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인민해방군이 사용한 수류탄의 목록이다.
2. 목록
2.1. F-3 대전차탄
RKG-3를 복제한 대전차수류탄이다.
2.2. 51식 수류탄
한국 전쟁으로 인해 급격하게 불어난 조선인민군과 인민지원군에게 줄 수류탄인 당시 기존에 사용하던 막대형 수류탄인 98식 파쇄 수류탄과 민국 23식 수류탄 만으로는 수요를 못 맞추자 중국 현지에서 생산하였다고 한다.
2.3. 58식 훈련탄
51식 수류탄의 훈련용 버전이다.
2.4. 63식 연막탄(FSL01)
1963년에 개발된 인민해방군의 첫 연막탄2.5. 95식 연막탄(FSL02)
1995년에 개발된 신형 연막탄. 63식 연막탄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2.6. 54식 수류탄
각각 F1 수류탄과 RGD-5의 복제품이다.
2.7. 56식 수류탄
RG-42를 카피한 수류탄으로 흔히 42형 수류탄으로 불린다고 한다.
2.8. 57식 수류탄
기존의 54-2 수류탄을 개량한 모델이다.
2.9. 59식 수류탄
기존의 54-1 수류탄의 개량형이다.
2.10. 63식 수류탄
기존의 51식 수류탄을 개량한 수류탄으로 밑의 65식과 67식의 초기형이기도 한다.
2.11. 65식 수류탄
2.12. 67식 수류탄
베트남 전쟁 당시 쓰인 막대형 수류탄이다.
참고로 중국의 한 마을에서 불발된 67식 수류탄을 무려 25년 동안 호두까기용 망치로 쓴 사례도 있다.
2.13. 67식 수류탄(계량형)
77식 수류탄의 원형 쯤 되는 67식 수류탄의 개량형이다.
2.14. 67식 수류탄(파편형)
위의 계량형의 파쇄 수류탄 형태 참고로 손잡이가 좀 짧은 편 이다.
2.15. 73식 수류탄
2.16. 77식 수류탄
현대에 사용되고 있는 막대형 수류탄이며 67식의 최종 개량형이다.
2.17. 82식 수류탄
2.18. 86식 수류탄
2.19. 91식 수류탄
2.20. 18식 수류탄
3.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현대의 중국 인민해방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white,#191919>81식 자동소총, CQ 5.56, CQ-A5군경, QBZ-95, QBZ-03, QBZ-191, QTS-11 | |||
저격소총 | AMR-2, CS/LR3, CS/LR4, QBU-88, QBU-10, JS 7.62, T-5000 | |||||
기관단총 | CS/LS06, QCW/QCQ-05, CS/LS5, 79식 기관단총 | |||||
산탄총 | 97식 산탄총, QBS-09 | |||||
권총 | 77식 권총, QSZ-92/QSW-06 | |||||
지원화기 | 기관총 | QJY-88, QJZ-89, QBB-95, QJG-02 | ||||
유탄발사기 | QLZ-87, QLL/QLG-91, QLZ-04, QLB-06, QLG-10, QLU-11 | |||||
대전차화기 | PF 대전차화전통, DJZ-08, 69식 화전통, 슈지안, HJ-12 | |||||
박격포 | 86식 120mm 박격포, PP-87, PP-89, PP-93, QLT-89 | |||||
맨패즈 | FN-6, 치엔웨이 대공미사일 | |||||
유탄 | 인민해방군/수류탄 | |||||
지뢰 | 59식 대인지뢰 | |||||
특수전 화기 | APS, QBS-06 | |||||
냉병기 | 도검 | 65식 기병도, QSB-9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