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OT | |||
<colbgcolor=#000><colcolor=#fff> 에미상 Emmy Awards | |
국가 | 미국 |
주최 | 텔레비전 예술 과학 아카데미 (ATAS) 전미 텔레비전 예술 과학 아카데미 (NATAS) 국제 텔레비전 예술 과학 아카데미 (IATAS) |
첫 시상년도 | 1949년 1월 25일 ([age(1949-01-25)]주년) |
최근 수상작 | 쇼군 시즌1 (드라마 작품상 / 2024년) 나의 직장상사는 코미디언 시즌3 (코미디 작품상 / 2024년) 베이비 레인디어 (미니시리즈 작품상 / 2024년) |
링크 | | | | | | | | |
[clearfix]
1. 개요
미국 방송계 최고 권위의 시상식. 음악계에 그래미상이 있고 영화계에 오스카상이, 연극·뮤지컬계에 토니상이 있다면 방송계에는 에미상이 있다.특징이 있다면 에미상은 하나의 시상식이 아니라는 것이다. 보통 에미상이라 하면 프라임타임 에미상을 일컫는데, 엄밀히는 데이타임 에미상, 스포츠 에미상, 뉴스·다큐멘터리 에미상, 국제 에미상 등등 에미상이라는 이름으로 열리는 시상식이 한 해에 여러 번 있고 각각 주최하는 단체도 다르다. 워낙 방송 프로그램이 다양하고 종류에 따라 개성이 확연하기 때문에 단일 시상식에서 모든 방송을 다루기는 어렵다고 판단하여 이처럼 분야를 나눈 듯하다.
Emmy라는 이름은 TV 부품의 일종인 immy에서 유래했다. TV 브라운관의 촬상관 중에 이미지 오시콘 튜브(image orthicon tube)의 별명인 immy가 상의 이름으로 정해졌다가, 트로피가 여성 모양으로 결정된 후 '이미'는 너무 남자 이름 같다며 여자 이름인 '에미'로 변경한 것이다.
2. 역사
1949년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ATAS) 주관으로 로스 앤젤레스(LA)와 인근 지역에서 방영한 작품을 대상으로 한 제1회 에미상이 개최됐다. 1952년부터는 전국적으로 방영한 작품을 대상으로 한 시상식으로 변경됐다.[1] 1955년부터는 NBC에서 생중계를 맡아 전국적으로 방영됐다.같은 해 ATAS는 동부 지역의 방송 종사자들을 위해 뉴욕에 전미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NATAS)를 설립했다. NATAS는 미국의 각 지역마다 지부를 만들었으며, 지부별로 해당 지역의 로컬 방송국들을 위한 지역별 에미상을 개최하게 했다. NATAS는 또한 산하 단체로 국제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IATAS)를 창설했으며, IATAS는 1973년부터 매년 국제 에미상을 시상하고 있다. NATAS는 방송 기술 부문 종사자와 기업들을 위한 기술·공학 에미상도 발족시켰다.
그러던 중 기존 에미상에 대해 저녁에 방영한 프로그램들이 후보에 오르고, 오전 시간대 등에 방영한 프로그램은 홀대받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결국 1974년 NATAS 주관으로 제1회 데이타임 에미상이 개최되었다. 이후로는 저녁 6시에서 새벽 2시 사이에 방영한 프로그램은 기존 에미상, 그외 시간대에 방송한 작품은 데이타임 에미상에서 시상하는 것으로 정리됐다. 기존 에미상은 자연히 프라임타임 에미상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1977년 NATAS는 공식적으로 ATAS에서 독립했다. 그러나 에미상에 대한 상표권은 공동으로 소유하기로 합의했다. ATAS는 다음 해부터 NATAS의 기술·공학 에미상과 별도로 프라임타임 공학 에미상을 개최하기 시작했다.
NATAS는 1979년부터 스포츠 에미상을, 1980년부터 뉴스·다큐멘터리 에미상을 출범시켰다.
프라임타임 에미상은 1988년, 데이타임 에미상은 1989년부터 케이블 프로그램도 시상 대상에 포함했다. 2013년부터는 두 시상식 모두 웹드라마, OTT 오리지널 드라마도 시상 대상에 포함했다.
