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0:46:27

워 썬더/지상 병기/일본 트리/자주대공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워 썬더/지상 병기/일본 트리
워 썬더의 등장 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6px; letter-spacing: -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공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gray>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 요격기 | 육군 항공대 · 공군 | 해군 항공대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 메서슈미트 · 서독 계열 | 포케불프 · 동독 계열 | 중전투기 | 공격기 · 요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 야크 계열 | 미그 계열 | 라보츠킨 · 수호이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 호커 계열 | 슈퍼마린 · 글로스터 계열 | 해군 항공기 | 중전투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 해군 전투기 | 육군 전투기 | 중전투기 · 요격기 | 경폭격기 | 중형 · 중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 국민당 | 공산당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 레지아네 계열 | 피아트 · 마키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헝가리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 자국산 | 공여 전투기 · 공격기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 전투기 | 전투기 · 폭격기 혼합 | 폭격기 | 핀란드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 전투기 | 전투기 · 공격기 혼합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 항공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항공 병기를 참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육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gray>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자주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 자주포 · 경전차 | 중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경전차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남아프리카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구축전차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 경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헝가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대공전차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핀란드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 미국제 | 유럽제 · 자국산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 지상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지상 병기를 참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해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gray>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 해상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해상 병기를 참고. }}}}}}}}}}}}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 지상 병기
[ 연구 가능 장비 ]
## -↓- 1랭 -↓- ##
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Ha-Go.png
파일:WarThunder_I-Go_Ko.png
파일:WarThunder_Ho-Ro.png
파일:WarThunder_Type_94.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Ke-Ni.png
파일:WarThunder_Chi-Ha.png
파일:WarThunder_Ro-Go_Exp..png
파일:WarThunder_Ta-Se.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Ka-Mi.png
파일:WarThunder_Ho-I.png
## ↓ 6행 ↓ ##
## -↓- 2랭 -↓- ##
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Chi-Ha_Kai.png
파일:WarThunder_Ho-Ni_I.png
파일:WarThunder_M16_MGMC_(Japan).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Chi-He.png
파일:WarThunder_Ho-Ni_III.png
파일:WarThunder_So-Ki.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Chi-Nu.png
파일:WarThunder_Chi-Ha_LG.png
## ↓ 6행 ↓ ##
## -↓- 3랭 -↓- ##
I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M24_(Japan).png
파일:WarThunder_Chi-To.png
파일:WarThunder_Na-To.png
파일:WarThunder_M19A1_(Japan).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M4A3_(76)_W_(Japan).png
파일:WarThunder_Chi-To_Late.png
파일:WarThunder_M42_(Japan).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Chi-Ri_II.png
## ↓ 6행 ↓ ##
## -↓- 4랭 -↓- ##
I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M41A1_(Japan).png
[ ST-A ]
파일:WarThunder_ST-A1.png
파일:WarThunder_ST-A2.png
파일:WarThunder_M36_(Japan).png
파일:WarThunder_SUB-I-II.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Type_60_SPRG_(C).png
파일:WarThunder_Type_61.png
파일:WarThunder_Type_75_SPH.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ST-A3.png
## ↓ 6행 ↓ ##
## -↓- 5랭 -↓- ##
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Type_60_ATM.png
파일:WarThunder_M47_(Japan).png
파일:WarThunder_Ho-Ri_Production.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Type_87_RCV.png
파일:WarThunder_STB-1.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Type_74_(C).png
## ↓ 6행 ↓ ##
## -↓- 6랭 -↓- ##
V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Type_89.png
파일:WarThunder_Type_74_(E).png
파일:WarThunder_Type_16_(P).png
파일:WarThunder_Type_87.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Type_74_(F).png
## ↓ 4행 ↓ ##
## -↓- 7랭 -↓- ##
V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Type_90.png
파일:WarThunder_Type_16.png
파일:WarThunder_Type_93.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Type_90_(B).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TKX.png
## ↓ 6행 ↓ ##
## ↓ 7행 ↓ ##
파일:WarThunder_Type_10.png
## ↓ 8행 ↓ ##
## -↓- 구분선 -↓- ##
[ 프리미엄 장비 ]
## -↓- 장 비 -↓- ##
## -↓- 1랭 -↓- ##
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Ha-Go_Commander.png
파일:WarThunder_Chi-Ha_Kai_TD.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Ro-Go.png
파일:WarThunder_Ka-Chi.png
## ↓ 4행 ↓ ##
## -↓- 2랭 -↓- ##
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Chi-Ha_Short_Gun.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Chi-He_(5th_Regiment).png
## ↓ 4행 ↓ ##
## -↓- 3랭 -↓- ##
I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Chi-Nu_II.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Heavy_Tank_No.6_(Japan).png
## ↓ 4행 ↓ ##
## -↓- 4랭 -↓- ##
I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Ho-Ri_Prototype.png
## ↓ 2행 ↓ ##
## -↓- 5랭 -↓- ##
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Type_75_MLRS.png
## ↓ 2행 ↓ ##
## -↓- 6랭 -↓- ##
V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Type_74_(G).png
파일:WarThunder_Type_16_(FPS).png
## ↓ 2행 ↓ ##
## -↓- 7랭 -↓- ##




