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6 20:06:37

윌프리드 뇬토


1 페리 · 2 보글 · 3 구드문드손 · [[이선 암파두|4 암파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49AD; font-size: .8em"]] · [[파스칼 스트라위크|5 스트라위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49AD; font-size: .8em"]] · 6 로든 · 7 제임스 · 8 롱스태프20 해리슨 · 21 케언스 · 22 다나카 · 23 보르나우 · 24 저스틴 · 25 바이럼 · 26 달로우 · 29 뇬토
42 체임버스 · 44 그루에프
파일:UEFA EURO GER.png 다니엘 파르케 {{{#!folding [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1000055359.png
리즈 유나이티드 FC No. 29
윌프리드 뇬토
Wilfried Gnonto
<colbgcolor=#fff,#1c1d1f> 본명 데냥 빌프리드 뇬토[1]
Degnand Wilfried Gnonto
출생 2003년 11월 5일 ([age(2003-11-05)]세)
이탈리아 피에몬테주 베르바니아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코트디부아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코트디부아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0cm / 체중 71kg
포지션 윙어[2] / 스트라이커[3]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fff,#1c1d1f> 유스 인테르나치오날레 (2012~2020)
선수 FC 취리히 II (2020~2021)
FC 취리히 (2020~2022)
리즈 유나이티드 FC (2022~ )
국가대표 13경기 1골[4] (이탈리아 / 2022~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스타일5. 여담6. 같이 보기

1. 개요

이탈리아 국적의 리즈 유나이티드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공격수.

2. 클럽 경력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유스팀에서 8년 동안 성장했지만 성인팀 데뷔를 앞두고 출전기회를 찾아 2020년 7월 1일 자유계약으로 스위스의 FC 취리히로 이적했다.

2.1. FC 취리히

2020-21 시즌 리그 26경기(608분) 1골 4도움을 기록했다.

2021-22 시즌 리그와 컵대회를 합쳐 35경기(1,533분) 10골 5도움을 기록했다.

시즌이 끝나고 프리미어 리그리즈 유나이티드의 관심을 받고있다.

프리시즌 VfB 슈투트가르트전에서 경기의 선제골을 넣었으나 팀은 3:2로 패했다.

2022년 8월, 리즈 유나이티드 FC로의 이적이 던딜이라고 한다. 이적료는 약 €5M이라고 한다. 그러나 AFC 본머스와도 링크가 뜨고 있다.

2.2. 리즈 유나이티드 FC

현지 시간 9월 1일, 풀럼 FC로 임대된 다니엘 제임스의 대체자로 영입하려던 밤바 디엥OGC 니스에 하이재킹당하는 사태가 벌어지자[5] 대체자를 시급히 구하던 리즈 유나이티드 FC로의 이적이 확정되었다.

2.2.1. 2022-23 시즌

7R 아스톤 빌라전 교체명단에 들었으나 출전하지 못했다.

이후 2022 골든보이 후보 20인에 포함되었다.

12R 리버풀전 70분경 교체로 리즈에서 데뷔를 이뤘다. 후 상대 골대 문전 앞 뱀포드에게 좋은 크로스를 올렸고, 뱀포드는 서머빌의 극장 결승골을 만들었다.

13R 본머스전 46분경 교체로 출전하였으며, 84분경 역습에 이은 돌파 후 크리센시오 서머빌에게 어시로 결승골을 이끌었다.

03년생의 유망주임에도 교체로 나올때 마다 공격포인트를 기록하는 등 좋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진정한 소년가장이다.

FA컵 카디프와의 2차전에서 환상적인 시저스 킥으로 득점하였고 이후 1골을 더 넣으면서 팀의 5:2 대승을 이끌었다.

21R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전 경기 시작 1분도 안 돼서 선제골을 기록하였다. 중앙에 위치한 패트릭 뱀포드와 2대1패스를 주고, 안으로 들어가서 시도한 가까운 골대 방향 슛이 그대로 골이 되었다. 결국 리즈는 후반 두 골을 실점하며 비겼지만, 그동안 압도적인 열세에 있었던 리즈에게 OT 원정에서 어린 선수가 텐 하흐의 맨유를 뚫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시즌 초반에는 교체로 출전하다 이제는 선발로 확고한 주전을 차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팀은 강등당하면서 아스날 FC, 맨체스터 시티 FC와 링크가 뜨고 있다.