전체 관람가 프로그램들은 대체로 방영 시간대에 상관 없이 데이타임 에미상에서 시상했다. NATAS는 2022년 이를 분리해 아동·가족 에미상을 신설했다.
2021년 12월 ATAS와 NATAS는 앞으로 시간대가 아니라 장르에 따라 프로그램을 나누겠다고 발표했다. OTT 오리지널 작품들이 상을 휩쓰는 추세에 따라 '방송 시간대'라는 개념이 무의미해졌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앞으로는 TV에서 오전 시간대에 방영한 작품도 장르의 성격에 따라 프라임타임 에미상에 출품해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프라임타임 에미상이 원조이자 메인 이벤트이고, 다른 에미상은 모두 프라임타임 에미상에서 충분히 조명받지 못하는 프로그램들을 위해 만든 보조적인 행사들이다.
3. 분류
3.1. 프라임타임 에미상
일반적으로 '에미상'을 얘기하면 프라임타임 에미상을 가리킨다. 황금시간대인 저녁 6시에서 새벽 2시 사이, 즉 프라임타임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매년 9월에 시상한다. 생중계는 ABC, CBS, NBC, FOX 등 미국의 4대 지상파 방송국이 매년 돌아가면서 맡는다.드라마, 버라이어티, 리얼리티, 교양,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분야의 방송에 상을 주는데, 각 분야 안에서 또 세세하게 카테고리를 나눈다. 게다가 각 분야마다 출연 연예인, PD 정도만 상을 주고 끝내는 게 아니라 조명감독상, 촬영상, 헤어스타일링상, 메이크업상 등등 무명의 스태프들까지 모두 부문이 있어서 상 개수가 100개가 넘는다. 때문에 생중계 날에는 극히 일부인 25개 정도만 발표하며, 대부분의 부문은 시상식 며칠 전 Primetime Creative Arts Emmy Awards라는 별도의 행사를 열어 시상한다.
근래 들어 지상파보다는 케이블 채널 및 OTT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2018년 에미상 시상식에서는 왕좌의 게임 9관왕에 힘입은 HBO가 23개 상을 받고, 넷플릭스도 23개 상을 받으며 공동 1위가 되었다. NBC는 16관왕에 그쳤다.
다른 미국 시상식과 마찬가지로 최근엔 작품성보단 화제성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나아가서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용두사미 그 자체였던 왕좌의 게임 피날레 시즌에 작품상을 준 것.
====# 수상 부문 #====
제76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기준.
작품·배우·MC·감독·작가 부문
- 코미디 시리즈
- 작품상
- 여우주연상
- 남우주연상
- 여우조연상
- 남우조연상
- 여우 게스트상
- 남우 게스트상
- 감독상[2]
- 작가상
- 드라마 시리즈
- 작품상
- 여우주연상
- 남우주연상
- 여우조연상
- 남우조연상
- 여우 게스트상
- 남우 게스트상
- 감독상
- 작가상
- 미니시리즈, TV 영화
- 작품상 - 미니시리즈
- 작품상 - TV 영화
- 여우주연상
- 남우주연상
- 여우조연상
- 남우조연상
- 감독상
- 작가상
- 버라이어티 시리즈
- 작품상 - 토크
- 작품상 - 대본형 버라이어티
- 감독상[3]
- 작가상
- 버라이어티 특집
- 작품상 - 생방송
- 작품상 - 사전녹화
- 감독상
- 작가상
- 리얼리티
- 작품상 - Structured 리얼리티 프로그램
- 작품상 - Unstructured 리얼리티 프로그램
- 작품상 - 리얼리티 경연 프로그램
- 작품상 - 게임쇼
- 리얼리티/리얼리티 경연 프로그램 MC상
