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22:01:39

Dr. 와일리

와이리 박사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록맨 에그제 시리즈의 Dr. 와일리에 대한 내용은 Dr. 와일리(록맨 에그제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Silver> 파일:MM11Wily.png
<rowcolor=Silver> 알버트 W. 와일리
アルバート・W・ワイリー / Albert W. Wily
일본판 성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아오노 타케시 (록맨 클래식 시리즈, 록맨 X 시리즈)
오가타 켄이치 (록맨: 별에 소원을)
이시모리 탓코우 (파워 배틀, 파워 파이터즈)
사이토 시로 (파치슬롯 록맨 어빌리티)
우메즈 히데유키 (록맨 11) }}}}}}
해외판 성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키스 실버스틴(록맨 11) }}}}}}
"와하하하하! 나는 천재다!"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images.wikia.com/WilyTinkerRobot.jpg
<colbgcolor=white><colcolor=Silver> 록맨 & 포르테의 데이터베이스
수많은 로봇을 만들어 록에게 도전해 왔지만
킹을 물리치기 위하여 라이트와 손을 잡았다.
장점 <colbgcolor=#fff,#191919><colcolor=#373a3c,#ddd> 천재 과학자
단점 끈질기다[1]
좋아하는 것 세계정복
싫어하는 것 패배를 인정하는 것
록맨 클래식 시리즈메인 빌런. 록맨의 영원한 숙적이자 시리즈 공통적으로 전통적인 최종 보스.

매드 사이언티스트이며 같은 매드 사이언티스트인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닥터 에그맨과 쌍벽을 이루고 있다고 해도 될 정도로 뛰어난 능력을 가진 과학자이기도 하다. 공교롭게도 록맨과 소닉의 크로스오버가 된 코믹스에서 둘이서 연합하여 나온 적이 있다.

풀 네임은 알버트 W. 와일리로, 성과 이름의 유래는 각각 교활한, 술책을 부리는, 간교한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알베르트를 영어식으로 읽으면 알버트인 데에서 특히 더 드러난다. 정확히 말하자면 전쟁을 싫어하는 평화주의자였던 아인슈타인의 안티테제적인 성격의 소유자.

Dr. 라이트와 함께 록맨 시리즈의 오버 테크놀러지 대표주자이다. 저 양반들이 만든 엑스제로 두 로봇이 수백년 넘은 시점까지 오파츠 취급 받는 것을 보면...

2. 상세

원래 로버트 공과대학 시절부터 라이트 박사하고는 동문이자 친구였으며 선의의 라이벌 정도였지만, 이후에 여러 가지 일들이 생기면서 둘의 사이가 멀어졌다고 한다. 물론 여러 콘테스트나 논문 발표 등을 하였지만 늘 라이트의 후광에 밀려서 2등밖에 할 수 없었긴 했어도[2] 이런 찌질한 이유만으로 멀어진 건 아니다. 자세한 건 후술.

취미는 의외로 탁구인데, 이 취미조차 라이트 박사를 못 이겼다고 한다.

대학을 졸업한 이후에는 돌연히 행방이 묘연해졌다가, 태평양에 로봇 공장을 짓고 세계정복의 야망을 불태우기 시작했다. 본인은 라이트를 두고 '평화 같은 허울 좋은 말로 교수들의 인기를 끌었을 뿐' 자신이 더 똑똑하다고 주장했지만, 기술 면에서 늘 Dr. 라이트를 따라잡지 못하고 톱의 자리를 놓쳤다.라는 해설을 록맨 대도감(1993)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다만 초대 록맨 이후 블루스를 개조해주면서 라이트의 기술 일부를 습득해 그때부터는 사실상 동등한 수준까지 올라섰다.

