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08:22:42

한화 건설부문

덕산토건에서 넘어옴
파일:한화 로고.svg파일:한화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37321><colcolor=#fff> 계열사
지주회사 한화 (글로벌 | 건설) | 한화인더스트리얼솔루션즈 (한화비전 | 한화정밀기계)
우주항공·
오션·방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한화시스템 | 한화오션
에너지·소재 한화솔루션 (한화임팩트 (한화토탈에너지스 · 한화엔진) | 여천NCC) | 한화에너지 (한화컨버전스) | 한화모멘텀
금융 한화생명 (한화손해보험 (캐롯손해보험 | 히어로손해사정) | 한화투자증권 | 한화자산운용 | 한화63시티) | 한화저축은행
서비스·레저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한화푸드테크) | 한화커넥트 | 한화갤러리아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에프지코리아) | 한화로보틱스
기타 북일학원 (북일고등학교 | 북일여자고등학교)
스포츠단 한화 이글스 | 한화생명e스포츠 (리그 오브 레전드) | 한화큐셀 골프단 | 한화갤러리아 승마단
행사 서울세계불꽃축제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30대 건설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삼성물산 로고.svg 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svg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우건설 CI.svg 파일:현대엔지니어링 로고.svg 파일:DL E&C 로고.svg파일:DL E&C 로고 화이트.svg
파일:GS건설 로고.svg파일:GS건설 로고 화이트.svg 파일:포스코이앤씨 CI.svg파일:포스코이앤씨 흰색 CI.svg 파일:롯데건설 로고.svg 파일:SK에코플랜트 로고.svg 파일:HDC 현대산업개발 CI.svg
파일:한화 건설부문 로고.svg파일:한화 건설부문 로고_White.svg 파일:호반건설 CI(영문+국문).svg 파일:DL건설 CI.svg 파일:두산에너빌리티 CI.png파일:두산에너빌리티 CI.png 파일:제일건설(주) CI.svg파일:제일건설(주) CI 화이트.svg
파일:중흥토건 로고.svg파일:중흥토건 로고 화이트.svg 파일:계룡건설산업 CI.svg파일:계룡건설산업 CI 화이트.svg 파일:서희건설 로고.svg 파일:코오롱글로벌 로고.svg 파일:금호건설 CI.svg
파일:아이에스동서 CI.svg 파일:동부건설 로고.svg 파일:대방건설 CI.svg파일:대방건설 CI 화이트.svg 파일:태영건설 로고.svg 파일:KCC건설 로고.svg파일:KCC건설 로고 화이트.svg
파일:쌍용건설 로고.svg파일:쌍용건설 로고 화이트.svg 파일:우미건설 로고.svg 파일:한신공영 로고_상하.svg 파일:반도건설 로고.svg파일:반도건설 로고 화이트.svg 파일:HL디앤아이한라 영문 로고.svg파일:HL디앤아이한라 영문 로고 화이트.svg
}}}
||<-3><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0,#fff><color=#fff,#000> 도급순위가 산정되지 않는 공기업 ||
파일:한국토지주택공사 CI.svg 파일:서울주택도시공사 로고.svg 파일:경기주택도시공사 로고.svg
※ 본 틀은 매년 도급 순위(=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30개 건설사를 등재한다. 매년 순위는 당해 8월 1일에 발표해 이듬해 7월 말까지 적용하며 이곳에서 확인 가능하다. 단, LH와 SH, GH는 순위에 포함되지 않으나 인지도를 고려해 본 틀에 등재한다.
}}}}}} ||

<colbgcolor=#f37321><colcolor=#fff> 주식회사 한화 건설부문
Hanwha Corporation E&C
파일:한화 건설부문 로고 2.svg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대표자 김승모
업종명 건설업
기업 규모 대기업
브랜드 포레나
도급순위 11위 (2024년 기준)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6 (장교동)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시공능력평가 순위4. 역대 로고5. 역대 임원
5.1. 태평양건설5.2. 덕산토건5.3. ㈜한화 건설부문 대표이사5.4. 한화건설
6. 특징7. 대표 실적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한화의 건설부문.

