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 bgcolor=transparent><table color=#fff,#fff>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width=35%>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feat.하츠네 미쿠 ||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 0 0 -7px;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33%); min-height: 2e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0.95e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12px; background: #444466; padding: 3px 0 2px" {{{#!folding ⠀캐릭터 ▼⠀ {{{#!wiki style="margin: -7px 0 -3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aaa><table bordercolor=#ebebf2,#444466><nopad> | |||||||||
| ||||||||||
| ||||||||||
| ||||||||||
| ||||||||||
| ||||||||||
만우절 한정 유닛 (1차 · 2차 · 3차 · 4차) | 콜라보 한정 유닛 DI:Verse | 기타 등장인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33%); min-height: 2e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0.95e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12px; background: #444466; padding: 3px 0 2px" {{{#!folding ⠀게임플레이 ▼⠀ {{{#!wiki style="margin: -7px -0px -3px" | <colbgcolor=#ebebf2,#50545e><colcolor=#444466,#fff> 세계관 | 배경 | 스토리 (메인 스토리 · 이벤트 스토리 · 키 스토리) | ||||
음악 | 수록곡 | 음반 (싱글) | ||||||||
콘텐츠 | 이벤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4px; background: #444466; padding: 0px 5px" | |||||||||
뽑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border-radius: 4px; background: #444466; padding: 0px 5px" | ||||||||||
<rowcolor=#444466,#444466> 랭크 매치 | 마이세카이 (가구) | |||||||||
<rowcolor=#444466,#444466> 시스템 (에어리어 · 라이브 · 멤버 · 미션) | ||||||||||
라이브 | 버추얼 라이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4px; background: #444466; padding: 0px 5px" | |||||||||
커넥트 라이브 | ||||||||||
오프라인 라이브 |
- ⠀관련 문서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bordercolor=#ebebf2,#444466><colbgcolor=#ebebf2,#50545e><colcolor=#444466,#fff><width=20%><:> 기타 ||<-6><tablecolor=#444466,#fff> 팁 · 오프라인 이벤트 · 창작 콘테스트(의상) · 난이도 표기 문제(Lv.33 이상) · e스포츠 대회 · 프로세카 아카데미 · 라디오 및 정보 프로그램 · 노래방 수록곡 · 해외 서비스 · 발매 전 정보 ||
사건 사고 일본 서비스 · 한국 서비스
캐릭터 차별 대우 논란미디어 믹스 푸치세카 · Journey to Bloom · 극장판 애니메이션 관련 사이트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 디시인사이드 한국서버 갤러리
||<-4><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ebebf2,#191919> ||
🇰🇷 한국 서버 수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margin-top: 5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min-width: 33.3%" {{{#!folding [오리지널 곡] {{{#!wiki style="letter-spacing: -0.9px; font-size: .9em" | ||||||||
Ready Steady 🇰🇷 Giga | Forward 🇰🇷 R Sound Design | RAD DOGS 🇰🇷 하치오지P | 시네마 🇰🇷 Ayase | Beat Eater 🇰🇷 폴리스 피카딜리 | ||||
미래 🇰🇷 유기산 | Flyer! 🇰🇷 Chinozo | 월광 🇰🇷 키타니 타츠야 × 하루마키고한 | Awake Now 🇰🇷 유노스케 | 거리 🇰🇷 jon-YAKITORY | ||||
공허함을 부추기다 🇰🇷 시시시시 | 가사화 🇰🇷 하루카 료 | 양이 한 마리 🇰🇷 Peg | 하극상 🇰🇷 Misumi | 리얼라이즈 🇰🇷 히이라기 마그네타이트 | ||||
CR에이ZY 🇰🇷 우메토라 | Beyond the way 🇰🇷 Giga | blender 🇰🇷 코메다와라 × R Sound Design | 열화 🇰🇷 niki | ULTRA C 🇰🇷 Giga × TeddyLoid | ||||
퓨얼 우츠P | 헤이븐 니루 카지츠 | 파이어 댄스 🇰🇷 DECO*27 | 광선가 Guiano | 액셀러레이트 요시다 야세이 |
}}}}}}}}}
- [커버 곡]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fff,#000><nopad>
||<width=20%><nopad>
||<width=20%><nopad>
||<width=20%><nopad>
||<width=20%><nopad>
||🇰🇷 한국 서버 수록
-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width=20%><nopad>
||<width=20%><nopad>
||<width=20%><nopad>
||<width=20%><nopad>
||<width=20%><nopad>
||
||
<colbgcolor=#ebebf2> | |
시노노메 아키토 • 시라이시 안 • 아즈사와 코하네 • 아오야기 토우야 | |
| |
유닛명 | <colcolor=#444466,#dddddd><colbgcolor=#ffffff,#191919>Vivid BAD SQUAD |
유닛 분류 | 스트리트 유닛, 힙합 크루 |
주 장르 | EDM[1], 힙합[2], R&B[3] |
상징 문양 | |
유닛 컬러 |
|
세카이 | 스트리트 세카이 |
유닛 테마곡 | Ready Steady |
Beyond the way[4] | |
유닛 소개 |
|
1. 개요
유닛 PV (한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ebebf2; border-radius: 20px; background: #444466; margin: 10px 0px 10px 0px; padding: 3px 0 2px; font-size: 0.9em" {{{#!folding ⠀▼ 다른 서비스 PV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글로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 width=100%><table bgcolor=#ee1166> | }}}}}}}}}}}}}}}}}} |
Vivid BAD SQUADが歩んだ軌跡、そして。 Vivid BAD SQUAD가 걸어온 발자취, 그리고. |
{{{#!wiki style="border-left: 15px solid"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의 스트리트 유닛.
과거 RADder라는 유닛이 개최한 이벤트 "RAD WEEKEND"를 뛰어넘는 이벤트를 개최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주로 담당하는 장르는 일레트로닉이나 힙합/랩.
"Vivids"[5]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던 여성 멤버 2명과 "BAD DOGS"[6]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던 남성 멤버 2명이 연합하여 결성한 유닛이다. 비비드 스트리트를 주 활동지로 삼고 있다. 프로세카의 다섯 유닛 중 가장 노래 하는 것 자체에 집중하는 유닛이며 오리지널 유닛들 중에서 유일하게 대표 캐릭터의 색이 옅은 유닛이다.[7][8]
유닛명은 "Vivids"와 "BAD DOGS"에서 각각 한 글자씩을 따오고 코하네가 제안한 '소대, 집단, 멋진 녀석들'이라는 의미의 SQUAD를 합성한 것이다. 공식 약칭은 비비배스(ビビバス). 한국 팬덤 사이에서는 그걸 더 줄인 비배스라는 이름도 흔히 쓰인다. 다만 원더쇼와 마찬가지로 작품 내에선 약칭보다는 풀네임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1부 스토리에선 목표인 RAD WEEKEND를 뛰어넘기 위해 멤버들이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다룬다. 2부 스토리 후반엔 나기의 죽음과 RAD WEEKEND라는 이벤트에 담긴 진실을 알고 비비드 스트리트의 다른 뮤지션들이 떠난 와중에 비배스 멤버들은 목표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다진다. 3부 스토리에선 안의 아버지 켄의 도움을 받아 각 멤버들이 자신만의 과제를 받고 해결하며 성장하며 'OVER RAD SQUAD!!' 이벤트에선 마침내 RAD WEEKEND를 뛰어넘는데 성공한다. 4부에선 세계를 향해 나아가기 위해 미국으로 가서 미국의 세계적 음악 페스에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게 된다.
2. 유닛 키 스토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스토리/키 스토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스토리/키 스토리#Vivid BAD SQUAD|Vivid BAD SQUA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Vivid BAD SQUAD 메인 스토리 오프닝 컷씬 |
<rowcolor=#fff> \ | 이벤트 명칭 | 배너 캐릭터 | 악곡 |
<colbgcolor=#ffe2f0> 1부 스토리 | |||
<colcolor=#000> 1차 | 언젠가 등을 맞댄 가사를 | 시라이시 안 | Forward |
2차 | Period of NOCTURNE | 아오야기 토우야 | RAD DOGS |
3차 | STRAY BAD DOG | 시노노메 아키토 | 시네마 |
4차 | Awakening Beat | 아즈사와 코하네 | Beat Eater |
유닛 합동 | 여름 축제, 울려퍼지는 소리는 | 시노노메 아키토 | - |
5차 | Bout for Beside You | 시라이시 안 | Awake Now |
6차 | Same Dreams, Same Colors | 아오야기 토우야 | 미래 |
7차 | Legend still vivid | 아즈사와 코하네 | Flyer! |
8차 | THE POWER OF UNITY | 시노노메 아키토 | 월광 |
2부 스토리 | |||
9차 | The Vivid Old Tale | 시라이시 안 | 거리 |
10차 | Walk on and on | 아오야기 토우야 | 공허함을 부추기다 |
11차 | Find A Way Out | 시노노메 아키토 | 가사화 |
12차 | Kick it up a notch | 아즈사와 코하네 | 양이 한 마리 |
13차 | Light Up the Fire | 시라이시 안 | 하극상 |
14차 | On Your Feet | 아즈사와 코하네 | 리얼라이즈 |
3부 스토리 | |||
15차 | BURN MY SOUL | 시노노메 아키토 | CR에이ZY |
월드링크 (16차) | BREAK DOWN THE WALL | - | -[WL1] |
17차 | The first concerto | 아오야기 토우야 | blender |
18차 | Whip the wimp girl!! | 시라이시 안 | 열화 |
19차 | OVER RAD SQUAD!! | 아즈사와 코하네 | ULTRA C |
4부 스토리 | |||
20차 | Rekindle the flame | 시노노메 아키토 | 퓨얼 |
21차 | Time to take off! | 아오야기 토우야 | 헤이븐 |
월드 링크 (22차) | Turning Pain into Drive | - | -[WL2] |
23차 | Aim higher and higher! | 아즈사와 코하네 | 광선가 |
3. 관계도
<nopad> |
4. 서포트 캐릭터
<nopad> |
| | | | | |
<rowcolor=#fff> 하츠네 미쿠 | 카가미네 린 | 카가미네 렌 | 메구리네 루카 | MEIKO | KAITO |
<nopad> |
3주년 이후의 비배스 버추얼 싱어 관계도번역 출처 |
정식으로 등장한 시점과 별개로 스트리트 세카이에는 처음부터 6명 전원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12] 카가미네 린은 서비스 시작과 동시에 4성 카드가 출시되었고, 에어리어 대화에도 등장하며 버추얼 싱어 메인 스토리 중 스트리트 세카이 스토리에서도 등장한다. KAITO는 'STRAY BAD DOG' 이벤트에서 등장했는데 이때도 멤버들과만 면식이 없었을 뿐 버추얼 싱어들끼리는 이미 알고 있었던 것처럼 묘사된다. 메구리네 루카 역시 스토리에서는 'Same Dreams, Same Colors' 이벤트에서 첫 등장했지만 그 이전 공개된 drop pop candy 3D MV와 2021년 안 생일 기념 버추얼 라이브에서 선등장했으며 해당 이벤트에서도 역시 멤버들과 구면인 것으로 설정됐다.
의상은 스트리트에 어울리는 캐주얼한 컨셉. 스트리트풍이라는 전체적인 컨셉 외에는 디자인이 통일된 느낌이 가장 적은 유닛이다. 또한 미쿠를 제외한 버츄얼 싱어들은 전원 바지를 입고 있다.[13] 3주년 이후로는 전반적으로 검은색 가죽자켓을 베이스로 한 의상으로 변경되어 이전보단 통일된 느낌이 되었다.
메이코가 운영하는 crase cafe에 자주 모이며[14] 그렇지 않을 때는 노래 연습을 하거나 세카이의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는 듯.
5. 수록곡
메인 컨셉은 세련되고 도시적인 스타일의 스트릿 장르. 곡 분위기는 일렉트로닉, 힙합, 록, 팝커버곡에서는 일렉트로닉 장르에서 유명한 여성곡과 남성곡을 각자 전담해서 맡는다. 단체 유닛곡에서는 다같이 각각의 파트를 맡거나, 여성 유닛과 남성 유닛이 리드와 코러스를 역할을 나눠서 담당하여 균형을 맞춘다.
오리지널 곡은 대부분 단체보컬이지만 커버곡의 경우 단체이거나 성별 간 조합으로만 나뉜다. 각 성별로 조합을 나눌 땐 어나더 보컬에서 따로 구현되는 편.[15]
유닛 소개 자체에 '실력파'가 차별성으로 강조되는 만큼 멤버 전반이 맡는 가창력 범위가 굉장히 넓다. 성별별 보컬 파트를 이용한 화음과 하모니, 남녀 혼성이기에 필연적인 넓은 음역폭, 보컬과 랩과 추임새 등의 다양한 보컬사운드에 더불어 가장 대중적인 가요의 퀄리티에 맞는 화려한 기교와 보컬 테크닉을 멤버가 골고루 갖춰 전체 유닛 중에서도 사운드 자체의 화려함이 부각되는 편이다.