악당스러운 면모와는 반대로 자신이 만든 로봇들에게는 하나하나 전부 애착을 가지고 있어서 록맨이나 포르테 등에게 박살이 났다 해도 정성껏 수리해 주기 때문에, 그가 만든 보스들은 그를 거의 전적으로 믿고 따른다. 슈퍼 어드벤처 록맨에서도 본인이 직접 "난 내 로봇들을 진심으로 사랑한단 말이다!"라고 발언하기도 하였다. 코믹스판인 록맨 메가 & 기가믹스에서도 이런 면모가 잘 드러난다.[3]

록맨 10에서도 결국 원인은 와일리였지만, 백신을 만든 것은 사실이었고, 만들어 놓았던 백신 덕분에 자신을 구해준 록맨이나 다른 로봇들의 병을 고친 등, 단순히 악역이라고 하기에는 이제 충실한 츤데레로 보면 된다.

클래식 시리즈 자체가 밝은 분위기로 진행되다보니 와일리도 종종 엉뚱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분위기가 한층 어두워진 X 시리즈에서는 본래 면모인 매드 사이언티스트의 요소가 강조된다.

3. 도게자

파일:attachment/2010_0724_061708.jpg

록맨 9에서 등장한 지금까지의 도게자 총집합. 각 화면에서 록맨의 색은 역대 진 최종 보스들의 약점이거나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무기다. 각각 썬더 빔[4] / 버블 리드[5] / 탑 스핀[6] / 파라오 샷 / 비트 / 슈퍼 록 버스터[7] / 와일드 코일[8] / 플래시 봄 / 슈퍼 록 버스터.[9] 9개인 이유는 록맨 & 포르테도 포함돼서 그렇다.

록맨 1부터 등장한 와일리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는 트레이드 마크. 와일리 머신이나 와일리 캡슐, 이 외의 보스들이 모조리 부서진 이후에 맨몸으로 록맨에게 굽신굽신 거리면서 용서를 구하는 모습이다. 바리에이션으로 록맨 2에서 보여준 점핑 도게자도 존재한다.

결국 록맨 9에서는 질릴 때로 질린 록맨이 록맨 1~록맨 8, 그리고 록맨 & 포르테까지 굽신굽신 거리는 모습을 하나하나 다 러시로 입체영상으로 보여주는 굴욕을 줬다. 그럼에도 여전히 굽신거리는 와일리를 보면 측은한 생각까지 든다.

사실 록맨은 록맨 7 엔딩에서 와일리를 더 이상 용서할 수 없다며 와일리를 죽이려고 했다. 허나, 와일리가 로봇 3원칙 중 하나인 '로봇은 인간을 해칠 수 없다.'를 들이대자 록맨은 결국 말없이 버스터의 충전을 해제하고, 자신은 건물 잔해에 깔렸다. 그리고 포르테가 잘 낚아가서 목숨을 부지한다. 이 때 보여준 명대사"쏘려고? 나를 쏘려고? 나를!! 로봇인 네가 인간인 나를!!"가 있다.[10] 그런데 북미판은 메가맨이 버스터의 충전을 해제하고 하는 말을 "난 로봇 그 이상이다! 죽어라 와일리!"라고 해 놓아서 상황을 180도 뒤집어버린다. 이후 포르테의 난입 부분은 동일. 이케하라 시게토의 록맨 만화판에선 록맨이 버스터를 겨눈 채 주춤거리다 고스펠한테 버스터를 물리고 그 사이 포르테가 와일리를 데리고 떠난다. 그리고 록맨 10 이후 시점을 다룬 코믹스 록맨쨩에 따르면 작중의 국제기구에서 록맨에게 와일리를 사살해도 된다는 허가가 진작에 떨어진 상태라고 한다.[11] 사실상 3원칙 같은 걸로 못하는 게 아니라 그냥 안하고 있는 것.

록맨 2: 더 파워 파이터즈에서는 도게자 상태에서 탈출한 후 언제나 방해하는 록맨이 인간과 로봇사이의 평화를 위해서 싸운다는 말에 되려 "네가 내 로봇들과 싸울 때 그들을 설득하지도 않고 부수기만 하지 않았냐!"라는 궤변을 부리자[12] 록맨이 그럼 자신이 했던 짓이 와일리와 같은 악인지 고뇌하자 그래도 록맨 주변인물들이 정의와 악은 다르다고 위로해준다. 와일리는 이에 콧방귀를 끼고 도망가기도 한다.

