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11:21:14

퀘이커(종교)

무교회주의에서 넘어옴
{{{#!wiki style="padding-top: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rowcolor=#cd9f51> 1901 1902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앙리 뒤낭 프레데리크 파시 엘리 뒤코묑 샤를 알베르 고바
<rowcolor=#cd9f51> 1903 1904 1905 1906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윌리엄 랜들 크리머 국제법학회 베르타 폰 주트너 시어도어 루스벨트
<rowcolor=#cd9f51> 1907 1908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에르네스토 모네타 루이 르노 클라스 아르놀드손 프레드리크 바예르
<rowcolor=#cd9f51> 1909 1910 1911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데스투르넬 드 콩스탕 오귀스트 베르나르트 국제평화국 알프레트 프리트
<rowcolor=#cd9f51> 1911 1912 1913 191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적십자 기.svg
토비아스 아서르 엘리후 루트 앙리 라퐁텐 국제적십자위원회
<rowcolor=#cd9f51> 1919 1920 1921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우드로 윌슨 레옹 부르주아 얄마르 브란팅 크리스티안 랑에
<rowcolor=#cd9f51> 1922 1925 1926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리드쇼프 난센 오스틴 체임벌린 찰스 G. 도스 아리스티드 브리앙
<rowcolor=#cd9f51> 1926 1927 1929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페르디낭 뷔송 루트비히 크비데 프랭크 켈로그
<rowcolor=#cd9f51> 1930 1931 1933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나탄 셰데르블롬 제인 애덤스 니컬러스 버틀러 노먼 에인절
<rowcolor=#cd9f51> 1934 1935 1936 193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1861-2010).svg 파일:영국 국기.svg
아서 헨더슨 카를 폰 오시에츠키 카를로스 라마스 로버트 세실
<rowcolor=#cd9f51> 1938 1944 1945 1946
파일:국제연맹기(1939).svg 파일:적십자 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난센 국제난민 사무국 국제적십자위원회 코델 헐 에밀리 그린 볼치
<rowcolor=#cd9f51> 1946 1947 1949 195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Quaker_star-T.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존 모트 퀘이커 봉사협회 존 보이드 오어 랠프 번치
<rowcolor=#cd9f51> 1951 1952 1953 195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UN기.svg
레옹 주오 알베르트 슈바이처 조지 마셜 유엔난민기구
<rowcolor=#cd9f51> 1957 1958 1959 1960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레스터 피어슨 도미니크 피르 필립 노엘베이커 앨버트 루툴리
<rowcolor=#cd9f51> 1961 1962 1963 1964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적십자 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다그 함마르셸드 라이너스 폴링 국제적십자위원회 마틴 루터 킹
<rowcolor=#cd9f51> 1965 1968 1969 1970
파일:유니세프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국제노동기구 로고.svg 파일:미국 국기.svg
유니세프 르네 카생 국제노동기구 노먼 볼로그
<rowcolor=#cd9f51> 1971 1973 1974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빌리 브란트 헨리 키신저 레득토
(거부)
사토 에이사쿠
<rowcolor=#cd9f51> 1974 1975 197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숀 맥브라이드 안드레이 사하로프 베티 윌리엄스 메어리드 코리건
<rowcolor=#cd9f51> 1977 1978 1979
파일:국제앰네스티 로고.svg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국제앰네스티 안와르 사다트 메나헴 베긴 마더 테레사
<rowcolor=#cd9f51> 1980 1981 198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1861-2010).svg 파일:UN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아돌포 에스키벨 유엔난민기구 알바 뮈르달 알폰소 로블레스
<rowcolor=#cd9f51> 1983 1984 1985 1986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레흐 바웬사 데즈먼드 투투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 엘리 비젤
<rowcolor=#cd9f51> 1987 1988 1989 1990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파일:UN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오스카르 아리아스 유엔 평화유지군 달라이 라마 14세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cd9f51> 1991 1992 1993
파일:미얀마 국기(1974-2010).svg 파일:과테말라 국기(1968-1997).pn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아웅 산 수 치 리고베르타 멘추 넬슨 만델라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
<rowcolor=#cd9f51> 1994 199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이츠하크 라빈 시몬 페레스 야세르 아라파트 조지프 로트블랫
<rowcolor=#cd9f51> 1995 1996 1997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퍼그워시 회의 카를로스 벨로 조제 하무스오르타 조디 윌리엄스
<rowcolor=#cd9f51> 1997 1998 1999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국경없는의사회의 로고.svg
지뢰금지국제운동 존 흄 데이비드 트림블 국경없는의사회
<rowcolor=#cd9f51> 2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대중

