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75deg, #eda702, #073E90, #EC2720, #32a847)"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colcolor=#fff> 조별리그 |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대한민국 경기 (D조) 폴란드전 (1차전) · 미국전 (2차전) · 포르투갈전 (3차전) | |||||||||
주요 경기 프랑스 vs 세네갈 (A조) | |||||||||
결선 토너먼트 | 16강 | 8강 | 준결승, 3PO | 결승 | |||||
대한민국 경기 이탈리아전 (16강) · 스페인전 (8강) · 독일전 (준결승) · 터키전 (3위 결정전) | |||||||||
대회 이후 | 결산 (대한민국 · 프랑스) | }}}}}}}}}}}} |
1. 개요
<rowcolor=white>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브라질 | 3 | 3 | 0 | 0 | 11 | 3 | +8 | 9 | |
2 | 터키 | 3 | 1 | 1 | 1 | 5 | 3 | +2 | 4 | |
3 | 코스타리카 | 3 | 1 | 1 | 1 | 5 | 6 | -1 | 4 | |
4 | 중국 | 3 | 0 | 0 | 3 | 0 | 9 | -9 | 0 | |
■ 16강 진출 | ■ 탈락 |
2. 1경기: 브라질 2 : 1 터키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C조 1경기 2002.06.03.(월) 18:00 (UTC+9) |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남구) | ||
주심: 김영주 | ||
2 : 1 | ||
브라질 | 터키 | |
50′ 호나우두 (A. 히바우두) 87′ 히바우두(PK) | 45+2′ 하산 사슈 (A. 이을드라이 바쉬튀르크) | |
- | 퇴장 | 86′ 알파이 외잘란 90+4′ 하칸 운살 |
관중: 33,842명 | ||
경기 최우수 선수: 히바우두 |
중계 방송 | ||
송재익 | 신문선 | |
서기철 | 허정무 |
SBS 하이라이트 영상 |
그러나 결국 터키가 이후 중국 전 승리로 16강에 오르면서 그런 것은 어느 정도 유야무야되었다.[3] 공교롭게도 딱 12년 뒤인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도 또 브라질의 시뮬레이션에 넘어간 일본인 주심 니시무라가 페널티를 주면서 브라질이 이기는 데 기여했다.[4]
이후 두 팀은 23일 만에 4강에서 다시 맞붙게되었다.
3. 2경기: 중국 0 : 2 코스타리카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C조 2경기 2002.06.04.(화) 15:30 (UTC+9) | ||
광주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 ||
주심: 키로스 바사라스 | ||
0 : 2 | ||
중국 | 코스타리카 | |
- | 61′ 로날드 고메스 (A. 파울로 완초페) 65′ 마우리시오 라이트 (A. 로날드 고메스) | |
관중: 27,217명 | ||
경기 최우수 선수: 로날드 고메스 |
중계 방송 | ||
손석기 | 곽성호 |
SBS 하이라이트 영상 |
4. 3경기: 브라질 4 : 0 중국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C조 3경기 2002.06.08.(토) 20:30 (UTC+9) | ||
제주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제주도 서귀포시) | ||
주심: 안데르스 프리스크 | ||
4 : 0 | ||
브라질 | 중국 | |
15′ 호베르투 카를로스 32′ 히바우두 (A. 호나우지뉴) 45′ 호나우지뉴(PK) 55′ 호나우두 (A. 카푸) | - | |
관중: 36,750명 | ||
경기 최우수 선수: 호베르투 카를로스 |
중계 방송 | ||
임주완 | 차범근 | |
송재익 | 신문선 | |
서기철 | 허정무 |
SBS 하이라이트 영상 | MBC 하이라이트 영상 |
여담으로 이 경기가 동아시아 팀과의 경기 중 유일한 무실점 경기이다.[5]
5. 4경기: 코스타리카 1 : 1 터키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C조 4경기 2002.06.09.(일) 18:00 (UTC+9) | ||
인천문학경기장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남구) | ||
주심: 코피 코지아 | ||
1 : 1 | ||
코스타리카 | 터키 | |
86′ 윈스톤 파르크스 | 득점 | 56′ 엠레 벨로조글루 (A. 에르난 메드포르드) |
관중: 42,300명 | ||
경기 최우수 선수: 파울로 완초페 |
SBS 하이라이트 영상 |
만일 터키가 코스타리카를 이겼다면 중국은 바로 탈락이 확정되지 않고 최종전까지 좀 더 버틸 수도 있었으나, 터키는 중국의 소원을 들어주지 못했다. 설사 터키가 진짜로 코스타리카를 이긴 상태에서 중국이 터키와 맞붙었다 하더라도 중국 입장에서는 그 터키조차도 몹시 버거운 상대이기에 어차피 저것조차도 별 의미가 없었을 것이다.[6]
한편, 후반 42분엔 엠레 벨뢰졸루가 나간 볼을 잡으려는데 코스타리카 코치가 볼을 집어 빨리 건네주지 않자 화가 난 엠레 벨뢰졸루가 그 코스타리카 코치를 밀어버렸고, 이 때문에 터키 감독 셰놀 귀네슈와 코스타리카 감독 알레산드르 기마랑예스가 서로 언성을 높이며 싸웠다. 그 때문에 터키 및 코스타리카 양측에서 벤치 클리어링이 일어나기도 했으며, 주심, 부심, 대기심까지 모두 출동해 이를 제지하여 겨우 진정시켰다.
