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8 04:23:43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wiki style="color: #1868D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 margin: -6px -1px -12px"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자격정지
루마니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위스
스웨덴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파일:안도라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웨일스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페로 제도 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튀르키예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라트비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관련 문서
]]
<colcolor=#9e3039,#ddd>{{{#!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9e3039>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라트갈레/역사) · 리보니아(리보니아 검의 형제기사단) · 쿠를란트-젬갈렌 · 러시아 제국 · 라트비아 제1공화국 · 소련(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입법부
외교 외교 전반 · 발트 3국 · 유럽연합
경제 경제 전반 · 라트비아 라트(폐지) · 유로
국방 라트비아군 · 육군 · 해군 · 공군
문화 문화 전반(라트갈레/문화) · 요리 ·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라트비아 영화 · 라트비아어(라트갈레어)
지리 라트비아/지리 · 다우가바 강 · 리가 · 라트갈레
기타 라트비아인 · 라트비아계 미국인 · 라트비아계 러시아인 · 러시아계 라트비아인 · 라트갈레족
}}}}}}}}}||

파일:Latvia_national_team_logo.png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Latvijas Nacionālā futbola izlase
정식명칭 Latvijas Nacionālā futbola izlase[1]
FIFA 코드 LVA
협회 라트비아 축구 연맹 (LFF)
연맹 유럽 축구 연맹 (UEFA)
감독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파올로 니콜라토 (Paolo Nicolato)
주장 크리스터스 토베르스 (Kristers Tobers)
최다출전자 비탈리스 아스타피에브스 (Vitālijs Astafjevs) - 167경기
최다득점자 마리스 베르파코프스키스 (Māris Verpakovskis) - 29골
홈 구장 다우가바 스타디움 (Daugava Stadium, 4,022석)
첫 국제경기 출전 VS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1:1 무)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리가 (1922년 9월 24일)
최다 점수차 승리 VS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6:1 승)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리가 (1935년 5월 30일)
VS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5:0 승)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보루 (2012년 6월 1일)
VS 파일:지브롤터 기.svg 지브롤터 (5:0 승)
파일:지브롤터 기.svg 지브롤터 (2016년 3월 29일)
VS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5:0 승)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안도라라베야 (2020년 11월 17일)
최다 점수차 패배 VS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0:12 패)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톡홀름 (1927년 5월 29일)
UEFA 유로 진출 1회 (2004)[2]
올림픽 진출 1회 (1924)
별칭 Sarkanbaltsarkanie (빨강-흰색-빨강)
FIFA 랭킹 136위[3]
Elo 랭킹 122위[4]
유니폼 컬러 어웨이
상의 파일:아디다스 로고 화이트.svg파일:Latvia_national_team_logo.png
9

하의 9 6
양말

1. 개요2.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3. 현재 선수 명단4. 역대전적5. 연령별 대표팀
5.1. U-23 대표팀
5.1.1. 올림픽

[clearfix]

1. 개요

라트비아축구 국가대표팀이다.

現 감독은 다이니스 카자케비치이다. 레드-화이트-레드(Sarkanbaltsarkanie)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1991년 독립 이후 UEFA 유로 2004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터키를 격파하고 사상 처음으로 유로2004 16개국 본선에 진출했으며[5] 16강 조별리그에서 승점 1점 1무 2패 유로 14위를 기록한 바가 있다. 이 1무 승점 1점 획득은 독일을 상대로 거둔 것이다.

2013년 11월 18일, 영국 챔피언십리그의 요빌 타운을 상대로 한 친선경기에서 1:0으로 이긴 바가 있다.하지만 요빌은 강등권…

한국과는 지금까지 총 2번 맞붙은 적이 있다. 2010년 스페인 말라가에서 경기를 가졌으며, 김재성의 골로 한국이 1:0 승리를 거두었다. 2018년 2월 3일에 터키 안탈리아에서 가진 친선경기에서는 김신욱의 골로 1:0으로 승리했다.

우리에게 알려진 선수로는 한때 손흥민과 같이 함부르크 SV에서 뛰었던 공격수 아르툠스 루드네우스가 있다. 루드네우스가 은퇴한 현재는 사실상 한국에 잘 알려진 선수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유망주로는 바이에른 뮌헨 2군 소속의 유망주 다니엘스 온투잔스가 있으며 라트비아에서도 기대를 받는 편.

지금은 만년 유럽 약체팀이지만 월드컵에 진출할 뻔한 적이 있었다. 바로 그 때는 1938 프랑스 월드컵인데 당시 예선 1라운드에서 리투아니아를 두 경기 합 9:3으로 물리친 라트비아는 플레이오프에서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2:1 석패한다. 그렇게 오스트리아가 월드컵에 진출하나 싶었지만 월드컵을 앞두고 안슐루스당하면서 한 팀이 비게 되었고 당시 오스트리아에게 패배한 라트비아를 월드컵에 올리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실현되지 못했고 이후로 월드컵 무대에 가까워지지 못했다.