}}}
}}}
}}}
[ 21세기 ]
##
<rowcolor=#cd9f51> 2001 2002 2003
파일:UN기.svg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유엔 코피 아난 지미 카터 시린 에바디
<rowcolor=#cd9f51> 2004 2005 2006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국제원자력기구 깃발.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왕가리 마타이 국제원자력기구 무함마드 엘바라데이 무함마드 유누스
<rowcolor=#cd9f51> 2006 2007 2008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UN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그라민 은행 앨 고어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패널 마르티 아티사리
<rowcolor=#cd9f51> 2009 2010 201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버락 오바마 류샤오보 엘런 존슨 설리프 리마 보위
<rowcolor=#cd9f51> 2011 2012 2013 2014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파일:화학무기금지기구 로고.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타우왁쿨 카르만 유럽연합 화학무기금지기구 말랄라 유사프자이
<rowcolor=#cd9f51> 2014 2015 2016 2017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
카일라시 사티아르티 튀니지 국민4자대화기구 후안 마누엘 산토스 핵무기 폐기 국제 운동
<rowcolor=#cd9f51> 2018 2019 2020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UN기.svg
드니 무퀘게 나디아 무라드 아비 아머드 세계식량계획
<rowcolor=#cd9f51> 2021 2022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마리아 레사 드미트리 무라토프 메모리알 시민자유센터
<rowcolor=#cd9f51> 2022 2023 2024 2025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알레스 발랴츠키 나르게스 모하마디 일본 원수폭 피해자 단체 협의회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
}}} ||
퀘이커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Quakers
파일:Quaker_star-T.svg
퀘이커 별은 전쟁 구호 활동 시 적십자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현재는 여러 퀘이커 조직에서 봉사 정신의 상징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원 미상.
[1]
유형 <colbgcolor=#fff,#212121><colcolor=#000,#ddd>기독교
개신교
창시 <colbgcolor=#535353>창시자조지 폭스
창시 시기17세기
지역 성도{도시이름}
주요
신앙 지역
미국, 영국, 아프리카
종교
중앙기관
명칭 {중앙기관명}
교주·수장 {중앙기관장(들)}
소재지 {중앙기관의 소재지(들)}
규모 신도 대략 377,000명 [2]
성소·성직자 {종교에서 사용되는 성소명 + n개, 종교에서 사용되는 성직자명 + n명 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언어별 명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한국어<colcolor=#000,#ddd>종교친우회, 퀘이커
영어Religious Society of Friends, Quakers, Quaker
일본어クエーカー
중국어貴格會
프랑스어La Société religieuse des Amis, Quaker
독일어Quäkertum, Religiösen Gesellschaft der Freunde
러시아어Квакеры
스페인어Sociedad Religiosa de los Amigos
이탈리아어Quaccherismo
라틴어Religiosa Amicorum Sodalitas
아랍어جمعية الأصدقاء الدينية
}}}}}}}}} ||

1. 개요2. 의식3. 역사4. 교리5. 핵심 가치 (신앙의 증언)6. 매체7. 퀘이커 교도
7.1. 정치·외교7.2. 과학·의학·학문7.3. 사상·사회운동7.4. 문화·예술7.5. 기업·자선사업
8. 여담

1. 개요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17세기 중반 잉글랜드 내전의 격동기 속에서 조지 폭스(George Fox)가, 성직자나 교회의 중개 및 의식 없이도 모든 사람이 내면에서 직접 하나님과 소통할 수 있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창시한 개신교의 한 교파이다.