6. 5-1경기: 코스타리카 2 : 5 브라질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C조 5-1경기 2002.06.13.(목) 15:30 (UTC+9) | ||
수원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 ||
주심: 가말 간두르 | ||
2 : 5 | ||
코스타리카 | 브라질 | |
39′ 파울로 완초페 (A. 마우리시오 라이트) 56′ 로날드 고메스 (A. 스테벤 브리세) | 10′[7], 13' 호나우두 (A. 10‘ 에드미우손) 38′ 에드미우손 62′ 히바우두 (A. 주니오르) 64′ 주니오르 (A. 에드미우손) | |
관중: 38,524명 | ||
경기 최우수 선수: 주니오르 |
중계 방송 | ||
한종희 | 강신우 | |
서기철 | 허정무 |
SBS 하이라이트 영상 |
이로서 브라질은 3전 전승, 승점 9점으로 깔끔하게 조 1위를 확정했다. 그렇게 16강에 오른 브라질은 일본으로 이동해 토너먼트를 치르게 됐다. 반면에 코스타리카는 이 경기에서 3점 차의 대패를 당하며 터키와 승점은 4점으로 동률이었으나 골득실에서 -1에 그치는 바람에 +2인 터키에 3골이 뒤져 결국 조 3위로 완전한 탈락의 고배를 마시고 말았다. 결과적으로 보면 승점자판기 중국을 2:0으로밖에 못 턴 게 화근이 된 셈이다. 한편 호나우두는 조별리그에서 4골을 기록해 5골을 기록한 독일의 미로슬라프 클로제를 1골 차로 추격하며 득점왕 경쟁의 불을 더욱 지폈다.
여담으로 코스타리카의 감독인 알레산드르 기마랑예스가 브라질인이었다. 그래서 이 경기를 앞두고 "이제 내 가족이 있는 조국 브라질과 경기를 치러야만 한다. 그러나 나는 코스타리카에 충성할 것이다."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7. 5-2경기: 터키 3 : 0 중국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C조 5-2경기 2002.06.13.(목) 15:30 (UTC+9) | ||
서울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 ||
주심: 오스카르 루이스 | ||
3 : 0 | ||
터키 | 중국 | |
6′ 하산 사슈 9′ 뷜렌트 코르크마즈 (A. 하산 사슈) 85′ 위미트 다발라 (A. 하산 사슈) | - | |
- | 퇴장 | 58′ 사오자이 |
관중: 43,605명 | ||
경기 최우수 선수: 하산 사슈 |
중계 방송 | ||
박상도 | 김성남 |
SBS 하이라이트 영상 |
이로써 터키는 코스타리카와의 승점이 4점으로 동률이었으나 골득실에서 +2를 기록해 -1에 그친 코스타리카를 3골 차로 제치고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역시 16강에 진출한 터키도 브라질과 함께 일본으로 이동해 토너먼트 경기를 치른다. 반면에 중국은 이 경기마저 지며 3전 전패, 무득점 9실점 대회 31위란 처참한 성적으로 짐을 쌌다.[10]
한편 이 경기에서 대한민국 관중들은 터키를 열렬히 응원했는데, 이로 인해 튀르키예인들은 1차전 주심 김영주로 인해 발생한 일시적인 반한 감정을 풀고 형제의 나라끼리 같이 결승에서 만나자며 선전을 다짐했다.[11] 반면 중국인들은 크게 앙심을 품었다. 형제국(?)이자 이웃나라인 자신들을 박대하고 머나먼 국가인 터키를 응원했다는 것이었다.[12] 이 때 생긴 중국의 앙심은 이후 대한민국이 이 대회에서 돌풍을 일으키며 4강까지 오르자 '대한민국의 심판 매수설'을 퍼뜨리는 그야말로 말도 안되는 열폭으로까지 진화했다.[13][14]
8. 평가
