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00:05:20

이슬람력

히즈리력에서 넘어옴

기년법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colcolor=#FFF> 종교기년 <tablebgcolor=#FFF,#1F2023>불멸기원 | 서력기원 | 에티오피아력 | 우주력 | 공기 | 원기 | 포덕 | 도기 | 콥트력 | 이슬람력 | 페르시아력 | 히브리력
건국기년 파일:조선 어기.svg 개국기년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단군기원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연호 | 파일:대만 국기.svg 민국기년 | 파일:일본 국기.svg 황기 | 파일:청나라 국기.svg 황제기원
즉위기년 연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연호)
탄생기년 파일:북한 국기.svg 주체년호 † |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키루스 기원
태세기년법 육십갑자
기타 인류력
†: 폐지된 기년법 }}}}}}}}}

📅 역법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fff,#000> 태양력 국제고정력 · 그레고리력 · 다리우스력 · 루미력 · 마야력 · 베르베르력 · 벵골력 · 사카력 · 세계력 · 소비에트력 · 에티오피아력 · 율리우스력 · 이집트력 · 인류력 · 전례력 · 자바력 · 콥트력 · 페르시아력 · 프랑스 공화력
태음태양력 견행력 · 대연력 · 대통력 · 대한융희사년력 · 둔갑력 · 만세력 · 명시력 · 무인력 · 바빌로니아력 · 백중력 · 사분력 · 선명력 · 수시력 · 숭정력 · 시헌력 · 십정력 · 아시리아력 · 오기력 · 움마력 · 원가력 · 은력 · 인덕력 · 천세력 · 칠요력 · 칠정산 · 태일력 · 태초력 · 회회력 · 히브리력
태음력 이슬람력
관련 개념: 공전 · 메톤 주기 · 아벨 범주 }}}}}}}}}


1. 개요2. 계산3. 지역별 사용4. 이슬람력의 월 이름5. 헤지라 태양력(페르시아력)

1. 개요

이슬람력(영어: Islamic Calender) 또는 헤지라력(아랍어: التقويم الهجري, 영어: Hijri Calender)은 1년을 12개월 354일 또는 355일으로 구성한 이슬람권의 태음력이다. 원년은 무함마드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한 율리우스력 622년 9월 24일(혹은 7월 2일), 즉 헤지라를 기준으로 삼는다.

로마자 약어로는 H 혹은 라틴어로 '헤지라의 해로부터'란 뜻인 Anno Hijrae의 약자 A. H.로 표기한다.

2. 계산

태양의 운동을 전혀 반영하지 않는 순수한 태음력이다. 1년을 354.3일로 간주하므로 그레고리력에 비해서 해가 좀 더 빨리 지나간다. 그레고리력으로 100년이 지날 때 이슬람력으로는 약 103년 지난다. 그래서 달력이 바뀌지 않는 한 정확히 2만 874년이 지나면 이슬람력의 연도가 서기-그레고리력을 앞서게 된다. 어지간한 문명의 태음력에서는 윤달을 집어넣어 태양년과 차이가 너무 크게 벌어지지 않도록 막지만, 이슬람력에는 윤달이 없다. 그뿐만 아니라 태양이 아니라 달의 공전주기를 맞추기 위해서 30년 중 11번 윤년을 두어 하루씩 추가할 뿐이다. 헤지라 연도의 숫자를 30으로 나누어 나머지가 2, 5, 7, 10, 13, 15, 18, 20, 24, 26, 29가 되는 해를 윤년으로 삼는다.

영어 위키백과에는 이슬람력의 한 해가 정확히 서기로 한 해에 들어가는, 즉 서기 1월 초에 시작해서 12월 말에 끝나는 해를 적어 놓았다. # 주소

예를 들면, 서력 2008년 안에 이슬람력 1429년이 들어간다.

다시 이슬람력이 서기 속에 들어가는 서기 2041년(이슬람 1463년)까지는 이슬람력과 서기의 연도 차이는 579년이다. 1976년~2008년 동안은 580년 차이났을 것이다.