2. 역사

㈜한화 건설부문의 전신은 1967년 설립된 '태평양건설(太平洋建設)'이다.[1] 1973년 한국화약에 인수된 후 1975년 중동진출을 개시했고, 1977년 기업을 공개했다. 1978년 토목공사업 면허를 따낸 후 아파트 사업도 개시했다. 1985년 자회사 태평양엔지니어링을 합병했으나 중동건설 붐 침체로 1987년에 산업합리화 대상업체로 지정되어 건설업 면허를 반납했다.[2] 이에 옛 태평양건설 임직원들은 1988년 중앙건영(中央建營)을 인수하고 '덕산토건(德山土建)'으로 변경해 1993년 한빛탑을 세우는 등으로 명맥을 이어가다가 1996년 ㈜한화에 인수합병되어 건설부문으로 개편했다. 2001년 아파트 브랜드 '꿈에그린'을 런칭하고 2002년 한화건설로 물적분할되었다가 2022년 11월 1일, ㈜한화에 재흡수합병되어 ㈜한화 건설부문으로 사명을 다시 변경하였다.

3. 시공능력평가 순위

<rowcolor=#fff> 연도 시공능력평가 순위
<colcolor=#fff><colbgcolor=#f37321> 2000년 <colcolor=#000,#fff><colbgcolor=#fff,#1f2023> 29위
2001년 24위
2002년 32위
2003년 23위
2004년 25위
2005년 15위
2006년 14위
2007년 14위
2008년 12위
2009년 13위
2010년 11위
2011년 11위
2012년 11위
2013년 10위
2014년 9위
2015년 11위
2016년 11위
2017년 11위
2018년 11위
2019년 12위
2020년 11위
2021년 11위
2022년 13위
2023년 12위
2024년 11위

4. 역대 로고

파일:태평양건설 주식회사 로고.png 파일:덕산토건 심볼.png 파일:한화 로고(1994~2007).svg
창립초기 1988년 1996년
파일:한화건설 CI(2002-2007).svg 파일:한화건설 로고.svg 파일:한화건설부문 로고.png
2002년 2007년 2022년

5. 역대 임원

5.1. 태평양건설

  • 대표이사 사장
    • 신현기 (1973~1977/1983/1985~1986)
    • 서병래 (1978~1979)
    • 주찬응 (1979~1980)
    • 김영균 (1980~1982)
    • 김기연 (1982~1983)
    • 서갑석 (1983~1984)
    • 강흥식 (1984/1985~1986)
    • 김기택 (1986~1988)
    • 이석범 (1988~1989)
    • 노경섭 (1989~1996)
  • 대표이사 부사장
    • 서병래 (1977~1978)
  • 대표이사 전무
    • 서갑석 (1983~1984)
    • 이석범 (1988~1989)
    • 노경섭 (1989~1996)
  • 대표이사 상무
    • 민용식 (1985~1986)

5.2. 덕산토건

  • 김종각 (1988~1996)

5.3. ㈜한화 건설부문 대표이사

  • 김종각 (1996)
  • 노경섭 (1996~2000)
  • 김현중 (2000~2002)
  • 김승모 (2022~)

5.4. 한화건설

  • 대표이사 회장
    • 김승연 (2007~2014)
  • 대표이사 부회장
    • 노경섭 (2002~2003)
    • 김현중 (2011~2014)
    • 최광호 (2021~2022)
  • 대표이사 사장
    • 김현중 (2002~2011)
    • 노경섭 (2002~2003)
    • 김승연 (2007~2014)
    • 이근포 (2010~2015)
    • 최광호 (2018~2021)
    • 김승모 (2022)
  • 대표이사 부사장
    • 최광호 (2015~2018)

6. 특징

주식회사 한화건설 시절 지주회사한화가 100% 지분을 소유한 완전자회사였으며, 한화그룹이 이곳저곳에 공장을 두고 있어 그 공장들을 건설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한화그룹이 공장을 내놓거나 하면 그 공장들을 재개발하는 업무도 맡는다. 그래서 복합단지 위주로 건설업을 행하며,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고잔동에는 구 한화 공장부지[3]를 재개발한 미니 신도시 에코메트로[4]가 생겼다. 이 복합단지 건설을 토대로 고양시에도 진출, 킨텍스 주변부지를 매입하여 2019년 2월 한화 킨텍스 꿈에그린을 완공하였다.