1. 개요

일본 지상군의 자주대공포 트리.

워 썬더에서 가장 대공이 부실한 트리 중 하나이다. 전반적으로 장비들의 성능이 좋지 않으며, 시선유도 미사일 대공포가 아예 없었으나, Kings of Battle 업데이트로 81식 C형 미사일 대공트럭이 생기면서 CAS에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2. 1랭크

2.1. 94식 트럭

Type 94
Isuzu Type 94
이스즈 94식 6륜 자동화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일본 육상자위대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jp_type_94.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시작) 94식 트럭 타세
일본 육상자위대 자주대공포 트리는 1랭크 94식 트럭부터 7랭크 93식까지 트리로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1랭크 94식 트럭 이후부터 연구를 건너 뛸 수 있는 차량이 없다. }}}
필요 RP 가격
  • 차량 성능
차종 자주대공포 랭크 1 BR 1.3
중량 5.3 톤 최대속도 60 km/h 포탑회전 속도 초당 35.2°
엔진 출력 70 마력, 2000 RPM 등판각 41° 고저각 -9 / 82°
차체장갑 정면 15 측면 1 후면 15 최대 수리 코스트
포탑장갑 정면 0 측면 0 후면 0 무료 수리 시간
  • 주무장
명칭 장전속도 사용 탄종 휴행탄수
20 mm 98식 기관포×1 1.0 초 기본, HEFI-T, AP-T 400 발
탄종 명칭 가격 탄자중량 포구초속 관통력 (100m) 관통력 (500m) 관통력 (1000m)
AP-T/HEFI-T/HEFI-T 기본 무료 Kg m/초 45mm 33mm 23mm
HEFI-T 100식 HE-T 1 0.13 Kg 829 m/초 2mm 2mm 2mm
AP-T 100식 AP-T 1 0.6 Kg 829m/초 45mm 33mm 23mm

94식 6륜 트럭의 차대에 98식 20mm 기관포를 장착한 자주대공포이다. 다른 트럭형 자주대공포들과 마찬가지로 정면 사격은 못하니 주의. 20발 탄창을 쓰는데 탄창이 20개 뿐이니 끊어 쏘는 게 좋다.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은근히 뒤에 있는 포수와 장전수를 맞추기가 어렵다.
여담이지만 이 20mm 기관포는 일본 BR 1.0대 지상 병기들 중에서 가장 관통력이 좋은 무기(.....)이며, 1랭크부터 3랭크까지 계속 써먹으니 미리 익숙해지도록 하자.

2.2. 타세

Ta-Se
시제대공전차 타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일본 육상자위대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jp_type_98_ta_se.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94식 트럭 타세 ❁M16 MGMC }}}

98식 경전차의 차체를 활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주포는 전단계와 같은 98식 20mm 기관포이다. 전체적으로 자주대공포라기보다는 탱과 유사하며 리얼리스틱에서도 꽤 빠르게 속도를 뽑아준다.

BR 1.7에서는 일부 몇몇을 제외한 대부분 전차의 전면을 뚫으며 특히 프랑스를 만날 경우에는 10초 이내 3대 격파도 가능하며 피격 당해도 전차장이 탄을 먹어 사는 경우도 잦다.