리듬게임적 관점으로 보면 커버곡이건 오리지널 곡이건 유닛 특성상 스윙이나 셔플 박자가 상당히 잦게 나오는 편이라 스코어링, 특히 AP 난이도가 동 레벨 대비 상당히 높은 편이다.
2024-02-24까지의 오리지널 악곡들 기준 각 멤버별 주역 담당곡 마스터 레벨 평균 난이도 편차가 가장 적은 유닛이다. 코하네, 안이 각각 28.75, 아키토 28.5, 토우야 28.33으로 비교적 균등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16] 2025-02-20 기준 각 멤버별 카키오로시 악곡을 똑같이 5개씩 배정받은 시점에서는 코하네/아키토 28.6 안/토우야 28.4로 더 균등해졌다.
현 유닛 보스곡은 닥터=펑크 비트(32레벨)와 칠드런 레코드(32레벨).[17]
5.1. 유닛 오리지널 곡
||<|2><table bordercolor=#e16><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e5e5e5><rowbgcolor=#e16><rowcolor=#fff> 곡명 ||<|2> 프로듀서 ||<|2> 싱어 ||<-6> Lv. ||<|2> MV ||<|2> 어나더 ||<|2> 버추얼
싱어
Ver. ||<|2> 획득 경로 ||
싱어
Ver. ||<|2> 획득 경로 ||
5.2. 유닛 커버 곡
||<table bordercolor=#e16><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e5e5e5><rowbgcolor=#e16><rowcolor=#fff><|2> 곡명 ||<|2> 프로듀서 ||<|2> 싱어 ||<-6> Lv. ||<|2> MV ||<|2> 어나더 ||<|2> 버추얼 싱어
Ver. ||<|2> 획득 경로 ||
Ver. ||<|2> 획득 경로 ||
[IA] IA 보컬 버전 원곡 선택 가능[GUMI] GUMI 보컬 버전 원곡 선택 가능[GUMI] [flower] v flower 보컬 버전 원곡 선택 가능[IA] [flower] [flower] [IA] IA 보컬 버전 원곡 선택 가능[flower] [flower] [카후] 카후 보컬 버전 원곡 선택 가능[GUMI] [Lily] Lily 보컬 버전 원곡 선택 가능[카후] [GUMI] [flower] [IA]
6. 커넥트 라이브
CONNECT LIVE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커넥트 라이브 Vivid BAD SQUAD 1st CRASH 2022.06.11 | 2nd ANNIVERSARY SPECIAL STAGE 2022.10.09 | |
}}}}}}}}} |
7. 기타
- 6유닛 중 네 번째로 캐릭터 소개가 공개되었다.
- Vivid BAD SQUAD 4컷 공식만화/번역
- Vivid BAD SQUAD 세카이 배경 일러스트
- 유닛복과 사복이 같은 유일한 유닛이었지만 3주년부터 유닛복이 변경되면서 유닛복과 사복이 분리되었다.
- 평균 신장이 167.75cm로 게임 내 최장신 유닛이다.
- 레오니와 더불어 멤버 전원이 같은 학년인 유닛이다.
- 멤버 전원의 이름에 색깔과 관련된 단어가 있다.
- 아즈사와 코하네(小豆沢 こはね) → 팥색(小豆)
- 시라이시 안(白石 杏) → 하얀색(白)
- 시노노메 아키토(東雲 彰人) → 담홍색[18](東雲)
- 아오야기 토우야(青柳 冬弥) → 푸른색(青)
- 오리지널 유닛들 중 유일하게 메인 스토리 오프닝 나레이션을 유닛의 타이틀 캐릭터가 아닌 다른 멤버가 맡은 유닛이다.
- 수록곡 중 노래방 수록곡이 가장 적은 유닛으로, 전체 9곡밖에 되지 않는다. 다만 프로세카 오리지널 유닛 중 가장 오리지널 곡이 많이 수록되어 있는 유닛이다. 최초로 노래방에 수록된 오리지널 곡이 비배스의 시네마이다.
- 1차 유닛 이벤트를 제외하고 모든 유닛 이벤트의 타이틀이 영어다. [19]
- 스토리에서 대놓고 해체 위기를 다뤘던 원더랜즈x쇼타임처럼 이쪽도 유닛으로서의 미래가 아주 밝지만은 않다. 스토리가 진행되며 많이 잊혀진 사실이지만 이들은 원래 Vivids와 Bad DOGS라는 별개의 유닛이었고 RAD WEEKEND를 넘는 이벤트를 열겠다는 목적으로 비배스를 결성해 활동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 다만 목표를 이룬 4부 이후에도 세계에서 활약하는 음악가가 되기 위해 계속 팀으로 활동하게 된다.
- 초창기 원더쇼에 이어서 의상 디자인이 호불호가 갈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Awake Now, 공허함을 부추기다, 월드 링크 이벤트의 의상은 역대 최악의 의상 중 하나로 손 꼽힐 정도. 그나마 Beat Eater, Flyer!, 거리, 가사화, 하극상의 의상은 꽤나 호평 받았다.
- 종종 파트 분배에 대한 불만이 나오고 있다. Ready Steady는 테마곡인데도 아키토와 토우야의 솔로 파트는 랩밖에 없는데 인게임 수록 버전 기준으로 아키토 두 줄, 토우야 한 줄의 솔로파트와 후렴구에서 1초짜리 코러스를 두 번 넣은 것 외에는 모든 것을 코하네와 안이 부른다. 두 번째 테마곡인 Beyond the way는 분량이 늘었지만 여전히 대다수의 보컬 파트가 코하네와 안에게 돌아가고 있다. 특히 Forward에서는 아키토와 토우야의 솔로 파트가 아예 없다. 또한 합창 파트의 경우 무조건 아키토와 토우야는 베이스로 깔려 목소리가 거의 들리지 않는다.[20]
- 이상하리만치 유닛 보스곡이 가장 갱신되지 않고 있는 유닛이다. 타 유닛의 경우 업데이트로 추가된 곡들이 보스곡 자리에 있지만,[21] 비배스는 서비스 시작 당시의 보스곡이 지금도 가장 어려운 보스곡으로 군림하고 있다. 같은 32레벨인 칠드런 레코드조차 체력 싸움이면 몰라도 스코어링 쪽으로 넘어가면 닥터 펑크 비트 보다 확실히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얘기 다 끝난 셈.
- 유닛 활동 자체가 진로로 연결되는 레오니드, 모모점, 원더쇼, 그리고 개별 서사에서 진로 얘기가 나오는 니고와는 달리 비배스의 목표는 어디까지나 RAD WEEKEND를 뛰어넘는 것이었고 그 목표를 이룬 후에도 구체적인 진로 서사는 나오지 않아 성인이 되어도 멤버들이 직업적으로 가수가 될지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일단 목표를 이룬 뒤에도 세계를 향해 나아간다는 것을 보면 과거 RADder의 뒤를 이어 세계에서 활약하는 뮤지션이 되려고 할 가능성이 높긴 하다.[22]
7.1. 비비배스 아카이브
각 유닛마다 하나씩 존재하는 유닛 컨텐츠 중 비배스의 것. 프로세카 공식 유튜브 계정에 업로드되고 있으며, 3~4개월에 한 곡 꼴로 공개된다. 각 영상마다 멤버들이 두 명씩 등장해서 짧게 대화를 나눈 뒤 노래를 시작한다. 이미 타 유닛 소속으로 수록되었던 곡을 다시 커버한다는 것이 특징.[23]3주년을 앞두고 세가 측에서 현재 진행되는 모든 유닛 컨텐츠의 종료 및 개편을 확정하면서 비비배스 아카이브 역시 앞으로 두 편의 업로드를 끝으로 사라질 예정이였으나 제작 사정으로 인해 마지막화가 11월로 미뤄졌다.
||<table bordercolor=#e16><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e5e5e5><rowbgcolor=#e16><rowcolor=#fff> 곡명 || 프로듀서 || 싱어 || 원본 || 링크 || 공개일 ||
アスノヨゾラ哨戒班 (내일의 밤하늘 초계반) | Orangestar | 아즈사와 코하네 시라이시 안 | Leo/need | # | 2021년 5월 14일 |
ドラマツルギー (드라마투르기) | Eve | 시노노메 아키토 아오야기 토우야 | Leo/need | # | 2021년 8월 30일 |
Gimme×Gimme | 하치오지P × Giga | 시라이시 안 시노노메 아키토 | VIRTUAL SINGER | # | 2022년 1월 6일 |
ジャンキーナイトタウンオーケストラ (정키 나이트 타운 오케스트라) | 스리이 | 아즈사와 코하네 아오야기 토우야 | VIRTUAL SINGER | # | 2022년 4월 13일 |
トキヲ・ファンカ (토키오 펑카)[24] | takamatt | 시노노메 아키토 아오야기 토우야 | VIRTUAL SINGER | # | 2022년 8월 3일 |
右肩の蝶 (오른 어깨의 나비) | 노리피 | 아즈사와 코하네 시라이시 안 | VIRTUAL SINGER | # | 2023년 6월 24일 |
炉心融解 (노심융해) | iroha | 아즈사와 코하네 시노노메 아키토 | VIRTUAL SINGER | # | 2023년 9월 28일 |
夜明けと蛍 (새벽과 반딧불이) | n-buna | 시라이시 안 아오야기 토우야 | VIRTUAL SINGER | # | 2023년 11월 15일 |
플레이리스트
8. 스토리 관련 비판
프로세카의 스토리는 대부분 평가가 괜찮은 편이나, 비비배스의 스토리만은 오랫동안 좋지 못한 평가를 받고 있다. 그래도 어느 정도 진행된 시점에서 나중에 한번 몰아서 보면 그나마 괜찮지만, 2부 토우야 이벤트까지는 한 캐릭터가 메인인 스토리를 장편으로 기획하다 보니 조연들의 비중 문제가 지적되었고, 안 이벤트나 코하네 이벤트에서는 캐릭터 붕괴 및 설정 붕괴가 자주 일어나기에 다른 유닛에 비해 문제점이 상당히 많이 지적되는 편이다.이러한 이유로 모브배스라는 멸칭도 생긴 편. 스토리 작가 역시 다른 유닛에 비해 비배스 스토리는 쓰기가 매우 힘들다고 한 바 있다.
8.1. RAD WEEKEND에 대한 묘사 부족
우선 비배스 스토리에 대한 주된 비판점 중 하나는 이 유닛의 최종 목표인 RAD WEEKEND에 대한 묘사의 부족이었다. RAD WEEKEND가 비비드 스트리트에 수많은 뮤지션을 끌어들였다는 언급이 있고, 몇 년이 지난 작중 시점에서도 전설의 밤이라고 회자되는 등 스토리 내에서 분명 대단한 이벤트였다는 사실은 알 수 있다. 그러나 정작 그 대단하다는 이벤트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현장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메인 스토리가 지나고 이벤트 스토리가 몇 개나 지나가도록 밝혀지지 않았다. 처음으로 이 이벤트가 자세히 묘사된 "Legend Still Vivid" 이벤트에서도 아무래도 '전설의 밤'이라고 이름 붙일 만큼 스케일이 커 보이지 않는다는 평이 대부분. 대사와 라이브 2D, 일부 일러스트로만 모든 표현을 해야 하는 모바일 게임으로서는 나름 열심히 표현하기는 했지만, 저것들만으로 지금까지 작중에서 받아온 칭송을 유저들에게 납득시키기에는 한계가 명확했다.[25]그나마 13차 이벤트인 'Light Up the fire'에서 RAD WEEKEND의진실이 밝혀지며 어느 정도 이 문제점은 해소되었다. 시한부 판정을 받은 나기가 인생의 마지막으로 이 거리의 멤버들과 함께 최고의 공연을 하자는 취지에서 만든 대형 이벤트, 즉 한 사람의 인생을 걸고 만들어낸 아름다운 콘서트였기에 비비드 스트리트에서 '전설의 밤'으로 불리고 있다는 것.[26] 해당 이벤트로 인해 RAD WEEKEND가 비비드 스트리트에서 가지는 의미가 명확해졌고, 비배스라는 유닛의 목표로서의 당위성도 챙겼다. 다만 해당 이벤트가 2부 서사의 끝자락에나 진행된 이벤트기에 초기부터 언급되었던 유닛의 목표치고는 너무 늦게 설명되었다는 비판까지는 피할 순 없다.