2023년 6월, 에버튼 FC와 링크가 뜨고 있다.

유스 시절을 보낸 친정팀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복귀에 관련된 기사도 나오는 등, 강등팀의 특급 유망주에 여러 팀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

7월 후반 에버튼이 엘 빌랄 투레 영입에 실패하자 뇬토 영입에 올인할것이라고 한다.

다만 8월 초 보도에 따르면 뇬토는 현재 리즈의 언터쳐블 매물 중 하나이며 에버튼이 다른 대안들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2.2.2. 2023-24 시즌

8월 7일 열린 챔피언십 개막전 카디프 시티 FC전 선발 출전했다.

이후 뇬토는 현재 이적을 원하는 중이며 8월 10일 열린 슈루즈베리 타운 FC와의 카라바오컵 경기에서 명단 제외가 되었다.

8월 11일 로마노에 따르면 에버튼 FC와 뇬토 사이 5년 계약이 합의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원정길을 동행하지 않을 정도로 강력해진 선수 의사와 관계없이 리즈 구단 자체에서 NFS를 선언하고 있으며, 다니엘 파르케 감독의 요청으로 2군으로 강등되었다.

8월 19일 온스테인에 따르면 뇬토는 현재 구단에게 이적 요청서를 제출했다고 소식을 전했다. 이로 인하여 리즈 팬들에게 엄청난 미움을 받았고 19일 웨스트 브로미치와 치운 챔피언십(2부리그) 경기(1-1 무)에서 "으아아아아앙, 난 챔피언십에서 뛰기 싫어요."라고 갓난아기 얼굴로 그려진 걸개를 매달아 보인 관객들의 비웃음거리가 되었다. 하지만 이후에도 에버튼 FC의 오퍼를 거절하고 NFS를 때린 것은 여전하며, 결국 뇬토는 구단에게 굴복하지 않는 이상 꼼짝없이 챔피언십에서 뛰어야 할 상황이 되었다.

시즌 총 44경기 9골 3도움을 기록했고, 시즌 종료 이후 에버튼과 다시 한번 연결되고 있다.

2.2.3. 2024-25 시즌

연결만 될 뿐 정작 아무것도 소식이 이뤄지지 않았고 결국 팀에 잔류하게 되었다. 오히려 같은 윙어 포지션에 엄청난 활약을 보여준 크리센시오 서머빌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로 이적해버리면서 윙어 자리에 선발 자원으로 기용될 것임이 확정적이게 되었다.

8월 31일 리즈와 재계약을 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계약 기간은 2028년까지로 연장되었고 이적을 원하며 떼스던 과거의 모습과는 달리 방출 조항이 없는 4년 재계약을 실시하며 리즈 팬들의 민심을 다시 돌리고 있다. 아마 크리센시오 서머빌이 이적하면서 주전이 거의 확정적이게 된 것이 계약 연장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R 포츠머스 FC전에서 레프트 윙어 자리에서 준수한 드리블 능력을 선보이며 개막전부터 1골을 득점하는 활약을 펼쳤다.

시즌 내낸 주전 경쟁에서 밀린 시기와 기복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클래스를 보여주며 EFL 올해의 영 플레이어 상을 수상했다.

2.2.4. 2025-26 시즌

1R 개막전 홈 경기인 에버튼 FC전에서 뇬토 본인의 장점과 단점을 모두 보여주었다. 단단한 체구와 빠른 스피드로 에버튼의 우측면을 휘젓고 적극적인 수비 가담도 눈에 띄었다. 지속적인 원투 패스와 박스 침투로 슛 찬스의 대부분을 맡을만큼 위협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원래 결정력이나 슈팅 테크닉이 좋은 선수가 아니라 번번히 빗나갔다. 그래도 안톤 슈타흐, 타나카 아오와 함께 리즈에서 가장 눈에 띄는 선수였으며, 리즈가 에버튼을 압도하는 경기력을 보여주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후반전은 체력이 떨어진게 보이려 하자 67분 브렌든 애런슨과 교체되어 그라운드를 빠져나왔다. 팀은 루카스 은메차의 PK골로 1:0 승.