3. 2랭크

3.1. ❁M16 MGMC

❁M16 MGMC
Multiple Gun Motor Carriage M16
다연장자주대공차량 M1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일본 육상자위대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jp_halftrack_m16.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타세 M16 MGMC 소키 }}}

2021년 9월 Direct Hit 업데이트에서 추가되었다.
일본 육군 차량 사이에 뜬금없이 추가된 2랭크 육상자위대 차량으로, 원본 차량이 그렇듯 굉장히 든든한 대공능력을 보여준다.

20mm를 백발백중으로 다 꽂는 게 아니라면, 이쪽이 타세/소키 보다 좋으나 대전차를 더 많이 한다면 소키나 더스터를 추천한다.근데 대공포면 항공기나 잡아야지 무슨 대전차를

3.2. 소키

So-Ki
시제대공전차 소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일본 육상자위대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jp_type_95_so_ki.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타세 소키 ❁M19A1 }}}

타세에서 기관포가 하나 더 생겼다고 보면 된다. 다만, 기관포 둘을 번갈아 쏘기에 실질적인 연사 속도는 두 배로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상공에 제대로 된 탄막을 형성하는 게 가능해졌다. 철갑탄 관통력이 48mm기 때문에 m10이나 3호 돌격포 같은 측면이 얇은 전차는 제압이나 격파가 가능하고 5.0대 가서 m18 같은 애들을 때려잡는 기행을 벌이기도 한다.

그 외에 나머지는 전과 동일하나, 포탑이 전과 다르게 옆에 칸막이가 아예 없는 완전 오픈식(...)이라 포격이나 고폭탄이나 파편만 튀면 포수가 바로 의식 불명에 빠진다.

워 썬더 공식 사이트의 소키 소개 페이지

4. 3랭크

4.1. ❁M19A1

M19A1
Twin Gun Motor Carriage M19
쌍열자주대공차량 M19A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일본 육상자위대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us_m19.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소키 ❁M19A1 M42 }}}

미국의 그것과 동일하다.

4.2. M42 더스터

M42
Twin 40 mm Self-Propelled Gun M42 Duster
쌍열 40mm 자주대공포 M42 더스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일본 육상자위대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jp_m42_duster.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M19A1 M42 더스터 87식 자주대공포 }}}

* 차량 성능
차종 자주대공포 랭크 4 BR 4.7
중량 22.6 톤 최대속도 72 km/h 포탑회전 속도 초당 34.0°
엔진 출력 417 마력, 2,800 RPM 등반각 29° 부앙각 -3 / 85 °
차체장갑 정면 25 측면 12 후면 19 최대 수리 코스트 5,500
포탑장갑 정면 12 측면 8 후면 8 무료 수리 시간 4일 03시간
  • 주무장
명칭 장전속도 사용 탄종 휴행탄수
40mm M2 기관포×2 0.6 초 AP-T+HEFI-T*, HEFI-T*, AP-T 480 발
탄종 명칭 가격 탄자중량 포구초속 관통력 (100m) 관통력 (500m) 관통력 (1000m)
AP-T+HEFI-T* 기본 무료 74mm 62mm 45mm
HEFI-T* Mk.II 1,100 0.86 kg 874m/s 9mm 9mm 9mm
AP-T M81A1 1,100 0.88 kg 874m/s 74mm 62mm 45mm
M41 워커 불독의 차체를 이용한 자주대공포로, 40 mm 보포스 두 문으로 무장하고 있어 사실상 M19와 같은 물건이다. 탄약도 더 많고 더 빠르긴 하지만 티어가 4랭크 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항공기도 제대로 못 잡고 땅에 굴러다니는 차량도 관통력이 낮아서 제대로 못 잡는 이 녀석은 상당히 쓰기 애매하다. 참고로 궤도 위 어깨를 보면 장갑이 없는데 탄약고가 줄지어 늘어져 있다!

