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2 18:01:51

베를렌가스 제도 해전


1585~1604년 영국-스페인 전쟁의 전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영국-스페인 무역 분쟁
산 후안 데 울루아 해전 드레이크의 1572~1573년 원정 드레이크의 세계일주 상비센테 해전
유럽 해역
드레이크의 비고 상륙 판텔레리아 해전 드레이크의 카디스 습격 스페인 대함대의 1차 잉글랜드 원정 칼레 해전
잉글랜드 대함대의 스페인 원정 1590년 지브롤터 해협 해전 1591년 지브롤터 해협 해전 알메리아만 해전 바르바리 해안 해전
비스케이만 해전 마운트 베이 습격 하워드의 카디스 습격 스페인 대함대의 2차 잉글랜드 원정 스페인 대함대의 3차 잉글랜드 원정
세심브라만 해전 도버 해협 해전 카디스만 해전
카리브해와 남미
산토도밍고 습격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 습격 산아구스틴 습격 캐번디시의 세계일주 왓츠의 서인도 제도와 버지니아 원정
쿠바 서부 봉쇄 뉴포트의 히스파니올라 원정 1차 푸에르토 카바요스 해전 산 마테오만 해전 헤시피 습격
롤리의 엘도라도 원정 프레스턴-소머스 원정 과들루프 해전 1차 산 후안 해전 드레이크의 파나마 원정
피노스 해전 2차 산 후안 해전 타바스코 습격 포르토벨로 습격 2차 푸에르토 카바요스 해전
산티아고데쿠바 습격
대서양
테르세이라 해전 스페인 제국의 아소르스 제도 정복 뉴펀들랜드 원정 산티아구 습격 컴벌랜드 백작의 아소르스 제도 습격
베를렌가스 제도 해전 1차 플로레스 해전 2차 플로레스 해전 파이알 해전 에식스-롤리 원정
저지대 국가
안트베르펜 공방전 아이셀루르드 공방전 1차 그라브 공방전 벤로 공방전 악셀 공방전
주트펜 전투 1차 슬로이스 공방전 베르헌옵줌 공방전 브레다 공방전 주트펜 공방전
데벤테르 공방전 델프제일 공방전 크노첸부르크 전투 1차 헐스트 공방전 나이메헌 공방전
스틴베이크 공방전 1차 쿠보르덴 공방전 게르트루이덴베르크 공방전 2차 쿠보르덴 공방전 그로닝겐 공방전
위이 공방전 1차 그로엔로 공방전 리페 전투 2차 헐스트 공방전 투른하우트 전투
1차 라인베르크 공방전 뫼르 공방전 2차 그로엔로 공방전 브레드부르트 공방전 오르마르숨 공방전
올덴잘 공방전 링겐 공방전 산켄산츠 공방전 잘트봄멜 공방전 산 안드레아스 공방전
니우포르트 전투 2차 라인베르크 공방전 오스텐드 공방전 스헤르토겐보스 공방전 2차 그라브 공방전
후그스트라덴 반란 2차 슬로이스 공방전
프랑스
아르크 전투 이브리 전투 파리 공방전 샤토로드랑 전투 루앙 공방전
카우데벡 공방전 크라옹 전투 블라이 전투 모를레 공방전 크호종 요새 공방전
스페인의 칼레 정복 아미앵 공방전
아일랜드
9년 전쟁 스페인의 아일랜드 원정 킨세일 공방전 케슬헤븐 전투 }}}}}}}}}
베를렌가스 제도 해전
스페인어: Batalla de las islas Berlengas
영어: Battle of the Berlengas
시기
1591년 7월 15일
장소
대서양 베를렌가스 제도
원인
스페인 해안에서 약탈을 자행한 잉글랜드 사략선에 대한 스페인 함대의 역공.
교전 세력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
지휘관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프란시스코 콜로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컴벌랜드 백작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윌리엄 몬슨
병력
갤리선 5척. 전함 5척.
피해
사망자 2명. 선박 1척 나포, 사망 또는 포로 150명 이상.
결과
스페인군의 승리.

1. 개요2. 상세

1. 개요

1585~1604년 영국-스페인 전쟁 시기인 1591년 7월 15일, 대성양의 베를렌가스 제도 앞바다에서 스페인 함대가 본국 해안 지대에서 해적 활동을 벌인 잉글랜드 사략선들을 요격한 전투.

2. 상세

1591년 봄, 제3대 컴벌랜드 백작 조지 클리퍼드는 잉글랜드 왕실 소속 선박인 600톤급 갤리온 '선 가랜드'와 자기 선박 4척(260톤급 샘슨, 골든 노블, 알레 가르타, 소형 피나스 디스커버리)을 이끌고 사략 작전을 벌이기 위해 세인트 빈센트곶으로 향했고, 윌리엄 몬슨이 그의 부제독을 맡았다. 이들은 리스본에서 스페인 해안에서 향신료를 식도 출항해 네덜란드로 향하던 네덜란드 선박 2척을 나포했다. 당시 네덜란드 공화국은 스페인에 대항해 동맹을 맺었지만, 이 선박에는 포르투갈산 화물과 선원들이 있었다.

잉글랜드군은 와인을 실은 배 한 척과 설탕을 실은 배 2척을 더 나포해 잉글랜드로 보냈다. 그중 한 척은 선체가 새어서 선원들을 해안에 내린 후 해체되었다. 나머지 2척은 역풍을 만났고, 식량이 부족해 라코루냐 항구에 정박해야 했고, 즉시 스페인군에 나포되었다. 한편, 컴벌랜드 백작의 사략 함대는 포르투갈 도시 페니슈 해안에서 떨어진 작은 군도인 베를렌가스 제도로 항해했다. 그는 그곳에서 윌리엄 몬슨에게 골든 노블 호의 피터 베일리 선장과 함께 네덜란드 선박에서 훔친 화물을 잉글랜드로 가져가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러나 1591년 7월 15일, 잉글랜드로 귀환하던 윌리엄 몬슨의 함선들은 포르투갈 총독인 오스트리아의 알베르트[1]의 지시에 따라 사략선을 토벌하는 임무를 맡은 프란시스코 콜로마가 파견한 스페인 갤리선 5척의 급습을 받았다. 이후의 치열한 교전 끝에, 스페인 갤리선들은 골든 노블 호를 나포하고 적병 150명 이상을 사살하거나 생포했으며, 네덜란드 함선에 실렸다가 잉글랜드군에 넘겨진 화물을 회수했다. 스페인군의 전사자는 단 2명에 불과했다고 전해진다. 한편, 컴벌랜드 백작은 멀리서 포격전이 벌어진 소리를 들었지만, 역풍 때문에 윌리엄 몬슨을 돕지 못했다.

전투가 끝난 뒤, 컴벌랜드 백작은 알베르트에게 서신을 보내 스페인에 대한 심각한 보복을 원하지 않는다면 잉글랜드 포로들을 인도적으로 대해달라고 요청했다. 이후 많은 잉글랜드 선원과 군인들은 새 옷을 받고 풀려났지만, 윌리엄 몬슨은 프랑스의 키스카이스와 리스본에서 다른 장교 6명과 함께 키스카이스와 리스본에서 2년간 갤리선 노예로 살아야 했다.

베를렌가스 제도 해전 2주 후, 스페인의 연례 보물 수송선을 나포하기 위해 아소르스 제도로 파견된 서퍽 백작 토머스 하워드 경이 아소르스 제도로 원정했지만 1차 플로레스 전투에서 스페인군에 패배했다.
[1] 1598년부터 1621년까지 오스트리아 대공이자 네덜란드 군주 직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