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의미}}}에 대한 내용은 [[등용문(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등용문(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등용문(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의미: }}}[[등용문(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등용문(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등용문(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고사성어 | ||
登 | 龍 | 門 |
오를 등 | 용 용 | 문 문 |
1. 개요
'용문에 오른다'는 뜻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하고 크게 출세하는 것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 잉어가 황허강 중류에 있는 용문(龍門)을 통과하면 용이 된다는 전설에서 비롯됐다.2. 유래
再遷,復拜司隸校尉。時張讓弟朔為野王令,貪殘無道,至乃殺孕婦,聞膺厲威嚴,懼罪逃還京師,因匿兄讓弟舍,藏於合柱中。膺知其狀,率將吏卒破柱取朔,付洛陽獄。受辭畢,即殺之。讓訴冤於帝,詔膺入殿,御親臨軒,詰以不先請便加誅辟之意。膺對曰:「昔晉文公執衛成公歸于京師,春秋是焉。禮云公族有罪,雖曰宥之,有司執憲不從。昔仲尼為魯司寇,七日而誅少正卯。今臣到官已積一旬,私懼以稽留為愆,不意獲速疾之罪。誠自知釁責,死不旋踵,特乞留五日,剋殄元惡,退就鼎鑊,始生之願也。」帝無復言,顧謂讓曰:「此汝弟之罪,司隸何愆?」乃遣出之。自此諸黃門常侍皆鞠躬屏氣,休沐不敢復出宮省。帝怪問其故,並叩頭泣曰:「畏李校尉。」 是時朝庭日亂,綱紀穨阤,膺獨持風裁,以聲名自高。士有被其容接者,名為登龍門。
(이응은) 두 번 승진해 다시 사예교위가 되었다. 이때 장양(張讓)의 동생 장삭(張朔)이 야왕현(野王)의 현령으로 있었는데, 탐욕이 많고 잔인하며 무도해 임산부를 죽이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이응의 위엄을 듣고 처벌이 두려워 낙양으로 도망가서는 형 장양의 저택으로 도피해 기둥이 서로 만나는 곳 사이에 숨어있었다. 이응이 그 사실을 알고 관리와 병사를 이끌고 가서 기둥을 부수고 장삭을 잡아 낙양의 옥에 넣었다. 진술을 마치자마자 바로 죽였다. 장양이 황제에게 억울함을 호소하자 조서를 내려 이응을 전각으로 불렀고, 친히 그 앞의 섬돌까지 나와 먼저 허락을 구하지 않고 멋대로 처형한 것을 힐책했다.
이응이 “옛날에 ‘진나라 문공(晉文公)이 위나라 성공(衛成公)을 붙잡아 경사로 보냈다’라고 했으니, 《춘추》는 이렇게 서술함으로써 성공이 죄가 있음을 드러냈습니다. 《예기》에서도 제후의 친족에게 죄가 있다면 비록 제후가 용서하라고 말하더라도 법관은 불복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옛날에 공자는 노나라(魯)의 사구(司寇)가 된 지 일주일 만에 소정묘(少正卯)를 주살하셨습니다. 지금 신이 관직을 맡은 지 이미 열흘이 되었는데, 업무를 느리게 처리한 것이 잘못이 될까 두려워한 적은 있었어도 신속하게 판결한 것이 죄가 될 줄은 몰랐습니다. 제가 죄를 지었고 당장 처형되어야 한다는 건 알고 있지만, 특별히 5일의 시간만 주신다면 흉악한 무리를 전부 죽이고 물러나 팽형을 받겠습니다. 이것이 제 평생의 소원입니다.”
황제가 할 말이 없어 장양을 돌아보고 “이는 네 동생의 잘못인데 사예교위가 무엇을 어겼단 말인가?”라 말하고는 이응을 돌려보냈다. 이때부터 황문과 중상시가 모두 태도를 굽히고 숨죽이며 휴가에도 궁 밖으로 나가지 못했다. 황제가 이상하게 여겨 이유를 묻자 모두 머리를 조아리며 “이 교위가 무섭습니다.”하고 울었다. 이때 조정이 나날이 어지러워지고 기강이 무너졌는데 이응만이 홀로 가르침과 격식을 지켜 자연히 고결하다는 명성이 퍼지니, 사대부에서 그가 (높게) 대우해 준 적이 있는 자는 용문에 올랐다고 했다.