5. 4랭크

5.1. SUB-I-II

SUB-I-II
73식 20mm 기관포 탑재 보병수송장갑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일본 육상자위대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SUB-I-II.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M42 더스터 SUB-I-II 87식 자주대공포 }}}
연막 차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명칭 연막 차장 범위 연막 차장 시간 연막 차장 지속시간
66 mm 연막탄 발사기 ×6 9m 2초 20초
ESS(엔진 연막 차장 시스템) 유무 없음 }}}

46,000의 경험치, 155,000 실버라이온으로 구입할 수 있는 일본의 4랭크 5.3BR 대공 장갑차다.

이 장갑차는 일본 자위대의 60식 장갑차 대체를 위해 1967년부터 제작된 병력수송장갑차다. 1968년에 시제차량 'SU-T'가 완성되었으며 1969부터 시험 후 미쓰비시 중공업과 히타치 제작소가 제작한 시제차 4량이 발주되어 1970년에 미쓰비시 중공업의 시제차 'SUB I-1' 'SUB I-2', 히타치 제작소의 시제차 'SUB II-1' 'SUB II-2'가 각각 완성되고 1970년부터 71년까지 1년에 걸친 기술 시험이 실시되었다. 그리고 1973년 12월 5일에 육상자위대가 미쓰비시의 차량을 "73식 장갑차"로 제식 채용했다. 그러나, 예산부족으로 338대를 양산하는 데에 그쳤던 장갑차다. 시제형 제작 시에는 무장/화력 강화를 위해 SUB-I-II차량에 20mm 기관포탑을 탑재하는 것도 검토했었는데 가이진이 이 버전을 자주대공포로 선택하여 트리에 넣었다. Apex Predators 업데이트로 추가되었으며 승무원 수는 4명이다. 수륙양용이며 물가에 들어가면 정면에 부착된 파도막이가 펼쳐진다.

무장은 Rh202 20mm 기관포 1문, 7.62mm M1919A4 차체 기관총 1정, 3회 사용 가능한 66mm 연막탄 발사기 6발로 무장했다. 탄창 당 100발씩, 총 800발의 기관포탄을 탑재 가능한 Rh202 20mm 기관포는 독일 마르더 A1 장갑차가 사용하는 기관포이며 4랭크의 DM63 분리철갑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66mm의 관통력을 자랑한다. 연사력도 빠른 편이므로 해당 BR대의 항공기들은 리드만 잘 주면 쉽게 격추할 수 있는데다 경장갑 차량들은 어지간하면 갈아버릴 수 있는 위력을 자랑한다. 하지만, 중전차들과 T-34-85 같은 조금이라도 두꺼운 중형전차들은 막힐 확률이 높다.

기동성은 전진 60km로 상당히 빠른 편. 엔진이나 여과기, 변속기도 업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그럭저럭 봐줄만한 속도가 나온다. 하지만, 보병전투차가 아닌 70년대 병력수송장갑차답게 방호력은 전측후면 모두 50구경 기관총을 방호하지 못하는 수준의 전면 20mm, 측후면 12mm 차체 방호력을 자랑하는 얇은 알루미늄 합금 장갑을 장착했다. 승무원 생존성도 낮아 항공기의 기총세례는 물론 하위 BR대의 미국 전차들이 다 가지고 있는 50구경 기관총에 벌집이 될 수 있다. 기관포탑이 오픈탑, 즉 포수가 맨몸이며 피격될 확률이 매우 높아 포수 역시 안전하지 못하다. 최소한의 방탄판 같은것도 없어서 사방팔방에서 날아오는 총탄과 기관포탄, 파편을 방호하지 못하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게다가 이 차량을 몰면서 생각보다 잦은 화재에 놀랄 수 있는데 바로 좌우 측면에 커다란 연료통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미처보지 못한 적 항공기가 선제권을 갖은 상태로 측면을 두들겨 맞으면 포수와 화재가 동시에 발생한다. 피격 시 매우 높은 확률로 화재가 발생하므로 수리도구를 찍고 바로 소화기부터 필히 찍어야 한다.