이러한 핵심 신념은 모든 사람이 내면에 신성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생각으로 이어져, 시대를 앞서간 평등, 정의, 평화의 가치를 실천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퀘이커는 초기부터 노예제 폐지와 여성 인권 운동에 앞장섰으며, 모든 형태의 폭력을 거부하고 비폭력주의를 실천했다. 이러한 평화와 인권을 위한 꾸준한 노력은 1947년, 종교 단체 최초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하는 결실을 맺었다.

모든 개인의 마음속에 '내면의 빛'이 있다고 보고 이를 통해, 평등, 정의, 평화와 같은 선()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들의 정직과 성실이라는 가치는 사회적으로 큰 신뢰를 얻어, 로이드 은행(Lloyds Bank), 바클리스 은행(Barclays) 등 금융 기관과 캐드버리(Cadbury) 같은 세계적인 제과 기업을 설립하는 기반이 되기도 했다.
퀘이커(Quaker)라는 명칭은 창시자 조지 폭스가 한 재판에서 판사에게 "주님의 말씀 앞에서 떨어야(quake) 할 것"이라고 일갈한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널리 알려져 있다. 본래는 조롱의 의미로 시작되었으나, 퀘이커 교도들 자신도 이 명칭을 받아들였다.[3]

대한민국에서는 종교친우회(宗敎親友會)라고도 불리는데, 영어로 퀘이커의 원래 정식 명칭이 'Religious Society of Friends'이기 때문이다. 국내에선 약 2-3천 명의 교도가 있다고도 하며, 현재 서울대전에서 정기적인 모임이 이뤄지고 있고, 1980년대까지 있었던 부산 모임은 2020년대 기준 모임 재개를 준비 중이라고 한다.

2. 의식


퀘이커 교도들의 예배의식.

퀘이커의 예배는 '침묵 예배'(Silent Worship)로 잘 알려져 있으며, 정해진 순서나 성직자의 인도 없이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신도들은 '교회'라고 불리는 특별한 건물이 아닌, 단순한 형태의 'Meeting House'에 모여 함께 침묵 속에 머무른다. 각자의 내면에 있는 내면의 빛, 혹은 성령의 이끄심,에 조용히 귀를 기울이는 것이라고 한다.

예배 시간 동안 성령의 이끄심을 받았다고 느끼는 사람이 있다면, 자리에서 일어나 짧게 이야기(vocal ministry)를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아무도 말하지 않고 침묵으로만 예배가 끝나는 경우도 흔하다.

이름의 유래와 달리 퀘이커 교도들의 예배는 매우 조용하다. 교회 (퀘이커 교회는 주로 소박한 건물이다) 안으로 들어가서 명상하듯 고요하게 성찰하며 앉아있다가, 성경을 읽은 뒤 자신이 느낀 것을 말하는 식이기 때문이다.[4]

3. 역사

조지 폭스의 퀘이커 창립 이래, 1650년대 잉글랜드 북서부를 중심으로 퀘이커 운동이 일어났으며, 퀘이커 교도들은 청교도 혁명(Puritanism) 당시 다른 종파들과 마찬가지로 영국 정부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건너가기 시작했다.

1681년 윌리엄 펜(Wiliam Penn, 1644.10.14 ~ 1718.7.30)은 찰스 2세에게 일부 북아메리카 땅을 사서, 펜실베이니아라 명명하였으며, 퀘이커 교도들이 편히 지낼 수 있는 땅으로 만들었다.

퀘이커교 전도사인 존 울먼(John Woolman, 1720 ~ 1772)은 전도 여행을 하며 퀘이커교의 교리에 따라 남녀평등, 아메리카 원주민과 우호적인 관계, 노예 제도 반대, 전쟁 반대 등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퀘이커 정신은 그의 사후 1774년 발표된 일기에 기록되어 있다.