어찌 보면 가장 불쌍한 경우는 록맨 & 포르테록맨 10의 포르테 루트. 자기 아들 앞에서 굽신거리는 구차한 와일리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파일:CaringZealousCurassow-max-1mb.gif

그리고 록맨 11에서는 비장의 수단을 써야겠다며 스피드 기어의 오오라를 내뿜으면서 뒤로 점프하더니 그대로 도게자로 이어진다. 물론 록맨은 지금까지 속아온 게 있다보니 전혀 통하지 않는다고 말하자마자, 바로 관두고 이제는 아예 당당하게(...) 너에게 진게 아니라 내가 만든 더블 기어 시스템에 진거다!라고 말하며 자신 스스로 자기를 천재라면서 자랑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인다.

4. 눈썹


도게자와 함께 와일리를 상징하는 도발. 등장하고 항상 눈썹을 몇 번 까딱거린다. 첫 작품인 록맨 1부터 록맨 & 포르테나 메가 월드 등의 모든 시리즈에서 와일리 스테이지 선택 시, 혹은 보스룸 돌입 시에 항상 보여준다.[13] 그래서 흔히들 와일리는 눈썹으로 시작해서 도게자로 끝난다고 한다.

눈썹 도발이 나오지 않은 작품은 아케이드인 록맨: 더 파워 배틀과 후속작인 록맨 2: 더 파워 파이터즈 뿐이다.

5. OST

록맨 시리즈의 BGM이 전체적으로 명곡인데, 와일리 스테이지의 경우 특히나 시리즈마다 명곡들이 많다.

록맨 4에서는 와일리 캐슬 2번째 음악과 와일리 캡슐전 음악이 코사크 스테이지 2번째 음악보다는 덜하지만 상당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고, 록맨 5의 와일리 캐슬 음악 역시 상당한 명곡, 록맨 6의 미스터X 스테이지 음악은 짠한 그리움을 불러 일으키는 명곡이다. 록맨 10의 와일리 스테이지 1번 곡인 'Abandoned Memory'는 왜인지 짠한 느낌까지 주는 곡. 록맨 9의 경우, 공식 어레인지 트랙 중 하나인 록맨 홀릭에 2곡이 보컬곡으로 올라가는 기염을 토했다. 각각 스테이지 1의 'Flash in the Dark'와 스테이지 2의 'We are the Robots'이다. We are the Robots는 이후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에서도 리믹스되었다. 록맨 11에서도 수준급의 스테이지 BGM을 보여주어 이 전통을 지켰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록맨 클래식 시리즈 최고의 BGM으로도 꼽히는 록맨 2 와일리 스테이지의 음악. 추억은 억천만이라는 이름으로 가사를 붙여 편곡된 버전이 유명하다.

어째서인지 록맨 9를 제외하면 최종전 BGM의 인기와 최종 보스로서의 강함이 반비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래서인지 와일리 스테이지와 최종 보스전 BGM 외주 주는 데 돈을 다 써버려서 기계가 그 모양이라는 농담도 있는 듯.

6. 기타

  • 해골을 매우 좋아하는 듯 싶다. 사실, 어지간한 악역들이 사악한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해 해골 장식을 기본 옵션으로 깔고 들어가긴 하지만 와일리는 그 정도가 좀 심한 수준. 자신의 요새 정문을 늘 해골 모양으로 하고 8편에서는 벨트의 버클도 해골이었으며 11에서 처음 선보인 잠옷도 해골 무늬다. 심지어 침대에도 해골 장식이 있다. 거기다 록맨 4부터는 와일리 머신에도 항상 해골이 전면부에 존재한다.
  • 영미권에서는 어째서인지 Dr. 바일의 정체가 Dr. 와일리라고 생각했던 팬들이 꽤나 있었던 모양이다. 그래서 캡콤 USA에 이나후네 케이지가 찾아왔을 때 미국 팬들이 이에 대해 물었지만 당연히 이나후네는 아니라고 대답하였다. 당시 인터뷰(아카이브)[14] 애초에 바일이 제로를 대하는 태도를 보면 절대 와일리가 아니다. 그도 그럴 듯이 와일리는 제로를 최고의 로봇이라는 식으로 애지중지하고 외전격 작품에서는 거의 아들 취급하는 반면, 바일은 제로를 그저 한낱 기계인형이자 반드시 쓰러뜨릴 적으로만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실, 바일과 와일리는 로봇을 바라보는 시각부터가 정 반대로, 와일리는 로봇에 대한 감정이 각별해서 인간 사회가 로봇을 받아들이지 못하지는 않을까 전전긍긍한 반면, 바일은 와일리가 걱정하던 바로 그 인간우월사상에 빠져 레플리로이드를 마구 착취하다 이레귤러가 되면 싹 폐기하고 갈아치울 수 있는 노예 내지 소모품으로 본 작자다.