거기다 유닛 멤버 모두가 당연한 듯이 RAD WEEKEND를 뛰어넘겠다고 입버릇처럼 말하고 있는데도 이들이 어째서 이 이벤트를 그렇게나 동경하고 뛰어넘으려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너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일단 멤버 4명 중에 RAD WEEKEND를 직접 본 것도 아키토와 안 둘뿐이고, 토우야와 코하네는 '파트너의 목표니까' 정도의 이유로 RAD WEEKEND를 넘겠다고 결한 듯이 묘사되었다. 'Legend Still Vivid' 이벤트에서 숨겨져 있던 RAD WEEKEND의 영상을 함께 감상하며 어느 정도 이 문제점은 해소되었지만 너무 뒤늦은 처사라는 지적과 더불어 애당초 목표의 시작 자체가 파트너의 꿈을 같이 꾼 것이라 그 꿈에 대해 알게 되었을 뿐 목표의 본질 자체가 달라진 것은 아니다. 파트너의 목표를 함께하고 싶은 것이라고 이미 강조해놓은 이상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해당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뿐인데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에 비배스가 쭉 안고 가야 할 스토리상의 오점이라고 봐야 한다. 때문에 어째서 스트리트 세카이가 네 명의 마음에서 태어났다는 것인지도 충분히 설명되지 않고 있다. 스트리트 세카이는 RAD WEEKEND를 넘고자 하는 뜨거운 마음과 열정, 비비드 스트리트에 대한 애정 등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안과 아키토는 그렇다 쳐도 코하네와 토우야의 마음을 설명하기 다소 애매해진 것. 우선 공식 설정은 네 명 모두의 마음에서 태어났다고 나오지만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할만한 요소가 너무나 부족하다.
사실 장황하게 엄청난 것처럼 묘사해놓았지만 결국 작은 거리에서 유명한 이벤트에 지나지 않기에 팀의 목표가 너무나도 추상적이고 소박하다는 지적도 나온다.[27] 때문에 RAD WEEKEND를 뛰어넘는 것보다 스트리트 뮤지션으로서 성공하는 것 자체를 목표로 설정하거나 RAD WEEKEND를 뛰어넘은 뒤 유닛으로서 그 이상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2부 스토리의 후반부에서 비비드 스트리트를 벗어난 무대로서의 '세계'가 몇 번 언급되며 RAD WEEKEND를 넘어선 이후 더 큰 목표가 설정될 수도 있음을 암시하였고 3부 스토리 마지막에 RAD WEEKEND를 뛰어넘으로서 세계를 목표로 하겠다고 선언하였다.
애초에 세계에서도 이름을 알릴 만한 타이가가 만든 RAD WEEKEND를 뛰어넘었다는 건 비비배스는 이미 세계에서도 최소한 상위권 이상의 노래 실력을 갖추었다는 뜻인데, 갑자기 세계에 진출하며 새로운 벽들을 마주한 것처럼 묘사되는 것도 앞뒤가 안 맞는 설정 오류이기도 하다.
8.2. 비현실적이고 추상적인 묘사
거기에 명색이 노래실력에 집중하는 실력파 유닛인데 작가진의 노래에 대한 지식이 상당히 부족하다. 그 정도가 2D적 허용을 넘어 개연성과 묘사가 심히 허술해지는 수준이다.이가 잘 드러나는 것이 단적으로 아키토의 연습에 대한 묘사인데, 아키토가 연습을 하다가 목이 상해 아파하는 묘사가 남발되는 것. 목이 아프다면 애초에 잘못된 방법으로 부르고 있다는 것은 노래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어도 흔히 아는 사실이다. 즉 현실고증을 냉정하게 따져보면, 아키토는 밤낮으로 쉬지않고, 그리고 잘못된 발성으로 효과도 없는 (...) 연습을 했다는 결론이 나온다.
게다가 보컬은 사실상 발성과 호흡이 대부분이고, 이는 오랫동안 갈고 닦으면 대부분 잘하게 되기 마련이다. 물론 테크닉과 음색 등에서 스타일의 차이가 생길 수는 있어도 이는 취향의 차이일 뿐이다. 그런데 비비배스는 타이가와의 대결에서 큰 벽을 느끼며 처절할 만큼 실력 차이가 난다고 나온다. 이 말대로라면 비배스는 그렇게 오랫동안 연습했음에도 아직도 기초 발성과 호흡이 처절할 만큼 부족한, 갑자기 전원 심각하게 재능이 없는 음치 유닛이 되어버린다. 분명히 비비배스는 비비드 스트리트에서 인정 받는 실력파 유닛인데, 그럼에도 타이가와는 처절할 만큼 노래 실력의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이게 성립되려면 코타기 타이가가 보컬 실력을 넘어서 어떠한 초월적인 능력을 사용한다고 밖에 설명할 수가 없다.
이렇게 노래에 대해 묘사할 지식이 부족하니 노래를 잘하는 것에 대해 현실적인 묘사는 거의 없고, '공기가 바뀐다', '몸이 뜨거워진다' 등의 판타지적이고 비현실적인 묘사만 가득하다.
특히 이렇게 불친절하고 무성의한 묘사가 많이 쓰이는 게 코하네이다. 노래를 아예 처음 해본다면 발성이 아직 잡혀있지 않은 게 정상인데 안이 코하네의 노래를 처음 듣자마자 마음을 빼앗기고, 그 부족한 설명과 개연성은 '마음을 움직이는 특별한 힘'이 있다는 추상적인 묘사로 전부 퉁쳐버린다.[28] 코하네의 재능을 묘사함에 있어서도 도대체 코하네의 노래에 있어서 어떤 요소가 남들과 달리 특별한 것인지는 조금도 설명하지 못한다. 그저 '모두를 끌어올려준다', '상상 이상으로 위로 간다', '폭발력이 엄청나다', '특별한 힘', '마음을 사로잡는다', '문을 연다', '새로운 세계로 데려간다' 등 온통 추상적인 표현들 뿐이다. 덕분에 코하네는 푸쉬도 많이 받고, 서사와 스토리 비중도 넘치는데, 이상하게도 서사에 알맹이는 없어 개인서사가 없는 것처럼 느껴지고, 캐릭터성 역시 평면적이고 얄팍하다는 평이 나온다.[29]
RAD WEEKEND를 뛰어넘는 것 역시 실력을 키워 노래를 잘한다는 묘사보다는 추상적인 묘사들만 가득하고, 실제로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되었다. 당연히 독자들의 공감은 전혀 유발하지 못하고 왜 비배스는 갑자기 판타지 노래 배틀로 장르가 바뀌냐는 반응만 얻고 있다. RAD WEEKEND를 뛰어넘은 후 미국으로 진출하자 그 정도가 더 심해지고 있다.
8.3. 타이틀 캐릭터의 상징성 부족
비배스의 대표 캐릭터 자리를 맡고 있는 아즈사와 코하네는 타 유닛들의 대표 캐릭터와 비교해 상징성이 상당히 약하다.[30][31] 이 때문에 뉴비들이 비배스의 타이틀 캐릭터를 헷갈려 하기도 한다. 타이틀 캐릭터는 보컬, N주년 곡, 스탬프, 각종 일러스트 등에서 더 많은 콘텐츠를 제공받는 만큼, 엄밀히 따지면 다른 멤버들보다 푸쉬를 받는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들로 하여금 팀의 대표성이 충분히 납득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32]게임의 주제에서 '마음'을 강조하는 만큼 타 유닛의 대표들은 공통적으로 멤버들의 마음을 보듬어 줄 수 있다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데, 비배스에서 이런 역할을 하고 있는 건 시노노메 아키토다. 아키토는 멤버들의 멘탈 케어는 물론, 여러므로 도움을 주고 신경쓰는 편이고, 심지어 코하네의 파트너인 안이 갖는 미묘한 감정이나 부담감도 아키토가 먼저 눈치채 신경써주는 묘사가 많으며, 코하네는 전혀 눈치채지 못한다. 이를 기반으로 보면 코하네는 일상적으로는 다정다감한 편이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멤버들의 상황이나 마음을 섬세하게 살피는 능력도 부족한 점이 있다. 메인 스토리 프롤로그의 나레이션 역시 다른 유닛들은 모두 대표가 한 반면, 비배스만은 유일하게 안이 담당했다. 비배스를 결성하자는 제안 역시 안이 했고, 넷이 함께할 필요성을 가장 먼저 느낀 것 역시 아키토.
코하네는 RAD WEEKEND를 직접 본 적도 없으며 본인의 2차 하코인 'Legend still vivid' 전까지는 잘 알지도 못했을 만큼 팀의 목표와 직접적인 연관이 하나도 없고, 스토리 초반에는 파트너인 안이나 멤버들의 의견을 따라가기만 하는 것이 대부분인 수동적인 위치였다. 다른 멤버들에게 어떤 형태로라도 도움을 준 다른 대표 캐릭터들과 달리 코하네는 오히려 경력 있는 멤버들에게 조언과 도움을 받는 쪽이기 때문에 차라리 각자의 파트너를 이끌어주고 있으며 RAD WEEKEND를 직접 본 안이나 아키토를 대표로 설정하는 것이 나았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여담으로 유저들 사이에서는 원래 비배스의 타이틀 캐릭터는 안이었는데 출시 전 설정이 변경된 것 아니냐는 가설이 있다. 프롤로그의 나레이션과 일러스트를 안이 맡았다는 점과[33] 1성 카드의 속성[34], 그리고 스토리의 중요한 모브들이 안과 연관이 깊다는 점[35] 등을 근거로 든다.
8.4. 아즈사와 코하네 편애 및 푸쉬
공식 인터뷰에 의하면 프로세카의 유닛들은 1라인조가 주인공인 형태로 기획 및 구성되었기에, 비배스 역시 공식적인 주인공은 1라인에 해당하는 코하네이다. 다만 비배스는 어떠한 의미에서는 4명 모두가 주인공인 느낌도 있다고 밝혔다.[원문] 그런데 코하네의 분량을 늘리기 위해 다른 캐릭터들이 당하고 있는 스펙 저하[37]와 비중 공기화[38], 스펙 및 서사 강탈[39], 부속품화[40] 같은 이유 때문에 모두가 주인공인 느낌이라고 밝힌 유일한 팀인 비배스가 분량, 비중, 설정 몰아주기가 가장 심한 팀이 되어버린 상황이다.코하네를 '열쇠'라 칭하며 대놓고 편애하는데, 전체적인 유닛의 스토리 라인 역시 코하네 중심으로 전개되며 다른 멤버들은 조연일 뿐인다. 이는 미쿠의 '팀의 중심은 코하네가 될 것이다' 라는 대사를 통해 공인된 부분이다. 코하네는 작중 '열쇠'라고 직접 언급되었을 만큼 유닛 스토리 전개에 핵심적이고 비중 있는 역할은 다른 1라인조와 달리[41] 거의 다 코하네가 독점했는데[42] 오죽하면 일부 유저들 사이에서는 코하네와 아이들같다는 말이 나오기도 한다. 이러한 점이 잘 드러난 배너가 비배스의 14차 배너이다. 해당 배너는 토우야의 차례인게 정배였고, 비배스 멤버 전원이 타이가에게 선전 포고를 하며 앞으로의 각오를 다잡는 내용으로 딱히 누가 배너여도 이상할 게 없는 스토리였다. 그러나 아키토와 토우야 차례를 건너뛰고 6개월 전에 배너를 받은 코하네에게 배너를 주며 RAD WEEKEND를 뛰어넘는 과정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핵심 스토리는 전부 코하네에게 몰아주며 비배스의 주인공은 코하네라는 것을 명명백백히 드러내고 말았다.[43] 이를 위해 코하네에게 2부의 엔딩을 장식하게 하여 중요한 비중을 몰아준 것이며, 토우야는 2부 엔딩이라는 비중있는 역할을 하면 안 되는 것이냐는 비판도 초래했다. 이로 인해 토우야가 1년 넘게 배너를 못 받은 것은 덤이다.
단순히 배너 개수로 따져도 RAD WEEKEND를 넘기 전까지 배너는 코하네 5개, 안 5개, 아키토 4개, 토우야 4개이다. 안의 하코 5개 중 3개가 코하네 중심으로 돌아갔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코하네 중심 배너가 8개나 되는 셈이다. 또한 코하네는 모든 배너에서 본인이 주인공이 되었지만[44] 다른 세 명의 배너는 최소 1개 이상이 유닛의 전체 서사를 푸는데 소모되었다는 점도 감안하면[45] 스토리 내내 코하네 몰아주기가 얼마나 심한지 알 수 있다. 여기엔 스토리 문제만 서술되어있지만 다른 캐릭터들은 몇 년에 한 개 받을까 말까 한 한정 하코를 2개 연속으로 받는다던가, 스토리 외적으로도 모든 캐릭터를 통틀어 독보적으로 심각한 편애를 받고 있다. 특히 배너 로테이션 문제가 불거지는데, 캐릭터 차별 대우 논란의 중점인 배너 논란 중 3개가 코하네의 배너 독식으로 인한 논란이다.