라트비아가 그 다음으로 월드컵에 가까워졌던 때는 2010년 남아공 월드컵이다. 당시 예선에서 스위스, 그리스, 이스라엘, 룩셈부르크, 몰도바와 함께 B조의 배치되었는데 5승 2무 3패 승점 17점으로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승점 21점의 스위스, 20점의 그리스에 밀려서 3위로 탈락하였다.

이후에는 유로 2012 예선 4위, 월드컵 2014 지역예선 5위 처지기 시작하더니 유로 2016,2020 예선에서는 급기야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그나마 월드컵 2018,2022 지역예선에서는 5위를 기록하며 최하위는 면했지만 이때는 유럽의 만년 승점자판기인 안도라와 지브롤터가 같은 조에 있었기 때문에 면할 수 있었던 것이었다.

그리고 유로 2024 예선에서도 같은 약체인 아르메니아를 홈에서 이긴 것을 제외하고는 크로아티아, 튀르키예, 웨일스 상대로 단 1승도 거두지 못한채 1승 7패 최하위로 예선을 마쳤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아디다스이다.

2.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파일:Latvia_national_team_logo.png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91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비탈리스 아스타피에브스 166회 1992.8.26 2010.11.17
2 안드레이스 루빈스 115회 1998.11.10 2011.10.11
3 유리스 라이잔스 113회 1998.2.6 2013.11.15
4 이먼츠 블리델리스 105회 1995.5.19 2007.11.21
5 미하일스 젬린스키스 104회 1992.4.8 2005.10.8
6 마리스 베르파코프스키스 103회 1999.6.9 2014.5.29
7 안드리스 바닌스 100회 2000.2.4 2019.10.10
이고르스 스테파노우스 1995.4.26 2011.8.10
}}}}}}}}}}}}}}} ||

3. 현재 선수 명단

포지션 등번호 한글 성명 영문 성명 생년월일 출장 득점 클럽 비고
GK 파벨스 슈테인보르스 Pāvels Šteinbors 1985년 9월 21일 21 0 야기엘로니아 비아위스토크
로베르츠 오졸스 Roberts Ozols 1995년 9월 10일 15 0 리가 FC
리하르츠 마트레빅스 Rihards Matrevics 1999년 3월 18일 1 0 발미에라 FC
DF 카스파르스 두브라 Kaspars Dubra 1990년 12월 20일 52 3 FK RFS
이고르스 타라소브스 Igors Tarasovs 1988년 10월 16일 45 2 에트니코스 아크나 FC
로베르츠 사발니엑스 Roberts Savaļnieks 1993년 2월 4일 40 2 FK 리예파야
안토니스 체르노모르디스 Antonijs Černomordijs 1996년 9월 26일 21 1 리가 FC 주장
크리슈스 카르클린슈 Krišs Kārkliņš 1996년 1월 31일 16 0 FK 리예파야
블라디슬라브스 소로킨스 Vladislavs Sorokins 1997년 5월 10일 4 0 FK RFS
에밀스 비르카 Emīls Birka 2000년 4월 25일 0 0 발미에라 FC
다니엘스 발로디스 Daniels Balodis 1998년 6월 10일 0 0 발미에라 FC
일랴 코로트코브스 Iļja Korotkovs 2000년 5월 24일 0 0 FK 아우다
MF 야니스 이카우니엑스 Jānis Ikaunieks 1995년 2월 16일 40 7 쿠오피온 팔로세우라
블라디미르스 카메슈스 Vladimirs Kamešs 1988년 10월 28일 37 3 리가 FC
안드레이스 치그닉스 Andrejs Cigaņiks 1997년 4월 12일 31 1 FC DAC 1904 두나이스카 스트레다
에두아르츠 엠시스 Eduards Emsis 1996년 2월 23일 17 1 FC 라티
알비스 야운젬스 Alvis Jaunzems 1999년 6월 16일 17 0 발미에라 FC
크리스테르스 토베르스 Kristers Tobers 2000년 12월 13일 14 0 레히아 그단스크
마르틴슈 키구르스 Mārtiņš Ķigurs 1997년 3월 31일 12 0 FK 리예파야
블라디슬라브스 표도로브스 Vladislavs Fjodorovs 1996년 9월 27일 14 1 FK RFS
알렉세이스 사벨례브스 Aleksejs Saveļjevs 1999년 1월 30일 8 1 FK 아우다
레나르스 바르슬라반스 Renārs Varslavāns 2001년 8월 23일 4 0 FK RFS
FW 블라디슬라브스 구트코브스키스 Vladislavs Gutkovskis 1995년 4월 2일 33 6 대전하나시티즌
라이몬츠 크롤리스 Raimonds Krollis 2001년 10월 28일 19 2 발미에라 FC
[6]

4. 역대전적

4.1. FIFA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라트비아 제1공화국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불참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불참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예선 탈락
※ 소련의 일부 (러시아에 승계)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1950년 브라질
독립 이전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 라트비아 제2공화국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예선 탈락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예선 탈락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예선 탈락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예선 탈락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중미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0/20[7]
  • 1950~1990년 대회까지 소련의 일부분이었다.
  • 2002 월드컵 예선에서는 유럽 최약체 산마리노에게 홈에서 1-1로 비기는 수모를 당하기도 했다.