7.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r. 와일리/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제작한 로봇

작중에서 와일리의 작품이 수없이 등장하지만 몇몇은 그가 만든 오리지널 작품이 아니라 외부에서 제작된 로봇들을 개조한 사례이다. 갤러리 문단에 있는 아리가 히토시의 일러스트는 메가믹스의 내용을 기준으로 와일리의 로봇을 구분하고 있다.

8.1. 록맨 클래식 시리즈의 보스들

8.1.1. 록맨 / 록맨 록맨


록맨?을 제외한 보스로 등장하는 로봇들은 라이트 넘버즈를 개조한 것들이다.

8.1.2. 록맨 2

8.1.3. 록맨 3


섀도맨의 경우 와일리가 만든 것이 아니라 발견한 것이라고 록맨 & 포르테에서 언급되며 심지어 지금까지도 정체가 불분명하다.

8.1.4. 록맨 4


나머지 보스들은 코사크 박사가 만들어낸 것을 와일리가 협박해 개조 및 재프로그래밍한 것이다. 넘버링도 와일리 넘버즈가 아닌 코사크 넘버즈. 링맨과 스컬맨은 재프로그래밍한 게 아니라 와일리의 협박을 받고 만든 전투용 로봇이지만 그래도 와일리가 만든 게 아님은 변함없다.

8.1.5. 록맨 5


스타맨은 섀도맨과 마찬가지로 와일리가 만든 것이 아닌 발견한 것이다.

8.1.6. 록맨 6


8 보스는 세계 로봇 선수권에 출전한 민수용 로봇들을 빼돌려서 재프로그래밍 한 것이다.

8.1.7. 록맨 7

일부는 처음부터 와일리의 오리지널 작품이지만, 훔쳐서 개조한 보스들도 있다.
  • 터보맨, 스프링맨, 슬래시맨, 정크맨
    터보맨은 와일리의 젊은 시절에 썼던 옛날 차량을 개조한 로봇이다. 스프링맨은 처음부터 와일리의 작품이며, 슬래시맨은 특수 비밀 건설 목적으로 와일리가 제작했다. 정크맨은 와일리가 재활용 부품으로 만든 작품이다.

프리즈맨은 무공해 에너지 실험을 위해 만들어진 로봇을 와일리가 공격형으로 개조했다. 버스트맨은 원래 에도 시의 화학 약품 공장 출신 로봇이였던 것을 와일리가 개조하였고, 클라우드맨도 기상 제어용 로봇을 개조한 것이다. 셰이드맨도 원래 귀신의 집 어트랙션 로봇이였다가 와일리가 개조하였다.

8.1.8. 록맨 8

록맨 7과 마찬가지로 일부는 와일리의 작품이지만, 일부는 와일리가 훔친 로봇이다.
  • 프로스트맨, 그레네이드맨, 서치맨, 소드맨
    프로스트맨은 클라운맨을 개조 후 남은 부품으로 와일리가 만든 작품이며, 그레네이드맨과 서치맨은 와일리가 전투용으로 만들었고 소드맨은 검은 박물관에서 훔친 것이지만 로봇은 자기가 직접 만들었다.

텐구맨은 원래 태풍을 일으키기 위한 실험용 로봇이였다. 클라운맨은 원래 호주의 서커스 로봇이였으나, 와일리가 훔쳐서 전투용으로 개조했고, 개조 후 남은 부품은 프로스트맨을 만드는데 사용했다. 아스트로맨은 플라네타리움에서 일하는 로봇을 전투용으로 개조하였고, 아쿠아맨도 급수시설에서 일하는 로봇을 전투용으로 개조한 경우다.