- 게임쇼 MC상
- 감독상
- 다큐멘터리/논픽션
- 숏폼 시리즈
- 작품상 - 코미디/드라마/버라이어티
- 작품상 - 논픽션/리얼리티
- 연기상
- 애니메이션
- 작품상
- 제작진상[Juried]
- 이머징 미디어
- 광고
- 작품상
기타 직능 부문
- 성우
- 나레이터
- 캐릭터 연기
- 음악
- 오리지널 스코어 - 코미디 시리즈/드라마 시리즈
- 오리지널 스코어 - 미니시리즈/TV 영화
- 오리지널 스코어 - 다큐멘터리
- 음악감독
- 음악 슈퍼바이저
- 메인타이틀 테마음악
- OST
- 캐스팅
- 코미디 시리즈
- 드라마 시리즈
- 미니시리즈/TV 영화
- 리얼리티 시리즈
- 촬영 - 코미디 시리즈/드라마 시리즈
- 30분짜리[13]
- 1시간짜리 시리즈
- 촬영 - 기타
- 미니시리즈/TV 영화
- 논픽션 프로그램
- 리얼리티 프로그램
- 편집
- 드라마 시리즈
- 코미디 시리즈[14]
- 미니시리즈/TV 영화
- 버라이어티 프로그램[Area][16]
- 논픽션 프로그램
- Structured 리얼리티/경연 프로그램
- Unstructured 리얼리티 프로그램
- 미술 - 내러티브 프로그램
- 미술 - 기타
- 의상
- 분장
- 헤어스타일링
- 안무
- 스턴트
- 스턴트 코디네이터 - 코미디
- 스턴트 코디네이터 - 드라마
- 스턴트 퍼포머
- 조명
- 버라이어티 시리즈
- 버라이어티 특집
- 기술감독·촬영기법
- 특수시각효과상
- 전체 작품
- [Area]특정 회차
- 음향믹싱
- 1시간짜리 코미디 시리즈/드라마 시리즈
- 30분짜리 코미디 시리즈/드라마 시리즈/애니메이션[Area][45]
- 미니시리즈/TV 영화
- 버라이어티[Area][47]
- 논픽션/리얼리티[Area][49]
- 음향편집
- 1시간짜리 코미디 시리즈/드라마 시리즈
- 30분짜리 코미디 시리즈/드라마 시리즈/애니메이션[50]
- 미니시리즈/TV 영화
- 논픽션/리얼리티
- 모션/타이틀 디자인
- 메인 타이틀 디자인
- 모션 디자인[Juried]
내러티브 프로그램은 시즌제 시리즈, 미니시리즈[52], TV 영화로 나뉘며, 시즌제 시리즈는 드라마 시리즈와 코미디 시리즈로 나뉜다.
에피소드 평균 길이가 2~20분인 작품은 숏폼 시리즈, 20분 초과 40분 이하인 작품은 30분짜리 시리즈, 40분 초과인 작품은 1시간짜리 시리즈로 분류한다.
1973년까지는 부문별 작품상 외에 '올해의 프로그램(Program of the Year)'이라는 이름의 통합 최고상이 있었다.[53] 이 상이 사라진 지금은 대체로 드라마 시리즈 부문 작품상을 가장 중요한 상으로 본다.
1974년에는 '올해의 프로그램'이 폐지된 대신 장르별로 나뉘어진 부문들에 대하여 통합 최우수상을 시상하는 방식을 도입했었다. 일반 수상자는 미리 발표하고, 같은 부문 수상자들끼리 투표를 해서 시상식 당일 발표하는 식. 예컨대 드라마 시리즈 부문 남우주연상 수상자와 코미디 시리즈 부문 남우주연상 수상자 2인을 놓고 투표해서 한 명의 '올해의 남우주연상'을 발표했다. 이같은 방식은 절차상 잡음이 많았고 수상자들의 반발도 거세서 1회 만에 폐지됐다.
예전에는 모든 부문에서 후보를 5명 씩 뽑았으나, 2009년부터 출품작 편수에 따라 부문별 후보 수를 유동적으로 조정하고 있다. 출품작이 많은 부문은 최고 8편의 후보를 뽑을 수 있다. 다만 드라마 시리즈 부문과 코미디 시리즈 부문 작품상은 매년 무조건 8편으로 고정된다. 또한 배우 부문은 여자와 남자 부문 간에 후보 수가 같아야 한다. 예를 들어 드라마 시리즈 부문 여우주연상과 드라마 시리즈 부문 남우주연상은 서로 후보 수가 같아야 한다.
예전에는 예능인 부문이 있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대신 정규 예능 출연자는 코미디 시리즈, 특집 예능 출연자는 미니시리즈/TV 영화 부문 연기상 후보 자격이 주어진다.
