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1 13:00:46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 휘장.pn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무력 최고사령관 예하기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최고사령관 직속 기관
호위사령부
(당중앙위원회 6처 · 국무위원회 경위국 · 호위국)
국가비상방역사령부 조사장악선
국무위원회 산하 기관
국가보위성 국방성 사회안전성
미싸일총국(추정)
조선인민군 산하 기관
총정치국 총참모부 후방총국
※ 국장: 국방성 제1부상 겸임
간부국 보위국 군사재판국 군사검찰국
총참모부 산하 기관
작전총국
※ 국장: 총참모부 제1부총참모장 겸임
전투훈련국 정찰총국
(작전국 · 정찰국 · 해외정보국 · 정책국 · 기술국 · 후방지원국)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령기관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0000,#222222><tablebgcolor=#ff0000,#222222> 파일:조선인민군 휘장.svg조선인민군 총참모부
朝鮮人民軍 總參謀部

General Staff Department of KPA
Управление Генерального штаба КНА
}}} ||
<colbgcolor=#FED11E,#222222><colcolor=black,white> 설립 1948년 2월 8일
총참모장 리영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50px-Vice-Marshal_rank_insignia_%28North_Korea%29.svg.png 차수)
주소

총참모부 본부
(평양시 서성구역 석봉동)
1. 개요2. 특징3. 역사
3.1. 김정일 시대3.2. 김정은 시대
4. 역대 총참모장5. 조직
5.1. 지휘부5.2. 작전총국5.3. 정찰총국5.4. 비축 저장소
5.4.1. 제1저장고5.4.2. 제2저장고5.4.3. 제3저장고5.4.4. 제4저장고
5.5. 주요 지휘소
5.5.1. 철봉각 지하 지휘소5.5.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성 지휘소5.5.3. 군단급 지휘소

[clearfix]

1. 개요

조선인민군군사명령기관. 평양시 서성구역 석봉동에 있다.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에 대응된다.

2. 특징

총참모부는 총참모장 휘하에서 군사작전을 지휘하는 군령권을 행사한다. 한국군합동참모본부에 해당하는 조직이지만, 바로 대입시키기는 힘들다. 육군은 총사령부가 따로 없으며, 최고 편제인 군단들을 각 군단장들이 직접 지휘하고, 해군과 공군은 각기 독자적인, 육군의 각 1개 군단에 준하는 크기의 총사령부가 군종을 지휘한다. 북한군은 삼군이 동등하게 위치된 합동군이 아니며, 육군 밑에 해군과 공군이 딸린 통합군 체제라 총참모부는 육군의 군단장들+해군과 공군의 사령관들을 동시에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군령권을 가지고 군사 작전을 전부 담당하기 때문에 평시에 군권을 직접적으로 행사하는 기구이고 전시에는 군사 작전에 관한 실질적인 총사령부인 조직이다. 또한 대한민국의 국방부에 대응하는 국방성을 능가하는 권한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렇게 된 이유는 조선인민군 자체가 대규모 권력기관에 해당하는 데다가, 원래 조선인민군은 당군으로 국가가 아닌 조선로동당 소속이고 당의 명령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방성은 일부 행정적 지도와 조선인민군을 대외적으로 대표하는 역할을 하나 존재감이 크지 않다.

3. 역사

3.1. 김정일 시대

덕분에 군정권만 가진 국방성보다 더 실세로 볼 수 있다. 특히 김정일 시대에 국방위원회의 최고 군사기관 및 국가통치 기구화와 선군정치를 거치면서 인민무력부(현 국방성)보다 더한 위세를 가지게 되었다. 상술했듯이 인민무력부장이 공석인 상황에서 총참모부가 국방위원회에 직접 보고를 할 정도. 이렇게 국방위원회가 직접 군대를 통제하기 위해 군정기구인 인민무력부를 약화시키고 총참모부가 대신 국방위원회의 직접적인 명령을 받게 되어 군령권을 넘어서서 선군정치의 핵심이자 선두가 되었다.

