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18:29:24

용산기지

미군 용산기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광주 1호선 전동열차의 차량기지에 대한 내용은 용산차량사업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미군기지 이전에 따라 조성될 시민공원에 대한 내용은 용산공원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과거 용산에 존재했던 철도차량 기지에 대한 내용은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대한민국 국군군사기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용산기지■USFK 계룡대 자운대 상무대
진해기지■USFK 부산기지■USFK 포항기지 제주기지
수원기지■USFK 오산기지■USFK 평택기지■USFK 대구기지■USFK
주한미군과 공동주둔: ■ USFK }}}}}}}}}

파일:주한미군 마크.svg 주한미군군사기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용산기지■ROK
USAG YONGSAN
캠프 험프리스■ROK
CAMP HUMPHREYS
오산공군기지■ROK
OSAN AIR BASE
군산공군기지■ROK
KUNSAN AIR BASE
캠프 캐롤
CAMP CARROLL
캠프 워커&헨리
CAMP WALKER
캠프 케이시
CAMP CASEY
캠프 호비
CAMP HOVEY
캠프 무적
CAMP MUJUK
K-16■ROK
K-16 AIR BASE
부산 해군기지■ROK
BUSAN NAVAL BASE
진해 해군기지■ROK
CFA CHINHAE1
대구 공군기지■ROK
DAEGU AIR BASE
수원 공군기지■ROK
SUWON AIR BASE
광주 공군기지■ROK
GWANGJU AIR BASE
청주 공군기지■ROK
CHUNGJU AIR BAS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폐쇄 / 반환된 기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폐쇄된 기지[1]캠프 레드 클라우드 | 캠프 스탠리 | 캠프 그리브스 | 캠프 잭슨 | 캠프 마켓 | 캠프 모스 | 캠프 킴 | 캠프 님블 | 캠프 하텔하우스 | 캠프 에드워드 | 캠프 이글
반환된 기지서빙고 기지 | 캠프 롱 | 캠프 하야리야 | 캠프 페이지 | 캠프 캐슬 | 캠프 라과디아 | 캠프 시어스 | 캠프 카일 | 캠프 폴링 워터 | 캠프 머서 | 캠프 게리오웬 | 캠프 에세이욘 | 캠프 자이언트 | 찰리블럭 | 캠프 키티호크 | 캠프 스텐튼 | 캠프 펠햄 | 캠프 하워즈 | 캠프 카이저 | 캠프 콜번 | 캠프 싯먼 | 캠프 그레이 | 캠프 에임스 | 파평산 관제소 | 캠프 브루클린 힐 | 캠프 이즈벨 | 캠프 살렘 | 수영 비행장 | 캠프 하우스 | 캠프 맥냅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언론에 공개되지 않은 기지 및 벙커, 관제소 등은 군사보안상 제외함.
}}}}}}}}} ||
대한민국 국군과 공동주둔: ■ ROK
1: COMMANDER FLEET ACTIVITIES CHINHAE
}}}}}}}}}

용산기지
龍山基地
USAG YONGSAN | YONGSAN GARRISON
파일:external/www.jennyhouse.info/555050163_b20451be_Main_Post_2.jpg
<colbgcolor=#ce1126><colcolor=#fff> 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기지주둔 대한민국 대통령실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공군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1지역대 용산 분견대
주한미군사령부
근무지원부대 국방부 근무지원단

1. 개요2. 역사3. 상세4. 주둔기관5. 주변시설
5.1. 상업시설5.2. 종교시설5.3. 의료시설5.4. 교육시설5.5. 편의시설
6. 근무환경7. 교통
7.1. 도시철도
8. 기타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미군부대로, 주한미군대한민국 국군의 주둔지 가운데 하나이다. 통칭 용산기지라고 부른다.