심지어는 타 캐릭터의 하코에서 비중을 노골적이고 지속적으로 빼앗는다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는데, 시라이시 안의 하코 중 3개가 코하네 위주의 스토리로 돌아간 것이 대표적인 사례. 토우야의 하코인 RAD DOGS의 3D[46] 역시 코하네이다. 아키토는 일러스트에서 센터를 세 번이나 빼앗겼다. 대표적으로 CR詠ZY의 악곡 표지 일러스트와 2D MV 일러스트[47], 아키토의 하코곡인 '퓨얼'의 앨범 자켓 역시 하코 주인인 아키토는 사이드에서 잘려서 나왔고, 코하네가 센터를 떡하니 차지한 채 코하네 중심의 일러스트로 나왔다. 또한 첫 소절 역시 곡을 여는 의미라 중요시되는데, 코하네는 모든 캐릭터를 통틀어 가장 첫 소절을 많이 받아간 반면,[48] 다른 멤버들은 본인의 하코곡에서조차 첫 소절을 맡은 경우가 거의 없다.
특히 모두가 함께 목표를 뛰어넘자고 강조해놓고 코하네 혼자만 타이가에게 단독 과외를 지속적으로 받는 것이 지적된다. 안의 언급에 의하면 타이가는 누가 부탁해도 노래에 대해 가르치는 법이 없었다고 하며, 안이 타이가에게 특훈을 시켜달라고 부탁했을 때는 거절당했다고 한다. 그런 타이가가 코하네가 노래하는 모습을 보자마자 나기를 떠올리고 타이가에게 개인적인 가르침을 받은 것부터가 과도한 푸쉬 및 설정 붕괴와 캐릭터 붕괴의 시작이었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팀의 목표 그 자체인 RAD WEEKEND를 만든 당사자에게 혼자만 개인 과외를 받았다는 설정은 코하네만 다른 멤버들보다 월등히 성장시키려는, 대놓고 푸쉬의 의도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49]
8.4.1. 지나친 재능 설정
스토리를 세세하게 읽는 플레이어라면 알겠지만, 1차 하코 이벤트 이후로 묘사되는 코하네의 음악적 재능은 단순히 '소질이 있다' 정도가 아니라 초능력 수준의 음악 천재로,[50] 코하네가 마이크만 잡았다 하면 모두가 찬양하고 감탄하며 띄워주는 묘사가 나온다. 작가진은 코하네에게 부여된 이 천재수준의 재능 과설정 하나로 스토리 전개의 모든 개연성을 퉁쳐서 성의 없게 진행하는데,[51] 자연스레 스토리 비중과 분량이 커지며 수많은 무리수가 발생하고, 본인 서사에서도 성장 이유를 전혀 납득시키지 못한다. 멤버들의 서사나 설정들을 떼어가 지속적으로 코하네에게 붙여주는 과도한 설정놀음도 눈에 띈다.[52]짧은 경력과 부족한 경험으로 인해 절대적인 노래 실력은 부족하던 것으로 묘사되던 코하네는 첫 번째 하코에서 멤버들을 따라 잡는 것은 물론, 갑자기 마땅한 성장 서사도 없이[53] 모두가 놀랄 만한 노래를 불러 다른 멤버들을 놀라게 만들었다. 그리고 이를 들은 타이가가 RAD WEEKEND의 중심 인물인 나기를 떠올리며 흥미를 갖는 전개로 이어져 엄청난 설정 붕괴의 발판을 만들어내고 말았다. 이후 2부가 끝날 때까지, 인게임 시간상으로도 약 1년 간 혼자만 타이가에게 개인 과외를 받았다. 'Legend Still Vivid' 이벤트 스토리에서 타이가가 코하네와 나기를 겹쳐보고 있다는 듯한 묘사가 시작되며, 'Kick it up a notch' 이벤트 스토리에서는[54] 타이가 뿐만 아니라 켄을 비롯한 그 자리에 있던 모두가 코하네의 노래를 듣고 나기를 떠올리는 묘사까지 더해져 코하네는 스트리트에서 노래를 시작한 지 단 몇 달 만에[55] 거리의 전설을 탄생시킨 인물을 연상시킬 만큼의 전래없는 천재가 되고 말았다.
애초에 캐릭터성 자체를 잘못 잡은 면도 있다. 레오니, 원더쇼, 니고처럼 각각 멤버의 분야가 달라 비교가 불가능하다면 모를까,[56] 비배스는 모든 멤버가 '노래 실력'이라는 공통된 분야 하나에 집중하는 실력파 유닛이다. 이런 유닛에서 한 명에게 특별한 천재 수준의 재능이 부여되니 다른 멤버들이 노골적으로 내려치기 되고 비교의 대상이 되는 것은 너무 당연한 수순이다.[57][58] 다른 멤버들의 경력이나 노력이 상당히 긴 탓에 더욱 이러한 점이 부각된다.
코하네는 첫 번째 하코부터 "이제 충분히 모두를 따라잡았다"라고 안의 입으로 직접적으로 나왔는데, 시간적으로 큰 현실 고증 무리수라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른 멤버들이 평생에 걸쳐 쌓아둔 경력과 노력을[59] 몇 달도 안 되어서 따라잡았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코하네가 많은 노력을 하긴 했으나, 문제는 코하네가 노력하며 쫓아오는 동안 다른 멤버들이 놀면서 기다리는 것도 코하네보다 노력을 덜 하는 것도 아니다. 코하네가 압도적으로 더 연습을 많이 했다고 해도 그 오랜 경력 차이를 몇 달도 안 되어서 없앴다는 것은 납득이 안 될 판인데, 해당 하코의 사이드 스토리를 [60] 보면 오히려 다른 세 멤버의 연습량이 코하네보다 많다고 나온다.[61] 시간과 경력을 종합해서 따진다면 코하네가 쌓은 노력은 다른 세 멤버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적을 수 밖에 없다. 즉 코하네는 이제 막 음악을 시작했지만 평생에 가까운 경력 차이와 더 많은 연습량을 가진 다른 멤버들을 그보다 적은 연습량으로 초단기간에 따라잡을 만큼 압도적인 재능의 차이를 가졌다는 것이다.[62] 바꿔말해 안, 아키토, 토우야는 아무리 오랜기간 많은 노력을 쌓아도 코하네가 그보다 적은 연습을 조금만 하면 쉽게 따라잡히다 못해 경악, 자극, 압도감, 초조, 공포 등을 느낀다는[63] 것인데 이는 결국 압도적인 재능 앞에서 모든 게 무용지물인 내려치기이다.[64]
유닛 결성 당시 '넷이 함께 전설을 뛰어넘자'라며 모두의 힘을 합치는 것을 강조했던 것이 무색하게, 모든 이야기의 진행과 유닛의 성장, 목표의 달성을 코하네의 재능으로 이루고 있다. 코하네는 다른 멤버들과 달리 특출나게 특별한, 결정적인 힘을 가진 노래를 부를 수 있다는 식으로 묘사된다.[65] 코하네의 노래는 다른 멤버들의 노래와 결 자체가 다르다는 것이다.[66]
<kick it up a notch>에서부턴 아예 코하네의 실력에 멤버들이 편승하는 듯한 묘사가 시작되었다. 타이가가 이벤트의 시작을 코하네의 솔로로 하라고 권유하며, 다른 멤버들에겐 주어진 적도 없던 오프닝 솔로의 기회가 주어지고, 모두가 힘을 합쳐 열자던 이벤트의 시작은 코하네만의 독무대가 된다. 제목부터 알 수 있듯이[67] 이벤트 자체가 코하네의 노래에는 위로 올라가는 힘이 있다는 것을 묘사하기 위한 이벤트이다. '코하네의 노래가 우리를 더 높이 끌어올린다', '더 위로 올라갈 수 있는 열쇠는 코하네에게 있다'라고 직접 나오는 등, 그 정도가 심히 노골적이다. 비배스라는 팀이 RAD WEEKEND를 뛰어넘는 목표를 향해 한 단계 올라가는 성장을 넷이 함께 이룬 것이 아니라 코하네 혼자만의 독무대로 이루어낸 것이다. 이와 동시에, 아키토의 '너만이 부를 수 있는 노래' 라는 대사를 통해 더 위로 올라가 목표를 뛰어넘는 노래는 코하네만이 부를 수 있다고 공인되었다. 재능이 있는 한 사람의 힘에 편승하지 않고서는 앞으로 나아가거나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재능만능주의 스토리가 되어버린 것.
결론적으로 모두의 노래 실력이 다 같이 성장하는 게 아니라, 코하네의 노래 실력이 압도적으로 성장하여 혼자 팀의 수준과 평균치를 끌어올려준다는 듯이 묘사된다. 이 역시도 "너의 실력이 늘면 그만큼 우리의 수준도 높아진다."는 아키토의 대사로 공인된 부분이다. '노래 실력'이라는 키워드는 코하네만을 위한 것이었다는 듯이 코하네가 수차례 각성하고 성장하는 동안, 다른 세 멤버는 3부를 제외하면 노래 실력에 있어서 성장이나 각성을 거의 보여주지 않으며 내적 성장 위주로 묘사된다. 또한 다른 멤버들은 '코하네의 노래에 이끌려 더 위로 올라간다'고 하는데, 이는 코하네의 노래가 다른 멤버들 개개인의 노래 수준까지 올려주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며, 바꿔 말해 코하네 없이 개인으로서는 그만큼의 노래를 부를 수 없다는 것이다.
8.4.2. 3부 결말 논란
결국 RAD WEEKEND를 뛰어넘는 3부의 마지막 이벤트마저 RAD WEEKEND를 직접 본 후에 인생의 목표로 하던 안이나 아키토가 아닌 코하네가 배너를 맡았으며,[68] 역대 최초로 한정 하코와 페스티벌 뽑기가 겹치는 전대 미문의 사례와 더불어 Giga-TeddyLoid까지 섭외해 하코곡을 써주고, 또다시 스토리용 곡을 하나 더 받는[69] 푸쉬를 받았다. 가장 심각한 건 스토리로,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어 RAD WEEKEND를 뛰어넘는 역할이 코하네에게 있고 코하네에게 승부수를 걸어보자며, 모두가 함께 뛰어넘는 이벤트가 아니라 완전히 코하네만을 메인으로 하는 이벤트가 된다. 즉 RAD WEEKEND를 넘을 수 있을지는 오직 코하네 한 명에게 달린 것이다.이를 위해 코하네의 힘을 키워야한다며 KEN이 RAD WEEKEND를 만든 뮤지션들을 불러 12명이나 되는 특별 코치를 또 코하네에게만 붙여서 따로 특훈을 해준다. 이렇게 힘(노래 실력)을 키우는 것을 코하네만의 과제로 주고 코하네에게만 강조하며 몰아주며, 다른 멤버들은 그저 거기에 편승하는 조연으로 묘사한다. 코하네는 고인인 나기를 제외한 RAD WEEKEND의 모든 뮤지션에게 특별 훈련을 받은 것이며, 다른 멤버들은 모여서 이를 부러워하기만 하는 장면이 연출된다. RAD WEEKEND를 뛰어넘는 무대는 코하네 혼자 오르는 것이 아니라 넷이 함께 오르는 것임으로, 특훈을 통해 힘을 기를 필요성은 코하네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네 멤버 모두에게 있다. 그럼에도 넷이 함께 특훈 받으며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세 명은 방치해놓은 채 코하네 혼자만 따로 '뛰어넘는 순간을 만들기 위한' 특훈을 받는다는 것부터가 코하네에게 모든 것을 몰아주고 있다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준다.[70] 또 안, 아키토, 토우야에게는 '뛰어넘는 순간'을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 자체를 아예 배제한 채 성장의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것이다. 반면 코하네의 성장은 타이가부터 시작해서 총 13명이나 되는 특별 코치들을 붙여 전폭적인 푸쉬를 받아 처음부터 끝까지 편애로 만들어졌다. 재능 뿐만 아니라 주어진 기회, 거리 사람들과 주변에서 베푸는 호의부터가 천지차이인 것.[71] 모두를 응원해줘야 할 버추얼 싱어의 역할인 미쿠 역시 오직 코하네만 따로 응원해 준다.
