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7 14:54:35

EFL 챔피언십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현재 진행 중인 시즌}}}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2025-26 EFL 챔피언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2025-26 EFL 챔피언십#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2025-26 EFL 챔피언십#|]]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현재 진행 중인 시즌: }}}{{{#!if 같은문서1 == null
[[2025-26 EFL 챔피언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2025-26 EFL 챔피언십#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2025-26 EFL 챔피언십#|]]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파일:스카이 벳 EFL 챔피언십 로고 가로형.svg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축구협회(잉글랜드) 로고.svg
잉글랜드의 프로 축구 대회
{{{#!wiki style="margin:0 -10px -5px"
{{{#1a274f,#b0bd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svg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svg 파일:FA컵(잉글랜드)로고.svg 파일:FA 커뮤니티 실드 로고.png 파일:카라바오 컵 로고 가로형.svg
FA컵 FA 커뮤니티 실드
파일:스카이 벳 EFL 플레이오프 로고 가로형.svg 파일:스카이 벳 EFL 챔피언십 로고 가로형.svg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원 로고(가로형).svg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투 로고 가로형.svg
EFL 플레이오프
EFL 챔피언십 EFL 리그 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a274f,#ddd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colbgcolor=#1a274f><colcolor=#fff><rowcolor=#fff> 구분 대회 리그 단계
남자 <colbgcolor=#1a274f><colcolor=#fff> 프로 파일:프리미어 리그 패치.svg 프리미어 리그 1부 리그
파일:스카이 벳 EFL 로고.svg 잉글리시 풋볼 리그 파일:스카이 벳 EFL 챔피언십 로고.svg EFL 챔피언십 2부 리그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원 로고.svg EFL 리그 원 3부 리그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투 로고.svg EFL 리그 투 4부 리그
세미프로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5부 리그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노스 로고.svg 내셔널 리그 노스 6부 리그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사우스 로고.svg 내셔널 리그 사우스
파일:노던 프리미어 리그 로고.svg 노던 프리미어 리그 파일:노던 프리미어 리그 로고.svg 프리미어 디비전 7부 리그
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svg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 화이트.svg 서던 풋볼 리그 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svg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 화이트.svg 프리미어 디비전 센트럴
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svg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 화이트.svg 프리미어 디비전 사우스
파일:이스미언 풋볼 리그 심볼.svg 이스미언 리그 파일:이스미언 풋볼 리그 심볼.svg 프리미어 디비전
U-21 파일:프리미어 리그 패치.svg 프리미어 리그 2 21세 이하
U-18 파일:프리미어 리그 패치.svg U18 프리미어 리그 18세 이하
여자 프로 파일:바클리스 FA 위민스 슈퍼 리그 로고(2022).svg FA 여자 슈퍼 리그 1부 리그
파일:바클리스 FA 위민스 챔피언십 로고(2022).svg FA 여자 챔피언십 2부 리그
세미프로 파일:FA 여자 내셔널 리그 심볼.svg FA 여자 내셔널 리그 3부 리그
}}}}}}}}}}}} ||
파일:스카이 벳 EFL 챔피언십 로고 가로형2.svg
2025-26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555555,#aaaaaa
파일:노리치 시티 FC 로고.svg
파일:더비 카운티 로고.svg파일:더비 카운티 로고(화이트).svg
파일:레스터 시티 FC 로고.svg
파일:렉섬 AFC 로고.svg
파일:미들즈브러 FC 로고.svg
파일:밀월 FC 로고.svg
파일:버밍엄 시티 FC 로고.svg
파일:브리스톨 시티 FC 로고.svg
파일:블랙번 로버스 FC 로고.svg
파일:사우스햄튼 FC 로고.svg
파일:셰필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셰필드 웬즈데이 FC 로고.svg
파일:스완지 시티 AFC 로고.svg
파일:스토크 시티 FC 로고.svg
파일:옥스포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왓포드 FC 로고.svg
파일: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로고.svg
파일:입스위치 타운 FC 로고.svg
파일:찰턴 애슬레틱 FC 로고.svg
파일:코번트리 시티 FC 로고.svg
파일: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로고.svg
파일:포츠머스 FC 로고.svg
파일: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002055; font-size: 0.8em"
파일:헐 시티 AFC 로고.svg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svg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원 로고(가로형).svg
}}}}}}}}}}}}}}} ||
<colbgcolor=#b69b42><colcolor=#ffffff> EFL Championship
EFL 챔피언십
파일:EFL 챔피언십 로고.svg
명칭 English Football League Championship
운영 기관 잉글리시 풋볼 리그
창설 연도 1892년 (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
1992년 (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
2004년 (풋볼 리그 챔피언십)
2016년 (EFL 챔피언십)
참가 구단 수 24개 구단
상위 리그 프리미어 리그
하위 리그 EFL 리그 원
최근 우승 구단 리즈 유나이티드 FC (2024-25)
최다 우승 구단 레스터 시티 FC (8회)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대한민국 중계 쿠팡플레이
2025-26 EFL 챔피언십 공식 인트로