보다시피, 브라질은 3승을 가볍게 쓸어담으며 16강 진출에 성공하였고, 반대로 중국은 3패로 승점셔틀이 되면서 16강 진출에 실패한 가운데 1승 1무 1패인 터키가 코스타리카를 득실차로 제치고 16강에 올랐다. 브라질은 지역예선조차 힘겹게 통과하며 역대 최약의 대표팀이라는 소리를 들었지만, 꿀조 중에 꿀조에 걸렸고, 호나우두가 긴 부상 끝에 컴백하고, 히바우두, 호나우지뉴 등과 함께 3R이라는 무시무시한 3각편대를 결성하여 조별리그를 가볍게 통과했다. 특히 골키퍼를 제외한 10명의 선수들 모두 공격적인 성향을 띠면서, 공격 축구의 진수를 보여줬다.중국은 최초로 월드컵에 올라 대륙의 기상을 보여준다며 큰 자신감을 가졌던 중국이였으나, 코스타리카에 0:2, 브라질에 0:4, 터키에 0:3으로 처참하게 무너지며 무승점과 무득점으로 첫 월드컵을 망쳤다.[15][16]이후로 중국은 또 다시 월드컵에 전혀 못나오고 있으며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에선 베트남에게 1:3으로 지며 동남아 국가 사상 첫 최종예선 첫 승제물이 되어버린다.
조 최하위이자 대회 31등 중국을 상대로 많은 점수차 승리를 기록한 팀 순서대로 등수가 정해졌다. 브라질 4점차, 터키 3점차, 코스타리카 2점차. 그리고 조 1위인 브라질을 상대로 적은 점수차 패배를 기록한 팀이 역시 순서대로 순위를 가져갔다. 터키 1점차, 코스타리카 3점차, 중국 4점차. 두 골밖에 넣지 못한 코스타리카는 터키와 비기면서 1승 1무까지 달성한 것까지는 괜찮았지만, 중국을 고작 2:0으로밖에 이기지 못한게 독이 되었고, 조별리그 마지막 상대 브라질에 2골을 넣었지만 5골이나 내주고 2:5로 지면서 3:0으로 중국을 압도한 터키에 골득실 차로 밀려 결국 조 3위 대회 19위로 16강 실패의 쓴맛을 보고 말았다.
브라질과 터키가 각각 우승과 3위를 기록했다. 1위로 진출한 브라질은 16강에서 벨기에, 8강에서 잉글랜드를 만났지만, 2위로 진출한 튀르키예는 16강에서 홈팀 일본, 8강에서 돌풍팀 세네갈을 만나 상대적으로 2위 쪽 대진운이 좋아 마치 1위, 2위의 대진이 반대로 된 듯한 결과가 나왔다. 4강에선 브라질과 터키가 서로 재회하여 승부를 냈고 결과는 또 다시 브라질의 1:0 승리.
여담으로, 대회 최고의 골로 꼽히는 에드미우손의 오버헤드킥[17] 골이 브라질 : 코스타리카전에서 나왔다. 또 C조는 유일하게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실시한 경기가 없었던 조였다.[18]
[1] 터키 외잘란의 반칙이라고 해도 페널티 박스 진입 직전 이루어진 반칙이라 프리킥이지 페널티킥을 주면 안된다는 의견도 어느 정도 설득력이 있었다.[2] 역사에 만약이란 없지만, 어차피 브라질하고 무재배로 갔다 하더라도 2차전 코스타리카전에서 무승부를 하는 바람에 2위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을 것이다. 또한, 본선 대진을 살펴보면 오히려 브라질보다도 유리한 대진에 걸렸다는 게 중론이다. 일단 조별리그만 좀 엉성했지 무엇보다도 16강에서 덴마크를 학살한 잉글랜드를 피했으니...[3] 게다가 그 경기에서 경기장에 모인 대한민국 관중들이 일제히 터키를 응원한 게 터키에 생긴 반한 감정을 더 가라앉혔다.[4] 결국 크로아티아에서도 반일 분위기가 잠깐 일어났으며, 그 결과 니시무라 주심은 브라질 공항에서 크로아티아 팬들의 욕설과 비난에 경비원의 경호를 받아야만 했다.[5] 2006년엔 일본, 2010년엔 북한, 2022년엔 대한민국을 만났으나, 세 팀 모두에게 한점씩 허용했으며, 셋 중에 일본을 상대로는 선제골을 헌납하기도 했다.[6] 특히, 이 월드컵의 공동 개최국인 일본과 대한민국조차도 모두 터키를 상대로 패배를 기록했다.[7] 처음에는 루이스 마린의 자책골로 기록되었으나 후에 호나우두의 골로 정정되었다.[8] 특히, 하산 사슈는 얼마나 다급했는지 선제골을 넣은 후 그 공을 가져다가 직접 킥오프 자리에 놓기도 했을 정도였다.