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19:50

스튜어트 전차/운용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튜어트 전차

1. 개요

스튜어트 전차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

M3 및 M5스튜어트는 구조가 워낙 단순하기도 하고 가격도 저렴해 제2차 세계 대전 기간과 냉전시기 공산주의 확산을 경계한 미국과, 잉여차량을 수도 없이 공여받았던 영국, 프랑스 등의 국가들에서도 벌크 가격으로 팔아치우거나, 혹은 거의 무상이나 다름 없는 가격으로 뿌리면서 수도 셀 수 없이 많은 수량들이 어마어마하게 많은 나라들로 수출되었다.

개중에는 이 전차를 현재까지 사용하는 나라들도 몇몇 존재한다.

2. 아메리카

2.1. 북아메리카

2.1.1. 미국

파일:M3A1_Stuart_in_the_Fort_Bliss_Museum.jpg
미 육군 제1기갑사단 "Old Ironsides" 박물관 소장 M3A1[1]
파일:M5A1_early_'Carol'.jpg
미 육군 제3기갑사단 33기갑연대 3대대 C중대의 M5A1 초기형 3051254-S번차 네임드 차량 "캐롤"
원조 사용국으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퇴역시켜 잔존 수량을 타국에 공여하였다.

2.1.2. 캐나다 자치령

파일:Oshawa Military and Industrial Museum M3A1 'LEO'.jpg
오샤와 군사 산업 박물관 소장 M3A1 "레오"
파일:Canadian_War_Museum_M5A1.jpg
캐나다 전쟁 박물관 소장 M5A1

2.2. 카리브

2.2.1. 쿠바

파일:cubacastrostuart.jpg
쿠바 육군 소속 M3 스튜어트[2]
쿠바 공화국의 대독 선전포고 이후 1942년~1943년 사이 미국은 무기대여법으로 24대의 M3 스튜어트를 지원했다.

쿠바 공화국에 지원된 M3 스튜어트들은 아바나의 콜롬비아 연대에 편제되었으며, 1950년대 쿠바 혁명 당시 M3 스튜어트는 정부군의 주력이었으며, 피델 카스트로 정권이 들어서고 살아남은 18대의 M3 스튜어트는 역시 마찬가지로 혁명에서 살아남은 M4A3E8들과 같이 훈련용으로 사용되다 소련제와 체코슬로바키아제 T-34-85를 들여오며 퇴역하였다.

2.2.2.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Dominican_Republic_M3A1.jpg
도미니카 공화국 육군 소속 M3A1

2.2.3. 아이티

파일:32140855.jpg
7E 벨뷰 샤도니에르 위치 국립 경찰 아카데미 소장 아이티 육군 소속 M3A1
M3A1 8량과 M5A1 5량을 도입하여 사용하였다.

2.3. 중앙아메리카

2.3.1. 멕시코

파일:Mexican_M3A1.jpg
멕시코 육군 소속 M3A1
파일:Mexican_M5A1.jpg
멕시코 육군 소속 M5A1
도합 4량의 M3A1와 소수의 M5A1을 1947년에 공여받아 1980년까지 사용하였다.

2.3.2. 엘살바도르

파일:M3A1_at_Museo_Militar_de_la_Fuerza_Armada,San_Salvador,_2008.jpg
산살바도르 군사 박물관 소장 엘살바도르 육군 소속 M3A1
2차 대전 당시 도합 6량을 공여받아 축구전쟁 때 사용하였다.

2.4. 남아메리카

2.4.1. 브라질

파일:1º Regimento de Carros de Combate_M3A1.jpg
제1전차연대 기지 소장 브라질 육군 소속 M3 스튜어트 네임드 차량 "더비 클럽"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427량을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아 사용했다.

