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30 17:33:02

1차 산 후안 해전


1585~1604년 영국-스페인 전쟁의 전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영국-스페인 무역 분쟁
산 후안 데 울루아 해전 드레이크의 1572~1573년 원정 드레이크의 세계일주 상비센테 해전
유럽 해역
드레이크의 비고 상륙 판텔레리아 해전 드레이크의 카디스 습격 스페인 대함대의 1차 잉글랜드 원정 칼레 해전
잉글랜드 대함대의 스페인 원정 1590년 지브롤터 해협 해전 1591년 지브롤터 해협 해전 알메리아만 해전 바르바리 해안 해전
비스케이만 해전 마운트 베이 습격 하워드의 카디스 습격 스페인 대함대의 2차 잉글랜드 원정 스페인 대함대의 3차 잉글랜드 원정
세심브라만 해전 도버 해협 해전 카디스만 해전
카리브해와 남미
산토도밍고 습격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 습격 산아구스틴 습격 캐번디시의 세계일주 왓츠의 서인도 제도와 버지니아 원정
쿠바 서부 봉쇄 뉴포트의 히스파니올라 원정 1차 푸에르토 카바요스 해전 산 마테오만 해전 헤시피 습격
롤리의 엘도라도 원정 프레스턴-소머스 원정 과들루프 해전 1차 산 후안 해전 드레이크의 파나마 원정
피노스 해전 2차 산 후안 해전 타바스코 습격 포르토벨로 습격 2차 푸에르토 카바요스 해전
산티아고데쿠바 습격
대서양
발라 프랑카 두 캄포 해전 스페인의 아소르스 제도 정복 뉴펀들랜드 원정 산티아고 공방전 컴벌랜드 백작의 아소르스 제도 습격
베를렌가스 제도 해전 1차 플로레스 해전 2차 플로레스 해전 파이얄 해전 에식스-롤리 원정
저지대 국가
안트베르펀 공방전 에이셀로르드 공방전 1차 그라브 공방전 벤로 공방전 악셀 공방전
주트펜 전투 1차 슬로이스 공방전 베르헌옵줌 공방전 브레다 공방전 주트펜 공방전
데벤테르 공방전 델프제일 공방전 크노첸부르크 전투 1차 헐스트 공방전 나이메헌 공방전
스틴베이크 공방전 1차 쿠보르덴 공방전 게르트루이덴베르크 공방전 2차 쿠보르덴 공방전 그로닝겐 공방전
위이 공방전 1차 그로엔로 공방전 리페 전투 2차 헐스트 공방전 투른하우트 전투
1차 라인베르크 공방전 뫼르 공방전 2차 그로엔로 공방전 브레드부르트 공방전 오르마르숨 공방전
올덴잘 공방전 링겐 공방전 산켄산츠 공방전 잘트봄멜 공방전 산 안드레아스 공방전
니우포르트 전투 2차 라인베르크 공방전 오스텐드 공방전 스헤르토겐보스 공방전 2차 그라브 공방전
후그스트라덴 반란 2차 슬로이스 공방전
프랑스
아르크 전투 이브리 전투 파리 공방전 샤토로드랑 전투 루앙 공방전
카우데벡 공방전 크라옹 전투 블라이 전투 모를레 공방전 크호종 요새 공방전
스페인의 칼레 정복 아미앵 공방전
아일랜드
9년 전쟁 스페인의 아일랜드 원정 킨세일 공방전 케슬헤븐 전투 }}}}}}}}}
1차 산 후안 해전
First Battle of San Juan
시기
1595년 11월 22일
장소
서인도 제도 산 후안 섬의 비에호 산 후안
원인
프랜시스 드레이크서인도 제도 원정.
교전 세력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
지휘관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페드로 테요 데 구즈만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곤살로 멘데스 데 카우조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산초 파르도 오소리오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페드로 수아레스 코로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랜시스 드레이크
병력
프리깃 5척, 군인 700명, 선원 800명, 육상포 70문. 선박 25척, 군인과 선원 2,500명.
피해
프리깃 1척 파괴, 40명 전사. 선박 8~10척 침몰, 400명 전사.
결과
스페인군의 승리.
영향
프랜시스 드레이크의 카리브해 원정 무산.

1. 개요2. 상세

1. 개요

1585~1604년 영국-스페인 전쟁 시기인 1595년 11월 8일, 서인도 제도 산 후안 섬의 비에호 산 후안 앞바다에서 스페인 함대가 프랜시스 드레이크의 잉글랜드 함대를 격파한 해전.

