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22:50:09

한성과학고등학교

한성과학고에서 넘어옴

파일:한성과학고 교표.png
한성과학고등학교
Hansung Science High School
생활 시설 연간 일정 출신 인물
파일:HSSH-overview.png
학교 전경
한성과학고등학교
漢城科學高等學校
Hansung Science High School
파일:한성과학고 교표.png
<colbgcolor=#0c0e7f><colcolor=#ffffff> 개교 1992년
유형 과학고등학교
성별 남녀공학
형태 공립
교장 이수형
교훈
학생 수 382명 (2024.12.21.)
교직원 수 69명 (2024.12.21.)
관할 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279-79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
2.1. 교육 목표2.2. 교가
3. 대중교통 4. 교내 시설5. 학교 문화
5.1. 먼지5.2. 졸방대5.3. 학선-학후5.4. 활동
5.4.1. 멘토멘티 활동
6. 연간 행사7. 학교 생활
7.1. 전공 탐색 프로그램7.2. 스포츠클럽
8. 출신 인물9. 기타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科學 英材 敎育의 搖籃
과학 영재 교육의 요람
- 본관 중앙현관 입구에 양각된 학교 설립 이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279-79(현저동 산5-2)에 위치한 과학고등학교이다. 지금은 폐교된 서대문중학교의 부지 및 건물을 토대로 1992년 개교하였다.

교훈은 창조(創造). 학교의 목표는 국가와 인류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창의적 과학 인재의 양성이다. 교훈의 경우 교훈이 적힌 족자를 교실이나 복도 등 교내 어디에서든 심심찮게 마주할 수 있다.

2. 상징

2.1. 교육 목표

비전과학 영재 교육의 요람
교육 목표국가와 인류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창의적 과학 인재의 양성
학교 교육 방향1. 탐구 능력과 창의성 신장
1.1. 기본에 충실한 탐구 능력 배양
1.2. 융합적 사고를 통한 칭의성 신장

2. 인성과 리더십 함양
2.1. 민주시민 의식을 바탕으로 한 인성 함양
2.2. 협력하고 공감하는 리더십 함양
학교장 경영관깨끗하고 따뜻한 창조인 육성
1. 자율적이고 열려있는 학교 경영
2. 투명하고 열려 있는 학교 경영
학교장 역점사항1. 미래 사회를 견인할 능력 배양
1.1. 문제 해결에 앞서서 문제를 발견하는 능력 배양
1.2. 소통하고 협업하는 능력 배양
2. 전인교육을 통한 체험활동 활성화
3. 유연한 생각과 실천을 통한 학교공동체의 인화 재고
4. 미래지향적 교육환경 조성

2.2. 교가

학생들이 입학하기 전에 예비 소집할 때 가장 먼저 가르치는 사항. 예비소집일에 교가 1절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부르며, 2절은 단 한 번도 부르지 않는다.
파일:Screenshot 2022-01-04 002204.png

3. 대중교통

정류소 구분 노선
독립문역.한성과학고(중)
(13034)
<colcolor=#ffffff> 마을
지선
시내
간선
심야
직행좌석
공항
독립문역.한성과학고(중)
(13035)
마을
지선
시내
간선
심야
직행좌석
공항
독립문역.서대문형무소역사관 (01167) 마을
지선
독립문역3번출구 (01554) 마을
독립문역.서대문형무소역사관 (13250) 지선
독립문역 (326) 지하철

학교 바로 앞에 7737 정류장이 있어, 학생들이 매우 애용하고 있다. 학교가 산 중턱에 위치하여 캐리어를 가지고 온다면 독립문역부터 올라과도 힘이 꽤 드는데, 그 때 해당 버스를 이용하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신촌으로 갈 때 자주 사용한다. 월요일 아침에는 7737에서 한성과고 학생들과 교사들이 정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1]