====# 수상 목록 #====
- 문서가 있는 수상 목록만 등재
3.1.1. 역대 시상식
- 문서가 있는 시상식만 등재
- 제73회 프라임타임 에미상(2021)
- 제74회 프라임타임 에미상(2022)
- 제75회 프라임타임 에미상(2023)
- 제76회 프라임타임 에미상(2024)
3.1.2. 역대 주요 호스트
- 빌 코스비: 1966, 1969, 1970
- 프랭크 시나트라: 1968
- 존 덴버: 1976
- 에디 머피: 1983
- 데이비드 레터맨: 1986
- 브루스 윌리스: 1987
- 제이 레노: 1990
- 엘렌 드제네러스: 1994, 2001, 2005
- 마이클 J. 폭스, 오프라 윈프리: 1996
- 코난 오브라이언: 2002, 2006
- 라이언 시크레스트: 2007, 2008
- 닐 패트릭 해리스: 2009, 2013
- 지미 팰런: 2010
- 제인 린치: 2011
- 지미 키멜: 2012, 2016, 2020
- 세스 마이어스: 2014
- 앤디 샘버그: 2015
- 스티븐 콜베어: 2017
3.2. 데이타임 에미상
웹사이트낮 시간대에 방송하는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한다. 1974년부터 시작했으며, 매년 5월이나 6월에 시상식을 연다. 전미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NATAS)와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ATAS)가 공동으로 주관한다.
부문이 워낙 많다보니 실제로 시상식 날 시상되는 부문은 극히 일부다. 대부분의 부문들은 시상식 며칠 전 Daytime Creative Arts & Lifestyle Emmy Awards라는 별도의 행사에서 시상한다.
====# 수상 부문 #====
제50회 데이타임 에미상 기준.
<rowcolor=#ffffff,#2d2f34> 장르 카테고리 | |
드라마 시리즈 | 논픽션 프로그램 |
작품상 여우주연상 남우주연상 여우조연상 남우조연상 게스트 연기상 청소년 연기상 연출상 작가상 | 싱글카메라 연출상 멀티카메라 연출상 작가상 |
토크 시리즈 | 요리 시리즈 |
작품상 MC상 | 작품상 MC상 |
기타 프로그램상 | 기술 부문 |
법률/법정 프로그램상 여행/탐험/자연 프로그램상 인스트럭션 프로그램상 라이프스타일 프로그램상 예술/대중문화 프로그램상 교육/정보 프로그램상 연예 뉴스 시리즈상 스페셜상 숏폼 프로그램상 프로모션상 | 음악감독/작곡상 오리지널 노래상 촬영상 싱글카메라 편집상 멀티카메라 편집상 미술상 의상상 분장상 음향상 생방송 음향상 조명상 기술감독/카메라워크/영상상 캐스팅상 메인 타이틀·그래픽 디자인상 |
3.3. 기타
- 뉴스·다큐멘터리 에미상: NATAS가 주관.
- 스포츠 에미상: NATAS가 주관. 스포츠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한다.
- 아동·가족 에미상: NATAS 주관. 전체 관람가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한다.
- 기술·공학 에미상: NATAS 주관. 방송 분야 기술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 프라임타임 공학 에미상: ATAS 주관. 방송 분야 기술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 국제 에미상: IATAS 주관. 해외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한다. IATAS는 시사·뉴스 국제 에미상과 어린이 국제 에미상도 주최한다.
- 지역별 에미상들: 뉴욕 일대의 지역 방송들을 대상으로 하는 뉴욕 에미상 (New York Emmy Awards) 등 지역별로 열리는 시상식들로, NATAS의 해당 지역 지부가 주관한다. 다만 로스 앤젤레스 에미상은 예외로 ATAS가, 그것도 직접 주관한다.