교리상 노예 제도에 반대했기 때문에 남북 전쟁 전에 남부의 흑인노예를 캐나다로 탈출시키던 지하조직 지하철도에도 퀘이커 교인들이 다수 가담하였다. 그 외에도 여성 참정권 운동 등 여러 사회개혁 운동에 적극적인 역할을 맡았다. 퀘이커는 일찍이 1986년에 코네티컷에서 결의를 통해 동성결혼을 받아들였다. 물론 여전히 동성애를 죄라고 보고 있는 퀘이커 단체도 존재하는데 주로 복음주의파 퀘이커들이다.

미국에서는 오랫동안 퀘이커가 평화성실, 정직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보니 정치나 마케팅에서 자주 이름이 오르내리기도 하였다. 가령 미국에 존재하는 식품회사 브랜드 Quaker가 한 예.[5]

4. 교리

다음의 내용은 IVP 아가페 신학사전(2001, (주)아가페 출판사)의 퀘이커교 신학 항목의 내용을 바탕으로 썼음을 밝힌다.

초기 퀘이커교의 신학 사상은 청교도재세례파의 요소를 포함했다. 신학자 조지 폭스는 신약 시대부터 가견 교회의 배교를 가르쳤고(딤후 3:1-5) 또 그리스도가 이미 오셔서 참교회를 모으신다고 주장하였다. 외형적인 신학은 구원할 힘이 없는데 그 이유는 우주의 내면의 빛(요 1:9-18)이 그리스도인들이 하나가 되도록 하고 계속해서 성경의 진리를 계시하고 (요 16:13) 비폭력을 요구하고 철저하게 동등할 것을 명하고 모든 인습적인 호칭을 사용하지 못하게 명령한다는 것이다. 그 빛은 불신자 속에서도 적극적으로 구원의 활동을 하였다.

외형적인 성례는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순결한 내면의 예배에 부적절한 옛 예언의 잔존이라 배척하였다.(요 4:24) 퀘이커 교도들은 신조들이 빛의 조명을 받지 않은 유한하고 불완전한 인간의 지성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하였고 전가된 의와 전적부패와 같은 교리들을 부정하였다. 참교회는 예배에 모여서 조용히 성령께서 즉흥적인 기도나 설교나 증거를 하도록 감화해 주시길 기다렸다. 성직은 무급으로 임명 없이 남녀 누구나 맡을 수 있었다.

이후 체계적인 신학적 사상이 갖추어진 것은 신학자 로버트 버클리에 의해서 나오게 되었는데 그의 저서 Apology for the True Christion Divinity에 의해서 나왔다. 그의 저서에서 성경과 교부들의 글들을 인용하여 퀘이커교의 특징의 증거들을 신약의 기독교 핵심 진리라 주장하였고 이 증거들에서 다른 모든 공식적인 교리들의 타당성을 찾았다. 그리하여 이런 상황이 너무 확신되자 나머지 퀘이커 교도들은 재세례파의 교리와 유사한 것을 버리고 다른 지적인 분위기를 받아들이지 않게 된 19세기 초까지 중요한 신학적 발전이 없었다.

오늘날의 전 세계 퀘이커교의 절반 이상이 정통 복음주의자가 되었는데 이것은 18-19세기 초 신학자 조셉 존 거니의 영향이 컸다. 성경의 무오성과 그리스도의 신성은 전통적인 퀘이커교의 교리와 조화를 이뤘지만 계속적인 계시와 교리상의 평화주의 그리고 빛을 통한 속죄는 복음주의 원리와 조화시키지 못했다. 퀘이커교의 이 분파는 목사 청빙은 했으나 임명은 하지 않았고 교회 의식의 증거는 반대하나 프로그램에 의한 예배는 사용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비복음주의적 퀘이커교도 분파는 18세기 정적주의적 퀘이커교에서 일부 파생한 합리주의적 신비주의적 자유주의적 경향과 결합하였다. 보편적인 빛의 교리가 확장되었고 성육신 교리가 희석되었고 모든 종교의 기본적인 조화가 강조되었다. 인류가 하나라는 생각 아래 이 분파는 다른 퀘이커 교파가 선교에 적극적이듯이 사회적 참여에 관심이 많고 활동하게 되었다.