1. 개요2. 역사3. 특징4. 우승 트로피5. 국내에서 시청하는 방법6. 챔피언스 리그?7. EFL 챔피언십과 대한민국8. 여담9. 참가 구단 및 역대 시즌
9.1. 2016-17 시즌9.2. 2017-18 시즌9.3. 2018-19 시즌9.4. 2019-20 시즌9.5. 2020-21 시즌 참가 팀9.6. 2021-22 시즌 참가 팀9.7. 2022-23 시즌 참가 팀9.8. 2023-24 시즌 참가 팀9.9. 2024-25 시즌 참가 팀9.10. 2025-26 시즌 참가 팀
10. 시즌 승강 구단11. 시즌 결산
11.1. 풋볼 리그 챔피언십11.2. EFL 챔피언십
12. 구단별 우승 횟수13. 역대 득점왕14. 올해의 선수15. 관련 문서16. 둘러보기

1. 개요

잉글랜드의 차상위 프로 축구 리그, 즉 2부 리그로 정식 명칭은 EFL 챔피언십. 상위 리그인 프리미어 리그보다도 역사가 100년은 더 긴, 세계 최초의 프로 축구 리그이다.

스폰서가 '스카이 벳'이라는 스포츠 배팅 회사라 현재의 명칭은 스카이 벳 EFL 챔피언십이다. 2004~2010년까지는 코카콜라가, 2010~2013년까지는 전력 회사 엔파워가 스폰서라 각각 코카콜라 챔피언십, 엔파워 챔피언십이었으나 2013-2014 시즌부터 스폰서가 現 스폰서인 스카이 벳으로 바뀌었다.

2. 역사

EFL(잉글리시 풋볼 리그)는 과거 잉글랜드 축구의 최상위 4개 리그의 92개 클럽이 참가한 대회이자, 세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축구 리그다. 왜 2부인데 챔피언십인지 의문을 가질 수 있지만, 1992년 최상위 리그의 22개 팀[1]이 독립 법인 프리미어십을 창설하며 독립[2]하였기 때문에 현재 풋볼 리그는 잉글랜드 축구의 2~4부 리그에 소속된 72개 클럽만의 리그를 일컫는다. 즉 '풋볼 리그'만으로 놓고보면 최상위 리그이기 때문에 알고 보면 '챔피언십'이란 이름의 선정은 문제가 없다.

현행의 챔피언십 역시 프리미어 리그 창설 이전, 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이 잉글랜드 1부 리그이자 풋볼 리그 최상위 리그로 있던 1992년 이전까지는 '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으로 불렸고, 이후 기존 퍼스트 디비전이 폐지되자 2004년까지는 풋볼 리그의 최상위 리그가 되어 대신 '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으로 불리다 2004년에 '풋볼 리그 챔피언십'으로 재탄생했다. 2016-17 시즌부터 잉글리시 풋볼 리그(EFL)로 변경했다. 참고로 EFL 그 자체의 하부 리그는 프로/준프로 혼합 리그이자 5~6부 리그인 '내셔널 리그'[3]이다.

최다 우승팀은 8회 우승의 레스터 시티 FC이다. 챔피언십으로의 개편 이후에는 선덜랜드 AFC레딩 FC,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레스터 시티 FC가 각각 2회 우승을 차지했다. 최다 승점 기록은 2005년 레딩이 우승하며 기록한 106점이다.

3. 특징

최상위 리그인 프리미어 리그의 하부 리그라 승강제가 곧 본 리그의 구성과도 연결된다. 총 24개 클럽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총 46경기씩을 치르며, 프리미어 리그에서 전 시즌 18위~20위에 해당하여 강등되는 팀들은 다음 시즌에 이 리그에 속하게 되며 같은 시즌에 챔피언십에서 1, 2위를 기록한 팀과 3~6위가 벌이는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팀까지 총 3팀이 다음 시즌에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하게 된다.[4] 이 플레이오프의 결승전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이상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열리는데, 천문학적인 돈이 오가는 프리미어 리그의 마지막 티켓이 걸린 만큼 세계에서 가장 비싼 한 판 승부로 묘사되기도 한다. 일례로 2016-17 시즌 플레이오프 우승팀으로 사상 최초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한 허더즈필드 타운 AFC가 거머쥘 금액은 최소 £170m(한화 약 245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22위에서 24위까지의 팀들은 차기 시즌 하부 리그인 EFL 리그 원으로 강등된다.