2.4.2. 칠레

파일:Chilean_M3_light_tank.jpg
칠레 육군 소속 M3
파일:Museo de Tanques del Arma Caballeria Blindada M3A1 stuart.jpg
육군 기병 차량 전차 박물관 소장 M3A1

2.4.3. 볼리비아

파일:Bolivian_M3A1.jpg
제1기갑기병연대‘Calama’기지 소장 볼리비아 육군 소속 M3A1

2.4.4. 콜롬비아

파일:colombiastuart.jpg
호세 마리아 코르도바 육군 사관학교 소장 콜롬비아 육군 소속 M3A1 스튜어트

2.4.5. 파라과이

파일:Paraguaian_M3_light_tank.jpg
파라과이 육군 소속 M3A1 스튜어트
현재까지 스튜어트를 사용하는 몇 안되는 국가 중 하나로써, 최소 10대 이상을 가동 중에 있다.

2.4.6. 에콰도르

파일:M3A1_participating_an_Equadorian_military_parade.jpg
에콰도르 군사 퍼레이드의 에콰도르 육군 제11기병여단 "갈라파고스" 소속 M3A1, 2018년

2.4.7. 우루과이

파일:Uruguay_4th_Cavarly_Mechnized_Regiment_M3A1.jpg
우루과이 4기병기계화연대 기지 소장 M3A1

3. 유럽

3.1. 동유럽

3.1.1. 소련

파일:Park_Patriot_M3A1.jpg
애국 공원 소장 M3 경형[3]
파일:kubinka_M5L.jpg
애국 공원 소장 M5
소련군은 랜드리스를 통해 공여받은 1676대의 M3 스튜어트를 "M3 경형(M3 лёгкий)"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했으며 5대의 M5 스튜어트도 공여받았다.[4]

다만 소련 전차병들은 스튜어트를 싫어했는데, 그 이유는 T-70과 다를게 없는 주제에 장갑은 더 약하고, 4명이나 타서 비좁은데다 피격 시 탈출도 어렵다는 점이었다.

소련은 전후 반환요청이 들어온 스튜어트들을 전시 중에 전량 격파되었다며 시치미를 때며 미국에 반환하지 않았다.

3.2. 서유럽

3.2.1. 영국

파일:M5A1_Stuart_VI_‘T271197’_“Hothead”_(36610836476).jpg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스튜어트 VI T271197호차 "핫헤드"
북아프리카 전역에서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여, 종전 시기까지 도합 6,904량을 공여받아 마르고 닳도록 사용했으며, 전후에는 다수의 차량을 영연방 식민지, 국가들에 무장용으로 마구 퍼주기도 하였다.

3.2.2. 프랑스

파일:Belgium_private_collection_M3A3.jpg
개인 소장 프랑스 육군 소속 M3A3 네임드 차량 "히레스" 16번 403526호차
도합 651량을 공여받아 사용하였으며,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에도 기갑전력의 한 축을 담당했는데, 가벼운 차체와 높은 기동성으로 정글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3.2.3. 네덜란드

파일:800px-M3A1_Stuart_Amersfoort.jpg
아머스포트 군사 박물관 소장 네덜란드 육군 소속 M3A1 스튜어트 네임드 차량 "암바라와" 5959번차 [5]

3.3. 중부유럽

3.3.1. 나치 독일

파일:Pz.Kpfw._M3_740_a.jpg
Pz.Kpfw. M3 740(a)
2차 대전 당시 독일군은 M3과 M5를 동부전선, 북아프리카 전역, 아르덴 대공세 등의 전장에서 노획해 사용했다. 독일은 노획한 M3 스튜어트에 "Pz.Kpfw. M3 740(a)"라는 노획무기 명칭을 부여한 후 운용했다.

3.3.2. 폴란드 망명정부

파일:M5A1_belongs to the polish 24th Lancers of the 1st Armoured Division. Belgium, September 1944.jpg
자유 폴란드 육군 제1기갑사단 소속 스튜어트 VI
자유 폴란드군 측에 무기대여법으로 지원되었다.

3.3.3. 헝가리 왕국

파일:Hungarian_M3A1_Stuart.jpg
헝가리 왕국군 소속 스튜어트
헝가리 왕국군이 소련군으로부터 노획한 M3 스튜어트를 운용했다.

3.3.4. 루마니아 왕국

소련군으로부터 최소 5대를 노획해 사용했다.