퀘이커교의 분열은 원 메시지가 변화한 환경 속에서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의 해석상의 대립에 따른 것이다. 오늘날의 자유주의 퀘이커와 복음주의 퀘이커는 현대신학적인 신학 사상에서 나오기보단 17-18세기의 신학자들이 정립한 신학 정립이 퀘이커교의 논거로 여기는 양쪽 진형의 운동에 의한 도전으로 볼 수 있다.

일본의 니토베 이나조는 퀘이커이면서도 평화주의에는 관심이 없었으며 신토와 불교적 가치에 긍정적이라 무사도를 집필하기까지 했다. 현대 서구권의 퀘이커 교도들도 유니테리언처럼 종교혼합주의 성향을 띠는 경우를 숱하게 볼 수 있다.

퀘이커 신학의 핵심은 모든 사람 안에 신의 빛, 즉 '내면의 빛(Inner Light)'이 있다는 믿음이다. 이를 통해 모든 신자가 성직자의 중개 없이 직접 신과 소통할 수 있다고 보며, 이러한 믿음은 '모든 신자의 사제직(priesthood of all believers)' 교리의 근간이 된다. 이 때문에 퀘이커는 정해진 신조나 계급적 구조를 피하는 경향이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퀘이커 내에서도 신학적 다양성이 나타났다. 오늘날 전 세계 퀘이커는 크게 세 흐름으로 나뉜다.
  • 복음주의 퀘이커 (Evangelical Friends): 전 세계 퀘이커의 다수를 차지하며, 목회자가 인도하는 예배와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는 등 다른 복음주의 개신교 교파와 신학적 공통점이 많다.
  • 자유주의 퀘이커 (Liberal Friends): '내면의 빛'과 개인의 양심, 그리고 사회적 실천을 중시한다. 성경을 신앙의 중요한 원천으로 여기지만, 신의 계시는 성경에만 국한되지 않고 계속된다고 믿는다. 주로 침묵 예배를 드린다.
  • 보수주의 퀘이커 (Conservative Friends): 초기 퀘이커의 전통과 조지 폭스의 가르침을 가장 충실히 따르려는 흐름으로, 성경과 내면의 빛 사이의 균형을 강조하며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고수하기도 한다.

그나마 복음주의 퀘이커 목사나 신학자들은 한국에서도 좋아하는 신학자와 교회들이 많은 편이다. 복음주의 퀘이커에 호의적인 단체로는 대표적으로 대형 출판사이고 온누리교회에서 설립한 두란노가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기독교 방송국인 CBS기독교대한감리회,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대한기독교서회 등도 퀘이커에 대해 호의적이다.

5. 핵심 가치 (신앙의 증언)

퀘이커는 믿음을 삶으로 살아내는 것을 강조하며, 이를 '신앙의 증언(Testimonies)'이라고 부른다. 이는 추상적인 교리가 아니라, 신앙을 통해 발현되는 구체적인 삶의 방식과 가치들을 의미한다. 모든 퀘이커가 동의하는 공식적인 목록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가치들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영어권에서는 각 가치의 앞글자를 따 SPICES라는 약어로 기억하기도 한다.
  • 단순함 (Simplicity): 물질주의를 경계하고, 불필요한 것에 얽매이지 않으며 본질에 집중하는 삶을 지향한다.
  • 평화 (Peace): 모든 폭력에 반대하며, 전쟁을 거부한다. 갈등 해결에 있어 비폭력적인 방법을 추구하며, 양심적 병역거부는 퀘이커의 오랜 전통이다.
  • 진실성 (Integrity):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정직한 삶을 추구한다. 이 때문에 초기 퀘이커는 법정에서의 선서를 거부하기도 했다.
  • 공동체 (Community): 공동체 안에서 서로를 돌보고 지지하며, 함께 신의 뜻을 찾아 나간다.
  • 평등 (Equality): 인종, 성별, 계층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은 내면에 신의 빛을 지니고 있기에 동등하다고 믿는다. 이러한 믿음은 퀘이커가 노예제 폐지 운동여성 참정권 운동에 앞장서는 원동력이 되었다.
  • 청지기 정신 (Stewardship/Sustainability): 자연과 환경을 신이 주신 선물로 여기고, 이를 책임감 있게 돌보고 보존해야 한다고 믿는다.