안, 아키토, 토우야는 RAD WEEKEND에 필적하는 정도만 가능하다고 직접적으로 나오며, RAD WEEKEND를 뛰어넘는 한순간의 분위기를 불어넣는 것은 오직 코하네만 가능하다는 내용으로 나왔다. 즉, RAD WEEKEND 이상의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것은 코하네 뿐이며, 다른 멤버들의 실력은 결코 그 이상이 될 수 없다고 못을 박아버린 것이다. KEN도 "이 자리에서 코하네가 가장 '변한다'."[72]라며 코하네의 노래 실력이 가장 뛰어나다고 못을 박는다.[73] 심지어는 본 무대 위에서 코하네가 직접 안, 아키토, 토우야의 노래에 대해 '아직 문은 열리지 않았다'라고 평가한다. 세 사람이 전력을 다해 노래해도 열리지 않던 문은 코하네가 노래를 부르자마자 열리며, 세 사람의 전력이 코하네 한 사람만도 못한 것으로 묘사된다.
분위기가 바뀌며 RAD WEEKEND를 뛰어넘는 찰나의 순간에 다른 세 명이 '가라, 코하네!!' 라고 외치며 모두가 코하네에게 의지하고 편승하는 묘사로 대놓고 스포트라이트를 몰빵해 준다. 엄연히 따지면 RAD WEEKEND를 넘는 노래를 부른 것은 코하네 혼자고 나머지는 그저 거기에 편승해 무대에 같이 있었을 뿐이다. 코하네도 "내가 이 거리와 모두를 데려가주겠다"라며 직접 대사로 시인한다. 넷이 함께 뛰어넘자는 목표는 찾아볼 수도 없이 증발했고, 그저 코하네가 혼자 모두를 데려가 준 것이 되어버린 것이다. 당연히 코하네가 '데려가준다'는 대상에는 다른 세 멤버도 포함이다. 또 코하네의 대사를 통해 아키토와 토우야는 코하네를 끌어주고, 안은 코하네를 뒤에서 밀어준다며 완전히 코하네를 보조하는 들러리 역할로 묘사한다.
한 편으로 1부에서 안이 경험이 부족한 코하네를 챙겨주고자 '지켜주고 싶다'라고 말했다는 이유로 안을 최악이라고 내려치기까지 하고, 코하네에게 사과하는 내용이 나오며 누구 한 명이 리드하는 관계가 아닌 등을 맞대는 팀워크를 강조한 바가 있다. STRAY BAD DOG에서도 아키토에게 RAD WEEKEND는 혼자 넘는 게 아니라 팀으로서 넘는 것이라고 강조했었다. 그래놓고 코하네가 혼자 모두를 데려가주는 내용으로 결말을 내는 것은 앞뒤가 전혀 안 맞고, 다른 멤버들은 리드하거나 혼자 튀어선 안 되지만 코하네는 된다는 식이라 모순적이기도 하다.
물론 3부에서 다른 세 멤버도 각자의 역할과 성장을 보여주기는 했으나, 그것들은 전부 RAD WEEKEND를 뛰어넘기 위한 준비 과정이었는데, 정작 본무대에선 핵심적인 역할과 주인공과 스포트라이트를 전부 코하네에게 몰빵해 주었다. 이는 멤버들이 보여준 성장이 코하네의 활약을 위한 밑작업에 불과했고, 결론적으로 다른 세 멤버가 보여준 4년간의 모든 서사 전체와 성장들이 전부 코하네의 무대를 만들어주기 위한 발판으로 소모된 것이다. 멤버들이 4년간 피 나는 노력으로 성장한 이유는 RAD WEEKEND를 뛰어넘기 위해서였지, RAD WEEKEND를 뛰어넘는 코하네의 활약을 위한 준비 작업과[74] 서브를 해주기 위해서가 아니었다. 결국 비비배스의 목표였던 RAD WEEKEND는 코하네의 재능에 의존하여 뛰어넘었고, 비배스는 모두가 주인공이라는 콘도 유이치로의 말이 무색하게 스토리의 주인공은 코하네였으며, 다른 멤버들은 그저 들러리에 지나지 않았다.[75]
8.4.3. 시라이시 안 서사 종속 및 캐릭터 붕괴 묘사
코하네의 푸쉬로 인한 발판이 되어 내려치기, 캐릭터 붕괴, 배너 새치기, 센터 강탈 등 각종 피해를 본 것은 시노노메 아키토와 아오야기 토우야 역시 마찬가지이지만, 시라이시 안은 그 중에서도 이루 말할 수 없이 심각한 최대 피해자이다. 캐릭터 붕괴와 내려치기는 스토리 전체에서 내내 남발되고, 서사와 스펙 등 모든 요소가 아즈사와 코하네를 띄워주기 위해 남김없이 이용당한 그야말로 희생양이다. 안의 서사가 곧 코하네라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로 안의 모든 서사는 코하네에게 종속되어 있으며, 시라이시 안이라는 캐릭터의 정체성은 그저 '아즈사와 코하네의 파트너'에 불과하다.안이 코하네의 실력을 보며 옆에 서지 못할까 봐 불안해한다는 묘사는 사실상 직간접적으로 안의 실력과 재능이 코하네보다 떨어짐을 의미하는 것이나 다름없으며, 이러한 묘사가 계속되자 꽤 많은 유저들에게 아예 안이 재능 없는 캐릭터로 오해받기도 했다.[76] 'Legend still vivid' 이벤트의 안의 3성 카드 사이드 스토리 후편을 보면 코하네가 부른 노래에(그것도 첫 하코에서) 비해 안은 한참 부족하며 코하네는 훨씬 대단했다는 대사가 아예 대놓고 나오기도 한다. 코하네가 재능이 있는 캐릭터라고 해도 안이 가지고 있는 노력의 성과와 경력, 현장의 분위기에 대한 이해 등을 단기간에 습득하기는 어려우며 설사 가능하다고 한들 안의 것이 빛바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위에 서술된 것과 같은 묘사들이 반복되는 것은 안이 평생을 쌓아온 노력과 재능은 음악을 시작한지 1년도 채 안 된 아이보다 못하다는 것이다.
또 프로세카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밝고 건강한 캐릭터인 안이 파트너의 급격한 성장을 목격한 것만으로 계속해서 지나치게 불안해하자 캐릭터 붕괴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또 안의 감정이 열등감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켰다.[77] 한 번이면 몰라도 반복적으로 안이 코하네의 실력을 따라갈 수 없다는 듯한 표정과 대사를 지나치게 남발한 결과[78] 안의 캐릭터 붕괴와 함께 Bout for Beside You에서 이미 결론이 난 주제를 다시 끌어와 스토리의 매너리즘 역시 유발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또한 안의 첫 두 배너 이벤트인 '언젠가 등을 맞댄 가사를'과 'Bout for Beside You' 각각의 스토리에서 안은 사실상 '코하네의 파트너'로서만 존재하며 코하네와의 관계에 대해 고민하는 것 외에 본인 스스로에게서 유발된 갈등에 마주하고 해결하는 묘사는 전혀 없다. Light Up the Fire에서 나기의 이야기로 조금이나마 개인서사 비슷한 게 생기긴 했지만, 게임 서비스 3주년이 가까운 시간 동안 본인의 서사는 조금도 풀지 못한 채 계속해서 캐릭터성에 피해만 입은 셈이다. 그리고 그렇게 겨우 얻은 조금의 개인 서사인 나기와의 연관성마저도 코하네에게 빼앗겼다.[79] 미쿠와 켄이 안에게 나기를 닮았다고 직접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는데, 갑자기 모두가 안이 아닌 코하네와 나기를 겹쳐보게 되며 나기와의 연관성이라는 안의 서사와 캐릭터성, 그리고 동경의 대상마저 빼앗기는 게 아니냐는 비판을 초래했다. 동시에 안의 서사가 코하네에게 심하게 종속되어 있는 와중에 유일하게 개인 서사 요소였던 나기 마저 코하네를 띄워주기 위한 발판으로 전락해버렸다.
그리고 해당 배너에서 코하네가 거리 사람들에게 재능으로 사랑 받는 것을 매우 강조하기도 했다. 안이 원래 가지고 있던 속성인 또래에서는 따라올 자가 없는, 스트리트에서 사랑받는 재능 있는 아이[80] 라는 설정은 아예 완전히 코하네에게 갖다줘버렸다. 안 역시 RAD WEEKEND는 뛰어넘겠다고 하지만 나기에게는 가까워지겠다고만 하는데, 안이 뛰어넘을 생각조차 해본 적도 없을 정도의 인물을 거리에 온 지 얼마 되지도 않은 코하네와 동일시하며 모든 서사와 동경의 대상마저 빼앗는 것이다.
안의 첫 한정 하코이자 RAD WEEKEND를 뛰어넘기 전 마지막 배너인 Whip the wimp girl!!에서도[81] 안은 코하네에게 대결을 신청하고 마치 코하네가 안이 뛰어넘어야 하는 벽인 것처럼 묘사되며 결국 안은 마지막까지 코하네에게 모든 서사가 종속되었다. 이벤트의 내용도 심각한데 거리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라는 안의 과제를 거리 사람들과의 갈등, 관계성 등으로 연관지어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코하네와의 배틀을 통해 해결하는 앞뒤 안 맞는 전개가 펼쳐진다. '안은 코하네의 노래 실력에 쭉 공포를 느껴왔다'며 비배스가 타이가와 맞붙었던 장면을 오버랩시키고, 안에게 있어 코하네는 비배스에게 타이가와 같은 존재, 즉 실력 차이가 어마어마하면서도 뛰어넘어야 할 공포의 대상으로 묘사되었다. 거리 사람들도 두 사람의 대결을 보며 코하네의 실력에 대해 감탄하고 안이 코하네를 이길 수 있을까 노심초사한다. '어디까지 성장하는 거냐', '더 위가 있는 거였냐' 등 노골적으로 코하네를 뛰워주는데, 안이 성장하는 안의 배너임에도 코하네를 칭찬하는 대사가 더 많다. 이렇게 RAD WEEKEND를 넘기 전 안의 최종적인 성장이 코하네을 뛰어넘겠다며 부딪히는 것으로 마치 코하네가 안의 성장에 있어 최종보스나 다름 없게 묘사되었다. 그리고 시라이시 안은 평생 노래를 불러왔음에도 노래를 부른지 1년 정도인 코하네를 전력을 다해 부딪혀서 가까스로 겨우 이기는 형편없는 실력의 캐릭터가 되고 말았다.
시라이시 안이라는 캐릭터의 모든 것이 아즈사와 코하네를 띄워주는 발판으로 소모되고 난 후 안은 정작 RAD WEEKEND나 비비드 스트리트와 가장 깊은 연관성을 가졌음에도 정작 뛰어넘는 이벤트에서는 인선에도 끼지 못했다. 마지막까지 모든 캐릭터성을 코하네 띄워주기에 소모되고 남은 게 없어지자 찬밥 취급 당한 셈이다. RAD WEEKEND를 뛰어넘는 무대에서 코하네가 '안이 뒤에서 밀어주고 있다' 라며 대놓고 시라이시 안은 코하네를 뒤에서 밀어주는 역할이라는 걸 대사로 못 박아버린다.
8.5. 조연의 과도한 비중 및 주연 서사
물론 조연 캐릭터는 모든 유닛 스토리에 있지만 비배스는 조연의 서사를 풀어내기 위해 정작 스토리의 주인공인 비배스 멤버들의 비중이 줄어드는 사태가 자주 발생한다. 2022년 들어서는 유닛 이벤트마다 조연들이 서사의 한 자리를 차지하면서 비배스 멤버가 메인이 되는 스토리가 없다시피 하며 이에 대한 불만이 늘어간 것.가챠로 뽑아야 하는 카드 스토리에마저 조연 캐릭터가 비중 있게 등장하는 등 서사 장치 정도가 아니라 주연에 필적하는 역할로 다루고 있으며 조연 캐릭터가 서로 대화하는 동안 주연인 비배스 멤버들이 이를 그저 듣고 있는 주객전도의 모습도 자주 나온다.[82] 심지어 특정 이벤트의 경우 조연 캐릭터의 대사 수가 일부 비배스 멤버의 대사 수를 웃도는 지경까지 간다. 예시로 Walk on and on 이벤트. 조연인 소우마의 대사 수가 코하네, 안, 아키토의 대사 수를 합친 것보다 더 많다. 특히 아키토가 배너인 하코 이벤트에서 같은 비배스 멤버들의 출연 분량을 아라타 등의 조연이 비슷한 수준으로 차지하는 등 이러한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났다. 이런 식이다 보니 정작 비배스 멤버들의 이야기를 다룰 여유가 없어 다른 유닛에 비해 각각의 서사 역시 부족해진 것이 아니냐는 지적 역시 끊임없이 나오고 있는 상황.