또한 통일로 쪽 정류장 바로 앞에 독립문역이 존재해, 5번 출구를 이용한다면 빠르게 한성과학고등학교로 갈 수 있다. 독립문역에서 금요일 저녁에 캐리어를 끌고, 매우 피곤한 표정으로 온갖 잡동사니를 들고가는 사람이 있다면 100% 한성과학고 학생이다. 월요일 아침에는 학교 앞의 경사길을 뚫고 캐리어를 끌고 올라가기는 쉽지 않아서인지, 통일로 앞까지 대중교통을 탄 후에도 대부분 7737을 타거나 부모님과 함께 차를 타고 온다. 그때문에 월요일 아침에는 다른 때에 비해 한성과학고로 들어가는 왕복 사차선 도로가 마비되곤 한다.[2]

눈이 쌓이면 학교로 올라가는 경사로가 마비된다. 직접 걸어가기도 쉽지 않을뿐더러, 버스나 자동차를 타고 오는 것은 더욱 위험하다. 그래도 서울시에서 눈이 얼어 블랙아이스가 생기면 위험해질 걸 알아서인지, 눈이 완전히 쌓이기도 전에 제설이 진행되어 눈이 쌓인 도로를 보기에는 쉽지 않다.[3]

4. 교내 시설

자세한 내용은 한성과학고등학교/시설을 참조하십시오.

5. 학교 문화

5.1. 먼지

먼지는 한성과학고 내에서 사용되는 은어이다. 한성과학고에서 커플인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이며 사귀는 대상이 학교 안인지 밖인지에 따라 내부먼지와 외부먼지로 구분한다. 주로 간식시간에 산책길 혹은 교내 외진 곳에서 발견된다. 외진 곳이라고는 하지만 실상 자습 쉬는 시간에 자습실 밖으로 나가면 눈에 꽤 많은 쌍의 먼지를 볼 수 있다. 한성과고의 특성상 여학생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많지는 않다. 학교가 좁아서 소문도 금방 퍼지는데, 2주 정도면 선배와 후배들까지도 다 알게 된다.

먼지가 헤어질 때에도 후폭풍이 상당하다. 먼지인 학생, 특히 남자 학생은 주변 친구들로부터 아예 별명이 생길 정도로 누구와 먼지였는지에 대한 말이 퍼진다. 학교가 좁고, 기숙사라는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 소문이 하루도 안 돼서 한 학년, 일주일도 안 돼서 학교 전체로 퍼진다.

5.2. 졸방대

졸음방지대의 준말이다. 통상적인 책상보다 높게 위치하여 있어, 수업시간에 졸지 않고 서서 수업을 들을 수 있게 해준다. 인원은 세 명 이하가 적당하다. 졸방대가 부족할 경우에는 창가나 사물함 위에 책을 놓고 수업을 듣기도 한다. 다만 몇몇 아이들은 졸방대 안의 교사가 안 보이는 곳으로 들어가서 게임을 하거나 부족한 수면량을 보충하기도 한다.[4]

학기 초에는 모든 반에 대략 5개에서 6개 사이의 수가 있지만, 그 수도 부족하다 느끼는 학생들이 많기에[5] 반별로 졸방대를 뺏고 뺏기는 일종의 경쟁이 벌어지고는 한다.[6] 그렇게 졸방대수가 부족해진 반들은 시험기간에는 반에 있는 졸방대를 모두 복도로 꺼내야 한다는 것을 이용해 빼앗긴 졸방대를 되찾아오고는 한다. 이러한 숫자의 불균형을 문제라고 인식했는지, 졸방대에 협박성 문구를 적어놓거나 저주를 내리려는 듯 부적을 붙이는 사례도 있다. 선생님들까지 합심해 부적을 붙여놓는 반도 있다고. 게다가 재미없는 선생님이 수업 중이거나 4교시같이 졸린 시간에는 졸방대 하나에 두 명 이상의 학생이 붙어 앉아서 수업을 듣는 사람보다 서서 수업을 듣는 사람이 더 많은 진풍경이 펼쳐지기도 한다.

