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 2021년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ime 100: The Most Important People of the Century | ||||
혁신가 부문 # | |||||
젠슨 황 | 일론 머스크 | 에이드리엔 밴필드 노리스 | 윌로 스미스 | 제이다 핀켓 스미스 | |
커털린 커리코 | 메리 배라 | 존 응켄가송 | 미미 아웅 | 비탈릭 부테린 | |
비야 | 바니 그레이엄 | 프레데리케 오토 | 헤이르트 얀 판올덴보르흐 | 구마 겐고 | |
사라 멘커 | 리디아 모라프스카 | ||||
같이 보기: 아이콘 부문, 예술가 부문, 거장 부문, 지도자 부문, 개척자 부문 | }}}}}}}}} |
<colbgcolor=#17399f><colcolor=#fff> 메리 배라 Mary Teresa Barra[1] | |
출생 | 1961년 11월 24일 ([age(1961-11-24)]세) |
미국 미시간 로열 오크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기업인 |
현직 | 제너럴 모터스 (CEO) (2014년 1월~ ) 제너럴 모터스 (이사회 의장)(2016년 1월~ ) 월트 디즈니 컴퍼니 (이사)(2017년~ ) |
학력 | 케터링 대학교 (전기공학 / 학사) 스탠퍼드 대학교 (MBA) |
가족 | 아버지 레이 매케래, 어머니 남편 토니 배라, 자녀 2명 |
연봉 | 2,898만 달러[2] (2022년) |
링크 | | |
[clearfix]
1. 개요
메리 배라는 미국의 기업인이다. 제너럴 모터스의 CEO 겸 이사회 의장 직책을 역임하고 있다.2. 생애
GM 계열사였던 폰티악 브랜드의 금형을 제작하는 업무에 종사한 인물이자 핀란드계 미국인 아버지 레이 매케래(Ray Mäkelä)의 자녀로, 미시건 주 로열 오크(Royal Oak)에서 태어났다.미시건 주 워터포드(Waterford)의 워터포드 모트 고등학교(Waterford Mott High School)를 졸업했다. 제너럴 모터스 인스티튜드[3] 전자공학과에 1980년 입학해 학사 졸업했다. 1980년부터 메리 배라는 GM의 co-op student[4]로 디트로이트 주 햄트랙 조립공장의 지배인을 비롯해서 각종 기술자 및 운영자 직책을 맡았다.
1990년 스탠퍼드 대학교 MBA를 졸업했다. 그 후에는 잭 스미스[5] 당시 GM 회장의 비서로 일했으며, 구조조정에 참여해 개발비용을 줄이는 등의 활약을 해왔다. # 2008년에는 글로벌 제조 부문(Global Manufacturing Engineering)의 임원[6]으로 임명되었으며, 2009년 7월부터 2011년 2월까지 글로벌 인사팀(Global Human Resources)의 임원으로서 활동했다. 인사팀 임기를 마무리한 후에는 글로벌 제조팀의 회장 자리를 맡았고, 자동차 설계와 디자인에 관여했다. 2013년 8월에는 글로벌 구매&물류팀(Global Purchasing and Supply Chain)의 임원으로까지 임명되었다.
2014년 1월에는 댄 애커슨(Dan Akerson)의 뒤를 이어 제너럴 모터스 CEO로 임명되었다. 여성이 CEO로 임명된 것은 미국 3대 자동차 제조사 중 최초로 있는 일이다.
최고경영자로서 보낸 첫 1년간은 점화장치 결함으로 인한 전 세계 3천만 대의 리콜을 84차례 수행했다. 또한, 배라 회장의 임기 동안에는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과 전기자동차 기술에도 투자가 이루어져 쉐보레 볼트 EV 같이 장거리 주행이 가능한 실용적인 전기자동차를 출시하는 등의 업적도 있었다. 나아가 이 볼트 EV는, 크루즈 오토메이션(Cruise Automation) 사외의 협업으로 2017년 말부터 자율주행 자동차로 개조되어 샌프란시스코에서 시험 운영하기도 했다.
2017년 8월부터는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이사진으로 임명되었으며, 올란도 디즈니월드의 엡콧 센터(Epcot Center)에서 테스트 트랙(Test Track)이라는 새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협업하는 중이다. 또한 항공우주업체 및 방산업체인 제너럴 다이내믹스, 디트로이트 이코노믹 클럽(Detroit Economic Club), 스탠포드 대학교, 스탠포드 경영대학원, 디트로이트 컨트리 데이 스쿨(Detroit Country Day School)의 이사진으로서도 명단에 올라가 있다.
한편, 주가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매리 베라가 사임해야 한다는 투자자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회사 내부에서도 메리 배라의 리더십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은 편인데, GM의 완전 민영화 이후 주주들의 권한이 강화되어 수익성 강화를 요구하는 그들의 목소리를 의식해야 했기 때문에 사업 축소가 전보다 심해졌다.
2018년 10월 30일에 한국을 방문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2014년에 글로벌 부사장으로서 방문한 이후의 첫 방한이자 잭 스미스 이후 처음으로 이루어지는 GM 회장의 방한계획이다. # 2018년 11월에 한국GM에 대한 메세지는 구조조정 및 인력 감축[7]과 관련된 내용이다. #
2024년 2월 6일 오후 5시경,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대한민국에 입국했으며, 2013년 이후 11년 만에 방한했다. 7일에 합작공장 사업 일정, 단가 협상, 수급 차질에 따른 배터리 납품량 등을 확인하기 위해 LG(LG전자, LG에너지솔루션) 및 삼성 계열사 2곳(삼성전자, 삼성SDI) 임원진들을 만났다.