4.2. UEFA 유로

UEFA 유로 : 28위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 소련의 일부 (러시아에 승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60년 프랑스
독립 이전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64년 스페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68년 이탈리아
파일:벨기에 국기.svg
1972년 벨기에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1976년 유고슬라비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0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84년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1988년 독일
※ 라트비아 제2공화국
파일:스웨덴 국기.svg
1992년 스웨덴
없음[8]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0년 벨기에/네덜란드
예선 탈락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4년 포르투갈
조별리그 14위 1 3 0 1 2 1 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2008년 오스트리아/스위스
예선 탈락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012년 폴란드/우크라이나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6년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20년 유로
파일:독일 국기.svg
2024년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2028년 영국/아일랜드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1회 1/15 1 3 0 1 2 1 5
  • 1960~1992년 대회까지 소련의 일부분이었다.
  • 본선 진출 기록은 유로 2004 한 번이다. 플레이오프에서 2002월드컵 3위를 차지한 튀르키예를 누르고 16개국 본선에 진출했다. 16개국 본선에서 체코, 독일, 네덜란드 강팀들과 한조가 되어 승점 1점 1무 2패 대회 14위로 8강 진출에 실패했다. 하지만 독일과 0:0으로 비김으로써 승점 1점을 얻어내며, 독일의 충격적인 유로 12위 탈락으로 8강 진출 실패에 일조했다.[9] 거기다 첫 경기 체코전에서 선제골까지 넣었으니 나름 괜찮은 임팩트를 보여준 셈이다.[10]

4.3.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전적

의외로 많이 맞붙었고, 의외로 박빙의 경기들이었다. 2번 만나서 라트비아 대표팀이 2패로 열세지만, 두 경기 모두 0-1의 스코어로 근소하게 패했다. 두 경기 모두 대한민국이 월드컵이 열리는 해 실시하는 국내파와 동아시안 리거들을 소집하는 전지훈련때 실시된 경기였다. 따라서 대한민국이 풀 전력이라고 보긴 어렵긴하다. 하지만, 두 번 모두 경기력도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이면서, 국내팬들에게는 라트비아가 아주 약체는 아니다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북한과는 2004년에 북한 원정에서 2번의 평가전을 가졌는데 1대1 무승부 한번, 0대1 승리 한번으로 1승1무 우위다. 애초에 라트비아는 당시 북한과 똑같은 사회주의 국가라 북한으로의 이동이 자유로웠다.
경기 스코어는 라트비아 대표팀이 왼쪽이다.
날짜 장소 스코어 라트비아 득점 대한민국 득점 비고
2010년 1월 22일 말라가 시립 경기장 (스페인) 0:1
(0:0)
X 김재성 친선경기
2018년 2월 3일 안탈리아 마르단 스타디움 (터키) 0:1
(0:1)
X 김신욱 친선경기
총 전적 2전 2패

5. 연령별 대표팀

5.1. U-23 대표팀

5.1.1. 올림픽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1992년 대회 부터 u-23세로 나이 변경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2 바르셀로나
예선 탈락
파일:미국 국기.svg
1996 애틀란타
파일:호주 국기.svg
2000 시드니
파일:그리스 국기.svg
2004 아테네
파일:중국 국기.svg
2008 베이징
파일:영국 국기.svg
2012 런던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6 리우데자네이루
파일:일본 국기.svg
2020 도쿄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4 파리
파일:미국 국기.svg
2028 로스엔젤레스
파일:호주 국기.svg
2032 브리즈번
합계 본선진출 없음 0/9[11]


[1] 라트비아어[2] 대회 14위[3] 2024년 4월 4일 기준[4] 2024년 3월 27일 기준[5] 이는 소련 해체 이후 유럽 소속인 CIS 국가 중에서 러시아 다음으로 메이저 대회에 진출한 첫 사례다. 특이 실력이 훨신 앞서는 우크라이나보다 2년 먼저.[6] 2022년 8월 20일 기준.[7]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8] 독립 이전에 예선이 진행되어서 참가하지 못했다.[9] 첨언하자면, 2001년 4월 25일 라트비아는 홈에서 유럽 최약체 산마리노를 불러들여 1:1로 비기는 수모를 당했다. 그 시점부터 계산하면 유럽 최강의 독일과 비기는 데 걸린 시간이 불과 3년이다. 그것도 두 경기 모두 친선경기가 아닌 국제 대회 정식 지역예선/본선 경기이다. 아무리 당시 독일이 세대교체 실패로 노땅 팀이라는 비아냥을 듣던 신세였어도 2년 전에 월드컵 준우승한 팀이었다. 그런 팀을 상대로 비김으로써 승점 1점을 획득한 것은 그야말로 기적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10] 당시 체코는 자타가 공인하는 우승후보 0순위로 꼽던 팀이었고 실제로 3승+조 1위로 토너먼트에 진출했다.[11] 올림픽 본선 진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