[9] 그 후, 위미트 다발라는 다음 경기인 일본과의 16강에서도 결승골을 터뜨려 그 일본을 16강 9등으로 탈락시켰으며, 세네갈과의 8강전에서는 연장 전반 4분에 터진 일한 만시즈의 골든골도 도왔다. 한마디로 중국에 이어 일본과 세네갈까지 잡은 저승사자...[10] 다만, 사우디아라비아가 독일한테만 0:8로 대패를 당하는 등 최악의 졸전으로 3전 전패+무득점+12실점 대회 32위이라는 그야말로 개망신에 가까운 성적을 얻었기에 대회 꼴찌는 면했다.[11] 이 두 형제들은 4강에서 각각 독일과 브라질에게 지는 바람에 3위 결정전에서 만났고 결과는 터키의 3:2 승리로 마무리되었다.[12] 한국인들은 결코 형제국으로 생각하지 않지만, 중국은 은근히 대한민국을 향해 "우리는 너희랑 형제 국가야."라고 일방적으로 우긴다. 하지만 중국은 단지 이웃나라일 뿐 형제국이었던 적이 없다. 형제국이라고 부를만 했던 시기는 조선 초 ~ 임진왜란까지의 기간 뿐인데, 그마저도 일방적으로 명나라가 우위에 있고 조선을 제후국으로 삼는 전형적인 중국 중심의 세계관일 뿐이다. 중국인들이 말하는 '형제국'이라는 관념은 '같은 부모에게서 나온 동등한 형제관계'를 뜻하는 것이 아닌, 그저 자기네들이 형님 대접을 받고 대한민국을 포함한 주변국은 복종의 대상이라는 어거지에 불과하다.[13] 이 당시 대한민국은 대한민국을 제외한 경기들 중에서는 약체든 강호든 양국을 나누면서 공평하게 응원을 했지만 미국과 중국의 경기가 있을 때는 예외였으며, 특히 중국의 경우는 더더욱 심했다.[14] 미국은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당시 아폴로 안톤 오노의 헐리우드 액션으로 김동성의 금메달을 강탈했다고 여겼기 때문이고 중국은 리자쥔이 김동성을 비롯한 대한민국 선수들에게 위험한 반칙을 밥먹듯이 해댔으며, 4년 전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출정식때 황선홍의 무릎을 아작내고 마르세유 참사의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15] 맡는 팀(1986년 멕시코, 1990년 코스타리카, 1994년 미국, 1998년 나이지리아)마다 항상 월드컵 8강 및 16강에 항상 올려놓으며 명장으로 칭송받던 보라 밀루티노비치는 중국 감독을 맡아 경력에 큰 오점을 남겼으며, 동시에 중국에서의 대실패를 시작으로 맡는 팀마다 연달아 실패만 줄곧 하는 등 커리어도 심하게 망가져 버렸다. 그나마 사우디아라비아가 독일에 0:8로 참혹하게 무너진 탓에 골실점 우위로 31위를 획득하여 대회 꼴찌는 면했다. 그러나 현재 중국 축구가 2002년의 선배들보다 최악의 모습을 보이자 밀루티노비치 전 감독이 그나마 재평가가 되었다.[16] 비록 3패를 당하여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을지언정 이 당시 중국 선수들은 철저한 몸관리로 복근을 갖추고 있을 정도로 자기 관리가 확실했고 선수로써의 당연한 기본을 갖추고 있었다. 게다가 어떻게든 공격을 성공시키기 위해 그나마의 노력이라도 했으며 그 이후 대회가 끝난 후 쑨지하이가 유럽 리그에 진출하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현재 중국 선수들은 선수로써의 직업정신이 있는건지 의심이 될 정도로 자기관리가 최악인데다 뱃살을 들이대며 자국민들에게 '닭백숙','국돼(국가대표 돼지)'라며 비난을 받는 건 물론이고 아무런 의지도 없이 건성으로 플레이를 하며 2002년 선배들과 비교하는 게 실례일 정도로 최악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17] 이골로 1위로 선정되었다.[18] 대구스타디움도 조별리그에서는 없었지만, 4강에서 패배한 터키가 3위 결정전을 대구광역시에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