6. 매체

  • 미움, 우정, 구애, 사랑, 결혼: 앨리스 먼로의 단편집으로, 수업에서 창조론을 가르치라고 요구하는 근본주의 퀘이커 교도들과 한 과학교사 사이의 갈등을 다룬 이야기가 나온다.
  • 밴드 오브 브라더스: 금욕적이고 고지식한 면모를 보이는 리처드 윈터스가 퀘이커 교도라는 소문이 돌고 있다는 묘사가 나오고 윌리엄 가니어가 리처드 윈터스와 가벼운 갈등이 생겼을 때, 퀘이커 교도라고 비아냥거리는 장면도 있다. 그런데 윈터스가 병사들 사이에 자신이 퀘이커 교도라는 소문이 돈다는 걸 알고 있었는지 자신이 퀘이커 교도가 아니라고 설명해주기도 했다.
  • 세븐 사이코패스: 마틴 맥도나의 2012년 작 영화. 거기에 나오는 등장인물인 주인공의 친구 한스(크리스토퍼 워컨 분)는 폴란드계 퀘이커 교도다.
  • 모비 딕: 허먼 멜빌의 소설. 스타벅은 1등 항해사이며 퀘이커 교도이다. '스타벅스'의 브랜드 이름이 여기서 따온 것.
  • 우정있는 설복(Friendly Persuasion)[6]: 1956년작 고전 영화. 남북 전쟁 당시 퀘이커 교도들의 고뇌를 다룬 이야기이다. 양심적 병역거부를 주제로 하였음에도 3공 시절 국내 개봉됐다. 게리 쿠퍼가 주인공인 제스 역을 맡았다.
  • 하이눈: 1952년 작 고전 영화로 게리 쿠퍼그레이스 켈리가 주연이다. 켈리가 퀘이커 교도여서 무법자들과 싸우지 말고 그냥 떠나자고 남편 쿠퍼를 채근한다.
  • 비포 선라이즈: 제시가 셀린에게 오스트리아 성당에서 퀘이커교 결혼식에 대해 설명하는 장면이 나온다.

7. 퀘이커 교도

7.1. 정치·외교

7.2. 과학·의학·학문

7.3. 사상·사회운동

  • 수전 B. 앤서니 (Susan B. Anthony, 미국의 여성참정권 운동가)
  • 베이어드 러스틴 (Bayard Rustin, 미국의 인권운동가,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핵심 조언자)
  • 함석헌 (한국의 사상가, 인권운동가)
  • 월트 휘트먼 (미국의 시인, 미국 문학의 거장)[7]

7.4. 문화·예술

7.5. 기업·자선사업

  • 존스 홉킨스 (Johns Hopkins, 미국의 사업가 및 자선가, 존스 홉킨스 대학교와 존스 홉킨스 병원의 설립자)
  • 존 캐드버리 (John Cadbury, 영국의 사업가, 초콜릿 회사 캐드버리(Cadbury)의 창립자)

8. 여담

퀘이커 계열은 아니고 초교파 선교단체인 예수전도단[9]에서는 가끔 'QQ'[10]라는 교제 방식을 취할 때가 있는데, 퀘이커 교도들이 서로의 친교를 위해 묻는 몇 가지 질문이라고 한다.

17~18세기 초기 퀘이커 신자들의 이름들을 보면 기독교적 가치를 자식의 이름으로 짓는 경우가 많아서 Thankful(감사하는), Charity(자선), 등 특이한 이름을 가끔 찾아볼 수 있다. [11]


[1] 빨간색과 검은색 8각별은 1917년 11월 13일 미국 퀘이커 봉사 위원회(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AFSC)가 공식 상징으로 채택했다.