비배스의 조연에 불만을 가진 팬덤도 단순히 조연 캐릭터 그 자체를 싫어하거나 조연 캐릭터의 역할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조연 캐릭터를 라이벌이나 조력자로서 적절히 다룸으로서 주연 캐릭터의 매력을 더해주는 것도 가능하며 다른 유닛 스토리는 조연을 적정선에서 다루고 있다. 그러나 비배스의는 조연이 주연의 조력자나 라이벌을 넘어 그 자체로 서사와 역할을 지닌 주연과 같은 역할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즉 비중 뿐만 아니라 역할적으로도 비배스 멤버들과 동등한 수준으로 대우받는다.[83]
이에 반해 주연 캐릭터의 스토리텔링은 부족하다고 지적받는데, 최대 피해자는 상술했듯 아오야기 토우야이다. 아즈사와 코하네 역시 자신감을 얻는 과정이 한 하코만에 끝남과 동시에 첫 번째 하코에서 멤버들을 충분히 따라잡았다고 나온다. 팀에서 가장 초보였던 코하네의 성장을 단 1개 이벤트로 끝내버린 셈이 되어 조연 캐릭터들의 서사를 풀려고 주연 캐릭터의 서사를 너무 가볍게 넘겨버리는 거냐는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추후 코하네의 성장이나 발전을 다루는 하코 이벤트가 등장한다면 일부 평가가 반전될 가능성도 있었으나 결국 이로 인해 다른 멤버들이 피해를 보는 지경까지 이르렀으며 비배스 스토리 전체까지 망가지게 되었다.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조연의 비중과 분량으로 인해 비배스 멤버들의 서사를 풀어나갈 분량이 줄어들기도 한 것은 사실이다.
켄과 타이가를 필두로 한 몇몇 조연 캐릭터들이 버추얼 싱어의 역할까지 일부 차지하고 있어 다른 유닛에 비해 버추얼 싱어들의 역할이 적은 것도 비판받고 있다.
실제로 스토리 인기투표에선 모브 없이 비배스 멤버들만 등장하고, 이들끼리 친목을 다지며 한 유닛으로서 화합을 맞추어 나가는 'Same Dreams, Same Colors'가 높은 순위를 차지했고, 아키토의 과거 이야기가 메인이라 조역의 비중이 적었던 'Find a way out' 이벤트가 2022년 비배스 관련 이벤트 중에서는 가장 좋은 평을 들었다.[84]
3부 마지막에 RAD WEEKEND를 넘은 후, 함께 무대를 만들어 낸 기존 조연들과 어느 정도 관계를 정리하면서 이 문제가 완화되는 듯싶었으나 4부 시작부터 새로운 조연이 등장하더니 이어지는 미국 원정 스토리에서도 변함없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새로운 조연의 등장 및 미국행을 택한 이유 자체가 켄과 타이가가 출연하는 이벤트를 보러 가기 위한 것이었으므로 조연이 다시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는 것 자체는 예정된 일이긴 했으나, 현실시간으로 약 7개월이 걸린 미국행에서 귀국까지의 스토리 3개를 보면 토우야의 아버지의 과거를 조명한 Time to take off!, 다시 새로운 조연이 등장한 것에 더해 미국행의 본 목적인 이벤트를 참관한 Aim higher and higher!, 직전 이벤트에서 새로 등장한 조연의 사연을 조명하면서 또다시 새로운 조연으로 해당 조연의 가족이 등장한 Competitive fire!로 유닛 멤버들 중심으로 돌아가는 스토리가 사실상 없다시피 했다. 5주년 전 비배스의 마지막 유닛 이벤트에서조차 개선의 여지가 보이지 않은 까닭에 Competitive fire!의 경우, 보기 드물게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오는 스토리 동영상의 댓글 창에서조차 비판의 목소리가 많은 편이다.
8.6. 지나친 고정조합과 반반 가르기
니고와 마찬가지로 고정 조합 문제가 지적되는 유닛 중 하나이다. 3년이 넘도록 다른 멤버와 깊게 관계성을 보여주는 경우가 거의 없다. 카드 일러스트에 파트너가 자주 끼어 등장하거나, 커버곡은 파트너와의 2인 조합만 존재하는 등 니고와 비교해서도 고정 조합이 가장 심한 편이다.4명의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라도 다 함께 노력하는 과정을 보여줘야 하는데, 필요 이상으로 파트너와의 관계 묘사에만 치중하고, 파트너의 존재가 매우 중요하다는 듯이 묘사되는 것과 달리 정작 스토리 상에선 왜 그렇게 파트너의 존재가 필수불가결하고 팀으로서의 관계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 충분히 납득시키지 못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RAD WEEKEND의 실현을 위해서는 비비드 스트리트 모두의 힘이 필요하다며 조연 캐릭터의 비중과 역할을 과도하게 늘려놓고서 정작 팀 내에서는 각자의 파트너와의 관계만 강조하는 것은 앞뒤가 안 맞기도 하다. 오히려 RAD WEEKEND의 실현을 위해서라면 조연들과의 관계 이전에 비비배스 멤버들끼리부터가 똘똘 뭉칠 필요성이 크다.
인게임 수록 기준으로 어나더 보컬과는 별개인 혼성 커버곡은 아예 없어 혼성 유닛만의 강점조차 살리지 못하고 있다. 어나더 개수 역시 적으며, 특히 5회차 아카이브 때 코하네와 안, 아키토와 토우야, 안과 아키토, 코하네와 토우야의 순서로 곡이 나온 만큼 대다수의 유저가 혼성 커버로 나올 거라고 생각하였기에 아키토와 토우야의 라인업이 공개되었을 때 논란이 있었다.
이는 단순히 커버곡의 문제 뿐만 아니라 스토리상의 문제로도 이어진다. 에어리어 대화에서의 묘사를 보면 Vivids와 BAD DOGS는 별개의 유닛으로 구분되며, 이벤트에 따로 나가기도 하고 연습도 따로 하고 화음이 있을 때가 아니면 노래를 섞어서 맞춰보지도 않는다. 한 팀을 이루고 있지만 여전히 둘씩 묶여서 따로 노는 건 단순히 고정 조합 문제를 넘어 스토리까지 영향을 끼치는 심각한 문제이다. 파트너 외에 멤버와는 팀으로서의 유대감이 현격히 부족하다보니[85] 파트너 외의 상대와는 서사가 발생하지 못하기 때문에 비배스의 스토리는 파트너만 찾는 내용이 반복되게 된다.[86]
특히 개인 서사가 파트너에게 지나치게 종속되는 안의 배너 스토리는 거리와 관련된 과거가 아닌 이상 대부분 코하네에 대한 이야기로 빠지는 등 서사의 다양성을 침해하기도 하며 혼성 캐릭터와 엮이더라도 파트너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력자에 머무르는 등 같은 팀임에도 지나치게 얕은 관계성이 지적된다. 비슷하게 고정 조합 문제로 비판을 받았던 니고의 경우 2부 후반부터 어느 정도 해결되어가고 있으나[87] 비배스의 경우 3부가 넘어가도 이런 문제가 해결될 기미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 고정 조합 문제가 은근히 호칭에서도 두드러지는데, 요비스테를 하지 않은 팀메이트가 존재하는 유일한 유닛이기도 하다. 아키토와 안은 모든 팀원들에게 요비스테를 하고, 토우야와 코하네는 이성인 팀메이트들만 성으로 부른다. 다만 이 둘은 남매 등의 예외[88]를 제외하면 이성의 타 유닛 캐릭터들도 성으로 부르는 캐릭터라는 특징이 있어 어느 정도 참작되기는 한다.[89]
또 3주년 이후에는 코하네+아키토/안+토우야라는 새로운 조합의 반반 가르기도 두드러졌다. 대표적인 사례가 월드 링크 일러스트 화풍을 반으로 갈라 매우 비판이 거셌다. 또한 3주년 이후의 비배스 배너들을 보면 대부분 해당 조합으로 픽업이 같이 나왔다. 물론 이 조합은 비배스 내에서 가장 접점이 부족하고 관계성이 옅은 조합이라, 3년간 쌓아 온 Vivids/BAD DOGS 고정 조합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러 부족한 조합을 몰아주는 것일 수도 있으나, 결론적으로는 반반 가르기에서 벗어나지 못해 비판을 피할 수는 없었다. 또 상술된 문제 중 어느 것 하나 해결된 건 없기 때문에[90] 결국 운영 측이 문제의 논지가 무엇인지 인지 못하는 셈이라 볼 수 있다.
[1] 비배스는 스트리트 유닛이지만 랩보다는 노래에 중점을 두고 있어 의외로 정통 힙합보다 일렉트로닉 사운드를 채용한 싱잉랩이나 노래가 훨씬 비중이 높다. Ready Steady, Awake Now, 리얼라이즈 등이 대표적이다.[2] 비배스 하면 가장 많이 떠올리는 장르이지만 정작 하코곡에서의 비중은 낮다. RAD DOGS 등이 대표적이다.[3] 시네마 등[4] 이 곡 또한 기가P가 담당하게 되어 기가P는 비배스의 타이틀곡 두 곡을 모두 담당하게 되었다.[5] 안이 줄곧 자라온 '비비드' 스트리트에서 따와서 안이 지은 이름이다.[6] 머리가 나쁘다거나 길들지 않은 개라는 뜻으로 남들이 보기에는 허황된 꿈을 꾸는 것처럼 보이지만 개에게 물리는 게 얼마나 무서운지 깨닫게 해주겠다며 아키토가 지은 이름이다. 슬랭으로 최고의 파트너라는 뜻이라고.[7] 물론 '리더조'라고 불리는 대표 캐릭터는 아즈사와 코하네지만, 프롤로그를 포함하여 유닛의 목표와 가장 연관이 깊은 건 시라이시 안이고, Vivids가 결성되기 이전에 먼저 결성된 팀은 BAD DOGS이며 실질적인 리더 역할은 아키토가 하고 있다.[8] 이게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다른 유닛들을 보고 오면 된다. Leo/need는 으레 밴드들이 그렇듯 보컬인 호시노 이치카가 중심격 인물이고, MORE MORE JUMP!는 하나사토 미노리가 없었다면 나머지 세 사람의 연예계 복귀 및 모모점 결성이 힘들었을 것이며, 원더랜즈×쇼타임은 대놓고 작중에서 텐마 츠카사가 단장이라고 언급되며 메인 스토리에서 원더쇼의 재결성에 큰 기여를 했고, 25시, 나이트 코드에서.는 요이사키 카나데(K)라는 인물의 곡에 이끌려 다른 세 사람이 합류해서 결성된 구조다. 이렇듯 다른 유닛들의 경우 대표 캐릭터가 유닛 결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거나 결성된 이후 해당 유닛의 대표 인물로서 앞으로 나서서 대외 활동을 하는 등, 흔히 생각할 수 있는 '리더'의 색이 크고 작게 있는 편이지만 비배스는 코하네가 대표 인물이라고 해서 4명을 주도하는 장면이 많이 나오진 않는다. 오히려 대외적으로 라이브 하우스 일정 등을 잡는건 안이나 아키토가 주도하는 쪽.[WL1] 추가된 이벤트 악곡은 없으나 유닛 테마곡인 Beyond the way에 월드링크 한정카드의 마스터 랭크를 2까지 올릴시 볼 수 있는 3D 한정컷신이 추가되었다[WL2] 추가된 이벤트 악곡은 없으나 코하네는 리얼라이즈, 안은 거리, 아키토는 퓨얼, 토우야는 blender에 월드링크 한정카드의 마스터 랭크를 2까지 올릴시 볼 수 있는 3D 한정 컷신이 추가 되었다.[11] 니고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미쿠를 제외한 메인 서포트 캐릭터가 둘이나 되는데, 이는 렌이 BAD DOGS에, 메이코가 Vivids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월드링크에서도 둘이 나누어 지켜보는 것으로 확인.[12] 이벤트 스토리를 기준으로 하면 4번째로 전원이 모인 세카이가 된다.[13] 이후 3부 의상이 미쿠는 바지로, 다른 여성 버추얼 싱어들은 치마로 변경되었다. 린은 현재 미공개 상태라 불명.[14] 비배스 멤버들 역시 안의 아빠가 운영하는 WEEKEND GARAGE에서 자주 회합을 갖는다.