현존하는 한국 내 미군 부대 중 가장 오래 되었고, 서울특별시 도심에 있는 유일한 군사기지이다. 현재는 경기도 평택시캠프 험프리스로 미군 기지가 이전됨에 따라 일부 시설[1]을 제외하고 모두 폐쇄예정이고, 반환될 부지는 용산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2022년 11월 15일 한미연합군사령부유엔군사령부가 캠프 험프리스 이전을 완료함으로써 주한미군 용산기지 시대는 69년 4개월 만에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일부 잔류하는 미군의 시설을 제외한 부지는 대한민국 대통령실 및 대한민국 국군과 민간에서 활용할 예정이다.

2.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BGM:CUSCO - Penguin Dance

부지 자체는 군사적으로 상당히 역사가 깊은 곳이었다. 구한말에는 일본, 청나라 등 외국 군대가 주둔했었고, 현재까지 주한미군이 기지로 사용하고 있는 곳이었다. 용산기지가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던 이유는, 용산구의 지리적 특징에서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용산은 한강과 접해있어 선박을 통한 물류이동이 용이하기에 물류교역의 중심지였고, 이런 장점 때문에 조선군의 병참 기지가 있었고, 1595년 임진왜란 당시에는 왜군의 후방병참기지가 건설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구한말에는 1882년 임오군란을 진압하기 위해 파병된 청나라 군대 3천 명이 주둔했었고, 그리고 1884년 갑신정변 때는 일본군이 급진 개화파 인사들과 함께 인천으로 퇴각하면서 교전한 바 있다. 이후 일본이 청일전쟁러일전쟁에서 승리하면서 한반도에 일본군을 진주시키기 시작했고, 그중 20사단을 이곳 용산에 주둔시키게 되었다. 20사단이 주둔한 이곳은 향후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주조선일본군사령부가 위치하게 된다. 1945년 일본이 패망하면서 미군이 일본의 군사 시설이 있는 이 곳을 접수했고, 그 자리에 보병 제7사단을 주둔시켰다. 이후 1949년 병력을 철수했다가 한국 전쟁이 발생하자 1953년 8월 15일에 다시 이 곳에 복귀 및 입주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후 용산 미군기지는 "서울 속의 작은 미국"으로 불렸고, 반세기 넘게 금단의 구역이 되어 왔다. 과거 한국이 본격적으로 경제성장을 하기 이전까지 용산기지는 기지 밖 지역과는 비교도 할 수 없는 고급시설과 자유로운 미국식 분위기로 기지에 처음 방문해보는 한국인에게는 상당한 충격을 선사해 주었다. 이 기지에는 한국 민간인은 현지 고용 군무원이나 초청된 인원이 아니면 들어갈 수 없어서 당시 기지 출입증은 엄청난 권력의 상징이었다. # 이 출입증만 있으면 미군기지 출입이 자유로워 드래곤 힐 랏지 호텔 같은 미군 휴양시설에서 스테이크 좀 썰어봤다고 주변에 자랑할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물론, 지금은 한국도 경제성장을 이뤄내서 오늘날에는 대다수의 한국인들은 미군기지 부럽지 않은 생활을 할 정도로 경제 수준이 높아졌고, 오히려 지금의 미군기지는 주변 지역에 비해 건물이 상당히 노후화된 곳이 많다. 그러나 평택으로 미군기지가 완전히 이전하기 전까지는 여전히 한국 내의 작은 미국으로서 미국/문화를 순수히 체험해볼 수 있는 지역으로, 한 번은 방문해보고 싶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곳으로 남아있었다.

용산기지는 용산을 비롯한 주변 지역의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기지 주변에는 미군을 위해 한국 주민들이 개업한 클럽이나 바와 같은 유흥시설이 즐비하게 들어섰고 이른바 기지촌을 이루었다. 그 유명한 이태원동 거리도 이 기지촌으로부터 발전되어 온 것이었다. 미군 군수품이나 PX에서 유출된 물품이 기지 밖 시장에서 자주 팔리기도 했다. 군복, 가방, MRE[2], 그외 미국 현지에서 볼 법한 물품들이 몰래 비합법적으로 거래되었다.[3] 경제발전 이전 가난했을 때에는 더더욱 심했고 "미제는 뭐든지 좋다" 같은 인식 때문이었다. 현재 남대문시장에서 아직도 용산 미군기지에서 유출된 미군 물품을 판매하고 있다. 물론 현재는 용산기지 폐쇄작업이 진행되고 있어 날마다 그 숫자가 줄고 있다.