2. 상세

1595년, 잉글랜드 여왕 엘리자베스 1세프랜시스 드레이크존 호킨스에게 서인도 제도를 급습해 스페인 본토에 보내는 금과 은의 공급원에 타격을 가하라고 명령했다. 이에 두 사람은 선박 27척, 병사 2,500명을 동원해 8월 28일에 플리머스에서 출항했다. 그러나 항해 도중에 식량이 부족해지자, 드레이크는 식량과 약탈품을 얻기 위해 카나리아 제도를 공격하자고 제안했다. 존 호킨스는 라스 팔마스 공격은 계획해 둔 바 없는데 섣불리 공격하면 원정이 꼬일 수 있다며 반대했지만, 토머스 바스커빌이 4시간 안에 라스 팔마스를 점령하고 4일 안에 주민들을 설득해 몸값을 요구할 수 있다고 호언장담하자, 결국 그들의 뜻에 따르기로 했다. 그러나 10월 6일 잉글랜드 해군이 접근했을 때 라스 팔마스 수비대와 현지 주민들은 예상 외로 강하게 저항했고, 선두에 선 선박 4척이 큰 손상을 입자, 드레이크는 더 이상의 전투를 포기하고 서인도 제도로 향했다.

그러나 잉글랜드 함선들이 긴 대열로 이동하던 1595년 11월 8일, 잉글랜드 후위 함대 9척이 과들루프에서 스페인 프리깃 5척의 급습을 받았다. 이보다 앞서, 산초 파르도 오소리오 장군이 지휘하는 스페인 서인도 함대는 3월 10일 2,000,000페소에 달하는 금과 은을 싣고 아바나에서 출항하여 스페인으로 향했다. 그러다가 5일 후에 바히마 해협에서 폭풍에 직면해서 피해가 생기자, 수리를 위해 푸에르토리코로 향했다. 이때 보물 화물은 수리가 진행되는 동안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라 포르탈라자에 보관되었다. 페드로 테요 데 구스만은 10월에 오소리오 장군의 지시를 받고 보물을 회수하기 위해 프리깃 5척을 이끌고 출항한 뒤 보물을 싣고 푸에르토리코로 돌아가던 중 과들루프에서 잉글랜드 후위 함대와 마주쳤다.

이후 벌어진 과들루프 해전에서, 스페인군은 프랜시스 호를 나포하고 잉글랜드 병사 45명을 사살하고 25명을 생포했다. 이후 포로들을 심문한 스페인군은 드레이크의 계획을 알게 되었다. 이에 드레이크가 먼저 공격하려는 산 후안에 서둘러 항해했고, 그로부터 소식을 전해 들은 페드로 파르도 오소리오 장군도 산 후안으로 달려가서 방어를 준비했으며, 현지 주지사 페드로 수아레스 코로넬도 방어 준비에 참여했다. 오소리오는 해안 방어를 지휘했고, 곤살로 맨데스 데 카우조 제독은 요새 수비를 맡았으며, 페드로 텔로 데 구즈만은 프리깃 5척으로 항구를 방어했다. 또한 스페인군은 잉글랜드군이 항구에 들어오는 걸 저지하기 위해 항구 입구에 선박 2척을 침몰하기로 했다. 스페인 방어군은 1,500명으로 구성되었는데, 그중 800명은 프리깃 5척에 배치되었고, 프리깃에 있는 함포 외에도 육상 대포 70문이 배치되었다.

한편, 잉글랜드 함대에서는 존 호킨스가 11월 12일에 열병에 걸려 사망했고, 드레이크가 단독으로 지휘했다. 그는 11월 22일 푸에르토리코 앞바다에 도착한 뒤 산 후안만으로 항해했다. 잉글랜드 함선 25척이 쳐들어오자, 스페인군은 함포와 육상포를 일제히 발사했다. 잉글랜드군은 화공 작전을 감행해 적선 마그달레나 호를 불태우는 데 성공했지만, 스페인군은 이에 개의치 않고 한 시간 동안 맹렬한 포격을 퍼붓고 화승총을 발사했다. 결국 잉글랜드군 함선 8~10척이 침몰했고, 병사 400명이 죽고 수많은 부상자를 낸 뒤 산 후안 공략을 포기하고 퇴각했다. 스페인군의 손실은 프리깃 1척 파괴와 전사 40명, 소수의 부상자에 그쳤다.

드레이크를 성공적으로 격파한 뒤, 스페인 보물선단은 1595년 12월 20일에 푸에르토리코를 떠나 스페인에 무사히 도착했다. 한편, 드레이크는 아무런 전리품도 확보하지 못하고 막대한 피해만 본 상황에서 잉글랜드로 돌아갔다간 여왕의 분노에 직면할 것을 우려해, 어떻게든 전리품을 얻기 위해 파나마로 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