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주요 바둑 기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7대 기전 | 기성전(대) · 명인전 · 왕좌전 · 천원전 · 혼인보전 · 기성전(소) · 십단전 | |
종합 기전 | 아함동산배 · 용성전 · NHK배 | ||
제한 기전 | 마스터스컵 · OVER40 · 13노반 · 그랜드 챔피언전 · 왕관전 · SGW배 | ||
신인 기전 | 신인왕전 · 약리전 · 오카게배 · 이베로재팬배 | ||
여자 기전 | 여류혼인보전 · 여류명인전 · 여류기성전 · 아이즈중앙병원배 · 센코배 | ||
리그전 | 트라이컵 · 일본여자바둑리그 | ||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국제 기전 · 한국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폐지 기전 |
* 주최: 아사히 신문, 일본기원, 관서기원
* 대회 방식: 본선 9인(전기 준우승자+전기 리그 2~6위+예선 토너먼트 통과자 3명) 풀리그. 리그 1위가 도전자. 도전기는 7번기로 진행.
* 상금: 우승 3000만 엔
* 시간: 본선 리그 각자 5시간, 1분 초읽기 5회. 도전기 각자 8시간, 1분 초읽기 10회.
* 계가: 일본룰, 덤 6집 반
* 일본기원 홈페이지의 대회 소개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바둑 기전. 첫 대회인 1962년부터 1975년까지는 요미우리 신문에서 주최했으나 1976년 대회부터는 아사히 신문에서 주최하고 있다.[1]2. 구(旧) 명인전
1961년부터 요미우리 신문의 주최로 열린 일본의 프로 바둑 기전. 본래 명인은 일본의 바둑 최고수에게 붙이는 호칭이었다가 현대적 프로 기전의 명칭이 된 것. 기성전 출범 이전에는 혼인보와 함께 일본의 양대 기전이었다.1기 구 명인전은 13명의 기사가 풀리그로 경기를 치렀는데, 제한시간은 각자 10시간 이틀 대국으로 덤은 5집이었고, 빅이면 백의 승리로 간주했다. 사실상 덤 5집 반이지만 덤 5집 반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그것은 후술한다. 어쨌든 1기 명인전은 최종적으로 우칭위안, 후지사와 히데유키, 사카타 에이오 세 기사의 경합이 되었다. 최종전을 치르기 전 1경기씩 남기고 있었을 당시 후지사와가 9승 2패로 선두를 달리고 있었고, 우칭위안과 사카타가 각각 8승 3패였다.
최종전에서 우칭위안과 사카타가 서로 대국을 하는 상황이었으므로 최종전에서 후지사와가 이기면 그대로 우승, 지면 우칭위안과 사카타와의 대국에서 승자와 재대국을 벌여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런데 후지사와가 6승 5패로 이미 우승이 좌절된 하시모토 쇼지에게 유리한 바둑을 역전패했고 이에 충격을 먹은 후지사와는 홧김에 술을 마시러 나가버렸다. 이후 우칭위안과 사카타의 대국이 흑이 반면 5집을 남기면서 끝났다. 즉 '빅'이 되었는데 78번의 대국들 중 유일한 빅이었다. 당시 우칭위안이 백이었으니 우칭위안의 빅승이었고, 우칭위안과 후지사와가 9승 3패로 동률이 되었다.
그런데 '빅으로 인한 승리는 일반적인 승리에 밀린다.'라는 특수 규정이 있었고, 빅승이 없었던 후지사와는 이 특수 규정 덕분에 정말 극적으로 재대국 없이 그대로 초대 명인 타이틀을 획득했다. 한편 후지사와는 우승한 지도 모르고 술에 취해 있었고 요미우리 신문사는 취재를 위해 후지사와를 찾아다녔으나 만나지 못했다는 해프닝이 있었다.
2기부터는 전 대회 리그 상위 6명+예선을 통과한 3명간의 풀리그를 진행한 뒤 리그 우승자가 타이틀 보유자와 7번기를 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이 방식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2]
1975년 14기 대회가 끝난 이후 아사히 신문이 대회 주최권을 사들이고 1기부터 다시 대회를 시작하여 이전의 명인전을 '구(旧) 명인전'으로, 이후의 명인전을 '신(新) 명인전'으로 부르게 되었다.
