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22:42:52

오펠 아스코나

파일:오펠 로고 1970-1987.png
파일:ascona.jpg
Ascona

1. 개요2. 트림별 설명
2.1. 아스코나 A(1970~1975)2.2. 아스코나 B(1975~1981)2.3. 아스코나 C(1981~1988)
3. 둘러보기

1. 개요

과거 제너럴 모터스 계열이었던 오펠이 1970년 9월부터 1988년 8월까지 생산한 차량이다. 형제차로는 홀덴 카미라, 복스홀 카발리에 등이 있고,후속인 오펠 벡트라의 출시로 단종되었다.

2. 트림별 설명

2.1. 아스코나 A(1970~1975)

파일:아스코나 A.jpg
1970년 9월 9일 만타가 출시되었고, 만타를 기반으로 한 2도어 및 4도어 세단인 아스코나가 10월 28일에 출시되었다. 그리고 캐러밴 및 보야지라고 부르는 3도어 이스테이트 모델도 뒤이어 출시되었다. 카데트레코드 사이의 포지션을 담당하는 차량이었으며, 복스홀 사양은 나오지 않았다.[1] 생산 대수는 총 692,000대였다.

2.2. 아스코나 B(1975~1981)

파일:아스코나 B.jpg
1975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이전처럼 2도어 및 4도어 세단, 쿠페 모델인 만타로 라인업이 구성되었다. 복스홀 쪽의 형제차로는 카발리에가 추가되었으며, 아스코나를 토대로 1970년대 중후반 복스홀의 패밀리 룩인 "드루프 스누트(droopsnoot)" 스타일링을 적용했다. 형제차 만타도 복스홀로 공급되어 카발리에 쿠페와 카발리에 스포츠해치(Sports Hatch)로 판매되었다.# 1979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1980년 4월에 200만번 째 모델이 공장에서 빠져나왔고, 동년 7월에는 독일에서 100만번 째 모델이 등록되었다. 1981년 8월까지 120만대가 넘게 생산되었다.

2.3. 아스코나 C(1981~1988)

파일:아스코나 C.jpg

제너럴 모터스의 J-바디 플랫폼을 토대로 개발하였고, 카데트에 이어 두번째로 출시된 전륜구동 모델이었다. 이전 모델과는 달리 전형적인 패밀리카의 성격으로 바뀌었으며, 1981년 말에 골든 스티어링 휠을 달성하였고 당시 서독에서 크게 히트친 차량이었다. 1982년에는 유럽 올해의 차에 등극할 뻔 했으나, 르노 9에게 간발의 차이로 져버렸다.[2] 일부 시장에서는 CC란 서브네임이 붙은 5도어 리프트백이 출시되었는데, 이는 콤비 쿠페의 약자였다.

영국에서는 1984년 홀덴 카미라 왜건의 후면부를 가져와 현지 모델이었던 카발리에에 맞게 수정하여 자체적으로 왜건 모델을 만들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1986년까지 생산했으며, 그 이후에는 카데트의 현지 모델인 몬자로 대체되었다.

1984년에 마이너체인지되었으며, 1986년에 모든 모델이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1988년 8월에 단종 후 벡트라로 대체되었으며, 영국에서는 벡트라에도 카발리에 이름을 한동안 유지하다가 2세대부터 통일했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7ff14,#1f2023><tablealign=center><tablebgcolor=#f7ff14,#1f2023>
파일:2023 오펠 로고.png파일:오펠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83838>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초소형차 록스-e -
경차 - 카를 · 아담 · 아길라
소형차 코르사 암페라-e
준중형차 아스트라 올림피아 · 카데트 · 암페라
중형차 - 아스코나 · 벡트라 · 시그넘 · 인시그니아
준대형차 - 카피텐 · 레코드/코모도어 · 오메가
대형차 - 아드미랄 · 디플로마트 · 제나토어
스포츠카 - 만타(1, 2세대) · 몬자 · 칼리브라 ·
티그라 · 스피드스터 · 카스카다 · GT
MPV 자피라 라이프 신트라 · 메리바 · 자피라
소형 SUV 모카 · 프론테라 모카/모카 X · 크로스랜드
준중형 SUV 그랜드랜드 · 만타예정 안타라
중형 SUV - 프론테라(1, 2세대) · 몬테레이
상용차 콤보 · 비바로 · 모바노 블리츠 · 아레나
픽업트럭 - 캄포, 코르사 유틸리티
푸조의 차량
시트로엥의 차량
DS 오토모빌의 차량
복스홀의 차량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유럽 올해의 차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파일:1981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2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3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4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5 유럽 올해의 차.jpg
포드 에스코트 르노 9 아우디 100 피아트 우노 오펠 카데트/복스홀 아스트라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파일:1986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7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8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9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0 유럽 올해의 차.jpg
포드 스콜피오 오펠 오메가/복스홀 칼튼 푸조 405 피아트 티포 시트로엥 XM
역대 경합 후보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피아트 판다 오펠 아스코나 포드 시에라 푸조 205 르노 25
폭스바겐 폴로 볼보 760 폭스바겐 골프 란치아 테마
역대 경합 후보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아우디 80 시트로엥 AX 오펠 벡트라 메르세데스-벤츠 SL
메르세데스-벤츠 200-300E BMW 7시리즈 혼다 프렐류드 폭스바겐 파사트 포드 피에스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1] 원래 1980년대1980년부터 1989년까지여야 하지만, 시작 연도가 2001년부터 후보 차량이 7대로 늘어나면서 틀의 크기가 안 맞는 현상을 조정하고자 1990년을 해당 부분에 포함하였음.
}}}}}}}}} ||



[1] 사실 오펠은 아스코나를 카데트의 대체 차량으로 개발하려 했으나, 개발 후반때 차세대 카데트도 따로 개발하고 아스코나는 포드 타우누스의 경쟁 차종으로 포지셔닝함으로써 지금의 포지션을 갖게 되었다.[2] 오펠은 아스코나 이후 27년만인 2009년에 오펠 인시그니아를 통해 올해의 차 타이틀을 석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