8.1.9. 록맨 & 포르테


다이나모맨, 매직맨, 파이레츠맨, 버너맨은 출처가 언급되지 않았다.

8.1.10. 록맨 9


8 보스는 라이트 박사가 설계한 공업용 로봇들 중 사용 기한이 지나 폐기 처분된 기종을 수리한 것들이다. 넘버링 역시 록맨 1의 보스들 처럼 라이트 넘버즈로 등록되었다.

8.1.11. 록맨 10


8 보스는 작중에서 로보 엔자에 감염되어 날뛰기 시작했다고만 할 뿐, 와일리가 만들었다는 언급은 없다. 아마도 역시 재프로그래밍한 것으로 추정된다.

8.1.12. 록맨 11


8 보스의 경우 와일리 넘버즈에 등록되어 있긴 하지만, 실제로는 6편의 보스들처럼 여러 민간 기업의 로봇들을 훔쳐서 더블 기어 시스템을 탑재했을 뿐이다.

8.2. 그 외

  • 제로
    포르테블루스의 설계도를 토대로 개발한 뉴타입의 로봇이자 와일리의 로봇 공학자 인생 최후이자 최고의 걸작.[16] 어떻게 보면 미래의 만악의 근원이 된 것 같지만, 이 양반이 의도와는 정 반대로 가장 이 세계관에서 잘한 일이 되어버렸다. 100년 후 X 시리즈에서는 제로로 인해 엑스는 성장하고, 또한 서로가 듬직한 동료가 되어준다.[17] 게다가 수백년 후인 록맨 제로 시리즈에서는 어떤 양반에 의해 요정 전쟁을 일으키게 만든 원흉이 되기도 했지만, 인류와 로봇을 구하는 데 앞장섰다. 비록 그 정신이 후속작에선 이어지지 않고 잊혀졌지만 인류와 로봇은 '일단은' 화해를 이루웠다. 제로를 만든 와일리의 처음 의도는 나빴지만 과정만 가장 좋은 사례.[18]
  • 시그마 바이러스
    록맨 30주년 인터뷰에서 확인사살. 제로에게 탑재된 로봇 파괴 프로그램이 시그마를 새로운 숙주로 삼은 뒤 독자적으로 진화한 결과물이다.

9. 갤러리

파일:attachment/1372716166872.jpg
아리가 히토시[19]
파일:external/images.wikia.com/Wily1.jpg 파일:external/images.wikia.com/Wily3.jpg 파일:external/images.wikia.com/Drwily.png 파일:external/images.wikia.com/Wily8.jpg
<rowcolor=Silver> 록맨 1 록맨 3 록맨 7 록맨 8/록맨 & 포르테
파일:external/images.wikia.com/Wily9.jpg 파일:external/images.wikia.com/DrWily.png 파일:attachment/mmpu-dr-wily.jpg 파일:MM11Wily.png
<rowcolor=Silver> 록맨 9 록맨 10 록맨 록맨 록맨 11