그러나 이 별은 1870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당시 영국 퀘이커들이 처음 사용했다. 당시 구호활동가들은 자신들과 구호 물품이 다른 단체와 혼동되지 않도록 식별 표시가 필요했다. 이 별은 런던 데일리 뉴스 펀드가 프랑스 농민 구호를 위한 물품에 붙이면서 사용됐으며, 이전에는 영국 국기적십자기를 함께 사용했으나 프러시아 군인들과 프랑스 민간인 사이에 혼란을 초래했다. 그래서 퀘이커와 적십자를 혼동하지 않기 위해 별을 사용했다.

별 상징의 원래 디자인자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한 전설에 따르면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당시 프랑스 낭시(Nancy)시가 퀘이커의 도움에 감사해 시의 상징의 사용하도록 부탁했다고 하나 근거가 없다.

현재 이 별은 AFSC뿐 아니라 여러 퀘이커 단체가 공유하는 봉사 정신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 중이다. 디자인은 단체마다 차이가 있지만, 공통된 기원과 봉사의 헌신을 의미한다. https://web.archive.org/web/20210714190704/https://www.afsc.org/story/red-and-black-star
[2] 2017년 기준[3] 루터교빅뱅 이론처럼 원래 놀리려고 붙인 별명이 공식 명칭이 되어버린 경우다.[4] 가톨릭뉴스 지금 여기 2014-01-07 《퀘이커, 내면의 빛을 찾아가는 평화주의자》[5] 다만 해당 회사 설립자는 퀘이커 교도가 아니었다. 한편 퀘이커 신자가 설립한 유명한 초콜릿 회사는 많은 편이다. 가령 KitKat이 있다.[6] 1968년 한국 개봉 제목.[7] 어렸을 적엔 퀘이커 교도로 자랐지만, 성인이 된 후엔 기독교적 무신론·범신론자가 되었다.[8] 9살 때 어머니를 잃은 후, 퀘이커 공동체에 사는 고모네 집으로 보내져 퀘이커 교도인 고모와 고모부 밑에서 자랐다.[9] 로렌 커닝햄이 1960년에 설립한 세계 최대 규모의 청년 선교단체. 한국에서 오대원(David E. Ross) 목사가 1973년에 설립한 예수전도단과 통합하였다.[10] Quakers' Question[11] 덕분에 기독교 맥락에서 '하나님의 가호를 받은'을 뜻하는 'Preserved'와 평범한 성씨인 'Fish'가 만나 Preserved Fish(보존된 생선)가 되어버린 경우도 있다. 그 외에도 당시 영어권 개신교 문화에는 여성이 결혼전 성씨를 첫째 아이의 이름으로 짓는 문화도 있었는데, 이로 인해 Leather Peacock나 Coffin Pitts 같은 독특한 이름이 여럿 나오는 모양. 이러한 독특한 이름 중 끝판왕은 퍼블릭 유니버설 프렌드로, 본인이 14세에 열병에 걸려 사망하고 젠더리스 복음주의자로 되살아났다고 주장한 19세기 퀘이커 신도다. 실제로 여성으로 태어나긴 했지만, 그러한 정체성을 배제하기 위해 당대 퀘이커 남성의 복장도 혼용하고, 과거 이름이던 Jemima Wilkinson을 완전히 부정하는 등 독특한 방식으로 살아갔다. 설교를 하러 다닐 때 성경을 따로 챙기지 않았고, 본인이 통째로 암송한 내용을 사람들에게 전달했다고 했으며, 사상적으로는 자유의지, 노예제 반대, 결정론 부정 등등 진보적인 스탠스를 취했다. 안타깝게도 시대의 한계로 인해 당대에는 '남장하는 괴짜' 정도의 평가를 들었다고 한다. 이러한 독특한 행보로 인해 현대에 와선 젠더퀴어나 여성운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