안 카트라이트
영웅 엔닐 디아 리오나 윌라드 백옥당 사이렌 우드빌
희귀 스트라이더 녹스
욕망의 그림자
전설-아우터 원 흑태자
전설 디아블로 빈센트 번스타인 카슈타르 귄터 이루스
오필리어 버킹엄 샤른호스트 제인 쇼어
영웅 G.S 비쉬누 만 카심
희귀 사키스키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