이 경기에서 뇬토의 고무적인 점은 비록 첫 경기지만 새로 영입된 레프트백인 가브리엘 구드문드손이랑 합이 상당히 잘 맞았다. 구드문드손의 드리블을 할때 그 반대쪽으로 빠지는 플레이도 나오며 주니오르 피르포와는 달리 왼쪽 측면 동선 정리가 잘된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다만, 슈팅을 많이 때렸음에도 유효 슛은 없었으며 슈팅 정확도는 높일 필요성이 있다.

3. 국가대표 경력

2022년 6월 5일 독일과의 네이션스리그 경기에서 후반 25분 교체 출장하자마자 우측 측면 돌파 후 크로스로 도움을 기록, 인상적인 데뷔전을 가졌다.
이후로는 주로 U21팀으로 경기에 자주 나오고 있다. 2025년 6월 23일 독일 U21과의 경기에서는 1대1로 비기고 있던 후반 36분에 태클로 퇴장을 당하게 된다.참고로 마티아 차노티 또한 90분에 퇴장 당하며 9대 11로 이탈리아는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경기는 이탈리아가 90+6분에 동점골을 넣으며 힘겹게 연장으로 끌고 갔지만, 연장전에 독일에게 골을 내주며 3대2 패배.

4. 플레이스타일

체구가 작지만 단단한 체격과 폭발적인 가속도를 이용하는 직선적인 드리블을 즐기는 윙어로, 21-22시즌 스위스 리그에서는 90분당 7.36개의 드리블을 시도했으며, 그 중 절반인 53.3%를 성공시켰을 정도. 뇬토의 드리블은 기본적으로 본인의 뛰어난 신체 능력과 운동 능력을 활용하는 드리블이 주를 이룬다. 공을 가진 상황에서 압박을 버텨내는 힘이 좋기 때문에 볼 터치가 튀는 상황에서도 직접적인 경합 혹은 어깨 싸움 등의 접촉을 통해 상대방이 공을 빼앗지 못하도록 잘 간수해낸다. 공을 가진 상황에서의 볼 키핑 능력이 좋기 때문에 역습과 지공을 가리지 않고 뛰어난 1대1 돌파력을 자랑하며, 좁은 공간에서 비집고 들어가 어떻게든 슈팅을 시도한다.

신체 능력 의존도가 높아 보이지만, 드리블러로서 기술적인 능력도 잘 갖추고 있다. 공을 다룰 때 발의 안쪽과 바깥쪽 면을 모두 사용해 공을 다룰 수 있으며, 헛다리 같은 민첩성을 요구하는 간결한 기술로 상대방의 균형 감각을 무너뜨린다. 뿐만 아니라, 오른발과 왼발을 두루 사용하는 선수라는 점에서 드리블로 변수를 창출하는 데 능한 크랙이라고 할 수 있다. 움직임이 워낙 민첩해서 속도만으로도 따라가기 힘든데, 양발을 다 사용하고 터치도 인프런트와 아웃프런트를 모두 수준급으로 사용하는 선수라서 매우 변칙적인 템포의 드리블과 패스를 구사한다.

더불어 킥과 슈팅의 파워나 스킬이 좋아서, 경기 내 유효 슈팅의 비율이 높고 박스 밖에서의 중거리 슈팅도 종종 시도한다. 주 포지션인 좌측에서 출전할 때에는 접고 들어와서 득점에 집중하는 인사이드 포워드에 가깝다면, 우측에 출전할 때에는 낮고 빠른 컷백을 건네주거나 템포를 살리는 깔아차는 슈팅을 시도하는 등 보다 균형잡인 윙어로 활약한다.

드리블과 슈팅은 물론이고 공이 없는 오프 더 볼 상황에서는 빈 몸으로 상대 수비의 배후 공간으로 침투하는 움직임도 곧잘 가져가는 선수이기에, 중앙 공격수로도 좋은 활약을 보인다. 중앙과 좌우 측면까지 모두 소화 가능한 공격 멀티 자원으로서 감독들이 요구하는 오프 더 볼 움직임을 성실하게 가져갈 수 있다.

단점은 작은 체구로 인한 선천적인 한계와 멘탈 문제. 키가 작은 편이지만 세트피스 상황에서 빈 공간으로 찾아들어가 프리 헤더로 득점을 하는 경우도 종종 있으나, 자신보다 키가 큰 상대와의 공중볼 경합 상황에서는 부진하는 모습을 보인다. 단단하고 유연한 신체와는 별개로 사이즈에서 오는 한계는 뚜렷한 편. 또한 반칙을 당하거나 반칙을 했을 때, 멘탈 컨트롤에 있어 아쉬운 모습을 보이는 점은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5. 여담

  • 뇬토 본인은 이탈리아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각급 연령별 대표팀 모두 이탈리아 대표로 뛰고있지만 부모님은 코트디부아르 이주민 출신이기에 복수국적을 가지고 있다.

