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외국 화폐 外貨
외환이라고도 불리며 흔히 외국의 화폐를 가리키는 의미로 쓰인다. "외국의 화폐"라 함은, 대한민국 기준으로 한국은행이 발행하는 화폐인 대한민국 원을 제외한 모든 화폐를 의미한다고는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사실상 기축 통화인 미국 달러를 뜻한다. 한국은행의 외화보유 역시 미국 달러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기축 통화 발행국인 미국을 제외하면 현대의 명목화폐 제도 아래에서 외화는 상당히 중요하다. 금본위제 아래에서 발행된 화폐는 그 자체가 가치가 있는 금으로 되어 있거나, 은행에서 액면가와 일치하는 금을 담보로 예치해 두고 신용을 보증하는 "금 보관증" 이나 다름없었지만, 현대의 화폐는 발행단체 혹은 발행국의 신용만을 담보로 발행되는 화폐이다.
즉 언제든 회수와 유통이 가능한 절대화폐인 금이 있었던 금본위제와 다르게, 믿을 수 있는 것은 그 나라 정부의 지불능력뿐이므로, 각 나라 정부는 화폐발행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와같은 가치를 상시 지불할 능력이 있다는 "증명"을 해야 한다. 그 증명수단은 크게 3가지가 있는데, GDP, 금 보유량, 외화 보유량이다. (참고로 세입보다 GDP가 중요한 이유는, 세금을 100%로 걷는다고 할지라도, 극단적으로 비유해 전국민이 1달러밖에 벌지 못한다고 하면, 정부가 아무리 급하게 세금을 끌어모아도 쓸 수 있는 돈은 1달러 뿐이다.)
외화는 발행주체가 해당 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북한 같은 특례를 제외하고는 정부의 독단으로 찍어낼 수 없다. 또한 파산한 나라라도 외환보유고가 많다면, 외화로 부채를 상환할 수도 있다. 특히 전세계 결제대금의 기준이 되는 기축 통화인 미국 달러는 가지고만 있어도 금을 비축한 것과 비슷한 취급을 받는다.
한국인이 한국 밖 해외에서 근로를 통해 외국돈을 벌어들인다면 '외화를 벌어오다'라는 관용적 표현이 쓰이기도 한다. 파독 근로자나 중동 등지로 파견되어 한강의 기적으로 대표되는 경제 성장의 주역들에게 자주 쓰이던 표현. 비단 한국만이 아니라 개발도상국 등지에서 파견되는 한국내 외노자도 이런 활동의 일원이고 90년대 이후는 북한 등지에서 좀더 음지스런 방식의 활동으로도 명명되기도 한다. 충성의 외화벌이 문서 참고.한국의 프로게이머들이 해외 e스포츠 대회에서 우승을 쓸어담기에 의외로 이들도 외화벌이에 기여한다. 우승으로 받은 달러를 한국에서 원화로 환전하여 사용할 것이므로.
2. 외국 영화 및 드라마 外畵
지상파 방송에서 방송되는 외국 영화와 외국 드라마를 지칭하는 단어. 반의어는 방화가 있었으나 지금은 사어가 되었다.보통 외화라 하면은 극장에서 상영되는 외화보다 성우들의 더빙 작업을 거친 작품을 뜻하며, 자막 방송되는 원어판은 외화라는 표현보다는 '미드', '영드' 등 직설적인 표현으로 불린다. 2000년대 이후 인터넷과 케이블 방송의 대중화, 영어 조기교육 확산 등으로 더빙을 멀리하고 다운로드 등을 통해 자막판을 챙겨 보면서 더빙 외화가 설 자리는 점차 줄어들었고 요즘 외화 더빙이면 기껏해야 전체 관람가 작품이다. 그러다 2016년부터는 넷플릭스나 디즈니+ 등 해외 OTT 기업들에서 자본력을 바탕으로 외화 더빙작들을 늘려나면서 숨통이 트였다.
2.1. 영화
- MBC는 정규 영화 코너 주말의 명화와 일요심야극장/금요영화천국/일요영화특선[1]이 있었다. MBC/논란 및 사건 사고 참고.
- EBS도 모든 외화를 더빙한 건 아니었지만 최소한 가족영화 한정으로 더빙을 하였다. 하지만 어느 순간 가족영화의 더빙이 중단되었고, 그나마 방송되는 디즈니의 영화들도 자막판으로만 방송하고 있다.
