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03:06:04

대신고등학교(서울)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대신고'''{{{#!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의 다른 학교}}}에 대한 내용은 [[대신고등학교]]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신고등학교#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신고등학교#|]]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의 다른 학교: }}}[[대신고등학교]]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신고등학교#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신고등학교#|]]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종로구 CI.svg 서울특별시 종로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기상업고등학교 경복고등학교 경신고등학교 대동세무고등학교
대신고등학교 덕성여자고등학교 동성고등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 서울과학고등학교 서울국제고등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서일문화예술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대신고등학교
大新高等學校

Daeshin High School
파일:대신중학교.jpg
교훈 하면 된다
신념(信念) · 창의(創意) · 노력(努力)
분류 <colbgcolor=#ffffff,#191919> 일반계 사립고등학교
개교 1938년 4월 5일 대신상업전수학교
교장 제15대 김진곤
교감 노찬욱
학생 수 302[기준]
교직원 수 51명[기준]
성별 남자고등학교
건학이념 진리탐구 · 인격도야 · 언행실천
眞理探究 · 人格陶冶 · 言行實踐
교목 향나무
교화 장미
교색 녹색, 노랑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9 (행촌동 171-1)
학교법인 왕희학원
(旺熙學園)
관할청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nopad>

1. 개요2. 학교 상징
2.1. 교훈2.2. 왕희인 헌장2.3. 교화와 교목2.4. 교가2.5. 왕희학도가
3. 학교 연혁4. 학교 특징
4.1. 왕희제
5. 학교 시설6. 학교 생활7. 출신 인물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8.2. 지하철
9. 기타

1. 개요

미래를 창조하는 왕희인

우리는 旺熙人[3]이다.

2. 학교 상징

2.1. 교훈

하면 된다.
신념, 창의, 노력

2.2. 왕희인 헌장

우리는 旺熙人이다.
하나, 우리 왕희인은
모든 일에 참된 신념을 가지고
남보다 앞서가는 창의와 노력을 바탕으로
크고 새롭게 전진한다.
하나, 우리 왕희인은
중단 없는 전진만이 승리의 길임을 알고
「하면 된다」는 결의와 기백을 바탕으로
무한의 가능성에 도전한다.
하나, 우리 왕희인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불굴의 투지를 살려
건전한 정신과 강인한 체력을 바탕으로
미래를 개척한다.
  • 대신중학교와 함께 개교기념식 또는 상견례와 같은 모임 때마다 복창하는 선언이다.

2.3. 교화와 교목

교화 - 장미
"장미의 꽃빛과 가시가 상징하는 감성과 이성의 조화를 이루는 학생"
교목 - 향나무
"향나무의 향기처럼 내면으로부터 아름다운 향기를 풍기는 인격을 갖춘 왕희인"

2.4. 교가

파일:dssong.jpg
1절
북한산에 빛나는 아침 햇발은
희망에 자라나는 우리의 기상
가슴 속 타는 불길 청운의 뜻을
닦으러 깃들인 곳 대신의 학원

2절
백운대를 감도는 은하의 물은
우주를 굽이치는 진리의 흐름
퍼내어 물주련다 마른 이 땅에
힘차게 길러라- 왕희의 학원-

이영석 작사/작곡

2.5. 왕희학도가

1절
보아라 드높-은 왕희의전당
새역사 이룩-할 알찬보람을
두손에 자랑스런 횃불을들고
달리자 힘-차게 진리의광장

후렴
왕희 왕희 젊음의상징 왕희 왕희
무리의선봉 우리들은 이나라의 젊은사자다
그 이름 빛나는 왕희학도다

2절
외쳐라 우렁-찬 왕희의함성
새나라 짊어-질 벅찬감격을
길러온 힘과재주 갈고닦아서
거룩한 새살림의 터전을닦자

3절
날려라 기운-찬 왕희의깃발
새문화 창조-할 억센손으로
세계로 뻗어나갈 우리의자랑
일구자 가-꾸자 힘을다하여

김한수 작사 / 김용복 작곡
  • 90년대까지는 월요일 아침마다 격주로 운동장 조회가 있어서 조회 시작 시 이 노래를 불렀지만 이후에는 하지 않는다.