6.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리즈 유나이티드 FC 2025-26 시즌
파일:GK_Perri.webp
파일:Bogle_2.webp
파일:Gudmundsson_3.webp
파일:Ampadu_4.webp
파일:Struijk_5.webp
1 2 3 4
C
5
VC
루카스 페리
Lucas Perri
파일:브라질 국기.svg | GK
1997.12.10
2025~2029
제이든 보글
Jayden Bogl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2000.07.27
2024~2028
가브리엘 구드문드손
Gabriel Gudmundsson
파일:스웨덴 국기.svg | DF
1999.04.29
2025~2029
이선 암파두
Ethan Ampadu
파일:웨일스 국기.svg | MF
2000.09.14
2023~2027
파스칼 스트라위크
Pascal Struijk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1999.08.11
2018~2027
파일:Rodon_6.webp
파일:James_7.webp
파일:Longstaff_8.webp
파일:Calvert-Lewin_9.webp
파일:Piroe_10.webp
6 7 8 9 10
조 로든
Joe Rodon
파일:웨일스 국기.svg | DF
1997.10.22
2024~2028
대니얼 제임스
Daniel James
파일:웨일스 국기.svg | MF
1997.11.10
2021~2029
션 롱스태프
Sean Longstaf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97.10.30
2025~2029
도미닉 칼버트르윈
Dominic Calvert-Lewi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7.03.16
2025~2028
요엘 피루
Joël Piroe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FW
1999.08.02
2023~2027
파일:Aaronson_11.webp
파일:Nmecha_14.webp
파일:Bijol_15.webp
파일:1_Meslier.webp
파일:Stach_18.webp
11 14 15 16 18
브렌든 애런슨
Brenden Aaronson
파일:미국 국기.svg | MF
2000.10.22
2022~2027
루카스 은메차
Lukas Nmecha
파일:독일 국기.svg | FW
1998.12.14
2025~2027
야카 비욜
Jaka Bijol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 DF
1999.02.05
2025~2030
이얀 멜리에
Illan Meslier
파일:프랑스 국기.svg | GK
2000.03.02
2020~2026
안톤 슈타흐
Anton Stach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8.11.15
2025~2029
파일:Okafor_19.webp
파일:Harrison_38.webp
파일:Cairns_21.webp
파일:Tanaka_22.webp
파일:Bornauw_23.webp
19 20 21 22 23
노아 오카포
Noah Okafor
파일:스위스 국기.svg | FW
2000.05.24
2025~2029
잭 해리슨
Jack Harris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96.11.20
2021~2028
알렉스 케언스
Alex Cairn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93.01.04
2024~2026
다나카 아오
Ao Tanaka
파일:일본 국기.svg | MF
1998.09.10
2024~2028
세바스티안 보르나우
Sebastiaan Bornauw
파일:벨기에 국기.svg | DF
1999.03.22
2025~2029
파일:Justin_24.webp
파일:Byram_25.webp
파일:Darlow_26.webp
파일:Gnonto_29.webp
파일:Chambers_42.webp
24 25 26 29 42
제임스 저스틴
James Justi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8.02.23
2025~2029
샘 바이럼
Sam Byram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3.09.16
2023~2026
칼 달로우
Karl Darlow
파일:웨일스 국기.svg | GK
1990.10.08
2023~2026
윌프리드 뇬토
Wilfried Gnont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2003.11.05
2022~2028
샘 체임버스
Sam Chambers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MF
2007.08.18
-
파일:Gruev_44.webp
파일:리즈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44 45
일리아 그루에프
Ilia Gruev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FW
2000.05.06
2023~2027
해리 그레이
Harry Gray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8.10.08
-
구단 정보
회장: 파라그 마라테 / 감독: 다니엘 파르케 / 홈구장: 엘런드 로드
출처: 트랜스퍼마켓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2월 18일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655ba> 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홈).svg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ddd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 GK 1 잔루이지 돈나룸마 파일:주장 아이콘.svg
(Gianluigi Donnarumma)
1999년 2월 25일 ([age(1999-02-25)]세) 76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12 알렉스 메렛
(Alex Meret)
1997년 3월 22일 ([age(1997-03-22)]세) 3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14 굴리엘모 비카리오
(Guglielmo Vicario)