- KBS조차도 닥터후가 방영되기 반년 전인 2005년 초와 뉴 시즌 3 방영하기 한달 전인 2007년 11월에 토요명화가 두 번씩이나 폐지되는 것을 겪었다. 토요명화가 폐지된 이후 유럽 쪽 영화나 독립 영화를 위주로 편성하던 후속 프로그램 KBS 프리미어도 1년 후인 2008년에 정연주 사장 후임 이병순 사장 취임 후 연말에 폐지되어, 이에 따라 매년마다 KBS 프리미어 영화 페스티벌을 개최하여 극장과 TV에서 동시 상영하는 획기적인 방식을 사용하며 상영된 적이 없는 작품을 편성하는 것도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이윽고 2014년 연말에 명화극장까지 폐지되면서 지금의 영화 더빙은 설날, 추석 같은 명절에만 편성되는 특선영화로 유일하게 남게 되었다. 한국방송공사/논란 및 사건 사고 참고.
2.2. 드라마
- KBS는 그나마 BBC와의 제휴관계나 KBS 미디어-KBS 성우극회 존속 등의 문제가 고려되어 지속적으로 더빙 외화를 제작하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시청률 부진과 뉴미디어 시대의 경영 합리화의 일환으로 2018년부터 부정기적 편성으로 변경되었다.
- 토요명화를 폐지 한지 반 년도 안 돼서 닥터후 뉴 시즌 2를 포함한 로스트 등을 방영하던 토요 외화시리즈가 2008년 3월 29일에 같은 BBC 드라마 로빈 후드 시즌 1 끝으로 폐지되었다. 이에 따라 본래 이전 시즌 처럼 토요일 오후에 방영해야 하는 로스트 시즌 4가 일요일 심야로 밀리게 되는 동시에 닥터후 뉴 시즌 4도 2008년 연말까지 방영이 밀리게 되었다.
- 다음 해인 2009년의 겨울방학특선으로 방영한 로빈 후드 시즌 2 방영 끝으로 더 이상 심야 아닌 시간(오전/오후)에 방영한 외화는 없고 일요 심야 외화시리즈도 로스트 시즌 5 종영 후 부터 5년 동안 유지하던 2회 연속 편성에서 1회 편성으로 줄어지게 되면서 닥터후 시즌 4와 시즌 5 사이의 스폐셜과 뉴 시즌 5의 방영이 많이 늦었다.
- 뉴 시즌 6 종영 후 2012년 부터 외화시리즈가 지금의 KBS 해외걸작드라마로 명칭이 변경 된 이후에도 미국 ABC 드라마 리벤지 방영 부터 방영 도중 방영 시간을 멋대로 변경(리벤지 방영 당시 토요일 2편 연속 방영(매주 토요일 밤 11:25 ~ 1:05) → 토요일 1회 편성(매주 토요일 밤 12:35 ~ 1:25))하더니 결방이 잦았다.
- 2013년 오펀 블랙 시즌 1 종영 후 3개월 간 KBS 해외걸작드라마가 휴방되었다. 닥터후 시즌 7로 방영 재개.
- 사실상 국내에 영국 드라마 붐을 일으킨 시초격 작품인 닥터후의 경우 시즌 11부터의 방영이 중단되었다. 이 때문에 당초 시즌 11과 함께 방송하려던 12대 닥터의 최후가 담긴 2017 크리스마스 스폐셜도 함께 불방되었다.[4] 다만 시즌 11 방영에 따른 여러가지 잡음들이 있었기에, 도리어 방영하지 않았던 것이 신의 한 수가 되었다.
시청자 게시판이 불타오르면 외화 편성 확률도 불타오르니까. - 또한 닥터후와 셜록의 특별판인 각각 2010 크리스마스 스폐셜/2016 크리스마스 스페셜와 유령 신부가 방영되지 않았다.
- 브이, 나노인간 제이크, 찰리 제이드, 커맨더 인 치프, 신드바드, 디셉션 등은 한국에서는 전편 모두 방영했으나 본국에서 조기종영된 경우. 그나마 투명인간(미국 Syfy)과 블라인드 저스티스(미국 ABC)가 떡밥없이 깔끔하게 끝난 편이다.
2010년대 이후의 더빙 외화의 화제성이 낮다보니, 편성에 있어 상당히 유동적인 모습이다. 언제 편성이 중단되어도 이상하지 않은 상태가 몇 차례나 있었고, 심지어 일시 종영이 된 시기도 2년여 간 있었다. 이를 단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 대부분 해걸드 드라마들은 끝까지 완결하지 못했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