군사독재 시절에는 한국 내에서 유일하게 정권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구역이었다. 그 이유는 당연히 미군기지는 미군 영역으로서, 대한민국 정부가 관할권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군기지에서만큼은 경찰도, 서슬퍼러기로 유명한 안기부도, 검찰도 들어갈 수 없는 구역이었기에 진정한 자유민주주의를 보여주는 몇 안 되는 영역이었다. 용산미군기지 또한 서울 내에서 유일하게 독재정권으로부터 잠시나마 미국식 민주주의를 느낄 수 있는 해방 창구였고, 기지 주변으로 전파를 탔던 미군 군사방송인 AFN Korea는 한국 정부의 간섭과 검열이 없어 한국인들이 많이 듣기도 했다.

기지 내에 유엔군사령부도 위치해있었기에 미군 뿐만 아니라 기타 외국군도 주둔해 있었는데 이런 군사, 안보적 중요성 때문에 특히 한남동을 중심으로 각국 대사관이 들어섰고 유엔빌리지 아파트 단지도 이들을 위한 외부 아파트로 쓰이기 시작하면서 유래된 것이었다.

3. 상세

파일:용산 미군기지.jpg
국민일보

이 지역에는 임오군란청나라가 주둔했었고, 갑신정변일본 제국의 대륙침략과 함께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군이 주둔하던 기지이다.

해방이후 대부분의 일본군 시설이 미군연합국에게 시설이 점령 및 인수되었으며, 2020년 현재도 주한미군이 용산기지에 잔류중이다.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총 80여 만 평의 주한미군기지로 메인 포스트, 사우스 포스트, 캠프 코이너, 캠프 킴, 국방부 등 여러 지역으로 나누어져 있다.[4]

1945년 9월 미 극동군사령부가 오키나와 주둔 제24군단 예하 7사단 병력을 한국으로 이동시키면서 미군의 용산주둔이 시작됐다.

2013년부터 용산기지 이전사업을 시작해 제8군사령부, 한미연합군사령부, 유엔군사령부 등이 차례로 경기도 평택시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했다.

규모는 본기지인 메인포스트(24만평)와 사우스포스트(57만평)를 포함해 캠프킴.유엔사령부.수송단(5만8천평) 등 87만평이었다.

4. 주둔기관

4.1. 대한민국 대통령실

4.2. 대한민국 국군

4.3. 주한미군

4.4. 민간기관

5. 주변시설

5.1. 상업시설

5.2. 종교시설

5.3. 의료시설

5.4. 교육시설

  • 서울미국인초등학교(Seoul American Elementary School) 폐교
  • 서울미국인중학교 (Seoul American Middle School) 폐교
  • 서울미국인고등학교 (Seoul American High School) 폐교

5.5. 편의시설

6. 근무환경

KATUSA(카투사)들에게는 그야말로 파라다이스와도 같은 천혜의 근무지였다. 물론 신축한 캠프 험프리스보다는 시설이 못하지만, 누구도 무시못하는 점이 바로 접근성이다. 서울 도심에 있어 바로 앞에 남영역, 이태원역, 용산역이 있어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만약 본인의 거주지가 서울에 있다면 그야말로 금상첨화다.

현재는 부대 시설 상당수가 경기도 평택시의 캠프 험프리스로 옮겨갔고, 남아있는 시설들도 굉장히 낡은 상태라서[9] 압도적인 접근성 외의 나머지 부분은 갈수록 단점이 되어 가고 있다.