3. 학교 연혁

1938년 4월 5일 <colbgcolor=white,#191919>대신상업전수학교(2년제) 설립개교
1940년 3월 1일 대신상업전수학교(3년제 각 학년 2학급) 교명 변경
1942년 8월 16일 명예교장 김희 선생, 초대학장 서영호 선생 취임
1943년 5월 15일 서울시 서대문구 불광동 교사 신축(연와조 2층)
1944년 4월 1일 대신농업학교(3년제 각학년 2학급) 교명 변경[4]
1948년 4월 20일 대신중학교(인문계 6년제, 각학년 2학급) 교명 변경
1948년 10월 24일 재단법인 대신학원 설립, 초대이사장 김희 선생 겸임
1950년 4월 1일 대신중학교·대신고등학교(중고 각 3학년제 각학년 2학급) 교명 변경, 서울시 마포구 도화동 분교 설치
1953년 9월 1일 서울시 서대문구 정동 임시교사 신축 및[5] 임시개교
1955년 7월 31일 서울시 종로구 행촌동 171번지로 이전 (현 교사위치)
1961년 10월 5일 제3대 학교장 직무대리에 김한수 교감선생 겸임
1962년 2월 22일 동관교사 신축(콘크리트 4층)
1964년 1월 24일 재단법인 대신학원을 학교법인 대신학원으로 학원정관 개정
1964년 4월 5일 신관교사 신축(콘크리트 5층)
1966년 12월 14일 본관교사신축(콘크리트 4·5층) 및 숙직실, 미술실, 기술실 등 부속건물 신축
1967년 11월 8일 체육관(일은관) 신축(콘크리트 2층)
1970년 10월 30일 왕희도서관(본관 6층 300석) 신축
1973년 1월 13일 제6대 고등학교 교장 김한수 선생 취임
1973년 11월 17일 과학관(활천관) 신축(콘크리트 지하 1층 지상 6층)
1975년 8월 5일 동관증설(3, 4층 10개 교실 및 수세식 화장실 82)
1977년 9월 22일 학교법인 대신학원을 왕희학원으로 학원명 변경
1977년 10월 24일 개교 40주년 왕희인헌장 선포, 왕희인헌장탑 건립
1988년 10월 24일 개교 50주년 기념식 거행
1990년 4월 5일 개교 52주년 개교기념일을 10월 24일에서 4월 5일로 변경
2004년 3월 30일 왕희 공원 조성 120평(일은관 앞)
2004년 4월 3일 왕희정보교육관 준공(지상 5층) 및 기념비 건립, 왕희역사관, 왕희 정보도서관 개관
2005년 10월 10일 체력 단련실 개관
2012년 3월 2일 제12대 고등학교 교장 김진엽 선생 취임
2020년 3월 2일 제14대 고등학교 교장 김도승 선생 취임
2021년 3월 2일 제15대 고등학교 교장 김진곤 선생 취임
2022년 2월 10일 제71회 졸업식 거행

4. 학교 특징

4.1. 왕희제

동아리 학술제, 동아리 전시, 동아리 부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는 축제로 외부 학생들에게 학교를 개방하여 학교 간 재미 있는 축제로 알려져 있다.

매 해 8월, 학생회 자체 집계 추산 2,000여 명의 방문객을 기록하고 있으며, 다양한 동아리 체험 프로그램과 이벤트, 체육관에서 열리는 페스티벌 규모의 공연과 맛있는 푸드트럭으로 인근 학교 학생들은 물론 주민들의 눈과 귀, 입을 사로잡는다.

5. 학교 시설

학교 교문이 주변에 있는 독립문과 매우 흡사하게 생겼다. 학교 측에서는 왕희문이라고 부르는데 왜 교문을 독립문과 비슷한 모양으로 지었는지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어느 것 하나 정확한 것은 없다

80년이나 된 학교다 보니 시설 수준은 좋지 못하다. 얼마나 심각하냐면 건물 등급평가를 위해서 건물 일부 공사를 해서 겨우 받은 게 D등급이란 교사의 발언이 있을 정도.그나마 본관 건물은 리모델링으로 괜찮아졌으나 동관의 경우 그대로 남겨져서 벽에 금이나 균열이 보인다. 이는 특히 중학교 건물이 심하다.

운동장은 매우 좁은 정사각형으로 축구부가 있는 학교라고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작다. 체력장때 100m 달리기를 할 때 100m를 잴 수 없어서 50m달리기하고 곱하기 2를 하고 기록하는 어이없는 일도 벌어진다. 1년 동안 학급별로 하는 반대항 축구가 있는데 뻥축구로 골키퍼가 슛을 하면 상대편 골에 도달하여 10초만에 골이 넣어지는 상황도 생긴다. 급식실은 제 1, 2급식실로 나눠져 있어 공간이 넉넉하다 생각할 수 있으나. 가끔씩 한 급식실이 꽉차서 다른 급식실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운동장과 체육관은 2024년 여름에 리모델링 되었다.