3.2. 김정은 시대

다만 김정은이 집권한 이후로 인민무력부(현 국방성)는 물론이고 총참모부의 권한도 점차 약해지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특히 김정일 집권 후반기부터 계속 총참모장을 역임했던 리영호가 숙청 혹은 실각당한 뒤 뒤이어 부임한 현영철이 임기 중 조선인민군 차수에서 대장으로 강등당했는데, 이후 부임한 김격식과 리영길도 대장 계급인 채로 총참모장을 맡고 있다. 반면 후술할 총정치국장의 경우 차수 계급을 달고 부임한 최룡해가 잠시 대장으로 강등당하기는 했지만 얼마 뒤 다시 차수로 재진급했고, 최룡해가 해임된 2014년 5월에도 후임 황병서가 대장에서 차수로 고속 승진하여 총정치국장을 맡았기 때문에, 총정치국장의 계급과 위상이 인민무력부장과 총참모장을 능가하는 수준을 유지했다.

2016년 들어 대외 과시용 군사훈련이 잦아지면서 다시 군부의 위상이 높아지는 모습이 관측되었고, 김일성의 104회 생일 직전인 2016년 4월 14일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와 중앙군사위원회, 북한 국방위원회 공동 명의로 총참모장 리명수의 계급을 대장에서 차수로 진급시킨다는 공식 발표가 나오면서 총참모장과 총정치국장이 동일한 차수 계급을 보유하게 되었다.

4. 역대 총참모장

5. 조직

5.1. 지휘부

  • 총참모장: 리영길 차수
  • 제1부총참모장: 송영건 소장
  • 부총참모장: 김영복 상장, 윤병권 중장, 안지용 중장, 주동철 중장, 리창호 중장
    • 정치국
    • 공병국: 자체부대 보유
    • 대열보충국(제508부대): 조선인민군 입대 신병 인사관리 업무 담당
    • 도로국
    • 병기국: 탄약, 무기 등 보관, 출납
    • 운수관리국: 병력 수송 및 차량 정비에 관한 업무를 담당한다.
    • 작전총국
    • 정비국
    • 제1전투훈련국
    • 제2전투훈련국
    • 총무국: 행정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 측지국: 포병 병과에 측지반이 있듯이 지질국에서 제작한 군사지도를 작성하고 배포하는 역할을 한다.
    • 화력지휘국
    • 포병국
    • 통신국: 자체적으로 부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군에 대해 통신을 지원한다.
    • 철도사령부: 현재 북한 철도의 상황은 처참하지만 그래도 전시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군대의 운송수단은 철도이기에 적지 않은 역할을 한다.

5.2. 작전총국

제 525군부대로도 불린다.
  • 기능: 정찰총국과 함께 총참모부의 이원체제를 구축하며, 군사훈련과 대남작전에 관한 업무를 담당한다. 총국장은 제1부총참모장을 겸임한다.

5.3. 정찰총국

제 586군부대로도 불린다.
  • 기능: 작전총국과 함께 총참모부의 이원체제를 구축한다.
  • 성격: 합동참모회의, 전시최고사령부
  • 구성: 14국 48부
  • 주둔지
    • 묘향산 55호 관저 지하도로 연결
    • 상하 2층 구조 설치
    • 지하 1층: 전투지휘소 9개실, 화상감시실 15명 상시 근무
    • 지하 2층: 김정은 집무실 16개실 우측 4호방, 최고위급 간부 집무실
    • 작전조: 주요 지휘관 120명 구성
    • 비상구: 5㎞ 북쪽 백족산 보위 사령부 야전 지휘소 연결
    • 예비지: 자강도 중강군 쌍두산(량강도 삼지연군 포태 별장)
    • 경비: 1개 연대 전담
    • 벙커: 전국 약 7천 개 ~ 8천 개 설치

5.4. 비축 저장소

5.4.1. 제1저장고

  • 위치: 평양시 강동군 제석산
  • 구조
    • 지하 1층: 전시용 화력장비
    • 지하 2층: 전시용 화력장비

5.4.2. 제2저장고

5.4.3. 제3저장고

  • 위치: 평양시 삼석구역 청운산
  • 구조
    • 동서남북 4개 입구설치
    • 생필품 보관
    • 식량 의복 의약품

5.4.4. 제4저장고

  • 평양시 청룡산 지하
  • 구조
    • 5만톤급 연료 5개
    • 철제 용기 설치
  • 규모
    • 기본 폭 9m, 높이 4.5m, 길이 600m
    • 지하터널방식
    • 입구 기본 2개소 이상