운용법은 적 경장갑 차량을 잡을 수 있는 전형적인 대공의 역할을 수행하면 되지만 더더욱 피격을 주의해야할 장갑차다. 적 항공기는 보복의 경우를 대비해 엄폐물에 숨어있다가 기습하는 방식이 무조건 강요된다. 8.0BR에서도 요긴하게 쓰이는 마르더 장갑차들의 Rh202 20mm 기관포인데 더 낮은 BR에서 쓰이니 발이 느린 항공기는 거의 다 때려잡을 수 있다. 다만, 조금 느린 포탑 회전속도와 상하구동 속도에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대전차전에는 50구경에도 취약하니 어느 전차든 개기는건 잠시 지양하고 적 전차의 장갑이 얇은지 두꺼운지를 먼저 살펴봐야 한다. 중전차를 제외한 전차들의 측면을 보았다면 지체없이 바로 갈겨버려라. 적 전차가 어버버거리다가 순식간에 고철로 변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6. 6랭크

6.1. 87식 자주대공포

Type 87
Twin 35 mm Self-Propelled Gun Type 87
2연장 35mm 자주대공포 87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일본 육상자위대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jp_type_87.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M42 더스터 87식 자주대공포 93식 }}}
연막 차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명칭 연막 차장 범위 연막 차장 시간 연막 차장 지속시간
76 mm 연막탄 발사기 ×16 13m 2초 20초
ESS(엔진 연막 차장 시스템) 유무 없음 }}}

육상자위대에서 운용중인 대당 300억원을 넘어가는 미칠듯한 가격의 자주대공포.[1] 게파트와 비슷하게 운용하면 된다. (사실상 운용법은 똑같은 탱크라고 보면 된다)

포탑 회전 속도가 매우 빠르고 포탑위에 커다란 레이더가 인상적이다. 레이더는 아케이드에서는 쓸모없고, 리얼리스틱과 시뮬레이터에서 빛을 발하는데, 적기를 레이더 락온 시 리드 서클을 띄워준다.
일단 게파트와 같은 35mm 기관포를 사용해서 MBT측면을 공격해서 격파할 수는 있다.
레이저 경보장치가 있어서 다른 자주대공포에 비해 생존성은 좋은 편이다. IRST기능도 존재한다.


워썬더에서 퉁구스카와 함께 유기압 현수장치가 적용된 자주대공포이나 게파트와 마찬가지로 VT신관이 없어서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적기가 2.5km 이내에 왔을 때 사격 하는 것을 권장한다.
본래 포수 NVD가 없어서 야간전에서 사용하기 불편했으나 패치로 생겼다.
워 썬더 공식 사이트의 87식 소개 페이지