3. 신(新) 명인전
1975년 쇼기 명인전을 주최하던 아사히 신문이 요미우리 신문으로부터 명인전 주최권을 사들여, 1976년 1기부터 대회를 다시 시작했다. 따라서 이전과 이후 대회의 역사는 분리되게 되었고, 필요할 경우 이전 명인전은 '구' 이후 명인전은 '신'을 붙여 구분짓고 있다. 아사히 신문에 대회 주최권을 넘긴 요미우리 신문은 새로운 프로 기전인 기성(棋聖)전을 창설하여 1977년부터 현재까지 주최하고 있다.혼인보, 기성(棋聖), 명인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하는 것을 대삼관(大三冠)이라고 부른다. 2021년 현재까지 대삼관을 달성한 기사는 조치훈 九단과 이야마 유타 九단 2명 뿐이다.[3]
2023년 현재 명인은 시바노 도라마루 九단이다.
4. 역대 명인전 우승자
4.1. 구(旧) 명인전
회차 | 연도 | 우승 | 전적 | 준우승 | 비고 |
<colbgcolor=#ddd> 1회 | 1962년 | 후지사와 히데유키 八단 | 9승 3패 | 13인 리그 체제 | |
2회 | 1963년 | 사카타 에이오 九단 | 4:3 | 후지사와 히데유키 九단 | |
3회 | 1964년 | 사카타 에이오 九단 | 4:1 | 후지사와 히데유키 九단 | |
4회 | 1965년 | 린하이펑 八단 | 4:2 | 사카타 에이오 九단 | |
5회 | 1966년 | 린하이펑 八단 | 4:1 | 사카타 에이오 九단 | |
6회 | 1967년 | 린하이펑 九단 | 4:1 | 사카타 에이오 九단 | |
7회 | 1968년 | 다카가와 가쿠 九단 | 4:1 | 린하이펑 九단 | |
8회 | 1969년 | 린하이펑 九단 | 4:2 | 다카가와 가쿠 九단 | |
9회 | 1970년 | 후지사와 히데유키 九단 | 4:2 | 린하이펑 九단 | |
10회 | 1971년 | 린하이펑 九단 | 4:2 | 후지사와 히데유키 九단 | |
11회 | 1972년 | 린하이펑 九단 | 4:2 | 후지사와 히데유키 九단 | |
12회 | 1973년 | 린하이펑 九단 | 4:3 | 이시다 요시오 九단 | 린하이펑 리버스 스윕 |
13회 | 1974년 | 이시다 요시오 九단 | 4:3 | 린하이펑 九단 | |
14회 | 1975년 | 오타케 히데오 九단 | 4:3 | 이시다 요시오 九단 |
4.2. 신(新) 명인전
[1]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1975년까지는 (구)명인전, 1976년 부터는 (신)명인전이라고 표기한다.[2] 하지만 48회 대회는 리그 상위 5명이 잔류하고, 탈락자가 4명으로 늘어났다.[3] 조치훈은 2차례(1983년과 1996~98년), 이야마 유타는 3차례(2013년, 2017년, 2020년) 달성했다. 조치훈이 3년 연속 대삼관을 달성했으나 이는 3회가 아닌 연속된 1회로 쳐서 통산 2회로 인정되고 있다.[4] 원래 규정대로라면 2대1로 앞선 4국에서 흑을 잡은 조치훈의 반칙패가 돼야 하는 게 맞지만, 무난하게 두던 와중 갑자기 팻감을 써야 할 차례라는 걸 잊어버려 기록자에게 지금 패를 두어도 되냐고 질문해버린다. 그런데 이걸 또 기록자였던 히코사카 나오토 (당시)四단 두어도 된다고 답하는 바람에 조치훈이 정말로 팻감을 안 쓰고 패를 되따내 버렸다. 원래대로면 조치훈에게 반칙패가 선언되어야 할 상황이었지만 사태를 만들어낸 심판에게도 책임이 컸기 때문에 갑론을박 끝에 대국은 무승부로 결론지어진다.[5] 당시는 이를 제재하는 규정도 없었을 뿐더러 기록자도 어느 정도 용인해주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해당 사건이 터진 이후 착수와 관련된 질문은 금지하는 조항이 추가되었다.[6] 3패빅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