[15] 예시로 칠드런 레코드의 어나더 보컬은 안과 토우야의 듀엣, 아키토와 코하네의 듀엣으로 2종류가 존재한다.[16] 나머지 유닛들의 경우, 레오니드도 세 명까지는 28 대역으로 균등하지만 호나미가 29.5로 혼자 꽤 벗어나 있으며 모모점은 아예 하이톤 캐릭-로우톤 캐릭 편차가 2 이상 차이날 정도로 편차가 극심하다. 원더쇼도 남캐들이 여캐들보다 1 정도 더 높고, 25시도 세 명이 29 대역으로 균등한 반면 카나데만 혼자 27.25로 저 멀리 떨어져 있다(...).[17] 보스곡의 레벨이 전체 유닛 중에서 가장 낮다. 레오니는 35레벨이고 모모점, 원더쇼, 니고는 전부 33레벨이 보스곡이다. 버추얼 싱어도 포함할 경우 그쪽은 전 악곡 최고 난이도인 37레벨 곡들이 보스곡이다.[18] 다만 실제로는 흔히 담홍색이라 부르는 옅은 분홍색보다는 옅은 주황색에 더 가깝긴 하다.[19] 영어 타이틀이라 1차 유닛 이벤트 이후 모든서버가 철자 하나 바뀌지 않은 같은 타이틀로 나왔지만 18차 유닛 이벤트의 경우 Wimp yhe wimp girl!!로 영어 타이틀이지만 글로벌 서버에서는 Whip Yourself into Shape!로 바뀌어 나왔다.[20] 그러지 않은 합창 파트 사례가 아예 없다.[21] 버싱의 야미나베!!!!를 위시한 37렙들, 레오니의 육조년과 하룻밤 이야기, 모모점의 세츠나 트립, 원더쇼의 톤데모 원더즈, 니고의 열이상은 모두 업데이트 추가곡이며 특히 열이상의 경우 2024년 5월 수록으로, 타 곡에 비해 상당히 최근에 추가된 곡이다.[22] 니고 중에서도 2학년인 미즈키를 제외하고 진로 서사가 다루어지고 있고 비배스 멤버들이 전원 2학년인 것을 볼 때 비배스 멤버들이 3학년으로 진학한 뒤에야 본격적인 진로 묘사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23] 이라고는 해도, 버추얼 싱어와 레오니를 제외한 3유닛(모모점, 원더쇼, 니고)의 곡은 커버한 적이 없다.[24] 아키토 역의 이마이 후미야 성우가 이 곡으로 오디션을 치러서 합격했다.[25] 실제로 다른 각종 음악 관련 스토리에서도 세계관 자체를 뒤흔들 전설적인 존재, 또는 주인공 및 동료들의 동경의 대상이 등장해도, 그들의 노래는 대단했다는 말로만 설명되는 게 대부분. 한두 곡이라도 실제로 발매되면 괜찮은 대접이다.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해도 시청자들을 납득시킬 수 있는 전설이라는 것을 완벽히 표현하기 어려운데, 스토리 내의 묘사와 성우들의 연기만으로 표현해야 하니 제한이 더 크다. 전설에 대한 설명이 완벽히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 어쩔 수 없는 부분인 것은 감안해야 한다.[26] WEEKEND라는 이름 자체가 최후의 이벤트라는 사실에 대한 암시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WEEKEND를 '마지막'으로 해석하더라도 보통 RADder라는 유닛의 끝을 의미한다고 생각하지 멤버 한 명의 인생의 끝을 불태우는 공연이라는 의미는 예상하기 힘들었기에 충격이 컸다.[27] 메인 스토리에서 아오야기 토우야가 '이 거리에서나 유명한 이벤트'라고 하기도 했다. 물론 일부러 모진 말을 한 것이지만 따지고 보면 너무나도 사실이다.(...)[28] 결국 이 특별한 힘 설정이 지나친 재능 푸쉬로 이어져 비배스의 스토리가 망가지는 가장 큰 원인이 된다.[29] 코하네처럼 초보자로 시작하는 캐릭터는 차근차근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묘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이 모든 것을 내다버리고 특별한 힘이 있다는 한 줄로 성장을 끝내버렸다.[30] 엄밀히 말해 대표 캐릭터를 담당하는 이치카, 미노리, 코하네, 츠카사, 카나데 중 운영진 쪽에서 리더라고 공인한 건 츠카사와 카나데뿐이며, 나머지 3명은 이벤트나 기념 일러스트, 악곡 등 여러 곳에서 유닛의 대표격으로 사용될 뿐 스토리상으로 공식적인 리더는 아니며, 실제로 레오니드는 이치카가 아닌 호나미가 리더이다. 즉 유저들이 편의상 이들을 '리더조'라고 묶어 부르고 있지만 정확한 표현은 아닌 셈. 따라서 대표 캐릭터들은 유닛의 '리더'보다는 간판 캐릭터나 팀의 마스코트, 유닛의 색깔을 보여주는 캐릭터 정도로 보는 것이 좀 더 정확한 관점이다. 고로 이 비판의 핵심은 '리더로서의 자질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다른 유닛의 대표 캐릭터들과 달리 유닛의 중심성, 또는 상징성을 납득시키지 못한다는 것.[31] 미노리는 각자의 이유로 아이돌을 관두려 했던 멤버들에게 희망을 불어넣어 다시금 아이돌의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왔고, 츠카사는 자신의 실수로 인해 흩어진 멤버들에게 사과하고 진심을 전달하여 진정한 원더쇼를 완성시켰다. 또한 카나데는 각자 결핍을 지닌 멤버들을 음악으로 구원하고 이해해 줬다. 이치카가 그나마 중심성이 약하다고 볼 수도 있으나, 인연 랭크 문구에서도 드러나듯 사키와 함께 Leo/need의 결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일반적으로 밴드를 대표하는 포지션인 보컬이고, 무엇보다 특정 유닛을 넘어서 프로세카라는 게임의 타이틀 캐릭터이다.[32] 당장 봐도 원더쇼, 니고의 대표 캐릭터인 텐마 츠카사와 요이사키 카나데는 유닛을 창설해낸 장본인이며, 모모점의 하나사토 미노리는 직접적으로 유닛을 창설하지 않았더라도 팀 결성의 트리거를 계속해서 제공해 왔다. Leo/need의 대표 캐릭터인 호시노 이치카는 팀의 창설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지만, 이쪽도 레오니의 초기 멤버였고 무엇보다 밴드의 보컬이라는 점에서 충분히 대표 캐릭터를 맡을 만큼 중요도가 높다고 평가된다.[33]
[34] 파일:타이틀 캐릭터 속성.jpg 타 유닛들을 보면 각 유닛의 타이틀 캐릭터의 1성 카드는 해당 유닛의 속성과 일치한다. (이치카-쿨-레오니, 미노리-퓨어-모모점, 츠카사-해피-원더쇼, 카나데-미스테리-니고) 각 유닛의 대표 색상과 속성의 색을 대응해보면 알 수 있다. 안의 1성은 비배스의 붉은색과 대응하는 큐트 속성이다.[35] 비배스의 스토리에서 중요한 인물인 나기는 안과 관련이 깊은 인물이며, 안은 나기뿐만 아니라 RAD WEEKEND를 만든 전설의 가수들을 포함한 비비드 스트리트의 모두와 연관이 깊다. 때문에 스토리의 중심도 안이 되는 게 자연스러운 흐름이다. 그러나 코하네로 타이틀 캐릭터가 변경되며, 안이 가졌던 그들과의 관계성을 코하네에게 옮기기 위해 억지스러운 방식이 동원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그 과정에서 안의 캐릭터성과 비중을 빼앗긴 것은 당연지사.[원문] だから他のユニットだと、誰かひとりが主人公的な存在というか、そういう形の構成になっているんですけど、「Vivid BAD SQUAD」の場合はある意味、全員が主人公みたいな感じで。[37] 코하네의 재능 앞에서 본인의 실력이 상대적으로 열등함을 인정한 시라이시 안에게서 특히 돋보인다.[38] 일반적으로는 의도치 않은 분량 배분 실패로 인해 생겨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비배스에서는 코하네의 분량을 늘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타 등장인물들의 비중을 줄이고 있다. 최대 피해자는 아오야기 토우야.[39] 다른 캐릭터들이 가지고 있던 설정이나 서사 요소를 떼어다가 코하네에게 붙여주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시라이시 안.[40] 서사 종속 등을 심하게 당하고, 발판이나 친위대처럼 띄워주고자 하는 캐릭터의 부속품처럼 취급하는 행위. 부정할 여지조차 없이 안이 여기에 해당한다. 안은 코하네를 과보호하거나 코하네를 띄워주기 위한 칭찬 기계처럼 쓰이는 건 물론, 유일한 개인 서사였던 코타기 나기마저 코하네를 띄워주는 요소로 전락했다.[41] 아이러니하게도 1라인조가 주인공이라고 못 박은 타 유닛들은 이정도로 모든 열쇠 역할이나 스포트라이트를 몰빵해 주지 않았다. 예를 들어 레오니드는 사키의 퇴원으로 이야기가 시작되었으며, 리더는 호나미로 정해졌고, 가장 실력있는 건 시호라고 꽤나 자주 언급되었다. 모모점은 팀의 성장에 중요한 결정이나 핵심 있는 내용이나 역할을 아이리나 하루카가 맡기도 한다. 원더쇼는 스토리에서의 비중 분배가 고르다는 평을 받으며, 굳이 꼽자면 원더 스테이지와 가장 직접적인 연관을 가진 오오토리 에무와 그 일가가 한동안 스토리에서 중요한 요소였다. 니고는 오히려 1라인조인 카나데의 비중이 가장 적으며, 오히려 마후유나 미즈키로 인한 스토리 전개가 잦은 편이다.[42] 타이가와 비배스가 엮이는 계기가 되는 노래를 부른 것, RAD WEEKEND의 동영상과 공연장을 관람할 기회를 얻게 된 것, 모두의 노래 수준을 끌어올린다는 묘사까지 더불어 나기의 죽음에 대해 알게 되는 계기를 마련한 것, 2부의 마지막을 장식하며 타이가에게 각오를 전하고 결의를 다지고, RAD WEEKEND를 뛰어넘는 것까지. 그야말로 RAD WEEKEND를 뛰어넘는 핵심적인 내용은 전부 몰아주었다.[43] 실제로 시라이시 안은 코하네를 보며 불안해하는 내용을 제외하면 거리 사람들과 나기의 이야기를 하며 'RAD WEEKEND를 뛰어넘는' 이야기 보단 배경 서사를 풀고 있고, 아키토와 토우야는 대놓고 유닛의 중심 서사에서 소외되었다.[44] 그나마 <Legend still vivid>가 다같이 RAD WEEKEND의 영상을 보긴 하는데, 이건 부수적인 편이고 타이가에게 과외를 받으며 성장하는 개인 서사에 가깝다. 애초에 그 동영상 자체도 없다고 하다가 코하네를 위해서 보여준 것이다.[45] 안은 2개가 거리 사람들의 이야기를 풀었고, 아키토는 다 같이 이벤트를 열어보며 팀으로서 한 걸음 나아가는 이야기를 풀었고, 토우야는 팀이 하나가 되어 친목을 다지는 이야기와 모브들의(...) 이야기를 풀었다.[46] 커넥트 라이브에서 확인 가능.[47] 구도 자체가 코하네를 중심으로 짜여졌으며, 코하네 혼자만 비배스의 상징색인 사다리 의자에 앉아 있고, 나머지 멤버들은 코하네를 둘러싸고 서 있다. 아키토가 가장 크게 그려졌다고는 하나 그림 자체의 투시 중심 역시 코하네이고 시선 유도 역시 코하네를 주인공으로 구성되었다. ![파일:비비배스 CR詠ZY 1.jpg]()