5.3. 학선-학후

학생 수가 적고 학급의 구성 역시 대부분의 경우 첫 5-6개 학번이 여성, 나머지 학번이 남성인 구조를 띠고 있으므로 선후배간 관계 개선 및 유대감 형성을 위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이다. 학선은 이른바 학번 선배, 학후는 학번 후배로서 학선-학후 문화는 동일한 학번을 가졌던 선-후배간 교류를 이른다. 학기 초에는 많은 선배를 알지 못하거나, 종종 아무 선배도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학선에게 다양한 학교 생활의 팁이나 교실 위치 등을 물어보면 편하다. 사실 1달 쯤 지나면 아는 선후배1 정도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끔씩 남자-여자 학선-학후가 맺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5번이나 6번이라 단정지어도 된다.

5.4. 활동

5.4.1. 멘토멘티 활동

한성과학고등학교 학생회 과학부에서 줄곧 주관해오는 활동. 필기 시험을 시행하지 않는 체육, 음악과 그때그때 배우는 내용이 상이한 국어를 제외하고 1학년이 수강하는 전과목(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사회(2022년 2학기 개설), 영어(2022년 2학기 개설))에 대해 선배가 멘토, 후배가 멘티가 되어 지도받는 활동이다. 학기 초 학교에 잘 적응하고 싶은 1학년들의 학교 적응과 선배들과의 교류 활동 추진으로 진행되는 활동이다. 1학년은 이를 통해 학교생활에 대한 조언을 구하거나 윗 기수와의 관계를 맺기 수월하며 학문에서의 궁금증 해소나 성적 상승 등의 결과 역시 꾀할 수 있다. 굳이 학습적인 이야기로만 30분 내내 채울 필요 없이, 학교 생활에 관한 이야기나 선배들의 썰을 듣는 것도 나름 재미있다.

6. 연간 행사

자세한 내용은 한성과학고등학교/일정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7. 학교 생활

자세한 내용은 한성과학고등학교/생활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7.1. 전공 탐색 프로그램

과거에는 스터디클럽으로 불렸으나 2022년에 '전공 탐색 프로그램'(전탐프)로 명칭이 바뀌었다.

학교에서 지정한 주 수요일 방과후에 모인다. 학기 초에 최소 8명의 인원을 모아 내신, 심화, 교양 등의 분야 중 하나[7]를 정해 한 학기당 총 5~7회의 모임을 가진다. 불참한 횟수가 1번 이하인 학생에 한해 활동 클럽명과 대략의 활동 내용이 생활기록부에 기록된다. 프로그램 개설 주제는 자유이지만 특정 시험 응시 또는 자격증 취득 등의 목적을 갖는 프로그램은 원칙적으로 개설이 허가되지 않는다.

필수 참여는 아니지만 전교생이 하는 분위기라 대부분의 학생들은 전탐프를 한다.

7.2. 스포츠클럽

상기된 전탐프(구 스터디클럽)과 그 짝을 이루는 활동으로, 자신이 희망하며 교내에서 진행 가능한 스포츠 종목에 한해 그 스포츠를 취미로서 즐길 수 있게 해 주는 시스템이다. 전탐프와의 차이점이라면 스포츠클럽의 경우 서울시교육청 소속 모든 중등교육기관이 진행하는 활동이며 이에 따라 각 학교 간 교류나 대회 또한 빈번하다는 것이다. 한성과학고 스포츠클럽의 경우 그 개설과 참여가 자율적이다 보니 스포츠클럽은 전문적인 활동이라기보다는 취미에 가깝다. 활동 일자나 규칙, 대회 여부는 각 스포츠별로 다르며, 개설 신청 최소 인원은 8명이다. 간혹 개설 희망 인원이 너무 많다면 자율동아리로 개설되기도 한다.

