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3 21:27:18

볼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크 소울 3의 보스}}}에 대한 내용은 [[차가운 골짜기의 볼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차가운 골짜기의 볼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차가운 골짜기의 볼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크 소울 3의 보스: }}}[[차가운 골짜기의 볼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차가운 골짜기의 볼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차가운 골짜기의 볼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글꼴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손글씨
서예 · 캘리그래피 · 필기체 · 서명 · 필기 · 필적
필기도구 · 문방사우
분류
한글바탕 · 돋움
라틴 문자Vox-ATypI 분류 · 세리프 · 산세리프 · 이탤릭 · 작은 대문자 · 블랙레터 · 칠판체
한자관련 틀 참조
인쇄 / 디자인
활자(금속활자) · 합자 · 타이포그래피
포스트스크립트 · OTF · TTF · 웹 폰트 · 클리어타입 · 가변 글꼴
목록
글꼴 목록 · 상업용 목록 · 분류:글꼴
기타/관련 항목
속기 · 문자 체계 · 문장 부호 · 전각과 반각 · 볼드
}}}}}}}}} ||


1. 개요2. 쓰임새
2.1. 수학에서2.2. 나무위키에서
3. 구현
3.1. 입력 방법3.2. 나무위키 문법
3.2.1. 제거 방법
3.3. 볼드 관련 문제
4. 기타

1. 개요

bold. '굵은, 대담한' 등을 뜻하는 영어 단어.

한국에서는 대개 굵은 글꼴을 지칭하는 말로 쓴다. 글꼴의 세부 스타일(보통, 기울임꼴, 굵게, 굵은 기울임꼴 , 밑줄) 중 하나로, 다른 서체와 차이를 줘서 강조할 때 사용한다.

2. 쓰임새

로마자에서는 강조의 의미로 이탤릭(폭이 좁고 기울어진 서체)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글은 기울여 쓰면 가독성이 좋지 않아서 볼드나 밑줄로 대신하는 경우가 많다.[1]

위키백과 등에서는 처음에 나오는 표제어에다가 씌워서 쓰고 그 다음에 작성자의 생각을 강조할 부분이 있으면 그 곳에도 쓴다.

미국 만화에서는 낱말이나 문장을 강조할 때 쓰인다.

북한에서는 매체나 각종 기기에서 김씨 3부자를 표기할 때 반드시 볼드체로 표기해야 한다. 붉은별 운영체제에서는 자동으로 볼드 처리가 된다.

철도 노선도에서는 환승역이나 노선 상의 종착역에 해당하는 역 이름을 볼드체로 쓰기도 한다.

2.1. 수학에서

yx\displaystyle {\partial \mathbf{y} \over \partial \mathbf{x}}

수학에서는 일반적으로 벡터를 볼드체로 표시한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벡터 위에 화살표를 그어 표시하는데, 이 경우 유클리드 공간 상의 벡터로 정의가 좁아진다. 볼드체와 화살표를 동시에 쓰기도 한다.

손글씨로 필기할 땐 굵게 쓰는 게 번거로우니 𝕎 식으로 가로로 두 줄 겹쳐서 쓰기도 한다. 이런 것을 칠판 볼드체(blackboard bold)라고 한다. 수학 분야에서 자주 쓰며 TeX로도 구현되어있다.

2.2. 나무위키에서

흔히 말하는 "나무위키 볼드체"란 문서나 문단 맨 위에 내용을 한 줄로 요약해놓는 것(전면 금지된 요약문)과 내용 중간의 문장을 볼드로 강조하는 경우를 말한다. 취소선, (...) 표현 등과 더불어 나무위키에서 자주 사용되는 문체들이다.

볼드체가 따옴표를 사용한 문법이기 때문인지 인용에 사용할 수 있는 문법이라고 착각하는 편집이 많다. 볼드체는 강조가 목적이며 아래 내용처럼 강조를 드립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직접적으로 인용한 문장에 강조 문법을 사용하는 것은 주관적인 강조로 읽혀서 이후 편집자에 의해 삭제되거나 인용문이 오염될 수 있다.

