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4 00:47:17

양평군(조선)


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안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작호가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사람만 기재
}}}}}}}}}

조선 연산군의 왕자
양평군 | 陽平君
출생 1498년(연산군 4년)
사망 1506년(중종 원년) 10월 10일(음력 9월 24일)
(향년 8세)
본관 전주 이씨
인(仁)
부모 부왕 연산군
모친 폐숙의 이씨
초명 강수(康壽)
봉호 양평군(陽平君)[1]
1. 개요2. 생애3. 사망 이후
3.1. 양평군 사칭 사건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왕족. 연산군의 유일한 서출 왕자군[2]으로, 친모는 폐숙의 이씨다.

중종반정으로 사사되었다.

2. 생애

문종의 유일한 외손자인 정미수의[3] 집과, 어머니 숙의 이씨의 친척인 이손[4]의 집에서 성장해서 양평군이 이손을 아버지처럼 따랐다.

1506년(연산군 12년) 중종반정으로 아버지 연산군이 쫓겨났다. 이 때 이손은 반정 세력들에게서 양평군을 지키려고 그를 자신의 집으로 데려갔다. 그러나 양평군의 유모와 보모들이 혹시 몰라 양평군을 다시 영춘군[5]의 집으로 피신시켰다.# 그러나 결국 반정세력들에게 잡혀 황해도 수안으로 귀양을 갔다.# 아버지가 이었던 것을 부정당했기 때문에 양평군 역시 폐작되었다.

중종귀양을 보내는 것으로 연산군 자녀들의 처리를 매듭 지으려 했다. 하지만 반정 공신들이 폐주(연산군)의 아들들을 놔두면 위험하다면서 죽일 것을 계속 청했다. 중종은 가슴이 아파 차마 그럴 수 없다고 했지만 공신들의 강한 요청으로 어쩔 수 없이 조카들을 죽이라는 명을 내렸다. 그래서 1506년 10월 10일에[6] 사약을 받고 죽었다.# 요 8세. 같은 날 이복형 폐세자 이황과 이복동생 창녕대군, 이돈수도 각자의 유배지에서 죽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 사망 이후

중종은 그나마 장남인 이황 만이라도 장례라도 후하게 지내주려 했다.[7] 하지만 반정 공신들은 이미 죽은 서인에게 후한 대우는 필요 없으니 관곽이나 내려주라고 하여 역시 무산되었다.# 이 때 죽은 연산군의 자녀들이 10세 이하의 어린이들인 걸 감안하면 공신들이 어지간히 불안해했고 또 그 만큼 자신들의 반정에 자신감이 부족했던 모양이다.

실제로 이후 인조반정 때에는 폐세자 이지의 나이가 이황보다 더 많았고 광해군연산군에 비해 쫓겨날 명분이 부족했는데도 인조와 인조반정의 공신들은 이지를 죽이지 않았다. 단 나중에는 죽이는데, 그마저도 이지가 유배지에서 탈출하려다 걸렸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서 연산군은 쫓겨날 명분이 충분했고[8] 그 자식들까지 모조리 사사시킨 걸 보면[9] 중종반정 핵심부들의 취약성을 보여준다.[10] 백 번 양보해서 이황은 한 때 세자였기에 위험하다고 해도, 양평군을 포함한 나머지 자식들까지 죽인 것은 지나친 처사였다.

나중에 중종은 박원종에게 원한을 품었는지[11] 그가 죽은 후에 그의 하나뿐인 아들(서자)인 박운이 분경[12]을 하는 죄를 저질렀다는 김안로 측에 고변이 들어와 그를 변방으로 유배보냈는데 정광필이 "공신의 하나뿐인 자식인데 선처해주죠"라고 하니 싸늘하게 말하기를 "이자가 공신에 자손이라고 봐주면 분경을 하는 자가 또 나타나지 않겠느냐" 하며 거절했다.

실제로 중종은 자신의 형인 연산군과는 아무런 원한도 없었으나 신하들에게 옹립된 왕이니 인조와 궤를 달리 할 수밖에 없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1. 양평군 사칭 사건

양평군이 죽은 지 7년 뒤인 1513년(중종 8년) 2월 12일에[13], 15살 소년 만손(萬孫)[14]이라는 사람이 나타나 자신이 양평군이라고 주장했다. 만손은 자신이 살아남은 배경을 자세하게 이야기했고, 이에 사람들이 놀라면서도 진짜인지 의심했다.#

이에 양평군을 키웠던 이손은 진위를 판별해보자고 했다. 그러나 의금부당상 김용기 등은, 만손을 양평군의 유모와 보모, 노비들에게 보였는데 양평군과 만손의 특징이 많이 달랐기 때문에 만손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손을 비롯한 양평군 지인들의 증언에 따르면, 양평군은 얼굴이 희고 코에 천연두 자국이 있었으며, 정수리에 뜸을 뜬 흔적과 귀걸이를 꿰어 크고 넓은 구멍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만손은 얼굴이 검고 코도 멀쩡했으며 귀걸이를 꿴 구멍도 없었다.# 결국 거짓임이 밝혀져 만손은 그 해 9월 14일에[15] 사형당했다. 진짜였어도 숨어살았던 죄로 죽임을 당했을 가능성이 높았다.
[1] 봉호는 경기도 양천(현재의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구 일대)의 옛 지명인 양평(陽平)에서 유래했다. 지명 ‘양평군(楊平郡)’과는 한자가 다르다.[2] 이복동생들은 전부 유아기에 죽어 봉군되지 못했다.[3] 문종의 딸 경혜공주의 아들.[4] 양평군의 외할아버지의 사촌이다.[5] 세종의 서자 영해군의 장남.[6] 음력 9월 24일.[7] 사실 도리상 이게 맞긴 하다. 죽을 죄를 저지른 것도 아닌데 죽인다면 적어도 장례 쯤은 후하게 치러주는 게 예의다. 실제로 진짜 죽을 짓 한 폐비 윤씨, 좀 꺼림찍하지만 진짜 죄를 지은 장희빈도 나라에서 장례를 치르는 것을 도왔고 이후 왕비에 준한 제사를 치루게 했다.[8] 연산군을 쫓아낸 게 잘못이라며 일어난 사건은 없었다. 반면 광해군은 쫓겨난 이후 역모사건에 계속 연루된다.[9] 실제로 어린이와 노약자는 역모에 연루되어도 노비로 만들거나 용서해주는 선에서 그쳤다. 정말 예외가 있었다면 기축옥사 때 이발의 아들이 곤장 맞다 죽었고 봉산옥사 때 어린이들까지 끌려와 국문받은 게 거의 전부다.[10] 사실 핵심부들은 모두 다 연산군 밑에서 한자리 했었던 사람들이다. 유자광부터가 무오사화의 주역이다.[11] 정쟁을 떠나서 결국 중종의 일가친척들을 다 죽인 것이었다.[12] 奔競, 벼슬을 얻기 위해 청탁을 하는 일.[13] 음력 1월 7일.[14] 또는 신능손.[15] 음력 8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