《후한서 後漢書》〈당고열전 黨錮列傳〉
후한 말, 환관이 득세하여 어지러운 와중에도 그 권세에 굴복하지 않고 엄격한 법집행을 하여 명성을 얻은 이응이란 자가 있었는데, 그에게 높은 평가를 받은 자는 벼슬에 올랐기 때문에 사람들은 '용문'에 올랐다고 말했다.(이응은) 두 번 승진해 다시 사예교위가 되었다. 이때 장양(張讓)의 동생 장삭(張朔)이 야왕현(野王)의 현령으로 있었는데, 탐욕이 많고 잔인하며 무도해 임산부를 죽이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이응의 위엄을 듣고 처벌이 두려워 낙양으로 도망가서는 형 장양의 저택으로 도피해 기둥이 서로 만나는 곳 사이에 숨어있었다. 이응이 그 사실을 알고 관리와 병사를 이끌고 가서 기둥을 부수고 장삭을 잡아 낙양의 옥에 넣었다. 진술을 마치자마자 바로 죽였다. 장양이 황제에게 억울함을 호소하자 조서를 내려 이응을 전각으로 불렀고, 친히 그 앞의 섬돌까지 나와 먼저 허락을 구하지 않고 멋대로 처형한 것을 힐책했다.
이응이 “옛날에 ‘진나라 문공(晉文公)이 위나라 성공(衛成公)을 붙잡아 경사로 보냈다’라고 했으니, 《춘추》는 이렇게 서술함으로써 성공이 죄가 있음을 드러냈습니다. 《예기》에서도 제후의 친족에게 죄가 있다면 비록 제후가 용서하라고 말하더라도 법관은 불복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옛날에 공자는 노나라(魯)의 사구(司寇)가 된 지 일주일 만에 소정묘(少正卯)를 주살하셨습니다. 지금 신이 관직을 맡은 지 이미 열흘이 되었는데, 업무를 느리게 처리한 것이 잘못이 될까 두려워한 적은 있었어도 신속하게 판결한 것이 죄가 될 줄은 몰랐습니다. 제가 죄를 지었고 당장 처형되어야 한다는 건 알고 있지만, 특별히 5일의 시간만 주신다면 흉악한 무리를 전부 죽이고 물러나 팽형을 받겠습니다. 이것이 제 평생의 소원입니다.”
황제가 할 말이 없어 장양을 돌아보고 “이는 네 동생의 잘못인데 사예교위가 무엇을 어겼단 말인가?”라 말하고는 이응을 돌려보냈다. 이때부터 황문과 중상시가 모두 태도를 굽히고 숨죽이며 휴가에도 궁 밖으로 나가지 못했다. 황제가 이상하게 여겨 이유를 묻자 모두 머리를 조아리며 “이 교위가 무섭습니다.”하고 울었다. 이때 조정이 나날이 어지러워지고 기강이 무너졌는데 이응만이 홀로 가르침과 격식을 지켜 자연히 고결하다는 명성이 퍼지니, 사대부에서 그가 (높게) 대우해 준 적이 있는 자는 용문에 올랐다고 했다.
《후한서 後漢書》〈당고열전 黨錮列傳〉
용문이란 황하 중류에 위치한 곳으로 급류가 흐르는데,[1] 잉어가 이 관문을 통과하면 용이 된다는 전설에서, 당시 사람들은 어려운 관문을 뚫고 크게 출세하는 것을 일컬어 '용문에 올랐다'고 했다.[2]
당나라 때 이백과 함께 '시성(詩聖)'으로 불린 두보의 시에도 등용문이 나오는데, 관직에 오르지 못하는 자신의 신세한탄을 하는 내용이다. 대충 어릴 때는 재주가 뛰어났는데[3], 지금은 백수라서 큰 매가 날개를 꺾이고 잉어가 문을 오르지 못하는 듯하다는 내용이다. 사실 두보가 등용되지 못한 것은 과거시험은 우수하게 치렀으나 간신 이임보가 떨어뜨려버렸기 때문이었다.[4]
3. 등용문 목록
3.1. 학생, 취준생
- 명문대 입학 : 여기에 등록금이 낮은 국립대란 요소까지 겹친다면 더더욱 그렇다. 특히 지방에 거주중인 학생이라면 지거국만 가도 메리트가 크다.