4. 한국과 에미상
<rowcolor=#e5d85c> 년도(회차) | 작품 | 부문 | 비고 |
프라임타임 에미상 | |||
2022(제74회) |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 드라마 연출상(황동혁) | |
드라마 남우주연상(이정재) | |||
드라마 여우 게스트상(이유미) | |||
미술상 | |||
특수시각효과상 | |||
스턴트 퍼포먼스상 | |||
최우수 드라마 시리즈 | |||
드라마 여우조연상(정호연) | |||
드라마 남우조연상(박해수) | |||
드라마 남우조연상(오영수) | |||
드라마 작가상(황동혁) | |||
촬영상 | |||
편집상 | |||
음악상 | |||
국제 에미상 | |||
2008(제36회) | KBS 〈차마고도〉 | 최우수 다큐멘터리 | 한국 방송 최초 노미네이트.# |
2009(제37회) | KBS 〈바람의 나라〉 | 최우수 드라마 시리즈 | 한국 드라마 최초 노미네이트. |
2010(제38회) | MBC 〈휴먼다큐 사랑 - 풀빵 엄마 편\〉[54] | 최우수 다큐멘터리 | 한국 방송 최초 에미상 수상. |
2011(제39회) | KBS 〈추노〉 | 남우주연상(장혁)[55] | |
KBS 〈개그콘서트 - 달인〉 | 최우수 예능[56] | ||
2012(제40회) | 김인규[57] | 공로상 | |
MBC 〈불굴의 며느리〉 | 최우수 텔레노벨라[58] | ||
조선일보 〈천국의 국경을 넘다 2〉 | 최우수 다큐멘터리 | ||
2013(제41회) | MBC 〈안녕?! 오케스트라〉 | 최우수 예술 프로그램 | 기사 |
MBC 〈휴먼다큐 사랑 2012 - 우리엄마 본동댁〉 | 최우수 다큐멘터리 | ||
2014(제42회) | TV조선 〈천국의 국경을 넘다 3 - 머나먼 여행〉 | 최우수 다큐멘터리 | |
2015(제43회) | KBS 〈시대의 작창 판소리 - 범법자 춘향 재판기〉 | 최우수 예술 프로그램 | |
2016(제44회) | MBC 〈퐁당퐁당 LOVE〉 | 최우수 TV 영화/미니시리즈 | |
KBS 〈다큐 공감 - 엄마와 클라리넷〉 | 최우수 다큐멘터리 | ||
Mnet 〈너의 목소리가 보여〉 | 최우수 예능 | ||
2018(제46회) | 72초 〈신감독의 슬기로운 사생활〉 | 최우수 숏폼 시리즈 | |
2019(제47회) | 72초 〈dxyz〉 | 최우수 숏폼 시리즈 | |
2020(제48회) | KBS 〈할미넴〉 | 최우수 다큐멘터리 | |
2021(제49회) | tvN 〈사이코지만 괜찮아〉 | 최우수 TV 영화/미니시리즈 | |
Mnet 〈I-LAND〉 | 최우수 예능 | ||
2022(제50회) | KBS 〈연모〉 | 최우수 텔레노벨라 | 한국 드라마 최초 수상. |
이미경[59] | 공로상 | ||
Apple TV+ 〈Dr. 브레인〉 | 남우주연상(이선균) | # | |
2023(제51회) | ENA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최우수 드라마 시리즈 | |
JTBC 〈재벌집 막내아들〉 | 최우수 TV 영화/미니시리즈 | ||
2024(제52회) | 넷플릭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 최우수 코미디 시리즈 | |
국제 아동 에미상 | |||
2013(제1회) | KBS 〈구름빵〉 | 최우수 애니메이션 | |
EBS 〈TV로 보는 원작동화〉 | 최우수 TV 영화/미니시리즈 | ||
KBS 〈꿈꾸는 오케스트라 180일간의 기록〉 | 최우수 교양 | ||
2014(제2회) | KBS 〈라바〉 | 최우수 에니메이션 | |
EBS 〈뽀롱뽀롱 뽀로로〉 | 최우수 유아용 프로그램 | ||
2015(제3회) | MBC 〈아빠! 어디가?〉 | 최우수 예능 | |
KBS 〈TV 유치원 콩다콩〉 | 최우수 유아용 프로그램 | ||
2017(제5회) | KBS 〈라바 인 뉴욕〉 | 최우수 애니메이션 | |
EBS 〈출동! 슈퍼윙스〉 | 최우수 유아용 프로그램 | ||
2020(제8회) | EBS 〈출동! 슈퍼윙스〉 | 최우수 유아용 프로그램 | |
KBS 〈땐뽀걸즈〉 | 최우수 TV 영화/미니시리즈 | ||
2020(제9회) | MBC 〈어쩌다 발견한 하루〉 | 최우수 실사 프로그램 | |
2021(제10회) | EBS 〈티시태시〉 | 최우수 애니메이션 | # |
한국 방송계가 처음 에미상에 다가선 것은 1999년으로, 제27회 국제 에미상에서 MBC 〈건널수 없는 바다〉가 최우수 다큐멘터리 부문에 출품, 아태 지역 예선심사를 통과했다.기사 최종 노미네이트되진 않았으나, MBC가 1990년부터 꾸준히 국제에미상에 작품을 출품한 이래 처음으로 예선에 진출한 것이어서 의미가 있었다. 〈건널수 없는 바다〉를 연출한 이종현 PD는 나중에 〈휴먼다큐 사랑 - 풀빵 엄마 편\〉이 에미상을 수상할 때 MBC 시사교양국 부국장으로 시상식에 참석했다.