3.3.5. 체코슬로바키아

3.4. 남유럽

3.4.1. 이탈리아 왕국

3.4.2. 그리스 왕국

파일:Greek_Stuart_Recce.jpg
그리스 왕국군 소속 스튜어트 V Recce

3.4.3.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파일:M3A1_at_Belgrade_Armed_Forces_Museum.jpg
베오그라드 군사 박물관 소장 M3A1[6]
파일:M3A3_Stuart_001.jpg
베오그라드 군사 박물관 소장 M3A3
1944년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소수의 M3A1과 다수의 M3A3을 영국군으로부터 지원받아 1960년까지 운용했다.

3.4.4. 포르투갈 제2공화국

파일:Entrada_del_museo_militar_de_Elvas,_Portugal.jpg
엘바스 군사 박물관 입구의 M5A1
파일:Museu do Combatente M5A1.jpg
리스본 전쟁 박물관 소장 M5A1

4. 아시아

4.1. 동아시아

4.1.1. 중화민국

파일:M3A3_at_Armor_School_History_Museum_20130302.jpg
후커우 기갑 학교 소장 M3A3
파일:ROCA_M5A1_at_Tanks_Park.jpg
후커우 기갑 학교 소장 M5A1
4.1.1.1. 중화인민공화국
파일:beijing_tank_museum_M3A3_Stuart_tank.jpg
베이징 군사 박물관 소장 M3A3 스튜어트 "6019번차"[7]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선 랜드리스를 통해 원래 국민혁명군에게 전해져야 할 차량들을 홍군이 국민혁명군을 사칭하여 가로채어 사용했으며, 이후 제2차 국공내전에서는 국민혁명군으로부터 노획하거나 혹은 소련에게 공여받아 사용했다.

한국전쟁 당시에도 M5A1와 M3A3를 사용했다는 설이 있으나 이에 관한 자료가 부족해 정확하지는 않다.

1962년 중인전쟁에서도 인도군으로부터 소수의 M3A3을 노획하여 아크사이친의 험악한 지형에서 사용하기도 했다고 한다.

4.1.2. 일본

4.1.2.1. 일본 제국
파일:Japanese soldiers and a Philippine native pose with a captured M3 Stuart, 1942.jpg
일본 제국 육군 노획 M3 스튜어트, 1942년 필리핀
주로 영국군과 미군이 방기하거나 패주하면서 노획한 일부 차량을 사용하였는데, NEI 전역 당시 5대의 M3 경전차가 필리핀에서 일본군에 노획되었으며, 얼마 안가 12대가 필리핀 전선에서 추가로 노획된 후 수리되어 제65전차연대에 배속되었으며 제65전차연대가 필리핀에서 철수하자 이 전차들은 다른 부대로 넘겨졌는데, 이 중 4대가 민다나오 섬의 제100보병사단에 배속되었다.

추가로 코레히도르 상륙작전 당시에는 M3 스튜어트 1대와 치하 2대가 상륙군 선봉을 맡기도 했으며, M3 스튜어트를 본 미군 보병들은 흔비백산하게되어 코레히도르 요새는 며칠만에 함락된다. 또한 상륙과정에서 치하가 높은 언덕에 못올라가자 M3 스튜어트가 대신 견인해주는 활약도 한다.

일본 제국 육군 제14전차연대는 M3 스튜어트로만 이루어진 소대도 있었으며 제14전차연대 소속의 어느 M3 스튜어트는 임팔 작전 당시 영국군의 M3 리를 격파하는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

이후 1944년 사이판 전투와 1945년 루손 섬 전투 당시 일본군이 유기하고 간 M3 스튜어트를 미군이 발견하기도 했다.

일본군은 결전병기용으로 필리핀에서 노획한 M3 스튜어트를 10대가량 비축하기도 했다.
4.1.2.2. 일본국
파일:Kaitei gunkan JGSDF 13 ton M5 International.jpg
육상자위대 소속 M5 트랙터

4.2. 동남아시아

4.2.1. 인도네시아

파일:Satria_Mandala_Museum_M3A3.jpg
사트리아 만달라 박물관 소장 인도네시아 육군 소속 M3A3[8]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 원정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들을 사용했다.