[48] 본인의 하코곡인 Beat Eater, Flyer!, 양이 한 마리, 리얼라이즈는 그렇다쳐도 유닛 테마곡인 Ready Steady, Beyond the way는 물론, 다른 캐릭터의 하코곡인 시네마, 월광, 거리, 가사화까지. 거기에 커버곡도 대다수가 코하네에게 도입부를 주었다.[49] 해당 지적을 의식한 것인지 후에 안이 어린 시절 나기에게 노래를 배운 적이 있다는 설정과, 아키토가 켄에게 1:1 특훈을 받는 내용이 추가되었지만, 이는 코하네가 타이가에게 개인 레슨을 받는 전개와는 결이 다르다. 안과 나기의 경우 현재 시점의 비배스 멤버들이 하는 것과 같은 진지한 노래 연습이라기보다 아주 어릴 적부터 함께한 가족 같은 지인과 함께한 추억 정도로 묘사되었으며, 그 시점의 나기는 전설의 밤을 만들기도 전이었다. 즉 해당 장면은 안의 성장보다는 안에게 있어 나기가 얼마나 소중한 인물인지 강조하려는 의도가 더 크다. 아키토와 켄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2부 막바지에 켄이 앞으로는 직접 비배스 멤버들을 가르치겠다고 선언한 바 있으니 아키토에게만 특별한 기회와 가르침이 주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해당 이벤트에서 다른 멤버들보다 더 열심히 노력하는 모습이 묘사되었고 이에 따라 자연스레 켄의 가르침도 조금 더 받은 정도라고 보는 것이 맞다.[50] 자신의 분야에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캐릭터인 루이와 카나데를 한참 웃돈다. 게다가 어린 시절부터 재능을 발현하여 10여 년간 작곡, 발명 분야에서 꾸준히 노력해 온 카나데, 루이와는 달리 코하네는 안을 만나기 이전엔 정식으로 노래를 불러본 적조차 없었다.[51] 코하네의 재능을 스토리 전개의 아주 편리한 수단으로 마스터 키처럼 남발한다는 평도 많다. 일부 팬들 사이에서는 '스토리 전개를 위해 코하네를 이용한다'는 역발상도 나오고 있는데, 사실 코하네라는 캐릭터를 이용해서 스토리를 전개하고 진행해 주는 것이 바로 스토리의 스포트라이트를 주는 것이다.[52] 스트리트에서 사랑 받는 재능 있는 아이, 스토익한 노력가 속성, 브레인 및 작곡 설정 등. 이에 따라 멤버들이 은은하게 너프를 먹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53] 나기의 죽음에 대해 알게 되며 진정한 내면의 성장을 이룬 안, 재능의 벽을 수차례 뛰어넘으며 더이상 재능의 한계에 얽매이지 않게 된 아키토, 아버지와의 갈등에 정면으로 맞선 토우야 등, 각자의 갈등과 좌절을 이겨내는 것으로 성장에 개연성을 부여한 다른 멤버들과 달리 코하네는 본인이 스스로 갈등을 넘어서기보다 주변인들의 호의와 도움 등의 수동적인 요인을 통해 성장하는 모습이 더 많이 묘사되어 왔고, 자연스럽게 캐릭터의 성장을 납득할 만한 서사가 만들어지지 못했다.[54] 심지어 이 이벤트에서는 이벤트 스토리의 배경으로 쓰기 위해서, 그 장면만을 위한 솔로곡까지 따로 내주는 일도 있었다.[55] 프로세카의 스토리가 시간의 흐름을 정확하게 따져보기 힘들게 전개되긴 하나 해당 이벤트는 진급 전 이벤트이기에 메인 스토리에서 1년이 지나지 않은 시점임은 짐작할 수 있다.[56] 타 유닛에도 루이, 카나데, 마후유 등 재능 넘치는 인물들은 존재하지만 스토리에서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데, 비교 대상이 생겨나지 않는 점이 코하네와의 큰 차이점이다.[57] 코하네를 띄워주기 위해 다른 세 멤버를 내려치고 발판으로 삼는다. 아키토는 과거의 실패를 회상하자마자 바로 다음 이벤트에서 코하네가 같은 장소에서 압도적인 재능을 펼치며 노골적인 대비를 만드는 동시에, 그런 아키토의 입을 빌려 코하네를 엄청나게 띄워준다. 또한 아키토의 대사로 모두가 코하네에게 편승하는 묘사를 상당히 노골적으로 수차례 묘사해 캐릭터 붕괴도 일어났다. 토우야는 평생 음악을 해왔음에도 코하네에게 추월당할 것 같다고 언급하며 토우야의 실력도 내려친다. 안은 말할 것도 없이 최대 피해자다.[58] 하필이면 같은 유닛에 재능이 없는 탓에 안쓰러울 정도로 고생하는 서사의 캐릭터도 있어 지속적으로 비교점을 만드는 행보가 더욱 두드러진다.[59] 안은 아버지에게 물려받은 뛰어난 재능 뿐만 아니라 인생 내내 음악을 해왔고, 아키토는 프로세카 세계관 굴지의 노력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토우야 역시 재능이 있는 편이라고 나온다지만 아주 어릴 때부터 반평생 클래식 음악만 하며 음악적인 센스와 실력을 길러왔다.[60] Awakening Beat 시라이시 안 사이드스토리[61] 코하네의 연습량은 초보자에 비하면 많다고 나오지만 다른 세 멤버는 코하네가 자신의 연습량은 보통인 줄 알았다고 할 정도로 더 많다고 한다.[62] 반대로 히노모리 시호만이 결성 전부터 프로를 노리고 음악을 했던 Leo/need는 시호 외 다른 멤버들이 결성 이후 시호를 따라 프로를 목표로 했는데, Leo/need 단체 특훈으로도 다른 멤버들이 시호의 실력을 따라갈 수 없었다. 특히 호나미가 시호 또한 특훈을 했기 때문에 당연히 따라갈 수 없다고 대놓고 말했던 것과 비교된다.[63] 실제로 여러차례 묘사되었다. 특히 시라이시 안에게 강조되는데 자세한 것은 후술.[64] 심지어 안과 토우야는 재능이 없긴 커녕 꽤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설정이다. 즉 코하네는 훨씬 압도적인 어마어마한 천재 먼치킨이라는 것.[65] 메인 스토리부터 안이 '순식간에 분위기를 압도해 마음을 사로잡는 노래'라고 했던 것, 아키토가 코하네에게 '너만이 부를 수 있는 노래를 불러달라'고 했던 것, 모두의 노래를 끌어올리는 역할 등을 부여한 것, <kick it up a notch> 이후 코하네가 노래하는 라이브 2D에만 RAD WEEKEND, RADder에게 쓰인 것과 같은 임팩트가 들어가며 멤버들이 '코하네의 노래가 뛰어올랐다' 등의 반응을 보인 것, 미쿠가 '코하네의 노래의 힘'이라 언급한 것, 본인도 본인의 노래의 힘에 대한 프라이드가 생긴 것 등.[66] 2D적 허용과 판타지적 요소가 들어갔다고 볼 수 있다. 문제는 그 정도가 너무 무리수 수준으로 과한 것.[67] 번역하면 대략 "한 단계 더 발전시킨다."라는 뜻이다. 후술하겠지만 스토리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는 코하네 개인의 발전이 아닌 팀 전체의 발전을 코하네 혼자의 힘에 편승시키는 것이다.[68] 심지어 비비드 스트리트와 가장 깊은 인연을 가진 시라이시 안은 명함으로 밀려났다.[69] 이번엔 4명 모두가 부르긴 했으나, 코하네의 배너에서만 스토리 브금용 곡을 하나 더 써주는 사례가 두 번이나 발생한 것인데, 하나라도 받은 캐릭터는 모든 캐릭터를 통틀어 코하네가 유일하다.[70] 특히 시라이시 켄은 친딸인 안은 방치해놓은 채 딸의 친구인 코하네에게 코치를 12명 붙여주고, 승부수를 걸고, 더 믿고 밀어주는 이상한 사람이 되어버렸다.[71] 아키토에게는 심한 텃세를 부리던 거리사람들이 코하네에게는 대사로 수차례 강조할 정도로 따뜻하고 친절하게 대해준다던가, 안이 노래를 가르쳐 달라고 할 때는 거절하던 타이가가 코하네만 단독 과외를 1년 가까이 해준다던가, 오프닝 솔로의 기회가 오직 코하네에게만 주어지는 등.[72] 분위기가 바뀌고 RAD WEEKEND 너머로 가는 것을 의미한다.[73] '변한다'거나 '문을 연다'는 표현으로 돌려말하기도 했으나, 이는 결국 더 위로 올라간다 혹은 뛰어넘는다는 뜻이다. 코하네의 노래가 모두의 노래 수준을 끌어올린다거나, 코하네가 가진 열쇠는 '더 위로 올라가는' 열쇠라고 이미 여러 번 굉장히 강조했다. 코하네가 RAD WEEKEND를 뛰어넘는 노래를 부르면 옆에서 열심히 서브하라는 것이나 마찬가지다.[74] 마을에 불을 떨어트리고, 곡을 만들고,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인 것은 모두 준비 작업이었지 실전이 아니다.[75] 스트리트 음악의 세계에 발을 들이고 RAD WEEKEND를 뛰어넘는 이야기 자체가 코하네가 주인공인 코하네의 서사이기에 개인 서사도 가장 넘치게 받아갔다.[76] 안은 비배스의 목표라고도 할 수 있는 RAD WEEKEND를 만들어낸 인물인 켄의 딸로서 스토리의 도입부부터 또래 중 이길 수 있는 사람이 없을 정도의 실력자로 묘사되었다. 작중 초반에는 안의 재능을 높이 사는 묘사가 매우 많았다. 아라타 역시 '역시 KEN의 딸이네' 라 언급하기도.[77] 말만 열등감이지 스토리를 읽으면 안이 느끼는 감정은 단순한 열등감이 아니라는 걸 것을 직접적인 대사로 언급한 적이 있으나, 코하네의 실력을 보며 지속적으로 불안해하는 묘사를 지나치게 많이 집어넣어 플레이어에 따라 코하네의 실력에 대한 동경내지 열등감이나 질투라는 감정으로 해석되는게 흐름상 당연하다.[78] Awakening Beat, Bout for Beside You, 교향하는 거리, Legend still Vivid(사이드스토리), Kick it up a notch, 월드링크, Whip the wimp girl!!까지 이런 묘사가 나오는 배너만 무려 7개나 된다. 그 외의 사실상 대부분의 배너에서도 자잘자잘하게 이러한 묘사가 나온다.[79] 'Kick it up a notch' 이벤트 이전부터 나기를 동경해 왔다는 언급과 나기와의 유사성이 꾸준히 부각되고 있었다. 특히 컬러풀 페스 카드의 헤어스타일이 젊은 시절의 나기와 일치하는 점과, 해당 이벤트보다 뒤의 시점이긴 하지만 3주년 이후 변화된 유닛 의상이 나기가 활동하던 시절 의상과 유사한 점 등.[80] 이건 배너 악곡 거리로 강조할 만큼이나 안의 주 설정이었다.[81] 첫 한정 하코 일러도 개인의 일러가 아닌 코하네와 투샷이다.[82] 대표적으로 아키토의 2성 '각자 휴일을 보내는 방법' 카드의 사이드 스토리에선 쓸데없이 자세하게 조연 캐릭터들이 휴일에 뭘 하는지 알려주고 멤버들은 이걸 가만히 듣고 있으며 이들이 휴일에 무엇을 하는지는 알려주지 않았다.[83] 비배스와 가장 유닛 목표적인 상황이 비슷한 건 원더쇼가 있는데 피닉스 원더랜드의 부흥이라는 목표는 원더쇼라는 단 하나의 쇼 유닛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경영 일가인 오오토리 그룹이나 다른 쇼 캐스터의 도움을 받기도 하지만 조연의 역할은 어디까지나 조력자 캐릭터에만 머무른다. 현 비배스의 상황을 원더쇼에 비유하면 오오토리 일가나 다른 쇼 캐스터 팀의 이야기를 주연인 원더쇼 이상으로 다룬 뒤 피닉스 원더랜드의 부흥엔 경영 일가인 오오토리 일가와 다른 쇼 캐스터의 역할도 불가피하므로 어쩔 수 없다고 옹호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84] 다만 Find A Way Out 의 경우 아키토 개인 서사의 절정에 가까운 스토리이기 때문인 것도 있다.[85] 물론 같은 팀을 이루고 있으니 어느 정도의 도움은 주고 받고 있지만 파트너와 비교했을 때는 차원이 다를 정도로 차이가 나는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86] 로딩 화면에 등장하는 4컷 만화에서는 안과 아키토가 서로 파트너와 자신이 최강의 콤비라면서 마치 두 별개의 팀이 서로 라이벌인 것처럼 나왔다(...). 이에 코하네가 넷이 팀이니 사이좋게 지내야한다 말하는 것은 덤.[87] 사실 니고의 문제는 애당초 스토리에 국한된 이야기였으며, 듀엣 커버곡의 경우 가능한 모든 듀엣 조합에 커버곡이 3개 이상 주어지는 등 듀엣 조합 다양성은 프로세카 내에서 압도적이기 때문에 비배스와는 결이 다르다.[88] 둘 다 텐마 남매를 이름으로 부르고, 시노노메 남매의 경우 토우야만 에나를 이름+상즈케로 칭한다.[89] 다만 아사히나 마후유 역시 버추얼 싱어를 제외한 모든 인게임 캐릭터들에게 성+상즈케를 하는 캐릭터인데, 이쪽은 팀메이트들을 이름으로 부른다.[90] 안의 첫 한정 배너는 또 코하네에게 서사가 종속되었고 여전히 혼성 커버곡은 없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