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xymoron
矛盾語法
1. 개요
서로 반의어이거나 양립할 수 없고 상충되는 단어들이 결합된 표현을 말한다. '형용모순'이라고도 한다.2. 예시
2.1. 비유적/문학적 표현
- 작은 거인
겉으로 보기에 왜소해 보이나 정치적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 소리 없는 아우성 (유치환의 깃발)
- 성공적인 실패(Successful Failure)
- 우둔한 천재
- 시원섭섭함
- 비정상적으로 정상
- 공공연한 비밀
- 애증
- 침묵의 소리(The Sound of Silence; 사이먼 앤 가펑클의 노래 제목)
- 살아있는 시체
살아있는 죽은 몸. - ~동안 무제한
무제한이 아예 끝이 없음을 의미한다. - 필사즉생행생즉사
- Hell's Angel
2.2. 잘못된 표현
- 가짜(假-) 실력(實力)
가짜 진짜로 갖추고 있는 힘이나 능력. - 과반수 이상
과반수(過半數)는 반수(半數)를 넘었다〔過〕는 뜻이고, 동의어로 '반수 초과(超過)'가 있다. '과반수'는 절반을 포함하지 않으며, '過'가 있는 말 뒤에 절반을 포함하는 '이상(以上)'이 붙으면 모순이 된다. - 내장형 그래픽 카드, 내장형 사운드 카드
내장형 영상 처리용 확장 카드, 내장형 음성 처리용 확장 카드. - 녹은 얼음
녹은 언 것. 굳이 교정하면 '얼음이 녹은 물'이라 하는 게 옳다. - 동공지진
눈동자 구멍 땅이 흔들려서 생기는 재해. - 동물의 인권
동물의 사람의 권리. ‘동물의 권리’, ‘동물권’ 정도로 표현하는 것이 옳다. - 동물의 인생
동물의 사람의 삶(人生). '동물의 일생', '동물의 생애' 정도로 표현하는 것이 옳다. - 따뜻한 냉커피(…)
따뜻한 차가운 커피. - 시선 강간
강간은 '가해자가 강제력(폭행 또는 협박)을 통해서 피해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성관계를 행하는 것'이므로 시선만으로는 성관계를 행할 수 없다. - 아몰레드 액정
AMOLED는 액정을 사용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방식이다. - 유일무이한 둘
- 유일하게 ~한 것 중 하나
'유일'은 하나뿐이라는 뜻이지만, '~ 중 하나'는 그 대상 말고도 여럿 있다는 뜻이다. ‘몇 안 되는 ~한 것 중 하나’라고 하는 게 옳다. - 오래된 신조어
오래된 새로 만들어진 말. 이러한 것은 '신조어'가 아니라 '유행어'나 '속어', '은어'라고 해야 한다.[1] - 자문을 구하다
'자문'이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기구에 의견을 물음'이라는 뜻으로 이미 동사적 속성이 있다. 그런데 한자어에 익숙한 중국어에서도 '征求咨询'[2]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한국어에서도 근시일 내에 '자문을 구하다'를 인정할 수밖에 없을 듯하다. - 잘 알려진 일화
잘 알려진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逸話). 한자 '逸'에 '숨다'라는 뜻이 있다. - 정파 방송
정파(停波)는 방송을 중지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원칙적으로는 '정파', '정파 시간대'라 하는 것이 옳다. - 제일 -(으)ㄴ 것 중 하나
'제일'에 '하나'라는 뜻이 있다. - 최소 n미터 이내
- SSD 하드
반도체 기억장치 경질 (자석) 기억장치.