6. 학교 생활

학생이 학교 기물파손이나 교내외 흡연을 하다 걸리는 등 교칙의 어긋나는 행위를 하면 1번 경고를 주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또 경고를 먹어 3번이 되면 가차없이 퇴학이다.[6] 이로인해 1학년 때 뭣도 모르고 들어온 양아치들이 중학교 때처럼 반항하다가 1학년 끝날 때나 2학년 때[7] 퇴학당해 3학년이 되면 면학 분위기가 조성된다.

축구대회가 있다. 매년 1학기 중간고사가 끝나고 한다. 1, 2 학년만 참가한다

1학년은 수련회, 2학년은 수학여행을 간다.
2025년부터 1,2학년은 같이 수련회, 수학여행을 떠난다.
예를들어 2025년에 수련회라면 2026년에는 수학여행

7. 출신 인물

  • 정치계
  • 공직자
    • 문성혁 - 제21대 해양수산부 장관
    • 배경훈 - 제6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정성호 - 제71대 법무부 장관
    • 고영선 - 고용노동부 차관
    • 김용환 -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 임성남 - 26회, 외교부 차관
    • 국민수 - 30회, 법무부 차관
    • 박한기 - 제41대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 유길상 - 한국기술교육대 총장, 한국고용정보원장
    • 이근 -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 김학균 - 29회, 한국은행,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위원장
    • 유희동 - 30회, 기상청장
    • 윤건용 - 25회, 인천보훈지청 지청장
    • 윤영빈 - 30회, 초대 우주항공청장
    • 김회정 - 32회, 기획재정부 국장, 한국거래소 상임감사위원
    • 성일홍 - 32회, 기힉재정부 과장, 충청북도 경제부지사
    • 김용수 - 제10대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
    • 김용수 - 33회, 국무조정실 경제조정실장,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
    • 함상욱 - 주 오스트리아대사관 대사
    • 신용식 - 37회, 문화체육관광부 과장
    • 이준호 - 38회, 주 카타르대사관 대사
    • 정호정 - 39회, 육군 대령
    • 조원희 - 39회, 사이버작전사령부 사령관
    • 우동석 - 45회, 경찰대, 총경
  • 법조인
    • 조용환 - 27회, 서울대 법대, 법무법인 덕수, 법무법인 지평
    • 최장섭 - 28회, 고려대 법대, 법무법인 시화
    • 이종훈 - 29회, 서울대 법대, 명지대 법과대학 교수
    • 국민수 - 30회, 서울대 법대, 법무부 검찰국장, 법무부차관, 김앤장 법률사무소
    • 백승민 - 30회, 연세대 법대, 검사, 연세대 법과대학 교수, 법무법인(유) 케이에이치엘
    • 이준 - 30회, 서울대 법대, 판사, 헌법재판소 사무차장, 대법원 윤리심사관
    • 서기원 - 31회, 서울대 법대, 법무법인 세하
    • 신장수 - 31회, 서울대 법대, 법무법인 예강 대표변호사
    • 신흥철 - 31회, 서울대 법대, 판사, 법무법인 로플렉스 대표변호사
    • 이상균 - 34회, 서울대 법대, 법무법인 충정
    • 이영창 - 35회, 서울대 미학, 서울고등법원 판사
    • 소 진 - 36회, 서울대 법대, 부장검사, 법무법인(유) 광장
    • 오현규 - 37회, 서울대 법대, 서울고등법원 판사
    • 임윤수 - 37회, 서울대 법대, 검사,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 법무법인(유) 율촌
    • 강현구 - 38회, 서울대 사범대학, 연세대 법과대학, 법무법인(유) 광
    • 윤장석 - 38회, 서울대 법대, 부장검사, 청와대 민정비서관, 법무부 정책기획단장, SK에코플랜트(부문장)
    • 이광우 - 39회, 서울대 법대, 부장검사, 법무법인(유한) 대륜
    • 정성엽 - 39회, 서울대 노어노문, 검사, 법무법인(유한) 율촌, 법무법인 민주
    • 이정배 - 42회, 서강대 정치외교,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이순명 - 42회, 고려대 법대, 서울경찰청
    • 김영주 - 44회, 고려대 법대, 부장검사
    • 김정욱 - 44회, 서강대 생명과학, 전남대 로스쿨, 법무법인 시우 변호사
    • 안창석 - 45회, 서울대 법대, 사내변호사
    • 황은규 - 46회, 고려대 법대, 판사, 김앤장 법률사무소
    • 김경태 - 47회,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부장판사
    • 주동진 - 52회, 서울대 외교학, 서울대 로스쿨, 법무법인 율촌, 경희대 법전원 교수
    • 김다윗 - 56회, 연세대 신학, 전북대 로스쿨, 재판연구원, 법무법인 로플렉스 변호사
    • 우희준 - 56회, 한국외대 법대, 경북대 로스쿨, 대구지검 검사
    • 옥동환 - 56회, 연세대 교육, 아주대 로스쿨, 변호사
    • 최진욱 - 61회, 경찰대, 14회 변호사시험 합격, 경찰공무원
  • 기업가
    • 조승진 - 미스터블루 대표
    • 최종일 - 아이코닉스 대표
    • 원기찬 - 27회, 삼성카드 대표이사, 삼성 라이온즈 구단주 겸 대표이사
    • 김종헌 - 34회, 삼성전자 부사장
    • 이구영 - 한화솔루션 큐셀부문 대표이사
    • 신현우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이사
    • 조선웅 - 28회, 레프코리아 대표이사