다르게 말하면 이슬람력에서는 달로 계절을 알 수 없다. 또 라마단(이슬람력 9월) 기간도 쉽게 예측할 수 없어서 나라마다 하루 이틀 정도는 차이가 날 수 있다. 물론 현대에는 많이 보정되었지만. 여하간 좀 압박이 심하지만 아직 안 바꾸고 있다고 한다.[1] 무엇보다 이슬람력 같은 태음력으로는 농사를 지을 수 없다. 실상 시헌력을 사용했던 우리네 옛날에도 농사는 24절기에 맞추서 진행했다. 그래서 보조적으로 그레고리력 말고도 지역에 따라 베르베르력, 자바력 같은 태양력을 보조해 사용하기도 했다.

월의 경우는 일일이 찾는 수밖에 없는데 이를 검색하기가 쉽지 않다. 힌트를 좀 얻을 수 있는 기간은 앞서 말하듯이 9월이다. 뉴스에 라마단 기간 시작은 알려주기 때문이다.

달, 일까지 소수점의 년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math(\mathscr G)]는 그레고리력, [math(\frak H)]는 이슬람력이다.
[math(\begin{aligned}
{\frak H} &= \dfrac{({\mathscr G} − 621.57)}{0.970\,23} \\\\
{\mathscr G} &= 0.970\,23{\frak H} + 621.57
\end{aligned})]
이슬람력을 다른 기년법으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다른 기년법을 이슬람력으로 변환하려면 덧셈, 뺄셈뿐만 아니라 곱셈나눗셈까지 해야 한다.

3. 지역별 사용

물론 현대의 이슬람 국가들은 당연히 그레고리력을 병용한다. 그 사우디아라비아조차도 2016년 10월 1일부로 늦게나마 그레고리력을 도입해 사용 중이다. 영문 기사

그런데 이슬람력이 이슬람권 전체에서 똑같이 통용되면 또 모르겠는데 같은 이슬람 사이에서도 차이가 난다. 이슬람계의 보수성 때문에 일어나는 문제인데, 천체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현대에 이르러서도 매달의 시작을 각국의 권위 있는 이맘들이 눈으로 초승달이 떠오르는 것을 보고 선포한다.[2] 만약 A국에서는 a일에 초승달이 떠오름을 눈으로 확인하고 새 달이 시작됐음을 선언했다 하더라도, 인접한 B국에서는 구름이 끼어 초승달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그 달이 연장될 수도 있다.

이런 체계의 문제점은 같은 이슬람권에서도 나라에 따라 날짜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이슬람력으로 모월 모일이 그레고리력으로 며칠일지 말하기가 어렵게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모년 모국의 이슬람 축제일이 그레고리력으로는 언제인지 확언하기 어렵고, 그 날짜가 가까워져야만 정확히 수 있다면 그 불편은 상당하다. 이슬람 내부에서도 이젠 그냥 천문계산으로 이슬람력을 계산하자는 주장이 있으나 아직도 옛 관습이 많이 유지된다. 단 이슬람권 중에서 세속적인 성향이 강한 튀르키예와 튀르키예의 영향을 받은 국가들에서는 천문관측으로 날짜를 산출한다. 오스만 제국 시절부터 존재했던 칸딜리 천문대의 주된 업무가 이 일이었으며, 이 덕분에 튀르키예에서 나오는 이슬람력 달력은 꽤 먼 미래까지도 산출이 가능하다.

