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ion's City |
1. 개요
독일의 MAN에서 1996년부터 생산하는 도시형, 광역 저상버스, 굴절버스 및 2층버스 라인업. 기존의 NL/NG/ND/NM XX2 모델의 후속작으로 출시되었다. 현재의 Lion's City라는 이름을 쓰게 된 것은 2004년 페이스리프트 이후. 2009년 계기판 변경 등의 소소한 변화를 거치다가 2018년 풀체인지 모델이 공개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유럽 시장용 모델 기준 코드명은 ND/NL/NG/NÜ/NM XX3 AXX이다.[1] 기본형 모델만 나열하자면, 좌석형 모델은 A20, 12미터 모델은 A21, 18미터 굴절버스 모델은 A23이라는 코드가 붙는다. 이외에도 10M형, 15M형, 하이브리드형, 전기버스형, 차체 연장형, 장축형, 로우엔트리형 등등의 모델에 따라 붙는 이름이 다 다르다.
2. 상세
| |
유럽에서 운용되는 굴절버스 모델 차량 모습 |
샤시용 모델(NDXX3F A95(2층버스)/NLXX3F A22(일반버스)/NGXX3F A24(굴절버스))도 존재하는데, 주로 영국, 싱가포르, 홍콩 등 영미권 국가와 스페인에서 쓴다. 싱가포르, 홍콩 등지에서 보이는 번쩍번쩍한 2층버스는 섀시만 가져와 타 회사에서 만들었다고 보면 된다.[2] 경기도의 2층버스, 군산 버스 99, 부산, 여수, 세종시티투어 2층버스들도 MAN 라이온스 더블데커로 많이 알려져 있으나, 바디의 경우 UNVI사의 SIL INTERCITY라는 모델이다.[3] 특히 싱가포르, 홍콩에서 보이는 MAN 버스는 전부 Gemilang Coachworks에서 만든 것이다. 이 회사에서 만든 Lion's City는 디자인은 유럽 모델과 유사하나 측면에 사이드마커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스페인 카스트로수아[4] 사에서도 이 샤시를 이용해 카스트로수아 뉴 시티라는 차량을 제작하고 있다.
대한민국에는 2017년 서울모터쇼를 통해 처음 공개되었다. 대한민국 시장용 모델 한정으로 MAN의 순정 바디가 아닌 스페인 Castrosua 사의 City Versus 바디를 탑재한 모델이 공개되었다. 유럽에서 운용하는 순정 바디 모델의 전폭이 국내 규격을 초과하기 때문에 이렇게 된 것이 아니냐[5]는 추측이 있었으나, 라이온스 시티 LE, 라이온스 시티 LE Ü를 제외한 모든 라이온스 시티 모델의 전폭은 2.50m으로 생산되므로 전폭 규정을 만족하기 때문에[6] 가장 유력한 이유는 차량 단가 문제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다만 유럽 본가 모델이 2018년에 풀체인지를 하면서 모든 라인업에 전폭 2.55m가 적용되었기 때문에 다 옛말이 되었다.
2018년 유럽 시장용 풀체인지 모델이 공개되었다. 링크. 해당 모델은 2018년 9월 정식 출시되었다.
유럽 시장용 모델 기준 최저지상고[7]가 타 경쟁 모델보다 약간 낮은 편이다. 타 메이커 차량은 지면에서 천장까지 전고가 3.1미터인데 비해, 이 모델만 2.9미터이다. 1995년 출시된 이후부터 계속된 전통이다. 때문에 타기는 더 쉽지만 대신 험지주파력이 떨어지는 편이다.
4년에 걸쳐 레고로 이 버스 굴절형 모델을 만든
3. 대한민국 시장용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AN 라이온스 시티/대한민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AN 라이온스 시티/대한민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제원
- 섀시
전장 | 10,050 mm ~ 18,750 mm |
전폭 | 2,500 mm |
전고 | 2,880 mm |
휠베이스 | 4,395 mm ~ 6,870 mm |
차량 회전반경 | 20,610 mm |
차량 공중량 | ?? kg |
- 엔진
엔진 | 기관 형식 | 배기량 | 최대 출력 | 최대 토크 | 환경 기준 |
D2066 | 직렬 6기통 | 10.5리터 | 280, 320, 360마력 | 184 kgf·m | 유로 6 |
E2876[8] | 12.8리터 | 272, 310마력 | 228 kgf·m |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03c49> 분류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중형트럭 | TGL · TGM | - | |
대형트럭 | TGS · TGX | TGA | |
도심형버스 | 라이온스 시티 | 라이온스 시티(대한민국형) | |
광역버스 | 라이온스 인터시티 · 라이온스 레지오 · 라이온스 더블데커 | - | |
장거리버스 | 라이온스 코치 | - | |
투어버스 | 라이온스 투어링 | - | |
LCV | TGE | - | |
전차 | - | 5호 전차 판터 · 판터 II |
[1] N: Niederflur(저상), D: Doppeldeckerbus(2층), L: Linienbus(일반 노선버스), G: Gelenkbus(굴절), Ü: Überlandbus(시외형 좌석), M: Midibus(중형)을 의미하고, XX3 중에서 XX는 엔진 마력(260~360마력)을 뜻한다.[2] 2층버스 모델을 MAN에서 직접 만든 건 베를린 시내버스용 차량을 제작한 2009년이 마지막이다.[3] 실제로 UNVI사 홈페이지에 모델사진이 나와있으며, 한국에서 운행하는 MAN 라이온스 더블데커의 창문에는 UNVI 로고가 박혀있다.[4] 스페인 산티아고에 위치한 회사로 스페인어권 국가 시장이 주력이다. 볼보트럭, 스카니아, 이베코, MAN사의 샤시에 자체 개발한 바디를 탑재해 판매한다. 하술할 대한민국 시장용 차량도 이 회사에서 만들었다. 마드리드 등지에 가면 디자인은 똑같은데 차량 제작사 로고는 다 다른 버스들을 볼 수 있는데, 이 회사에서 제작한 것이다.[5] 국내의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는 전장 13.0m, 전고 4.0m, 전폭 2.50m 이하만 차량 등록이 허가되는데, 유럽의 많은 도시형 이상 버스 모델들은 전폭 2.55m으로 생산되고 있다. 한 예로, 에버랜드 구내에서 셔틀버스로 운용 중인 벤츠 시타로는 전장 15.0m, 전폭 2.55m, 구동축중 12톤인 관계로 놀이기구로 등록되어 있다.[6] 물론 2.50m의 전폭 규정을 만족해도 전장 규정 13.0m을 초과하는 모델들의 경우는 여전히 차량으로 등록할 수 없다.[7] 차체와 지면 간 높이[8] 천연가스버스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