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신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향신채 | 수선화과 | 달래 · 대파 · 마늘 · 부추 · 샬롯 · 양파 · 쪽파 |
생강과 | 강황 · 고량강 · 생강 | ||
배추과 | 갓 · 겨자 · 냉이 · 와사비 · 홀스래디시 | ||
미나리과 | 고수 · 딜 · 미나리 · 셀러리 · 아위 · 파슬리 · 회향 | ||
기타 | 고추 · 깻잎 · 치커리 | ||
스파이스 * | 감초 · 계피 · 들깨 · 민감초 · 바닐라 · 사프란 · 산초 · 셀러리 시드 · | ||
허브 ** | 개박하 · 라벤더 · 레몬그라스 · 레몬밤 · 로즈마리 · 바질 · 박하 · 배초향 · 세이보리 · 세이지 · 스테비아 · 오레가노 · 월계수 · 재스민 · 제라늄 · 차조기 · 카피르라임 · 캐모마일 · 타라곤 · 타임 | ||
*: Spice, 좁은 의미의 향신료. 딱딱한 열매, 씨앗류를 의미. / **: Herb, 향료 중에서 부드러운 잎과 줄기를 의미. | |||
그 외 비가공 식품 및 재배물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 }}}}}}}}} |
식물의 모습 | 식물의 씨앗 모습 |
1. 개요
실피움(Silphium), 실피온(Silphion), 라세르(Laser)[1]영어 위키백과
현 리비아 동부에 위치했던 고대 그리스 도시 키레네 (Cyrene)에 있던[2] 식물로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에 약재[3]와 향신료로 사용되었다. 수요가 너무 많았지만 자라는 곳은 적어 개체수가 급감, 결국 과수확과 함께 동시기 북아프리카의 기후가 변하기 시작하면서 처음 로마에서 쓰이게 된지 100년 남짓인 서기 1세기에 이 식물종은 완전히 멸종했다.
처음 팔릴 때부터 가격이 같은 무게의 은에 맞먹었으며,[4] 멸종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에는 같은 무게의 금과 동일한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고 한다.
풍미가 워낙 좋아서 향신료로도 각광 받았고 실피움을 첨가한 플라밍고의 혀 요리는 당시의 진미였다고 한다. 심지어 실피움 향이 밴 양고기를 얻기 위해 양을 실피움 자생지에서 방목해 실피움을 먹고 자라게 하기도 했다.
당시 실피움은 식물을 통째로 쓰지 않고 아위와 마찬가지로 뿌리에서 채취한 수액을 굳혀 얻는 수지[5]를 사용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이러한 실피움 수지를 수백 킬로그램 단위로 자택에 비축해 뒀다고 한다. 한 포기에서 몇 방울 안 나오는 뿌리 수지를 수백 킬로그램씩 모으기 위해 실피움이 몇 포기나 들어갔을 것이며 그걸 돈으로 환산한 가격은 얼마 정도였을지 생각해 보면...
최후의 실피움은 네로 황제가 먹었다는 설이 있다. 이 실피움이 멸종했던 시기가 네로 황제의 재위 시기와 비슷하다고 여겨진 듯 싶다. 현재 실피움은 오신채의 흥거로 알려진 아위(아사푀티다)로 대체되었다고 한다.
2. 정체에 대한 논란
원산지 키레네에서 출토된, 실피움이 새겨진 동전 | 키레네 인근 발라그라이 (베이다) 유적 기둥에 새겨진 실피움 |
다만 정확히 어떤 종이었는지는 아직도 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갈린다. 큰회향(Ferula communis)이었을 것이라는 설이 있는가 하면, 아위속 식물들 간의 잡종이었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 당시 기록 중 '실피움은 아무리 재배하려고 시도를 해도 인공재배가 불가능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에 우수한 형질을 지녔지만 염색체 개수가 이상하거나[6] 유전적인 균일도가 크게 떨어져 번식이 불가능한[7] 잡종 1대(F1)였을 것으로 보는 의견이다. 이도 저도 아니고 그냥 단순히 멸종한 종이었을 것이라는 설 또한 줄기차게 제시되고 있다.
그러다가 2020년대에는 멸종된 걸로 알려졌던 실피움 그 자체이거나 혹은 가장 가까운 근연종으로 추정되는 식물이 발견되어 제시되었다. 바로 튀르키예 하산 산(Mount Hasan)에서 발견된 아위속 식물인 Ferula drudeana이다.(#) 과학전문 매체 어스닷컴(Earth.com)에 따르면 이 식물을 발견한 마흐무트 미스키(Mahmut Miski) 교수는 해당 식물이 고대의 유명한 실피움(silphium)=실피온(silphion)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해당 식물 또한 현대의 기술로도 재배가 매우 까다롭다고 한다. 씨앗은 냉충(인위적으로 차가운 기후에 노출)시켜야지 발아하며, 10년은 키워야 성체로 자란다고 한다.
3. 기타
하트 상징(♡)의 유래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있는데 흔히 심장을 본 딴 것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다른 의견으로는 실피움과 관련 있다는 설도 있다. 이 식물의 씨앗이 위의 사진과 같이 하트 모양으로 당시 키레네인들은 이 식물의 씨앗의 모양을 은화에 새겼는데 하트 모양과 다른 것이 없다. 거기다가 이 식물의 주된 용도가 춘약, 정력제, 피임약, 낙태약으로 하나같이 성관계과 깊은 관련이 있다 보니 신빙성 있다고 볼 수 있다.[1] 현대의 레이저와는 관련이 없다.[2] 현 리비아 키레나이카(Cyrenaica) 지역.[3] 목 기침약 및 춘약으로서 사용되었고, 피임과 낙태에도 쓰였다고 한다.[4] 현대에 가격이 은값과 비슷한 식재료로는 트러플과 바닐라가 있다.[5] 당시 라틴어로 라세르피키움(Laserpicium)이라고 불렀다.[6] 예: Lomatia tasmanica. 이 종은 3배체라서 지금까지 발견된 개체는 단 하나의 개체에서 분리된 클론이 전부다.[7] 몬산토 및 터미네이터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