3. 성향
제너럴 모터스의 회장으로서, 메리 배라는 댄 애커슨의 강력한 "구조조정" 및 "선택과 집중" 경영방식을 이어받았으며, 미국과 중국 시장에 주로 집중하되 대한민국,[8] 인도,[9] 러시아[10], 스위스에 위치한 쉐보레 유럽[11] 등 수익성이 낮은 지역에서 철저한 구조조정을 지휘해 왔다. 한국GM 군산공장 폐쇄와 생산법인/개발법인 분리 시도, 인도 시장 철수, 러시아 시장 생산 중단, 태국 공장 매각과 동남아 시장 철수, 호주 홀덴 현지공장 폐쇄와 판매/개발팀 완전 철수, 오펠-복스홀을 PSA 그룹으로의 매각을 통한 유럽시장 철수와 같은 움직임이 대표적인 행보이다. 나아가 북미와 중국 이외의 시장에서는 그녀의 측근들이 시장성과 수익성을 아주 엄격하게 따지고 있으며,그로 인해 GM 한국사업장과 홀덴, 오펠 암페라-e와 같이 가격을 엄청 높게 받아 소비자들의 반감을 사거나 팔기 싫은 마인드 및 자신들이 수익을 악화시켜 놓고 그에 대한 비용은 잘 뜯어가는 적반하장식 마인드에 대한 비판은 존재한다. 배라가 이끄는 GM이 전기자동차 및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비 투자를 위한 단기적 이익의 대규모 창출에 집중하고자 대량 판매 및 가격 경쟁보다는 확실한 마진, 즉 하나를 팔더라도 돈을 확실하게 벌 수 있는가를 선호하는 성향이 강해진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14]
4. 기타
- 가족으로는 제너럴 모터스 인스티튜드에서 만난 배우자인 토니 배라(Tony Barra)가 있으며, 아이 둘을 둔 채로 디트로이트 교외의 노스빌(Northville)에 거주하고 있다.
-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차로는 폰티악 파이어버드와 쉐보레 카마로를 꼽았다.[15]
- 첫 차는 쉐보레 셰베트였으며 이후 폰티악 파이어버드로 대차했다.#
- 블룸버그 오리지널스와의 인터뷰 영상에 따르면 현재는 자사의 GMC 허머 EV SUV를 타고 다니는 것으로 보인다.
[1] 혼전에는 매리 테레사 마케라. 대한민국에서는 메리 배라 외에도 메리 바라, 매리 배라, 매리 베라 등의 표기를 쓰고 있다.[2] #[3] General Motors Institute. 지금의 케터링 대학교(Kettering University).[4] 학교 캠퍼스에 기업과 동일한 환경을 조성한 후, 실무교육을 집중적으로 받는 학생으로, 근로장학생과 비슷한 개념이다.[5] Jack Smith. 그는 로저 스미스의 후임이다. 로저 스미스 시절의 GM을 재수습하는 일을 맡았으며, 브랜드 간 개성을 명확히 하는 데 공을 들이거나 해외로 공장을 옮기고 대우자동차 인수 참여를 통해 아시아 시장으로 진출을 확대했다.[6] Vice President[7] 나아가 미국에서도 전미자동차노조 조합원들을 비롯한 관계자들 대상의 대대적인 인력감축을 예고했다.[8] 군산공장에서 수출용으로 생산하던 구형 라세티가 단종되었으며, 오펠/복스홀에 납품하던 오펠/복스홀 모카도 유럽 현지로 생산공장을 옮기는 등 한국GM에게 오는 수요가 현저히 줄어들었다.[9] 이후 카허 카젬이 한국GM 수장으로서 공장 2곳 중 1곳만 수출용으로 남기고 나머지 하나는 폐쇄했다.[10] 현지 공장을 현대차그룹에 판 것도 모자라 러시아가 우크라를 침공하자 판매 네트워크까지 발 뺐다...[11] 캐딜락 유럽은 고급 브랜드로 남겨놨다. 대신 리릭과 콜벳 C8만 남기고 모두 철수했다.[12] 다만, 북미에서도 구조조정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라서 전미자동차노조를 대상으로 1만 8천명의 희망퇴직을 접수받기도 했다. 나아가 2019년 12월까지 미국 디트로이트 햄트랙과 오하이오 로즈타운 공장, 캐나다 온타리오주 오샤와 공장을 폐쇄한다고 발표해 노동조합은 물론이고 도널드 트럼프까지 격분하는 반응을 보인 바가 있다.[13] 이는 GM 뿐만 아니라 2010년대 들어서 SUV 및 크로스오버의 인기가 올라감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모든 자동차 제조사들의 다른 세그먼트 차종들이 인기를 잃기 시작해 자동차 업계 대다수가 SUV, 크로스오버에 집중하고 있다.[14] 다만 대봉쇄의 심각한 후유증으로 전기차 보다는 내연기관이나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잘 팔리게 되면서 GM 사상 최악의 경영악화로 인해 로저 스미스나 릭 왜고너보다 혹평을 더 받는 상태이다. 일각에서는 업계 막장 취급을 받는 스텔란티스 N.A.보다 전망이 어둡다고 하는 상황. 특히 램 트럭스에서 STLA FRAME 기술을 일부 접목한 램 픽업 1500, 2500, 3500 PHEV가 최근 출시되었으니 더더욱... 현대자동차그룹과의 협력관계 선언도 공동개발, 공동생산, 공동판매를 포함함에 따라 자사에서 미흡한 하이브리드 구동계 보완을 엄두한 선택이라는 시각이 있다.[15] 두 모델 모두 GM F 플랫폼이 사용되었던 차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