볼드체를 드립용으로 사용하는 문체는 2ch니코니코 대백과 등 일본 웹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상단 볼드와는 달리 명시적인 개수 제한은 없으나, 볼드를 많이 쓰면 문서가 조잡해 보이기 쉽다. 너도 나도 자기가 더 요약을 잘 한다고 생각하거나 자기가 뽑은 문장을 강조하고 싶은 마음에 볼드체가 한 문장 한 문장 늘어나서 가독성이 떨어진다. 볼드체가 아닌 부분보다 볼드체인 부분이 더 많거나, 문서 대부분이 볼드체인 경우도 있다.[2]

작성자의 주관을 과도하게 드러내는 것도 볼드 처리의 문제이다. 객관성과 중립성 없이 자기 생각만 강조하기 위해 볼드를 남용하는 사례가 많다. 자기가 좋아하는 작품의 캐릭터를 중요하답시고 볼드 처리하거나, 비판과 옹호가 갈리는 문서에서 반대되는 의견은 두고 자신이 지지하는 의견 항목에만 볼드체로 강조해버리는 경우도 많다.

볼드가 너무 많아지거나 주관적으로 쓰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 강조에 대한 기준을 미리 정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단락(줄바꿈으로 나눠지는 덩어리)에 하나보다 많은 볼드가 들어가면 과한 것이다. 문장 전체를 볼드 처리하면 가독성이 나빠지니, 최대한 구나 단어에 한해서 볼드 처리를 하는 것이 좋다. 강조하고 싶은 문장이 길면 밑줄을 쓰는 게 좋다.

글을 잘 썼다면 문서 전체에서 볼드가 필요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C. S. 루이스는 강조가 어휘의 선택과 문장 구조를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하면서 볼드나 이탤릭의 사용을 비판했다. 볼드체를 적용하기 전에 먼저 글의 구조가 꼬여있지는 않은지, 불필요한 의미의 반복은 없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3. 구현

3.1. 입력 방법

HTML에서는 이 볼드체를 표현할 때 <b> 태그 혹은 <strong> 태그를 사용한다. CSS에서는 font-weight: 숫자;의 형식으로 쓰는데, 100부터 900까지 100 단위로 끊어서 쓰고 숫자가 클수록 굵어진다. 보통은 500부터 볼드체로 나온다. 웹 폰트 지정할 때 쓰는 @font-face를 쓰면 숫자별로 글꼴을 지정해 줄 수 있다. 숫자 대신 normal, bold, bolder, lighter를 쓸 수도 있는데 그 중 볼드체로 나오는 것은 boldbolder이다.

윈도우에서는 굴림체, 궁서체, 돋움체, 바탕체와 같이 따로 볼드체가 없는 폰트를 약간 어긋나게 겹치는 방법으로 굵게 표현해준다.

유튜브 댓글에서는 *내용* 으로 쓸 수 있다.

3.2. 나무위키 문법

나무위키에서 볼드체를 쓰기 위해서는 '''작은따옴표 3개'''를 겹쳐서 쓰면 된다. 큰따옴표(")와 작은 따옴표를 각각 1개씩 쓰면 작동하지 않는다.

볼드보다 더 굵은 표현으로 {{{#212529,#e0e0e0 더블볼드}}}가 있다.

글자 크기 키우기 문법과도 함께 쓰이며 왼쪽 방향 중괄호 3개를 쓰고 +원하는 크기(숫자) 쓰면 된다. 또한 색깔을 넣을 수 있는데 중괄호 3개의 바로 앞에 중괄호 3개를 추가하고 #(자신의 원하는 색)을 넣으면 글씨가 그 색깔로 변한다. 강조용으로는 주로 빨간색이 사용되는데 빨간 볼드체는 너무 강조가 되기 때문에 싫어하는 사람도 많다.

나무위키에서는 어떤 문서에 그 문서의 링크가 걸려있으면 자동으로 볼드 처리가 된다.[3] 볼드 따옴표 3개가 들어가지 않았지만 볼드가 되어있다. 링크 이름 뒤에 '#s-(문단 번호)'가 있어도 볼드로 처리되는 일이 있었으나 언제부터 볼드로 안 되게 바뀌었다. 리다이렉트는 해당되지 않는다. 볼드 문서로 리다이렉트되는 볼드체는 볼드가 되어있지 않다.

토론에 댓글을 남긴 시점에서 특수 권한을 가졌던 사용자의 경우 해당 스레드에 사용자명이 볼드체로 표시된다. 현 시점의 특수 권한 보유 여부와는 상관없다. 만약 현 시점에서 차단된 상태라면 볼드체 취소선으로 나타난다.

순환 링크의 경우 나무위키에서는 볼드 문법을 적용하든 안하든 볼드체 고정이다. 미디어위키도 동일하지만 하이퍼링크가 걸리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작은 따옴표에 볼드체를 치려고 따옴표 네 개를 연달아 입력하면 오른쪽 따옴표에는 볼드체가 쳐지지 않는다.[예시1] 이 경우 역슬래시를 입력하고 작은 따옴표 네 개를 입력하면 오른쪽에도 정상적으로 볼드체가 쳐진다.[예시2]

문단에 볼드체를 하는 방법은 === [[|나무위키]] === 식으로 앞에 |를 넣으면 된다.