- 경찰대학, 사관학교 입학 : 확실한 진로는 보장된다.
- 계약학과 입학 : 취업이 확실히 보장된다는 점에서 메리트가 있다. 다만 이쪽은 일정부분 제약조건이 있는데다 커트라인이 높다.
- 대기업, 상위권 중견기업 취업 : 대학생들의 워너비이자 로망. 복지도 공기업 버금가는 건 물론 퇴직금도 많이 나오기 때문이다.
- 다국적 기업 취업 : 위의 대기업과 같이 대학생들의 로망이다. 특히 간부후보생으로 가는 경우라면, 사실상 인생역전 확정이다. 국내 기업보다 회사내 분위기 등이 비교적 유연하고, 월급도 꽤 괜찮게 받기 때문이다. 다만 영미권 한정으론 성과가 다른 사람에 비해 조금이라도 뒤쳐진다면 해고당할 가능성도 매우 높기에, 이 부분은 유의해야 된다.
- 국내외 상위권 금융기업 취업 : 투자은행, 벤처캐피탈, 사모펀드, 헤지펀드 및 최상위권 금융회사 등이 바로 그 예시다. 벤처기업을 만들어서 코스닥에 상장하거나 아래에 열거된 정치인이 되어서 국가/지자체 예산을 만지는 정도를 제외하면, 열거된 모든 직업들 중에서 가장 큰 돈을 다룰수 있고, 또 직장인으로써는 가장 큰 돈을 벌수 있다. 특히 국내 금융권이 아닌 홍콩이나 뉴욕 금융권이라면, 국내와는 또 스케일이 다른 연봉과 보너스가 주어진다. 한 예로, 월가 헤지펀드 매니저의 연봉은 1조원이 넘는 경우도 있다. 꼭 엄청난 돈을 만지지 않아도, 재보험사나 채권브로커 등 숨겨진 신의 직장도 많이 있는 산업.
- 7급 공무원 시험 합격 : 5급에 비해서는 덜하지만 그래도 고위직에 갈수는 있다.
-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법원행정고등고시, 입법고등고시 합격 : 모두 다 5급 공무원을 뽑는다. 게다가 정치인 선거에서 상당한 플러스 요인이 된다.
- 공기업/공공기관 취업 : 공공기관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최소 중위권 정도만 되어도 어느 정도 여유로운 연봉이 나오는데다 공무원처럼 안정적이란 점에서 등용문에 준하는 취급을 한다. 특히 상위권 공공기관, 이 중에서도 금융공기업으로 간다면 공공기관 중에서도 특히 높은 연봉과 위상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 전문직 관련 학과 입학 및 취업 : 고소득과 안정성 두마리 토끼를 다 잡을수 있지만 이쪽은 개인이 개업할 경우 영업능력과 자격 직종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즉 케바케로 설명할 수 있다.
3.2. 대학원생
- 국립대/유명 사립대 교수 : 졸업한 학과가 취업문이 좁거나 온전히 해당 학문을 연구하는 것을 좋아하는 대학원생의 종점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실제로 사회적 위상도 높고, 특히 국립대의 경우 일반 공무원 3급(교수)~5급(조교수) 정도로 월급도 많이 받기 때문이다. 게다가 5급 출신과 같이 정치인으로 갈 경우 플러스가 된다.