5.5. 주요 지휘소

5.5.1. 철봉각 지하 지휘소

  • 기능: 최고 사령부 야전 지휘소
  • 시설
    • 12m 하강, 폭 9m, 높이 4.5m, 길이 600m 궁전시설,
    • 아연도장벽면, 방사선차단시설
  • 위치
  • 구조
    • 묘향산 제55호 관저와 지하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 여담
    • 주요 지휘관 120명으로 구성된 작전조가 편성되어 있다.
    • 1개 연대급 병력이 지휘소 경비를 전담하고 있다.

5.5.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성 지휘소

5.5.3. 군단급 지휘소

  • 지휘소갱도: 로농적위대 청년근위대 교도대 군사작전지휘통신, 해당당위원회관리
    • 제1호갱도: 김일성,김정일동상, 1호물자보관, 해당당위원회민방위부관리
    • 제66호갱도: 반항공경보시전체주민대피, 시보안서호안과관리
    • 제2호갱도: 전시식량보관, 책임비서직속 2호관리소관리→ 전연군단소진
    • 제4호갱도: 전시필요건설자재보관, 시도군관리→ 평양 려명거리, 신도시건축소진
    • 연유창갱도: 전시연료저장, 군부대, 시도군연유공급소, 군수동원총국관리
    • 화약고갱도: 화약보관, 시도군보안서호안과, 군수동원총국관리
    • 전략예비물: 전략예비물자보관 군수동원총국관리
    • 제16호갱도: 전시의약물품보관 군수동원총국관리
    • 공장후보지: 전시군수물자생산 공장기업소군수품직장관리
    • 전시예비물: 김일성시기 36개월분→ 김정일시기 6개월분→ 김정은시기 축소운영
  • 전자정찰전력
    • 기구정찰중대: 총참모부직할
    • 무선통신중대: 경보병여단
    • 전자전국예하: 전자전연대 1개
    • 전연군단예하: 전자전대대 4개
  • 지휘자동국
    • 제31호 기술정찰소: 해킹프로그램개발
    • 제32호 기술정찰소: 군관련프로그램개발
    • 제33호 기술정찰소: 사회일반심리전
    • 제56호 기술정찰소: 지휘통신프로그램개발

  • 적공국
    • 제204소: 남한군, 시민상대 심리전→농협해킹
  • GPS 교란전파부대
    • 개성, 금강산, 해주지역
    • 연안, 평강지역
  • 핵화학방위국: 제550군부대 총참모부산하

    • 창설일: 1991년 3월 김정일지시 창설
      주임무: 핵화생방전 업무전담
      군단별: 화학부설치, 반핵반원전분석소, 화학대대설치
      해공군: 반핵반원자분석소, 화학대대설치
      연대급: 화학소대운영
      지휘부: 평양 서성구역 장산동 인민무력부청사
      주둔지: 인민무력부 8호 청사
      별칭: 550군부대
      예하부서: 화생연구소, 화생제공장, 중앙화학공급창
      편제: 화학정찰대, 화염방사기
      보유량: 13개종, 화학무기 5,000톤
제1작전부:
예하: 8개 대대(현역 2개 대대, 예비역 6개 대대)
제13핵화학방위대대: 함흥비날론연합기업소 주둔, 예비역편성
제14핵화학방위대대: 순천화학련합기업소 주둔, 예비역편성
제15핵화학방위대대: 예비역편성
제16핵화학방위대대: 안주 남흥화학공장 주둔, 예비역편성
제17핵화학방위대대: 평남 성천군 온정리 예하 5개 중대, 현역편성
제18핵화학방위대대: 평남 평원군 석암리 예하 6개 중대, 현역편성 석암리교육훈련센터 550군부대
제37핵화학방위대대: 강원 원산시, 위장명 27대대, 예비역편성
제38핵화학방위대대: 사리원카리비료공장 주둔, 위장명 28대대, 예비역편성
제2훈련부:
정기훈련: 년 2회 실시
훈련장소: 평안남도 양덕군 고원지대
훈련실시: 3단계 구분실시, 군단예하 화학대대 참가
제1단계: 화학탄발사 화학가스살포
제2단계: 화학정찰차 살포지역식별
제3단계: 오염소독차 제독작업실시