4. 이슬람력의 월 이름

날짜 아랍어 이름 의미
튀르키예어 이름
비고
1월 اَلْمُحَرَّم (알무하람) 금지의 달
Muharrem
이슬람 이전부터 아랍인들은 전통적으로 이 달에는 전쟁을 금지했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시아파에서 가장 크게 기리는 '아슈라'가 이 달에 있다. 이 날 시아파 성지 각지에서 사람들이 운집하여 3대 이맘 후세인을 추모한다.
2월 صَفَر‎ (사파르) 비움의 달
Safer
이 달은 약탈을 위해 전사들이 원정을 떠났기 때문에 각 집들이 비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3월 رَبِيعُ الْأَوَّل‎‎ (라비울라왈) 첫 번째 봄
Rebiülevvel
4월 رَبِيعُ الثَّانِي‎ (라비웃사니)
رَبِيعُ الْآخِر‎ (라비울라키르)
두 번째 봄
마지막 봄
Rebiülahir
5월 جُمَادَى الْأُولَى (주마달울라) 첫 번째 메마른 땅의 달
Cemaziyelevvel
6월 جُمَادَىٰ الثَّانِيَة‎ (주마닷사니야)
جُمَادَى الْآخِرَة‎ (주마달아키라)
마지막 메마른 땅의 달
Cemaziyelahir
7월 رَجَب‎‎ (라잡) 명예의 달
Recep
이 달은 성스러운 달로 어떠한 전쟁과 싸움도 금지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8월 شَعْبَان‎ (샤반) 흩어짐의 달
Şaban
이 달에는 무더위로 인해 각 부족민들이 흩어져 물을 찾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9월 رَمَضَان‎ (라마단) 무더움의 달
Ramazan
이슬람에서 가장 성스러운 달인 라마단이 이 시기에 있으며, 이 한 달 동안 무슬림들은 무더운 낮동안 물과 음식을 입에 대지 않고 견딘다.
10월 شَوَّال‎ (샤왈) 탄생의 달
Şevval
이 시기에 암낙타가 새끼를 낳기 때문에 붙은 이름.
11월 ذُو الْقَعْدَة (둘카다) 정전의 달
Zilkade
또 다른 정전의 달로 이 시기에도 어떠한 싸움도 금지된다.
12월 ذُو الْحِجَّة (둘힛자) 순례의 달
Zilhicce
이슬람 이전부터 아랍인들은 이 시기에 메카로 순례를 떠났으며, 마찬가지로 전쟁과 싸움을 할 수 없는 달이다. 물론 오늘날에도 무슬림들은 이 시기에 메카로 순례를 떠난다.

그레고리력의 1~12월을 가리키는 아랍어 이름은 따로 있다. 그레고리력 달 이름의 경우 나라마다 통용되는 아랍어 명칭이 다르다. 가령 이라크레반트에서는 아시리아력[3]의 달 이름에서 유래한 명칭을 쓰고, 알제리튀니지에서는 프랑스어 이름를 음차한 명칭을 쓴다. 모로코에서는 베르베르인의 전통 태양력인 베르베르력의 달 이름에서 유래한 명칭을 쓰고, 그 외 국가에서는 대체로 라틴어 이름을 음차한 명칭을 쓰는 편이다. 자세한 내용은 영문 위키백과의 관련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헤지라 태양력(페르시아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페르시아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란아프가니스탄에서 쓰는 이란(페르시아)력도 헤지라를 기점으로 하기는 같지만, 태음력인 이슬람력과는 달리 태양력이다. 1925년에 그레고리오력과 호환되게 역법을 개정해서 매 해는 3월 21일(또는 22일), 즉 춘분에 시작한다.[4] 이란력은 태양력이므로 이슬람력과 달리 계절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과거 오스만 제국에서 통용되던 달력도 순수 이슬람력도 쓰였지만, 일상생활에서는 루미력(Rumi takvim - 로마인의 역법)이라고 해서 율리우스력에 연도만 헤지라를 기점으로 삼는 달력이 쓰였었다. 이 달력은 탄지마트(1840년)이후 사용되기 시작해서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표준역법을 그레고리력으로 정한 1926년까지 쓰였으며, 이 달력의 월 이름에도 현대 터키어의 월 이름 상당수가 유래했다.
[1] 이슬람에 있는 기념일들이 죄다 이슬람력을 기준으로 했고 1000년 넘게 써오고 있기 때문에 안 바꾸는 게 더 낫다.[2] 반면에 중국에서는 이미 한나라 때 달의 삭망주기를 아주 정밀하게 측정했고 이에 근거해 정밀한 태음력을 만들어 사용했다.[3] 아시리아인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태양력으로, 바빌로니아 역법의 영향을 받았다. 아시리아력의 달 이름은 오스만 제국 시기 통용된 루미력의 달 이름에도 영향을 주었다.[4] 태양력을 사용한다면 한 해의 시작일로 춘분이 이상적이라고들 보는 사람이 많다. 현대 천문학에서도 1 태양년의 시작일을 춘분으로 본다. 이란력은 이 점에서 1년의 시작일이 매우 합리적이다. 페르시아 문화권에서 이 날은 노루즈(Nowruz)라고 해서 설날과 위상이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