- 법조인 취업(로스쿨 한정) : 다들 알다시피 사법고시가 폐지되고 난 뒤로 법조인이 될 방법은 로스쿨 입학밖에 없어졌다. 하지만 변호사가 된다해도 최소 수천만원을 벌 수 있으며, 판검사가 된다면 초반부터 4급 공무원 상당 대우를 받을 수 있다.
3.3. 일반 사기업
- 임원, 그중에서도 이사 승진(대기업/중견기업인 경우) : 사원의 워너비로 임원과 사원 사이엔 업무, 대우, 퇴직금 등에서 엄청 차이나기 때문이다. 특히 대기업과 다국적 기업 임원은 여기서도 넘사벽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 매니저 승진(대기업/다국적 기업인 경우) : 괜히 위에 언급된 대기업이나 다국적 기업의 중간관리직 혹은 간부후보생 임명이 등용문이라고 보는게 아니다. 특히 다국적 기업의 관리직은 아래에 일하는 사원들의 인사권을 쥐고 있기에 권력도 어마어마하다.
- 코스피 상장 : 위의 것이 개인이 이룰 수 있는 등용문이라면, 이 부분은 기업이 이룰 수 있는 등용문이다. 이쪽으로 올라가면 안정적인 기업으로써 본격적으로 인정을 받았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난이도 또한 고등고시 합격보다도 훨씬 어렵다고 평가된다. 중견기업이나 준대기업의 로망이다. 여기에 상장되었다는 것 자체가 건실한 기업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코스닥만큼이나 코스피에도 목숨을 거는 편이다.
- 코스닥 상장 : 벤처기업의 로망이다.
3.4. 공무원, 공공기관
- 사무관 승진 : 9급 공무원의 최종 목표이자 7급 공무원의 등용문이다. 9급이 5급으로 은퇴했다면 매우 잘 한거고, 7급도 5급을 넘으면 위상이 엄청 높아지기 때문이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교정직 공무원의 경우 교정관 승진에 해당한다.
- 고위공무원단 승진 : 이쪽은 5급 공무원의 등용문이자 최종 목표다. 이쪽에 들어가는 순간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이 커지기 때문, 다만 고위공무원단은 일정 기간 이상 저성과자가 되면 직위해제 + 대기발령도 가능하다.
- 장관 임명 : 그중에서 기획재정부장관, 교육부장관은 대한민국 장관 중 가장 의전서열이 높은 사람과 두번째로 높은 사람이 바로 이들이며 이들은 부총리까지 겸한다. 나중에 정계 진출의 뜻이 있다면 정당의 공천 가능성이 다른 사람에 비해서 엄청 높아진다. 다만 책임도 막중한 요직이기에 삽질을 하면 앞길이 막힐 가능성이 높다. 말 그대로 모 아니면 도.
- 공기업 임원 승진 : 일반 사기업 임원만큼이나 올라가기 어렵다.
- 경정 승진 : 순경으로 입직한 경찰관들의 목표로, 이 계급부터는 TO가 극단적으로 줄어들며 근속승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 경무관 승진 : 이쪽은 경찰대학, 경찰간부후보생 출신자들과 특채로 입직한 경찰관들의 목표로 출신을 불문하고 승진하기 굉장히 어렵다. 육경 기준으로 매년 선발되는 경찰대학 졸업자 120명(경위), 경찰간부후보생 출신 50명(경위), 그외 특채 인원을 다 합쳐서 단순 계산을 해봐도 이들 중에서 15% 가량만 경무관에 다다를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 소방령 승진 : 소방사로 입직한 소방관들의 목표이다.
- 소방준감 승진 : 간부인 소방위로 입직한 소방관들의 목표이다.
- 원사 승진 : 부사관들의 목표이다.
- 중령 승진 : 비사 출신[5] 초급장교(위관급 장교)들의 목표이다. 대우도 사무관 정도이고, 봉급과 각종 수당은 그보다도 높으며, 임금/복지/연금 등에서 위관급과 넘사벽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들의 1차 목표는 전역 후 바로 군인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소령 진급, 최종 목표는 중령 진급인 경우가 많다.