제3기술부:
연구인력 교육
화학무기 연구개발
제2자연과학원 화학연구소

제4기자재부: 화염방사기기
제5정찰부: 화학정찰대, 전시 주요기동로 후송로 이동로상 전개활동
제32부: 극비관리, 핵무기총괄관리
갱도관리부: 화학무기저장, 화학무기보관
화생방연구소:
평양 서성구역 장산동 본부
평양 용성구역 마산동
평원 2개 분소
평양 만경대구역 안골 솔봉: 핵감시초소운영
본부: 장교 34명, 사병 40명
생산공장:
혈액작용제(4개소): 아오지, 청진, 만포, 안주화학
최루작용제(7개소): 청진, 함흥28비날론, 함흥본궁, 화성, 신의주, 신포, 만포화학
수포작용제(4개소): 함흥28비날론, 신의주, 신포, 만포화학
질식작용제(5개소): 함흥28비날론, 함흥본궁, 화성, 신의주, 신포화학
신경작용제(4개소): 함흥28비날론, 화성, 안주, 신포화학
구토작용제(2개소): 아오지, 화성화학
연구개발: 생산조직
제398연구소(398공장)
평남 평원군 석암리소재
신경가스생산, 미란발포성가스생산, 수포작용제생산
제2경제위원회 제5기계산업총국지휘

원산화학무기생산공장
제102연구소(102공장): 아오지리
함북 은덕군 은덕읍 송학리 송림골소재
7·7연합기업소 은덕군화학공장
제297연구소(297공장)
평남 평원군 석암리소재
화학해독제, 방독면 방동복제조
저장소: 갱도: 700 ~ 1,000m지하
마산동자재상사: 평양시 서성구역 마산동 산속, 3개 지하갱도 설치
지하리화학상사: 강원도 판교군 지하리소재, 갱도 700m
산음리화학탄약저장소: 갱도 900m
향촌화학탄약저장소: 갱도 900m
신안상리화학탄약저장소: 갱도 700m
대영리화학탄약저장소: 갱도 1000m
사리원화학탄약저장소: 갱도 700m
  • 제131원자력지도국→ 확대편성 핵원자력공업성 중앙당직속

    • 명칭변경: 제2자연과학원→ 국방과학원원장: 장창하상장
      창 설 일: 1985년
      관할부서: 로동당군사위원회직속부대
      주요임무: 핵시설비밀건설
      부서편성: 하사관이상배치
      국장: 박인영국장→ 2012.11숙청 풍계리실험장부실관리
      핵 무 기: 500㎏, 재진입수준관건
      보 유 량: 최소 14개 ~ 18개 미상(2020년 60개 추정)
      저 장 소: 92호공장(극비공장)
      예하부대: 여단 8개→ 2개 해체→ 6개 여단 운영

        제41여단: 설비개발
        제42여단: 설비개발→ 해체
        제43여단: 연변핵단지개발(분강지구, 5기계총국)
        제45여단: 구성시동산리지하핵시설개발
        제47여단: 평산 핵우라늄광산개발
        제48여단: 설비개발→ 해체
        제49여단: 금창리지하핵시설건설
        제620여단: 42·48여단 대체
제216연구소: 2006년 12월 창설
소장: 리홍섭상장
명칭: 핵물리연구소
임무: 핵개발컨트롤타워
창설일: 2006.12
구성원: 30여 명→ 석사·박사 학위자
소재지: 평양 중구역 창광동 국방위원회 본부설치
특혜: 평양창전거리 신식아파트입주관리, 핵개발관련최고권한보유
소속: 국무위원회 정치국
예하: 제131지도국지휘, 별칭 원자력총국, 풍계리핵시설관리운영
관리소조: 김정은직접관리, 핵관련회의체
정식명칭: 핵안전관리소조
부흥상사: 개발필요물자공급
제710호실: 자금전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과거에는 평양시 형제산구역 서포동에 있었다.[2] 과거에는 평안남도 성천군 백원리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