7. 7랭크

7.1. 93식

Type 9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본 육상자위대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jp_type_93.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87식 자주대공포 93식 자주대공포 (추가 예정) }}}}}}}}}
차량 성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차종 자주대공포 랭크 VII BR 9.7
(AB)
9.0
(RB)
9.7
(SB)
승무원 인원 3명
전차장
조종수
전방사수
중량 2.6 톤 시인성 70 % 포탑 회전 속도 88.1°/초
(AB)
59.5°/초
(RB)(SB)
엔진 변속기 전진 기어: 7단 | 후진 기어: 2단
엔진 출력 213 마력 | 3400 rpm
(AB)
133 마력 | 3400 rpm
(RB)(SB)
최대속도 전진: 135 km/h | 후진: 41 km/h
(AB)
전진: 125 km/h | 후진: 38 km/h
(RB)(SB)
차체 장갑
(전면/측면/후면)
0 mm 0 mm 0 mm 남은 무료 수리 횟수 10 최대 수리비 3,400파일:19px-Sl_icon.png
(AB)
2,800파일:19px-Sl_icon.png
(RB)
2,90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면/측면/후면)
0 mm 0 mm 0 mm 무료 수리 시간 6일 09시간
(AB)
11일
(RB)
11일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 VI - VII 랭크
필요 RP 390,000파일:13px-Rp_icon.png 가격 1,020,000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90,000파일:19px-Sl_icon.png 보상 232%파일:13px-Rp_icon.png
(AB)(SB)(RB)
2.32×(100%)
(AB)(SB)(RB)
보상 15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15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180%파일:19px-Sl_icon.png
(SB)
1.5×(100%)
(AB)
1.5×(100%)
(RB)
1.8×(100%)
(SB)
}}}}}}}}}
광학 / 야시장비 성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학장비 야간장비
확대 6.0x-12.0x NVD 종류 포수 열영상
전차장 -
조종수 야시경
거리 측정기 종류 레이저 거리 측정기 (LR) 적외선 탐조등 종류 -
시야 FOV 12-6 NVD 성능 포수 3세대, 1200x800 해상도
전차장 -
조종수 야시경 }}}}}}}}}
주무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명칭 재장전 시간 발사 속도 사용 탄종 탄약적재량
91식 지대공미사일 13.5 초 60 발/분 SAM (지대공 미사일) 8 발
고저각 회전각 조준 속도 수직 조준 속도 주포 안정기 장전 방식 준비탄 적재소
0° / +70° ±180° 88°/초
(AB)
60°/초
(RB)(SB)
55°/초
(AB)
22°/초
(RB)(SB)
2축 - 8 발
탄종 명칭 가격 구경 탄체중량 포구초속 폭약 종류 폭약 질량
SAM 91식 무료 80 mm 7.7 kg 1000 m/s 콤포지션 A 450 g
탄종 명칭 TNT 당량 신관 지연거리 신관 민감도 유도체계 유형 사거리 최소 발사 거리
격발 범위
SAM 91식 648 g 1 mm 10 mm - 무장 후방 락온거리: 7.00 km
무장 전방향 락온 거리: 4.50 km
-
1 m
탄종 명칭 착탄각도별 도탄확률
0% 50% 100%
SAM 91식 47° 56° 65° }}}}}}}}}
연막 차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명칭 재장전 시간 차장 범위 차장 시간 차장 지속시간
- - - - -
엔진 연막발생 시스템 (ESS) - }}}}}}}}}

93식 소개 페이지 (한글 번역)
"Starfighters" 업데이트 (한글 번역) (20년 5월 26일) 때 추가되었다. 고기동차 후방 짐칸에 360° 회전이 가능한 91식 지대공유도탄 4연장 발사기 2개를 장착시킨 자주대공포이라 쓰고 정찰차량이라고 읽는 물건이다.

기동은 모든 지상 장비들 중 최상급 이자 93식의 존재 의의로 게임 내 VT1-2와 더불어 단 둘 뿐인 추중비가 50이 넘는 차량이며 최고 속도도 100Km/H가 넘기 때문에 가속 및 최고 속력은 독보적으로 빠르다. 시작하자마자 달리면 거점 하나는 거의 확실히 먹을 수 있고 1~2분 만에 적진 뒤로 갈 수 있을 정도. 때문에 시작부터 혼자 거점을 독식해버리는 상황이 가끔 일어난다. 뒷바퀴도 조향이 가능해 선회력도 좋은 편이다. 이 기동성을 살려 가파른 산같이 다른 장비들은 가지 못하는 곳을 기동성으로 가버리기에 조금 하는 93식을 만나면 온갖 기이한 곳에 올라가서 정찰하는 93식을 볼 수 있다.
장갑은 그냥 없는 수준으로 현대 포터와 다를 바 없다. 유리창은 아예 뻥 뚫려있는 판정이라 승무원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차체 전체가 구조용강 5mm(RHA 환산 2.25mm)로 프라이팬을 펴 놓은 것과 비슷한 수준이라 저 멀리 떨어진 지원 포격 파편에도 승무원이 죽으며 전차는 포를 쏠 것도 없이 기관총만 몇 발 쏴줘도 승무원 몰살로 격파 된다. 그리고 장갑이 워낙 얇아서 고폭탄 계열의 포탄을 맞으면 폭압으로 바로 격파 된다. 다만 날탄 상대로는 생각보다 잘 안 죽는데 과관통으로 파편이 전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초탄에 조종수가 나가거나 구동계통이 깨지지만 않는다면 의외로 기관총을 맞는 것보다 살 확률이 높다. 왠지 다른 의미로 생존성이 높은 차량.[2] 장갑이 얇은 만큼 무게도 3톤이 채 안되는 수준으로 굉장히 가벼워서 남들 다 부수는 울타리나 자동차도 못 부수고 애꿎은 타이어나 라디에이터만 터져서 가만히 앉아 수리를 해야 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한다.

