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초대 김정렬 | 제2대 최용덕 | 제3대 김정렬 | 제4대 장덕창 | 제5대 김창규 | |
제6대 김신 | 제7대 장성환 | 제8대 박원석 | 제9대 장지량 | 제10대 김성룡 | |
제11대 김두만 | 제12대 옥만호 | 제13대 주영복 | 제14대 윤자중 | 제15대 이희근 | |
제16대 김상태 | 제17대 김인기 | 제18대 서동열 | 제19대 정용후 | 제20대 한주석 | |
제21대 이양호 | 제22대 조근해 | 제23대 김홍래 | 제24대 이광학 | 제25대 박춘택 | |
제26대 이억수 | 제27대 김대욱 | 제28대 이한호 | 제29대 김성일 | 제30대 김은기 | |
제31대 이계훈 | 제32대 박종헌 | 제33대 성일환 | 제34대 최차규 | 제35대 정경두 | |
제36대 이왕근 | 제37대 원인철 | 제38대 이성용 | 제39대 박인호 | 제40대 정상화 | |
제41대 이영수 | 제42대 손석락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역임한 직위 | |||||||||||||||||||||||||||||||||||||||||||||||||||||||||||||||||||||||||||||||||||||||||||||||||||||||||||||||||||||||||||
|
<colbgcolor=#00AEEF><colcolor=#fff> {{{#fff 대한민국 제22대 공군참모총장}}} 조근해 趙根海 | Cho Geunhae | |
| |
출생 | 1937년 11월 29일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주실마을 | |
사망 | 1994년 3월 3일 (향년 56세) |
경기도 용인군 외사면 근삼리 외수곡마을 야산[1] (現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근삼리) | |
재임기간 | 제18대 공군참모총장 |
1993년 5월 28일 ~ 1994년 3월 3일 | |
군사 경력 | |
복무 | 대한민국 공군 |
1961년 3월 23일 ~ 1994년 3월 3일 | |
임관 | 공군사관학교 (9기) |
최종 계급 | 대장 (대한민국 공군) |
최종 보직 | 공군참모총장 |
주요 보직 | 제15전투비행단장 공군교육사령관 공군작전사령관 국방정보본부장 겸 합동참모본부 정보본부장 |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 본관은 한양(漢陽).22대 공군참모총장을 지냈으나, 참모총장 임기 도중인 1994년 헬리콥터 사고로 순직하였다.
2. 생애
1937년 11월 29일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주실마을에서 아버지 조현석(趙玄錫, 1910 ~ 1955. 7. 17)과 어머니 영양 남씨 남증숙(南曾淑, 1908. 9. 10 ~ 1998. 5. 16)[2] 사이에서 4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첫째 작은아버지 조영석(趙寧錫, 1916 ~ 1945. 3. 1)에 입양되었다.당대의 명문 경북고등학교(38회) 출신으로 1957년에 공군사관학교 9기로 입학했고 1961년에 임관했다. 제15특수임무비행단 비행단장, 공군본부 감찰감(현 감찰실장), 군수참모부장, 작전참모부장, 공군교육사령관, 공군작전사령관을 거쳐 국방정보본부장으로 재직했다.
1993년 합동참모의장으로 영전한 이양호 장군에 이어 공군참모총장이 되었다.
1994년 3월 3일 오후 2시 35분 공군사관학교 졸업식에 참석차 UH-60 헬리콥터를 타고 이동하던 중 탑승한 기체가 공중폭발한 뒤 경기도 용인군 외사면(現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근삼리 야산에 추락하면서 순직하였다. 동승했던 아내 조인화(당시 48세), 조종사 강성윤 소령(당시 35세), 부조종사 유영재 대위(당시 31세), 전속부관 이상훈 대위(당시 31세), 승무원 전해술 원사(당시 35세)도 모두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국군 창군 이래 전시상황이 아닌 상황에서 현역 대장이 사망하기로는 1984년 제2야전군사령관이던 김홍한 육군 대장[3] 이후 2번째다. 관련기사 계급 특진 문서에도 쓰여있지만 조종사와 승무원, 전속부관 등은 모두 1계급 특진하였지만 조근해 장군은 원수로 특진할 수 없었으므로 대장 계급 그대로 장례를 지냈다.[4]
|
1994년 3월 5일에 열린 영결식. |
유가족들은 UH-60의 원 제조사인 유나이티드테크놀로지코퍼레이션과 라이센스 생산업체인 대한항공을 대상으로 소송을 냈으나 패소하였다. 관련기사
역대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들은 현직은 정모를 쓰지 않은 프로필 사진을 쓰고 퇴임한 사람은 정모를 착용한 사진을 사용하는데, 조근해 장군도 정모 착용 사진이 있는 걸로 보아, 참모총장에 취임할 때 정모 착용 사진도 같이 찍었던 것으로 보인다. 만약 전역 직전에 찍는다고 가정할 경우, 조근해 장군의 정모 착용 사진은 없어야 하기 때문. 다만, 어느 순간부터는 퇴임한 공군참모총장의 정모를 쓰지 않는 사진에다가 정모를 합성해 게시하고 있기 때문에 조근해가 정모 착용 사진도 같이 찍었는지 확실하지 않다.
차후 5일간 최동환 공군참모차장이 직무대리를 하다가 다음 참모총장이 취임한 후 바로 차장으로 돌아갔다.[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