- 준장 승진 : 이쪽은 사관학교 출신 장교들의 목표이다. 대우도 고위공무원단 정도이고, 임금/복지/연금 등 여러 대우가 영관급과 넘사벽이기 때문이다. 간혹가다 사관학교 출신이 아닌 장교들이 달 때도 있지만 하늘에 별 따기 수준으로 어렵다.
- 교장 및 교감 승진 : 초/중/고 교사들의 최종 목표이다.
- 총장 승진 : 대학교 교수들의 최종 목표이다.
3.5. 정치인
- 선거 당선 : 당선 난이도는 고등고시 합격보다도 어렵다고 평가되지만 그런만큼 당선 이후엔 위상이 엄청 높아진다. 실제로 기초의원(평의원)만 해도 4~5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지만, 실제 위상은 그보다도 더 높다. 특히 국회의원이나 광역자치단체장까지 올라가면 정계에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일반 공무원에게 지급되는 연금이 없기에 직업 정치인인 경우는 낙선 이후엔 좀 타격이 큰 편이다. 그리고 위의 상위권 금융권에 있는 사람보다도 더 큰 돈을 다루는 직업인데, 국가나 지자체의 예산을 만지는 사람이 바로 이들이기 때문. 대통령 당선이면 당연히 말할 것도 없다.
- 정당 최고위원 : 초, 재선 국회의원의 워너비다. 현직 국회의원이 아니면 당비만 많이 지출하는 블랙홀이지만[6], 최고위원 경력이 있다면 공천 확률이 엄청 높아진다. 실제로 초, 재선 국회의원이 중진 국회의원으로 등용문이 바로 최고위원일 정도다.
4. 미디어 믹스에서
- 잉어킹/갸라도스 : 등용문 고사에서 유래한 포켓몬들이다. 잉어킹→갸라도스 진화의 모티브가 된다. (더 넓게 보면 빈티나→밀로틱, 꼬시레→갑주무사가 여기 해당된다.
- 물고기물고기 열매 모델 청룡/카이도 : 카이도는 물고기물고기 열매를 먹고 능력을 얻은 캐릭터인데, 그 능력이 청룡으로 변신하는 것이다. 열매 이름은 물고기인데 정작 능력이 청룡인 이유는 등용문을 모티브로 했기 때문이다.
- 용과 같이 시리즈의 키류 카즈마, 니시키야마 아키라, 카스가 이치반 : 이 세명의 등의 문신은 전부 이 등용문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니시키는 잉어, 카스가는 용어, 키류는 용으로 셋다 각자의 캐릭터성을 확실하게 설명해주는 문신이고 더군다나 니시키와 카스가의 성우가 같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해볼만하다.
5. 기타
- 경희대학교 정문 이름이 등용문이다. 신흥대학 시절부터 있었던 경희대를 상징하는 문.
- 한국배구연맹은 프로배구 컵대회/2023년가 개막 일주일 전에 '스타등용문' D-7~1'이란 이름으로, 선수가 동료 선수에게 업히는 영상을 찍었다.
6. 관련 문서
[1] 낙양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전에는 '이궐'이라고도 불린다. 그 유명한 룽먼 석굴이 위치한 곳.[2] 다시 말해 이응의 추천을 받는 것은 물고기가 용문을 오른 것이고, 이로 인해 출세하는 것을 물고기(젊은 관료)가 용(출세)이 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말한 것. 허나 아이러니하게도 실제 역사에서 후한 시기 이 등용문에 오른 자들 대부분은 당고의 금 사건 때 환관들 때문에 피를 보았다.[3] 실제로 두보는 두예의 후손으로 일곱 살 때 봉황시를 읊었고 아홉 살 때 수십 획에 이르는 어려운 글자를 쓸 수 있었다고 한다.[4] 두보, 이임보 문서 참조.[5] 학군장교, 학사장교, 간부사관[6] 선출직인 경우는 대체로 현직 국회의원이 당선되기에 많이 일어나지 않지만 지명직인 경우는 청년/여성/호남 등 소수자나 사회적 약자 안배적 차원에서 임명하는 경우가 있기에 꽤 많이 일어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