한화그룹의 전통적인 경영 성향에 맞추어 타 건설업체들과 달리 주택 부문에서는 공격적인 사업확장을 하지 않고 안정적인 경영을 추구하고 있다. 그래서 건축업계에 관심이 없는 일반층에는 시공 단지가 별로 없으니 인지도와 시공능력에 비해 확장력은 다소 떨어지는 편이지만, 주로 주택 사업보다 대형 사업, 관급 공사 및 해외 수주전에서 활약하는 편이다. 특히나 수익이 큰 복합개발사업 분야에서는 상당한 강자인 편이다.[5] 한화 소속 금융 계열사간 시너지를 통해 자금 조달이 수월한 편이며, 2022년 한화(기업)로 흡수합병된 이후엔 지주사 소속인 점을 내세워 여타 건설사들과 달리 문턱이 급격히 높아진 PF 조달도 수월하게 진행하고 있다.

한화건설 시절의 상법상 본점은 경기도 시흥시 대은로 81, 8층 (대야동, 모비딕빌딩)이었으며, 사실상의 본사인 서울사무소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여의도동, 전경련회관)에 위치해 있다가 2020년 2월 3일 중구 장교동 한화그룹 사옥으로의 이전을 완료했다. 한화에 합병되면서 법적으로도 장교동 한화사옥이 본사가 되었다.

2022년 현재 시공능력평가액순위 13위를 기록하고 있다.

2019년 지금까지 써오던 아파트 브랜드 꿈에그린과 오피스텔 브랜드 오벨리스크를 버리고 신규 주거통합 브랜드 포레나를 런칭했다.

7. 대표 실적

  • 서울역 민자역사 - 2003년에 건립한 고속철도, 일반철도 역사.
  • 갤러리아 포레 -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에 건설한 최고급 주상복합 아파트이다.
  • 에코메트로 - 인천광역시 남동구 고잔논현동에 건설한 미니 신도시로 한화지구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건설 당시 국내 최대 규모의 민간 도시개발 사업이었으며, 에코메트로를 통해 도시 건설능력을 입증한 한화는 아래의 비스마야 신도시 공사를 수주 할 수 있었다.
  • 비스마야 신도시 - 이라크에서 짓고 있는 신도시로 우리나라의 분당 신도시와 비슷한 규모이다. 공사기간은 총 7년이며, 550만 평 부지에 60만 명이 살 수 있는 거주공간 및 300여 개에 이르는 사회 기반 시설 등을 건설하는 대공사이다. 그러나 공사비 미지급 관련으로 손을 떼겠다고 밝혔지만 재개했다
  • 영양 풍력발전단지 - 2015년 12월에 착공하여, 이르는 2020년 5월에 경북 영양군에 3.45MW급 22기에 대규모 풍력발전단지를 준공했다.
  • 대전 베이스볼 드림파크 - 2018년 7월에 착공하여, 2025년 3월에 완공할 예정이다.
  • 화성함백산추모공원 - 2019년 1월에 착공하여, 2021년 8월에 완공이 되었다.
  • 서대구역 민자역사 - 2019년 4월 18일 착공하여 이듬해 12월 25일에 완공한 고속철도역사.
  •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 2019년 5월 1일 착공하여 2023년 11월 30일 완공이 되었다만. 2024년 상반기에 그랜드 오프닝을 했다.
  • 대전 하수처리장 시설현대화 민간투자사업 - 2023년 11월말에 착공하여, 2028년 9월말에 완공활 예정이다.

8. 관련 문서



[1] 공식 홈페이지 회사연혁 참고.[2] 1991년 상장폐지 후 1996년 한화개발에 합병되었다.[3] 한화교 건너 배곧신도시 자리는 화약 폭파시험장이었다.[4] 한화논현지구, 238만㎡, 12,000가구의 택지지구로 한화 에코메트로 5,6,7,9,10,11,12단지가 있다.[5] 주택 분야는 인지도 측면에서는 상당한 효과가 있지만 실질적인 수익은 그다지 크지 않은 편이다. 이때문에 대다수의 대기업 건설사들은 주택 사업도 병행하며 대형 토목 사업에 집중하는 편이고, 주택 사업에 집중하는 중소~중견 건설사들은 신도시 같은 택지 개발 분야에서 물량 공세로 수익을 내는 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