대공 성능은 예전에 비하면 그나마 나아졌다고 하지만 여전히 썩 괜찮은 성능은 아니다. 유일한 무장인 91식 지대공 유도탄은 수동이 아닌 적외선 유도 방식이라 락온하고 발사하면 자동으로 적기를 따라가니 편리하지만 유도 성능이 썩 좋은 편도 아닌데 맨패즈를 갖다 붙여 놓은 것이라 작약의 TNT 당량이 고작 650g 정도로 굉장히 적다. 그 여파로 근접 신관 범위도 1m로 처참해서 8발을 다 쏴도 맞출까 말까 할 정도로 명중률이 낮은 편이다. 적 제트기가 몇 번 비틀면서 회피 기동만 해도 손쉽게 떨어져 나가며 헬기는 능선이나 저공에 딱 붙어 있으면 아예 락이 걸리지도 않는다. 그나마 회피 기동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대로 잘 맞는 편이지만 적이 미사일을 보았거나, MWR을 가진 헬기라면 명중 시키는 게 거의 불가능하다 보아도 좋을 정도다. 결론적으로 잘 맞지도 않는 것이 맞아도 격파를 장담할 수 없는 처참한 성능이다. 팀에 자주대공포가 없다면 어쩔 수 없이 대공을 해야 하지만 다른 자주대공포가 있다면 차라리 대공은 그 유저에게 맡기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Direct Hit 패치로 모든 맨패즈들이 일정 거리 이상 상승하고 유도되도록 변경되었다. 예전에 비해 쥐꼬리만큼 명중률이 높아졌다.

타 국가 탑랭크 자주대공포와 다르게 레이더가 없어 자체적으로 적 항공 병기를 탐지할 수 없다.[3] 때문에 하늘을 잘 주시하지 않으면 자신에게 다가오는 항공기를 보지 못하고 그대로 역관광 당할 수 있다.

지상 장비를 공격할 수 있는 수단은 오로지 포격 지원 뿐으로 포격 연구 전까지는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정찰하거나 거점을 먹으면서 살아야 한다.

미사일 외 무장이 없는 것에 대한 보상인지 자주대공포 이면서 정찰이 가능하다. 3세대 포수 열상은 덤. 대공 능력이 처참하니 이 정찰 시스템이라도 잘 써먹어야 하기 때문에 93식에 대한 유저들의 인식은 그저 예능용 정찰트럭. 사실상 이걸 진지하게 대공용으로 쓰는 사람은 거의 없고 대부분은 그냥 시작하자마자 이니셜 D를 찍으며 거점을 향해 달릴 뿐이다...
다만 일본 아파치를 가지고 있다면 이야기가 조금 달라지는데, 지상 차량 중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살려 거점을 하나 점령하고 자폭 후에 아파치로 갈아타는 방법이 있다. 혼자서 점령하게 되면 아파치를 쓸 수 있는 포인트가 모인다.
9.0으로 BR이 내려가고 나서 그 BR대 항공기들은 나름 잘 잡는 편이다.

차장 화기 시스템 업데이트로 피해를 본 차량인데 차장 열상이 망원경 시야가 아닌 차장 화기 제어 상태에서 켜지게 변경되었다. 하지만 93식은 차장 화기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사실상 차장 열상을 빼앗긴 셈. 이제 정찰하기가 훨씬 불편해졌다. 패치로 차장 열상이 삭제되었다.
Danger Zone 패치로 짐벌각이 생겼다. 미사일을 리드를 주면서 발사할 수 있게 되어 명중률이 증가했다. 그래도 사거리는 여전히 짧고 미사일 자체의 성능도 그대로 인지라 대공은 여전히 영 불안하다. 거기다 수리비가 스톡 기준 8060원으로 비싸진 건 덤.

