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2 22:13:28

캘리그래피


<colkeepall> 글꼴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aeaf1,#2f3241> 손글씨 서예 · 캘리그래피 · 필기체 · 서명 · 필기 · 필적
필기도구 · 문방사우
분류 바탕 · 돋움
Vox-ATypI 분류 · 세리프 · 산세리프 · 이탤릭 · 작은 대문자 · 블랙레터 · 칠판체
관련 틀 참조
인쇄 · 디자인 활자(금속활자) · 합자 · 타이포그래피
포스트스크립트 · OTF · TTF · 웹 폰트 · 클리어타입 · 가변 글꼴
목록 글꼴 목록 · 상업용 목록 · 분류:글꼴
기타 · 관련 항목 속기 · 틀:문자 체계 · 틀:문장 부호 · 전각과 반각 · 볼드 · 프로그래밍 글꼴
}}}}}}}}} ||
파일:http-%2F%2Fnews2.marietta.edu%2Fsites%2Fdefault%2Ffiles%2Fcalligraphy.jpg

1. 개요2. 도구에 따른 종류
2.1. 필기
3. 사례4. 참고

1. 개요

Calligraphy

문자(문장이나 단어, 기호) 등을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표현하는 행위. 좁게는 서예에서부터, 나아가 활자 이외의 모든 필체를 가리킨다. 손글씨로 표현하는 사람도 있고 컴퓨터그래픽 프로그램으로 정교하게 제작하는 사람도 있다. 캘리그래피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을 캘리그래퍼(Calligrapher)라고 부른다.[1]

금속활자가 도입되기 전까지는 기록하여 책을 만드는 과정의 기본적이며 유일한 방법이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문명에서 중요하게 다뤄졌다. 그러나 구텐베르크식 활자가 실용화되고 종교 개혁, 산업 혁명이 본격화되면서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캘리그래피가 개입할 영역이 점차 줄어들었다. 또한 근현대 들어 타자기컴퓨터를 발명하여 보급된 것도 서구권이기 때문에 비 서구권에 비해 캘리그래피는 더욱 빠르게 쇠퇴하여왔다. 그러나 세계화 추세에 따라 서구권도 이슬람이나 동아시아의 서예작업(붓 중심의)에 자극받으면서 슬슬 자신들의 고유성을 가지는 펜 중심의 캘리그래피 복원을 시작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도구에 따른 종류

2.1. 필기

필기 캘리그래피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 캘리그래피
    말 그대로 펜을 사용하여 하는 캘리그래피이다. 상업적 캘리그래피 분야에서는 붓 캘리그래피에 비해 많이 쓰이지 않았지만 최근 들어 광고 카피나 앨범 아트에 많이 쓰이는 편. 재료는 만년필, 파인라이너, 펠트 마커(싸인펜), 플러스펜, 볼펜, 딥 펜 등이다. 이중에서 만년필과 파인라이너, 딥펜은 볼펜에 밀려서 실용성을 상실했기 때문에 캘리그래피 용으로만 살아남았다. 로트링사에서 출시한 로트링 아트펜 중 펜촉 굵기가 1.5mm인 캘리그래피 용 아트펜이 이 분야의 스테디 셀러다. 펜이나 마커나 어느 정도 손에 익어야 글씨가 예쁘게 나온다.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사무용품으로도 얼마든지 시작할 수 있어서 취미로 캘리그래피를 하는 사람들이 많다. 붓을 이용한 캘리그래피에 비하면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 특징.
  • 캘리그래피
    동양의 서예와 비슷한 시각적 분위기가 장점이다. 로고나 카피 등, 상업적 목적의 캘리그래피에 애용되는 도구. 서예용과 간판용, 캘리용 붓의 “모“길이에는 미묘한 수준의 차이가 있다. 물론 단순 취미로도 많이 이용한다. 이런 이유로 일반인은 “캘리그래피=서예“라는 인식을 가진다. 붓으로 캘리그래피를 하려면 준비물이 많기 때문에 진입장벽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3. 사례

21세기 들어서 대한민국의 출판시장에선 단행본의 표지 캘리그래피가 굉장히 중시되고 있으나 요즘에는 “어째 대부분 비슷비슷하다“는 게 한계. 하여간 시장의 수요가 늘어 감에 따라 캘리그래퍼나 글꼴 디자이너들의 입지도 커지고 있는 편이다. 출판은 물론 영화 포스터 등의 광고업계에서도 수요가 있는 편.[2]
파일:external/www.touregypt.net/art5.jpg
이슬람교의 영향으로 성화나 상징물을 만들 수 없었던 중동권의 경우엔 아랍 문자를 바탕으로 한 캘리그래피가 발달했다. 방송국 알 자지라의 로고를 참고하자. 크게 각진 서체, 둥근 서체, 매달린 서체로 나뉘며, 각각은 다시 쿠파체, 나스흐체·술루스체, 탈리크체·나스탈리크체로 나뉜다. # 그 외에도 디와니체도 있다.
파일:095c5e347272b313b610bbcef0f64f6ad6504c5e9039528aa5aa32e9c0479dfe.jpg
장인이 그리는 글씨 일본에서는 손으로 간판을 제작하는 세대 중 최후의 직인인 슈우 씨.#

대한민국 해병대에서도 군집단 내부끼리의 소통을 위한 독자적인 캘리그래피를 만들어냈다. 일명 해병체, 혹은 오도체라고 불린다. 해병체 예시 해병대 안에서도 부대마다 다 조금씩 달라서 앨범 폰트만 보고 어디 사단 혹은 어디 연대 어느 병과인지 추적할 수 있을 정도라고 한다. 너무 뻘짓이라 21세기 들어서 쇠퇴하다가 결정적으로 휴대폰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해병대 글씨체 문화는 많이 사라지고 있다고 한다.

수학과에서도 고급 과정으로 갈수록 캘리그래피를 자주 접하게 된다. 필기체, 블랙레터 등으로 수학적 대상을 구분하는 방법을 쓰기 때문.

4. 참고



[1] 한글 손글씨 캘리그래피는 기초 단계에서 정통 서예로 시작하여 기본기를 익히는 경우가 많다. 선 긋기부터 시작해서 판본체, 궁서체 등으로 익히 알려진 서체를 기본으로 익히는 방식.[2] 사실, 20세기에는 영화 포스터나 현수막, 도서 표지, 상점 상호간판 등에 이미 수많은 다양한 필체의 손글씨가 사용되었다. 당연한 것이지만, 이 시대에는 간판제작자의 필체도 엄청나게 다양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