[1] 영어판에서는 구제불능이다.[2] 록맨 4의 매뉴얼에 명시된 것만 해도 LIT 매뉴얼 디자인 콘테스트 4년 연속 준우승, 세계기술자대상 은상, 그리고 노벨물리학상 후보로 노미네이트. 참고로 콘테스트 우승, 세계기술자 대상 금상, 노벨물리학상은 전부 라이트가 가져갔다(...).[3] 암흑의 달 편에서 라이트가 수리를 망설일 때, 와일리가 라이트에게 일침을 가하는 게 그야말로 명장면이다. "이놈들이 자랑스럽고 사랑스럽다고? 자식처럼 생각하고 있다고? 그게 어쨌다는 거냐! 그런 이유로 이 녀석들의 삶의 방식을 단정 짓는 것이냐!? 그게 도구 취급하는 거랑 대체 뭐가 다르다는 거냐!! 어떻게 살고, 어떻게 죽는 지는 자신이 정하는 것! 그렇기에 이 녀석들에게 '마음'이 있는 것이 아니냐! 넌 단지 자신의 고통으로부터 도망치는 것 뿐이야! 너가 그러고도 내 라이벌이냐! 한심하구나 라이트! 내가 유일하게 라이벌로 인정한 네가 그런 말을 하다니! 떠올려라 라이트! 우리가 왜 그저 기계일 뿐인 로봇에게 '마음'을 가지게 했는지를!!!"[4] 원작에서는 무적시간이 매우 짧아 궤도에 따라 한 번에 3칸까지 피해를 줄 수 있던 롤링 커터가 약점이었지만, 록맨 메가 월드에서 썬더 빔이 한 방에 4칸의 피해를 주게 변경되었다.[5] 록맨 2의 진 최종 보스에게 대미지를 입힐 수 있는 무기는 버블 리드 뿐이다.[6] 최종 보스인 감마는 무적시간이 없어서 연속형 공격인 탑스핀에 그대로 한 방 컷 된다.[7] 정식 약점은 실버 토마호크로, 무려 4칸의 피해를 주는 데다 더 맞추기도 쉽다.[8] 이외에도 프리즈 크래커, 슈퍼 록맨의 펀치가 공격하기 쉬운 무기다.[9] 해당하는 장면은 록맨 & 포르테로, 정식 약점은 매직 카드. 차지샷과 마찬가지로 3칸의 피해를 준다.[10] 이후 록맨 제로 4의 최종 보스 Dr. 바일이 이 대사를 친다. 그러나 어감은 다르다. 와일리는 그래도 로봇 공학자답게 '내가 잘못한 거 맞는데 로봇이 자기 의지로 사람을 죽이기 시작하면 세상이 어찌 되겠냐.'하고 설득하는 건데 바일은 '정의의 편이란 영웅님께서 사람을 죽이려 하네'라는 궤변이다. 정작 바일은 이 시점에서 인간으로 분류될 수 있는 지도 불분명한 존재가 되었다.[11] 일본 록맨 코믹스들은 콘티부터 캡콤의 검수와 허락을 받고 연재한다.[12] 슈퍼 어드벤처 록맨에서 선택지에 따라 록맨이 퀵맨과 싸우지 않고 어떻게든 설득시켜서 아군으로 감화하게 만들 수도 있으며, 처음으로 보스전 대화가 추가된 록맨 록맨에선 록맨이 보스들을 만날 때마다 설득하려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13] 예외적으로 록맨 7에서는 오프닝 스테이지부터 눈썹도발이 나온다. 록맨 11에서는 눈썹 도발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한 번 비웃어준다.[14] 제로가 록맨을 죽인 것인지, 와일리가 X 시리즈에서 어떻게 나타난 건지에 대한 질문과 답이 모두 여기서 나온 것이다.[15] 라이트와의 합작품이라면 당연히 라이트에게도 로봇의 소유권과 지분이 있었을 텐데, 어째서 획득하지 못한 것은 미지수다.[16] 제작자 본인이 X4 제로 인트로에서 인증해 준다.[17] 대립하기 전의 라이트와 와일리는 나름대로 죽이 잘 맞는 친구 사이이기도 했다.[18] 록맨 X6에서도 와일리로 추정되는 로봇이 제로의 실력을 보고 극찬했다.[19] 록맨 20주년 기념 일러스트 중 하나. 흔히 알고 있는 비굴한 도게자 마스터가 아닌 세계정복을 꿈꾸는 사악한 먼치킨 과학자의 면모를 잘 나타낸 일러스트라는 평을 받는데, 아리가 히토시의 작품인 록맨 메가믹스에 등장하는 와일리도 이런 분위기였다. 또한 해당 일러스트에 등장한 로봇들은 기본적으로 순수하게 와일리가 제작한 로봇들이다. 그래서 록맨 1, 4, 6, 월드 5의 보스들은 없다. 자세히 보면 로봇들과 와일리가 메가믹스의 모습인데 그래서인지 코믹스 한정으로 와일리가 제작한 섀도맨과 스타맨, 7~8 보스들이 다 포함되어 있다. 또한 작중에서 등장하지 않은 메가 월드 넘버즈, 록맨 킬러 넘버즈가 그려저 있다. 포르테와 고스펠, 그리고 제로는 등장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