1996년 10월 7일 ([age(1996-10-07)]세) 4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 마르코 카르네세키
(Marco Carnesecchi)
2000년 7월 1일 ([age(2000-07-01)]세) 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DF 2 라울 벨라노바
(Raoul Bellanova)
2000년 5월 17일 ([age(2000-05-17)]세) 5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3 페데리코 디마르코
(Federico Dimarco)
1997년 11월 10일 ([age(1997-11-10)]세) 32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4 페데리코 가티
(Federico Gatti)
1998년 6월 24일 ([age(1998-06-24)]세) 6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13 리카르도 칼라피오리
(Riccardo Calafiori)
2002년 5월 19일 ([age(2002-05-19)]세) 1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
19 안드레아 캄비아소
(Andrea Cambiaso)
2000년 2월 20일 ([age(2000-02-20)]세) 16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21 알레산드로 바스토니
(Alessandro Bastoni)
1999년 4월 13일 ([age(1999-04-13)]세) 39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2 조반니 디 로렌초
(Giovanni Di Lorenzo)
1993년 8월 4일 ([age(1993-08-04)]세) 50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23 잔루카 만치니
(Gianluca Mancini)
1996년 4월 17일 ([age(1996-04-17)]세) 15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S 로마
- 조반니 레오니
(Giovanni Leoni)
2006년 12월 21일 ([age(2006-12-21)]세) 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MF 5 마누엘 로카텔리
(Manuel Locatelli)
1998년 1월 8일 ([age(1998-01-08)]세) 32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6 니콜로 로벨라
(Nicolò Rovella)
2001년 12월 4일 ([age(2001-12-04)]세) 4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
8 산드로 토날리
(Sandro Tonali)
2000년 5월 8일 ([age(2000-05-08)]세) 27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16 다비데 프라테시
(Davide Frattesi)
1999년 9월 22일 ([age(1999-09-22)]세) 30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8 니콜로 바렐라
(Nicolò Barella)
1997년 2월 7일 ([age(1997-02-07)]세) 65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조반니 파비안
(Giovanni Fabbian)
2003년 1월 14일 ([age(2003-01-14)]세) 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1909
FW 7 마테오 폴리타노
(Mateo Politano)
1993년 8월 3일 ([age(1993-08-03)]세) 16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9 마테오 레테기
(Mateo Retegui)
1999년 4월 29일 ([age(1999-04-29)]세) 22 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카디시야 FC
10 자코모 라스파도리
(Giacomo Raspadori)
2000년 2월 18일 ([age(2000-02-18)]세) 42 11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1 모이스 킨
(Moise Kean)
2000년 2월 28일 ([age(2000-02-28)]세) 23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F 피오렌티나
15 프란체스코 피오 에스포지토
(Francesco Pio Esposito)
2005년 6월 28일 ([age(2005-06-28)]세) 1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7 리카르도 오르솔리니
(Riccardo Orsolini)
1997년 1월 24일 ([age(1997-01-24)]세) 11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20 다니엘 말디니
(Daniel Maldini)
2001년 10월 11일 ([age(2001-10-11)]세) 6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 마티아 자카니
(Mattia Zaccagni)
1995년 6월 16일 ([age(1995-06-16)]세) 11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
일정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2025년 9월 6일(토)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2025년 9월 9일(화) 원정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9일
}}}}}}}}}}}}}}} ||

[1] 취리히 시절에는 w가 /v/발음이 나는 독일어권 지역에서 뛰었기에 이 지역 특성상 '빌리 뇬토'라고 불렸으나, 코트디부아르계이므로 프랑스어계 이름을 물려받았음을 감안해 윌프리드 뇬토가 맞다. w는 이탈리아에 없는 철자라 이탈리아어 발음을 적용할 수 없으며, 비슷한 발음으로 음차해서 읽는다고 보면 된다.[2] 좌우측 전부 소화한다.[3] 원 톱과 세컨 톱 모두 활약할 수 있다.[4] 2023년 9월 13일 기준[5] 디엥은 니스에서도 메디컬 테스트에 합격하지 못해서 결국 마르세유에 강제 잔류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