2022년에는 〈오징어 게임〉이 국제 에미상도 아닌 프라임타임 에미상을 휩쓸었다. 프라임타임 에미상에는 미국 드라마만 출품 가능한데, 〈오징어 게임〉은 미국 회사인 넷플릭스가 제작에 참여해 후보 자격이 인정된 것. 영국 드라마 셜록이나 캐나다 드라마 시트 크릭 패밀리가 각각 PBS, Pop TV와의 협업으로 에미상 후보 자격이 주어졌던 것과 같은 경우.
후보 발표 결과 〈오징어 게임〉은 무려 14개 부문 노미네이트되었다. 비영어권 시리즈 최초로 최우수 작품상 후보에 호명되었고, 황동혁 감독이 연출상과 작가상, 이정재가 남우주연상, 정호연이 여우조연상, 박해수와 오영수가 남우조연상, 이유미가 여자 게스트상 후보에 올라갔다.
현지 시간으로 2022년 9월 4일, 마이크로소프트 극장에서 열린 74회 에미상 기술진, 스태프 부문 시상식에서 게스트상(이유미), 시각효과상(정재훈 등), 스턴트퍼포먼스상(임태훈 등), 프로덕션디자인상(채경선 등)을 수상했다. 주제가상, 촬영상, 편집상만 놓치고 4개 부문을 수상한 것이다. 특히 이유미는 한국 배우로선 최초로 연기상을 수상한 격이어서 그 의미가 더 남다르다고 할 수 있다.
2022년 9월 12일, 황동혁 감독이 연출상을, 이정재가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역시 한국 드라마가 미국 로컬 시상식에서 최초로 거둔 성과이자, 비영어권 드라마 최초로 거둔 쾌거.
2024년에는 박찬욱 감독이 제작한 미국 드라마 동조자가 프라임타임 에미상에서 1개 부문 후보에 올랐다.
4.1. 한국계, 한국 소재
한국계 배우, 창작자들은 꾸준히 프라임타임 에미상에 도전해 왔다.한국계 캐나다인 산드라 오가 총 14번 노미네이트 되었다. <그레이 아나토미>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5년 연속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으며, 이후 <킬링 이브>로 4번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에미상 여우주연상에 노미네이트된 최초의 아시아계 배우다.
한국계 미국인으로는 2012년 30 Rock으로 코미디 시리즈 여자 게스트상 후보에 오른 마거릿 조, 2007년과 2018년 각각 <헬보이: 폭풍의 검>과 <빅 히어로 시리즈>로 최우수 애니메이션상 후보에 오른 김정자 애니메이터[60], 2024년 <더 모닝 쇼>로 코미디 시리즈 여우조연상 후보에 오른 그레타 리 등이 있다. 2023년에는 <성난 사람들>과 <파이어 아일랜드>가 각각 13개, 2개 부문 후보에 오르며 이성진 감독, 스티븐 연, 조엘 킴 부스터 등 다수의 한국계 미국인들이 대거 노미네이트됐다.
이외에도 2022년에는 한국인 및 한국계 미국인들이 다수 참여한 <파친코>가 1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됐으며, 2024년에는 한국계 미국인 배우 그레타 리가 드라마 시리즈 여우조연상 후보에, 탈북민 실태를 다룬 다큐멘터리 <비욘드 유토피아>가 다큐멘터리 우수상 후보에 올랐다.
프라임타임 에미상 외에 다른 에미상으로 범위를 넓히면, 제45회 뉴스·다큐멘터리 에미상 시상식에서는 이태원 압사 사고를 다룬 파라마운트+ 다큐멘터리 <크러시>가 최우수 탐사 다큐멘터리상 후보에 올라 화제가 되었다.