4.2.2. 필리핀

파일:m5-veteransmuseumphilippines-timcislo-2020-107w-1-1.jpg
필리핀 재향 박물관 소장 필리핀 육군 소속 M5A1
파일:Filipino_M5_stuart.jpg
필리핀 육군 소속 M5
독립 후 미군이 남기고 간 차량들을 1950년대까지 사용했다.

4.2.3. 베트남

파일:The last M5 Stuart in Vietnam, captured from the French and now put on display in Hanoi.jpg
하노이 군사 박물관 소장 M5
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1대의 M5를 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했다.

4.2.4. 미얀마

파일:Defence services museum M3A1.jpg
국토 방위 박물관 소장 M3A1

4.3. 남아시아

4.3.1. 인도

파일:Cavarly_Tank_Museum_M3A1_stuart.jpg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M3A1
파일:Cavarly_Tank_Museum_M3A3.jpg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M5A1[9]

4.3.2. 방글라데시

파일:Bangladesh_Military_Museum_M3_stuart.jpg
방글라데시 군사 박물관 소장 M3 하이브리드

4.3.3. 파키스탄

파일:Pakistan_Army_Museum_M3_Stuart.jpg
파키스탄 육군 박물관 소장 파키스탄 육군 소속 M3 스튜어트[10]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당시 소수의 차량을 노획하였다.

4.4. 서아시아

4.4.1. 튀르키예

파일:M3A1_ankara.jpg
에티메스구트 전차 박물관 소장 터키 육군 소속 M3A1
1942년부터 1944년까지 영국이 공여한 M3A1을 냉전 시기까지 운용했다.

4.4.2. 레바논

파일:Lebanese Army M5A1 High Speed Tractor towing a 155mm Modele 50 howitzer during the 1972 military parade.jpg
1972년 군사 퍼레이드에서 155mm Modele 50 곡사포를 견인 중 인 레바논 육군 소속 M5A1 트랙터

4.4.3. 이스라엘

파일:IDF_Museum_M4_high-speed_tractor.jpg
이스라엘 방위군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육군 소속 M4 트랙터

5. 오세아니아

5.1. 오스트랄라시아

5.1.1. 호주

파일:52stuarttank.jpg
호주 기갑 & 포병 박물관 소장 호주 육군 소속 M3 스튜어트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1941년 8월부터 1943년 중반까지 M3s와 M3, M3A1, M3A1s 등 도합 370량의 스튜어트를 공여받아 냉전 시기까지 사용하였다.

5.1.2. 뉴질랜드

파일:FZA945Stuart.jpg
뉴질랜드 육군 소속 M3 스튜어트

6. 아프리카

6.1. 서아프리카

6.1.1. 가나

파일:Ghana Armed Forces Museum M3 Stuart.jpg
쿠마시 요새 가나군 박물관 소장 가나 육군 소속 M3

6.2. 남아프리카

6.2.1. 남아프리카 연방

파일:Republic_of_South_Afrika_National_Museum_of_Military_History_M3A1.jpg
남아프리카 국립 군사 역사 박물관 소장 M3A1[11]

6.2.2. 로디지아

파일:military-museum.jpg
그웨루 군사 박물관 소장 로디지아 육군 소속 M3A1(2파운더)


[1] 일련번호 8614. 독일 Baumholder에서 구조된 차량으로 추정된다.[2] 1959년 촬영된 사진이며, 사진의 차량은 무장이 탈거되어 임시로 장갑차로 사용했다고 한다.[3] 일련번호 U.S.A. W-3011743.[4] 라틴문자권에서는 M3 лёгкий을 M3L 또는 M3 light로 표기한다.[5] 일련번호 6960. ACF에서 생산된 차량이다.[6] 일련번호 8770 혹은 8776[7] 1962년 중인전쟁 당시 중국군이 인도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이다.[8] 뒤에 있는 전투기는 MiG-21이다.[9] M3A3라고 오기되어 있다.[10] 우측의 차량은 셔먼 V 크랩이다.[11] 일련번호 10380. American Car & Foundry에서 생산된 차량이며, 남아프리카 연방군 내에 등록된 차량번호는 U46942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8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8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