3.2.1. 제거 방법

과도한 볼드체가 거슬리면, 나무위키 편집창에서 '편집기' 모드로 들어간 후, Ctrl+F 또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나오는 '명령 팔레트'의 '찾기'에서 작은따옴표 3개(''') 키워드로 검색한 후 바꿀 문장을 비우고 '모두 바꾸기'를 실행하면 된다. 그러나 상단 프로필 표 등 볼드체가 템플릿 문법으로 정해져있는 경우도 있으니 사용하는 데에 주의가 필요하다.

3.3. 볼드 관련 문제

애플 제품(OS X, iOS)에서는 한글의 볼드체가 표현되지 않았다.[6] 주범은 애플고딕으로, 애플 고딕이 볼드체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웹사이트에서 굵은 한글을 볼 수 없는 것이다. 그나마 Safari같이 프로그램에서 자체적으로 볼드를 구현하는 경우엔 볼 수 있었다. 다행히 iOS 5.1, OS X 10.8부터는 산돌고딕 Neo1로 대체되면서 볼드체 표현에 문제가 없게 되었다.

스마트폰에서 한글 볼드체가 아예 없어지거나 볼드체가 아닌 숫자도 볼드체로 나오는 등의 문제가 보고된 적도 있었다. 나무위키는 물론이고 네이버 등 다른 사이트에서도 볼드체가 일반 폰트로 바뀌었다. Android Web View와 모바일 크롬 최신 버전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두 어플의 자동 업데이트를 해제하고 구 버전으로 사용하면 문제가 해결됐다. 아니면 2016년 9월 16일자로 크롬 브라우저의 최신 버전인 53.0.2785.124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하면 해결되었다.

가끔 모종의 이유로 나무위키 전체가 볼드체로 보이는 현상도 발생한다. 이 때 위키 설정에서 글꼴을 바꾸면 해결된다. 자가 진단용으로 다음 두 문장이 모두 볼드체로 보이면 정상이다.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4. 기타

2020년대 들어 각종 언론기사에서도 나무위키와 유사한 형태로 기사 본문에 볼드체를 삽입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특히 정치· 스포츠 분야 기사들에 볼드체가 쓰이는 빈도가 높다. 특정한 주관을 강조하기 위해 볼드체 사용이 이루어지고, 이를 데스크에서 승인한다는 점에서 기사의 객관성과 중립성을 해칠 우려가 높다.

나무위키의 배우성우의 문서에선 히트를 치거나 유명한 배역에 볼드체를 삽입한다.

과거 타자기 시절에는 볼드체를 표현할 때, 같은 글자를 겹쳐 찍어서 표현했다. 이때 사용되던 키가 백스페이스다. 초창기 컴퓨터에서도 비트맵 폰트를 가로로 1픽셀 약간 어긋나게 겹쳐 찍어서 볼드체를 표현했다. 최신 버전 Windows에서도 기능이 남아있다.


[1] 강조 목적이 아니라 저서의 제목을 나타내기 위한 이탤릭은 한글로 바꾸는 경우 반영하지 않고 일반적인 글꼴로 처리한다. 그러나 김남석 교수는 한글 서명에 볼드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일부 학술지는 서명에 다른 폰트를 사용할 것을 요구한다. '서울대학교 법학'은 서명으로 고딕체를 쓰도록 한다.[2] 이러한 식의 볼드 남용에는 인지적 종결 욕구가 한몫한다.[3] 리그베다 위키 당시부터 있던 기능. 다만 초기엔 이런 기능이 없던 탓에 둘러보기 틀에서 현재 어떤 문서를 보고 있는지 표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유로 틀 문법 대신 각 문서에 직접 테이블을 만들고 이를 틀로 고치는 것을 반대하는 유저가 많았고, 이로 인한 편집 분쟁이 빈발하자 이를 해소하기 위한 이유로 개발되어 도입되었다. 해당 문법을 거의 그대로 재현하는 걸 목표로 시작되었던 the seed에서 이를 가져왔기에 본 위키에서도 지원하는 것. 물론 엔진이 달라진 만큼 실제 구현방식은 달라진 지 오래다.[예시1] '예시' (''''예시'''')[예시2] '예시\' (''''예시\'''') 참고로 역슬래시(\\)는 윈도우 한글 기본 글꼴(굴림, 맑은 고딕 등)에서는 원화 기호(₩)로 나온다. \ 문서 참조.[6] 로마자는 문제 없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