[1] 대신 LA의 로컬 프로그램들을 위한 '로스 앤젤레스 에미상'이라는 별도의 시상식을 신설해 오늘날에 이른다.[2]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싱글카메라, 멀티카메라[3]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토크, 대본형 버라이어티[Area] 후보들 간에 투표를 해서 1위에게 상을 주는 게 아니라, 모든 후보에 대해 찬반 투표를 해서 찬성률이 90%를 넘긴 작품들에 상을 주는 부문이다. 만약 90%의 지지를 받은 작품이 없을 시 가장 찬성률이 높은 작품이 수상한다.[Area] [Area] [Juried] 회원들의 투표가 아닌 특별 심사위원단의 회의로 수상자가 결정되는 부문이다. 후보 선정 절차 없이 수상자만 발표한다.[8] 사회적 영향력을 끼친 다큐멘터리에 주는 상으로, 여기에 후보에 오른 작품의 감독은 다큐멘터리/논픽션 감독상 후보에 오를 수 없다. 또한 70일 이상 극장에서 상영한 작품일 경우 성취상 후보로 올라야 하며 다큐멘터리/논픽션 특집상이나 MC 있는 논픽션 시리즈/특집 작품상 후보에는 오를 수 없다.[Juried] [10]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오리지널 프로그램, 파생 프로그램[Juried] [12] 혁신상 후보에 오른 작품은 작품상 후보에 오를 수 없다.[13]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싱글카메라, 멀티카메라[14]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싱글카메라, 멀티카메라[Area] [16]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전체 프로그램, 특정 코너[Area] [18]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싱글카메라, 멀티카메라[Area] [Area] [Area] [Area] [Area] [24]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코미디 시리즈/드라마 시리즈, 미니시리즈/TV 영화[Area] [26]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코미디 시리즈/드라마 시리즈, 미니시리즈/TV 영화[Area] [28]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코미디 시리즈/드라마 시리즈, 미니시리즈/TV 영화[Juried] [Area] [31]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시대물, 판타지물/SF물[Area] [Area] [Area] [35]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시대물, 판타지물/SF물[Area] [Area] [Area] [Area] [40]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1시간짜리 프로그램, 30분짜리 프로그램[Area] [42]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생방송, 사전녹화[Area] [Area] [45]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싱글카메라, 멀티카메라[Area] [47]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시리즈, 스페셜[Area] [49]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다큐멘터리/논픽션, 리얼리티[50] 필요시 다음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코미디 시리즈/드라마 시리즈, 애니메이션[Juried] [52] 에미상 측에서는 현재 미니시리즈라는 표현 대신 '리미티드 시리즈/앤솔로지 시리즈'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리미티드 시리즈는 단일 시즌 시리즈를 뜻하며, 앤솔로지 시리즈는 시즌제 시리즈이지만 각 시즌 간에 내용이 이어지지 않아 사실상 별개의 작품인 시리즈를 이른다.[53] 백상예술대상에서 드라마 작품상, 예능 작품상, 교양 작품상이 있지만 별개로 대상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54] 여기서 나오는 여성은 2009년 7월 31일에 사망했고 아이들은 이모가 맡아서 키우고 있다고 한다. 현재 아이들은 고등학생이 되었을 것이다.[55] 영국 드라마 〈피고인〉의 크리스토퍼 에클스턴에 밀려 수상에 실패.[56] 영국의 리얼리티 예능 〈World's Strictest Parents〉에 밀려 수상에 실패.[57] 당시 KBS 사장이자 아시아태평양방송연맹 회장. 수상에 앞서 반기문 당시 UN 사무총장의 영상 메시지가 상영되었고, 드림하이를 기획한 박진영이 시상자로 나섰다.[58] 주 2회~6회 방송하는 로맨스물.[59] CJ그룹 부회장. 송중기가 시상자로 나섰다. 참고로 CJ그룹은 EGOT 중에서 그래미상을 제외한 세 개의 상을 석권하였다. 에미상: 드라마 <세브란스: 단절> / 오스카상: 영화 <기생충> / 토니상: 뮤지컬 <킹키부츠>, <물랑루즈>,[60] <뜻밖의 여정>에 윤여정의 미국 현지 친구로 등장한 인물로, 미국명은 Jungja Kim Wolf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