결론적으로 빡겜용 보다는 즐겜용으로 자주대공포 임에도 대공 성능에 심히 하자가 있지만 다른 경전차가 느려 보일 정도로 엄청나게 빠른 속력 하나 덕분에 재미 하나는 확실한 장비. 공방에서 보이는 93식들은 십중팔구 돌아다니다 기관총이나 포격 맞고 뻗기 십상이지만 빠른 속력으로 거점을 점령해 아파치를 소환하거나 실력이 좋은 유저를 만날 경우 계속 거점을 먹으며 미친 존재감을 뽐내거나 거의 맵 핵 급으로 아군에게 적군의 위치를 알려주는 정찰기가 될 수 있다였는데...
"Kings of Battle" 업데이트로 광대비 모드가 생겼다. 헬기의 경우 열원 추적으로는 3km이내에 들어와야 격추가 가능했지만 광대비 모드를 사용하면 3km보다 멀리서 격추가 가능하다. 전에는 반쯤 예능장비였지만 이제는 헬기를 상대로는 정상적인 대공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여담으로 등장과 함께 이탈리아 붕붕이 시리즈를 제치고 워 썬더 내 ''가장 빠른 지상 병기''가 되었다. 좁은 맵에서 속도를 감당하지 못하고 장애물에 들이박고 처박히거나 날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반면에 유럽 같은 넓은 맵에서는 시속 120km(...)까지도 찍으면서 적 팀을 모조리 정찰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자위대장비인데 대전기 승무원이 타있는건덤[4] 또한 가끔 이 녀석에게 기관총을 쏘다 불쌍해서 마지못해 살려주고 갈 길 가는 자비로운 유저를 만나는 재미있는 상황이 펼쳐지기도 한다. 물론 어디 까지나 정말 우연히 일어나는 경우지 대부분은 그냥 쏜다.

여담으로 승무원이 대전기 전투복을 입고있었는데 패치로 자위대 전투복을 입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 (이전 역사)
문서의 r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8. 8랭크

8.1. 81식 C형

"Kings of Battle" 업데이트로 추가된 지대공 미사일 차량이다.
955m/s의 속도, 35G의 기동성에 IRCCM이 있는 사거리 10km의 81C 식 광대비/IR 미사일 8발을 사용한다.
광대비 모드가 있는데, 광대비 모드 사용시 열추적 모드보다 멀리서 미사일 시커가 적을 포착해서 열추적 모드보다 장거리에서 격추가 가능하고 열추적 미사일을 교란하는 IRCM이나 플레어도 통하지 않는다. 다만 광대비 모드는 적이 고도를 낮출 경우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열상이 존재하지만 IRST 추적만 지원한다. 따라서 적은 알아서 찾아야 한다.
탐색 레이더가 없다는 점을 빼면 상당히 강력한 지대공 성능을 보여준다.
탑방에서 93식 맨패즈 차량을 사용해야 했던 일본에 드디어 항공기를 상대할 수 있는 차량이 추가된 셈이다.
원래 81식은 레이더 차량과 미사일 발사 차량이 따로 존재하는데, 81식 C형은 사수가 차량 밖으로 나와서 미사일 조종기를 설치하고 미사일을 유도 및 발사할 수 있다. 이스라엘의 자클람 테이거 대전차 미사일 차량처럼 어느정도 고증을 희생하고 출시한 차량이다.

여담으로 CDK에 광파탄인 81식 ARH 미사일이 추가되었는데, 개발자가 ARH 미사일은 밸런스가 망가질 수 있다고 지급하지 않았다.

2024년 4월에서 5월 진행된 br 패치에서 11.3으로 너프를 먹었다.
[1] M1A2 에이브람스가 대당 약 892만 달러(약 105억), K2 흑표도 약 100억원 수준이고 K-30 비호가 대당 45억 정도인 것을 생각하면 말도 안 되게 비싼 가격이다. 원인은 저율생산과 매우적은 생산댓수.[2] 다만 날탄을 후방으로 맞으면 파편이 생겨 승무원을 몰살시키니 주의. 그래서 도망칠 땐 적이랑 나란한 방향으로 도망치기보단 수직 방향으로 도망치는 것이 살 확률이 높다.[3] 이는 일본 자위대의 방공 시스템 특성 상 레이더 차량과 대공 미사일 발사 차량을 분할하여 운용하기 때문이다.[4] Drone Age 업데이트를 통해 현대 장비를 타고 있는 승무원들은 모두 현대 복장으로 바뀌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