2.3. 어원적 모순
어원상으로는 모순이지만 현대 표준어 기준으로는 오류가 아닌 말들. 한자어는 현대 한국어의 기준으로 더이상 분석되기 어렵게 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일이 자주 발생한다. 즉, 자연스레 의미가 확장되거나 다의어가 된 단어일 수 있다. 이런 표현들은 직역하면 오역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가상현실
현실에는 없는 것 현실 - 검은 백조
검은 흰 새(白鳥). - 그린홍합
녹색 빨간색 (살) 조개(紅蛤). - 더치 아메리카노
네덜란드식 미국식(커피). - 작은 대문
작은 큰 문(大門). 일본어로도 '小さな大-(작은 대-)' 같은 식으로 쓸 때가 있다. 단순히 '문'이라는 뜻으로 확장돼서 쓰이는 것 같다. - 동물인형
동물 사람의 형상을 한 것(人形)수인의 형상을 한 것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인형'이 "사람이나 동물 모양으로 만든 장난감."으로 풀이되어 있다.[3] - 마법 면역
'면역(免疫)'의 '역(疫)'은 본래 '질병'을 뜻하는 단어이다. - 메모리 누수
메모리 물이 샘(漏水)[4] - 미국식 영어[5], 캐나다식 영어[6], 호주식 영어[7] 등등…
'영국식 영어'라는 말로 알 수 있듯, 결국 이런 식으로 쓸 수밖에 없다. - African American, European American, Asian American, German Russian, Korean Chinese 등등
- 비닐봉지
석유를 기반으로 한 고분자 화합물의 일종+무엇을 넣으려고 종이로 만든 용기(封紙)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봉지'의 뜻이 "종이나 비닐 따위로 물건을 넣을 수 있게 만든 주머니."로 풀이되어 있다. - 가죽 지갑
가죽 종이로 만든 갑(紙匣)
'지갑(紙匣)'의 첫 번째 뜻풀이는 "돈, 증명서 따위를 넣을 수 있도록 가죽이나 헝겊 따위로 쌈지처럼 만든 자그마한 물건."이다. 이는 바가지가 본래는 박 열매로 만든 것이나 현재는 재질에 상관 없이 그러한 용도를 지닌 도구 전반을 가리키는 단어로 전용된 것과 같은 맥락이다. 곧, 어원 의식이 옅어졌다. - 야채 육수
야채 고기를 우려낸 국물. - 큰 소포
큰 작은 꾸러미(小包). 단순히 '꾸러미'라는 뜻으로 확장돼서 쓰이는 것 같다. - 콩우유 ('두유'의 북한어)
콩을 짜낸 소젖(牛乳)
단, 이 단어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콩가루에 설탕, 분유 따위를 섞어서 끓이거나 끓는 물에 탄 영양 음료."로 등재되어 있다. 즉, 북한에서는 두유를 뜻하는 말이지만, 남한에서는 우유에 콩가루를 탄 음료를 뜻한다고 보면 된다. 또, 남한에서의 뜻은 북한에서는 '콩젖'이라고 한다. 사실상 문화어에서 서로 바뀌었다. - 피해를 입히다, 피해를 주다
'해를 입음'의 뜻을 가진 '피해'였으나 오늘날에는 '손해'라는 의미로 갖게 되어 '피해를 주다'도 사전에 실려있다. 굳이 현실을 반영하면 '피해'를 '披害(해칠 피, 해칠 해)'로 적을 수 있겠다. - 작은 큰따옴표/큰 작은따옴표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라고 하지만 '대문자'와 '소문자'처럼 글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말이 아니다. - 여남작(女-男爵)
'Baroness'의 번역어. 여남작 작위를 받은 대표적인 인물로는 영국의 마가렛 대처 前 수상이 있다. - 여장부
여자(女) 장성한 사나이(丈夫) - 아직/지금까지 ~고 있다.
어떤 일의 이전/현재가 끝임을 나타내는 보조사 + 현재진행형 시제 → 현재도 ~고 있다. / 현재까지 ~고 있었다. - 허위사실(虛僞事實)
공허하고(虛) 거짓된(僞) 실제로(實) 있는 일(事) - -音癡(おんち)
方向音痴(길치), コンピューター音痴(컴맹) 등. 일본어로는 음악과 상관없어도 접미어처럼 쓰인다. 한국어 '-치'와 같은 뜻. 한국에서도 맛을 잘 모르는 사람을 '맛음치'로 표현하는 것과 동일한 예다.
3. 관련 문서 및 링크
- 완곡어법
-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 양날검
- 반어법
- 역설법
- 강한 부정은 긍정
- 승자없는 싸움
- 우리말 필살기("이러한 모순 어법은 우리말을 처음 배우는 사람들을 어리둥절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배우기 어렵게 할 수도 있다.")
[1] '철지난 유행어'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다.[2] 询은 問과 거의 비슷하게 '묻다'라는 의미이다.[3] 일본어로는 '人形'가 한자대로 사람 모양으로 만든 장난감만을 나타내며, 동물 인형은 'ぬいぐるみ'라고 한다.[4] 원래의 용어는 'Memory leakage'로 '새다'라는 의미를 확장해서 사용하는 듯 하다. 어원적으로는 맞지 않지만 이미 관용적인 표현으로 굳어졌다. 실제로 '엔진오일 누수'같이 틀리게 사용하는 예도 많다.[5] 본디 영국에서 유래했으나 미국인들이 변형해서 쓰는 언어.[6] 본디 영국에서 유래했으나 캐나다인들이 변형해서 쓰는 언어.[7] 본디 영국에서 유래했으나 호주인들이 변형해서 쓰는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