2022년 8월 기준으로 용산기지는 거의 페허에 가깝다. 기지 출입구도 몇 개의 게이트들만 남기고 전부 폐쇄되었으며 철수 이후 버려진 건물들과 시설들은 전혀 관리가 되고 있지 않아 자라난 잡초로 인해 거의 야생 상태이다. 2024년 3월 기준 잔류 인원이 거의 없다는 것을 보여주듯이 그마나 45분 간격으로 배차되던 영내 순환 버스도 지금은 사라졌다. [10] 음식점들도 드래곤 힐 랏지 지하의 미니 푸드코트를 제외하면 전부 문을 닫았다.

7. 교통

7.1. 도시철도

8. 기타

  • 용산공원 조성에 앞서 2018년부터 미군기지 투어를 진행하였으나,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2020년 2월부터 중단되었다.
  • 한때 용산기지로 자대배치를 받은 카투사들은 '용산 카투사' 또는 줄여서 '용카', '용투사'라고 불렸으며, 카투사들은 서울 출신들이 많았기 때문에 지방으로 배치받은 이들에게 그들은 선망과 시기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일부 지방 출신 카투사들이 집 근처 지역이 아닌 용산으로 배치받아 불만을 갖기도 하였다.[12] 하지만 용산 미군기지가 평택으로 이전하면서 용산 카투사도 역사의 저편으로 사라지게 되었다.[13]
  • KBS에서 용산미군기지의 역사와 미래의 용산공원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2021년 1월 22일에 방영하였다. 1부 2부

9. 관련 문서



[1] 대한민국 국방부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부지는 잔류하며 주한미군 부지 중 드래곤 힐 랏지 호텔, 헬기장, 주한미국대사관 숙소는 잔류.[2] 그 이전에는 전투식량/미군 레이션이 유통되었다.[3] 카투사를 비롯한 한국인이 미군기지 PX에 출입이 금지된 이유이기도 하다. 하도 PX에서 구매한 물품을 자꾸 외부에 유출, 재판매하기에 이를 방지하고자 한 조치이다. 그리고 미군 물품 유출은 불법이다. 군수품이라면, 군수품 관리법 위반, 미국 민간 물품이라면 공식적인 통관절차를 밟지 않았기에 식품위생법관세법 위반이다. 한때 심했을 때에는 주한미군 헌병대와 한국 경찰이 기지 주변 시장을 단속하기도 할 정도였다.[4] 원래는 주한미군 시설이 메인 포스트, 사우스 포스트로 나뉘어 있지 않았으나 이태원로를 신설하면서 부대의 주둔지가 분리되었다. 그러나 별도의 교량을 설치하여 영내에서 메인 포스트와 사우스 포스트간의 왕래는 자유롭다.[5]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에 따라 취임과 동시에 청와대로부터 대한민국 국방부 청사로 이전했다.[6] 2022년까지는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청사 바로 옆에 있었으나 기존의 청사는 청와대를 대신할 대한민국 대통령실이 되었고, 대한민국 국방부는 합동참모본부 청사에 통합되었다.[7] 국립중앙박물관 및 용산가족공원 지역은 미군부대에 둘러싸여 있는데, 원래는 이 부지가 주한미군에게 공여되었던 땅이다. 미군이 사용하던 시절엔 해당 지역은 헬기장 부지였다.[8]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9] 2009년 이후로 Dragon Hill Lodge와 일부 시설을 제외하고 미 국방부에서 시설투자를 전혀 안 했다.[10] 캠프 험프리스의 배치간격은 15분이다[11] 신사-용산 구간 2032년 개통 예정[12] 특히 집이 경남이나 부산인 경우, 동두천과 용산에 배치되는 것은 집에 못 간다는 의미와 다름 없었기에.. 하지만 집이 멀어도 용산기지 근처에 놀 곳이 많았기 때문에 집이 멀다고 불만을 가지는 카투사들은 서울에 사는데 대구나 왜관에 배치된 카투사들보다 적었다. 또 바로 옆에 용산역이 있고 서울역까지도 가까우므로 집도 기차역 근처에 있는 역세권이라면 보통 육군의 최전방들에 비하면 그리 오래걸리지 않는다.[13] 영구 잔류 예정 병력이 있긴 하지만 그것도 10명 안쪽으로 남을 예정.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