    • 김용진 - 30회, DY 주식회사 대표이사
    • 장형태 - 샘터사 대표이사
    • 박성호 - 32회, 하나은행장, 하나금융그룹 부회장
    • 박희관 - 34회, Sat21 대표
    • 김동섭 - 36회, 글로넷벤처파트너스(벤처캐피탈) 대표이사
    • 강민균 - 39회, JKL 파트너스 대표, PEF 협의회 회장
    • 김찬영 - 39회, 랩앤컴퍼니 CEO
    • 위석호 - 39회, 공인회계사, (주)펴나니 대표이사
    • 정일국 - 39회, 한국스마트건설안전협회장
    • 이종식 - 40회, KT 연구소장, 전무
  • 언론계
    • 이길영 - 한국방송공사(KBS) 이사장
    • 홍성완 - JTBC PLUS 총괄사장
    • 성백유 - SBS 미디어넷 골프/스포츠본부 총괄국장
    • 배재학 - SBS 보도본부 기자
    • 차현진 - MBC 기자
    • 민의식 - 38회, SBS PD
  • 교육계
    • 오성식 - 영어강사, 굿모닝팝스 진행자
    • 오종근 - 27회, 서울대 법대,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장
    • 김선교 - 32회, 서울대 경영,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
    • 노명우 - 32회, 서강대 사회학, 아주대 사회학과 교수
    • 김한승 - 35회, 서울대 미학, 국민대 교양대학 교수
    • 이정재 - 35회, 서울대 중어중문, 서강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이재호 - 35회, 서울대 경제학, 경희대 무역학과 교수
    • 이호행 - 37회, 고려대 법대, 한국방송통신대 법학과 교수
    • 김진엽 - 36회, 연세대, 대신고 교장
    • 이상윤 - 38회, 서울대 화학, 아주대 의과대학 교수
    • 강 욱 - 39회, 경찰대, 경찰대 행정학과 교수, 한국금융범죄예방협회 회장
    • 김종진 - 39회, 국민대- 홍익대 박사, 한국폴리텍대 학장
    • 조지만 - 39회, 서울대 법대, 아주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이세중 - 44회, 서울대 경제학, 서울시립대 경영학과 교수
  • 의료계
    • 김대중 - 서울대 수석, 서울대 의대, 성균관대 의대 내과학 교수
    • 신규철 - 한양대 의대, 제일정형외과병원 병원장
    • 이정근 - 서울대 치대, 아주대 치의학대학원 교수
    • 채수욱 - 서울대 의대, 에이트성형외과의원 원장
    • 이재진 - 한림대 의대, 이재진흉부외과의원 원장
    • 이정환 - 서울대 의대, 남다른재활의학과의원 원장
    • 김기원 - 서울대 의대, 서울원내과 원장
    • 오승준 - 연세대 의대, 연세하늘병원장
    • 이형돈 - 연세대 의대, 춘천한림대병원 감염내과
    • 임기정 - 고려대 의대, 고려대 안암병원 이비인후과
    • 송동섭 - 한양대 의대, 제일정형외과병원 하지정맥류 원장
    • 홍윤호 - 서울대 의대, 서울보라매병원 신경과
    • 서일범 - 서울대 의대, 마블성형외과 대표원장
    • 김준성 - 서울대 의대, 분당서울대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 체육계
    • 송만덕 -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 감독
    • 김남성 -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 감독
    • 김호철 -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 감독
    • 문용관 -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 감독
    • 김형실 -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감독
    • 류중탁 -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 코치, 명지대 배구 감독
    • 이희완 - 독일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감독
    • 오한남 - 대한민국배구협회 회장, 바레인, 카타르 국가대표팀 배구 감독
    • 조재진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선수
    • 주민규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선수
    • 강철 - 화성 FC 축구 감독
    • 김상우 -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배구 감독
    • 이광석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코치
    • 정용훈 -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국가대표팀 축구 선수
    • 조성환 - 전북 현대 모터스 B 코치
    • 정조국 - 제주 유나이티드 FC 코치
    • 박지영 - 축구 선수
    • 여효진 - 축구 선수
    • 윤준성 - 축구 선수
    • 이으뜸 - 축구 선수
    • 정재용 - 축구 선수
    • 구상민 - 축구 선수
    • 장준영 - 축구 선수
    • 오성진 - 축구 선수
    • 유동규 - 축구 선수
    • 이종욱 - 축구 선수
    • 이예찬 - 축구 선수
    • 정태백 - 축구 선수[8]
    • 최기봉 - 축구 선수
    • 정재용 - 축구 선수
    • 김동기 - 축구선수
    • 김희준 - 큐브 선수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