2022년 현재 한성과학고등학교 스포츠클럽으로는 웨이트 트레이닝, 배드민턴, 농구, 축구, 플로어볼(남자부/여자부)가 개설되어 있으며, 모두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8. 출신 인물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9. 기타

  • 모든 건물들이 비가 들이치지않는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8]비올 때는 어떻게든 비를 한 방울도 맞지 않고 움직일 수 있다.(비가 오지 않을 때는 인왕관창조관 통로는 출입금지이다)
  • 교육계획서에 따르면 2017년 영재학교 전환을 준비하고 있었으나 2017년에는 영재학교 전환이 되지 않았다.
  • 2019학년도 입학생인 28기가 치른 입학전형에서 사회통합대상자의 정원은 28명인 반면 지원자는 25명이었다. 이에 28기 합격자 수는 일반 112명, 사회통합 24명[9], 정원 외 3명으로 총 139명, 140명도 되지 않는다.
  • 이 문서 맨 위의 화려한 한성과학고 전경 사진의 출처는 2018학년도 학교교육계획서이다. 참고로 2005년에 찍힌 사진이라 서현관이 없다.

10.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과학고등학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파일:한성과학고 교표.png 한성과학고등학교 파일:세종과학고등학교 로고.png 세종과학고등학교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파일:Y7bgD6N.png 부산과학고등학교 파일:일과고 로고.jpg 부산일과학고등학교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파일:일과고 로고.png 대구일과학고등학교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파일:인천과학고등학교 로고.png 인천과학고등학교 파일:인천진산과고.png 인천진산과학고등학교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파일:동곽로고.png 대전동신과학고등학교 파일:울산과고로고.png 울산과학고등학교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파일:O5MXaMk.png 경기북과학고등학교 파일:external/k100400011.school2.gweduone.net/F012837338901181.gif 강원과학고등학교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파일:NEW CBSH LOGO.png 충북과학고등학교 파일:충남과고(4).jpg 충남과학고등학교 파일:[고화질] 전북과학고등학교 교표.png 전북과학고등학교 파일:전남과학고등학교(교표).jpg 전남과학고등학교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파일:경북과고 로고.png 경북과학고등학교 파일:cBiO1E7.png 경산과학고등학교 파일:경남과학고.png 경남과학고등학교 파일:LOGO_COLOR2.jpg 창원과학고등학교 파일:제주과학고등학교 교표.svg 제주과학고등학교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과학고등학교
구로구 세종과학고등학교 서대문구 한성과학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서대문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가재울고등학교 명지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고등학교
인창고등학교 중앙여자고등학교 한성고등학교 한성과학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1] 7737을 탄다면 자동차와 택시로 가득 찬 통일로를 버스전용차로라는 치트키로 파훼해서 좌회전 신호를 바로 받을 수 있다. 이 때는 기분이 은근 시원해진다.[2] 평상시는 좌회전 수요가 적기 때문에 신호 길이가 아주 짧으나 월요일 아침에는 이것 때문에 차가 밀린다.[3] 결정적으로, 해당 도로에 눈이 쌓이면 선생님이 올라오지 못하신다.[4] 2018년 전에는 교탁과 비슷한 디자인이라서 쉽게 숨어서 딴짓을 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기존의 책상에다 다리를 늘린 형태이기 때문에 딴짓이 원천 차단된다.[5] 졸린 것 보다도 딴짓을 위해 졸방대를 쓰거나, 아예 거기에 짐을 전부 놔두고 제 2의 책상처럼 쓰는 사례가 꽤 많다.[6] 이 결과 일부 졸방대가 쌓여있는 반들은 반 뒤쪽 사물함이 졸방대로 인해 완전히 막히는 모습을 연출하고는 한다.[7] 미적분학 심화, 생명과학 실험 설계 등[8] 여담으로 2024년, 이 통로들의 보수 및 신설 공사로 본관 건물 바로 앞 부분과 본관에서 체육관으로 가는 길에 비를 막아주는 부분이 만들어졌다.[9] 1명은 도중에 전형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원칙적으로 사회통합대상자의 경우는 정원이 미달이면 일반전형에서 충원할 수 없고, 전부 뽑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