정류소 명칭 노선 번호
대신중고(01817) 종로05
독립문공원.극동아파트(13270) 470[11], 601[12], 750[13], 7024, 7737, 서대문02, 서대문11
독립문(13942) 서대문02
삼호아파트(13282) 7024, 7737
독립문(01171) 171
영천시장(13133) 171, 470
영천시장(13036, 13037)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20, 741, 752, 790, 799, 7019, 7021, 9709, 9710

8.2. 지하철

9. 기타

  • 1989학년도 전국 수석을 이종진 학생이 했다. 당시 “모든 영광을 파출부 일을 하며 어렵게 뒷바라지해준 어머님께 돌리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아버지가 사고로 몸져 누운 뒤 파출부 생활을 해온 어머니의 세월이 보상 받는 순간이었다. 서울대 화학공학과에 진학했고 훗날 S-OIL에서 근무했다.
  • EBS 장학퀴즈 인문계편에 이유환 학생이 최종 우승을 하였다.
  • 1991년 일본 히로시마 미나미고와 자매결연을 맺어 교육, 체육, 문화 분야 등 다양한 교류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1,2학년 중 12명을 국제교류단으로 선발하여 격년제 상호방문해 교류하고 있다.
  • 2010년대 말에서 2020년까지 흑석뉴타운 흑석9구역으로 이전설이 유력하게 제기되었다.# 현 위치는 학생이 적은 도심지로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어렵고, 학교 건물도 심하게 낙후된 상황에서 뉴타운 이전은 학교 입장에서 좋은 해결책이었다. 고등학교 부족으로 학교 유치를 원하던 흑석동의 학부모들도 역사와 전통이 있는 대신고의 이전을 반기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학교 이전을 하려면 기존 대신고의 부지를 매입할 당사자가 있어야 부지 매각 수입으로 새로운 부지를 사서 학교를 지을 수가 있는데, 매입 희망자가 없었다. 학교 부지로 용도가 제한되어 있어 기업이 매입할 의사가 없었고, 교육청이나 서울시도 소극적이었다. 결국 이전은 무산되었고 흑석고를 개교하기로 했다.
  • 2023년 1학기 1학년 수련회를 마치고 돌아오던 중 버스 사고가 났다. #
  • 가수 이승철의 외조부가 대신고 설립자이며 큰외삼촌은 대신고 교장, 작은외삼촌은 중학교 교감, 부친은 대신고 학생주임, 모친은 대신고 서무과 직원이었다. 설립자 손주라고 점심시간 때 학교 밖에서 짜장면을 사먹거나 친구들과 외출도 하는 등 특권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승철이 재학시절 다른 고교들은 9교시까지 하는 반면 수요일은 5교시 수업만 해서 수요일이 토요일 같았으며 시장에서 어묵 먹고 소주 한 잔씩 마셨다고 밝혔다.

[기준] 2024년 3월 1일[기준] [3] 왕희인[4] 일제강점기 말, 민족말살통치기에 교육정책에 의해 농업학교로 강제변경[5] 6.25 전쟁 휴전 이후 서울 수복 시기[6] 학교에선 이를 세 번 걸리면 퇴학이므로 '쓰리아웃제(Three out)'로 부른다.[7] 혹은 3개월이 될 수도 있다.[8] 몽골 내셔널 프리미어리그 데렌FC[9] 이태윤 같은반 친구[10] 이태윤의 동창[11] 상암동 방향[12] 개화역 방향[13] 덕은동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