규모만 보면 소위 유럽 5대 리그라고 부르는 잉글랜드의 프리미어 리그, 스페인라 리가, 독일분데스리가, 이탈리아세리에 A, 프랑스리그 1의 다음가는 수준으로 프로 스포츠 리그 수익 순위에선 유럽 5대 리그에 미국MLS, 브라질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의 다음 가는 위치일 정도이며 주급 역시 2023년 기준 32,000파운드, 환산하면 평균 5,300만 원 정도로 웬만한 나라의 축구 선수들이 받는 연봉 수준[5]이다. 리그 수준 역시 재정적 규모에 맞게 2부 리그 체급이라고 보기는 힘들고 5대 리그를 제외한 모든 유럽 리그를 상회하는 수준인 소위 "세계 최고의 2부 리그"라고 해도 무방하다.

24개 구단이 한 시즌에 46경기씩이나 소화하는 세계적으로 봐도 고된 일정[6]과, 상대적으로 얇은 각 팀의 선수층으로 인해 대단히 의외성이 큰 리그이다. 2012-13 시즌의 경우 전 시즌 프리미어 리그에 속했던 세 팀이 모두 프리미어 리그 승격에 실패했으며, 특히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의 경우 2년 연속으로 강등을 겪었다는 점에서 이 리그의 난이도를 짐작할 수 있다.[7][8]

전반적으로 태클이 거칠고 롱 패스 운영이 주가 되는 등의 영국식 킥 앤 러시 축구가 흥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리그 상위권 팀들의 전술적 숙련도, 개인 전술 등의 측면은 프리미어 리그 하위권 팀에게 별로 밀리지 않는 양상을 보인다. 중하위권의 팀들은 대체로 우리의 통념과 비슷한 축구를 하는 듯. 하지만 이것도 케이스 바이 케이스다. 정교한 패싱 플레이를 바탕으로 프리미어 리그에서도 돌풍을 일으킨 로베르토 마르티네스브렌던 로저스스완지 시티 AFC가 그 좋은 예시이고, 2019-20 시즌 마르셀로 비엘사의 지도 아래 극도로 공격적인 토탈 사커를 보여주고 승격한 리즈 유나이티드 FC의 경우도 있다.

2부 리그라고는 하지만 과거의 명문 구단과 빅 마켓 팀들도 많이 있고, 지역 연고가 확고하게 정착되어 있어서 흥행이 잘 되는 리그이다. 프리미어 리그보다 못하다 해도 경기당 평균 관중 수는 2만 7000명대~2만 8000명대에 달한다. 유럽 5대 리그보다는 못한다 해도 프랑스 리그 1과는 평균 관중 수가 그렇게 큰 차이가 나지 않고, 영국보다 인구가 훨씬 많은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쉬페르리그보다 관중 수가 훨씬 많기 때문에 시장성은 결고 무시 못한다. 2009-10 시즌의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의 경우 시즌 내내 꾸준히 4만 명 이상의 관중을 불러들였으며, 입스위치 타운 FC와의 홈경기에는 5만 2천 명 이상을 운집시켜 만석을 찍었다.[9] 뉴캐슬이 챔피언십으로 돌아온 2016-17 시즌에는 평균 관중수가 51,111명으로 97.5%의 관중 점유율을 보였다. 2009-10 시즌까지도 강성으로 유명한 셰필드 유나이티드 FC셰필드 웬즈데이 FC의 '스틸 시티 더비(Steel City Derby)'가 이 리그에서 치러졌고[10], 2011-12 시즌에는 그 유명한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밀월 FC의 더비도 벌어졌다.

프리미어 리그 중상위권 팀의 추락은 정말 드문 경우이고 대부분 당해 강등 후보들이 예상대로 강등되는 편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는 여기에 쏠리는 관심은 적다. 몇몇 팀들의 경우 승격과 강등이 일상화되어 소위 말하는 '롤러코스터 팀'스러운 성향을 띄기도 하는데, 대표적인 팀이 2000년대의 버밍엄 시티 FC와 2010년대의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버밍엄 시티와 웨스트 브롬위치는 2000년대에 프리미어 리그에서 강등을 2번 이상[11]이나 당했지만 다음 시즌 챔피언십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 3번이나 다시 승격하는 엄청난 끈기를 보여줬다. 또한 노리치 시티 FC는 2013-14 시즌 강등 뒤 2022년까지 무려 4회 강등, 4회 승격이라는 엘리베이터 팀의 전형을 보여줬으며, 풀럼 FC 역시 2017-18 시즌에 4년 만의 승격을 달성한 뒤 강등-승격-강등-승격이라는 챔피언십 여포의 전형을 찍는 중이다. 선덜랜드 AFC도 한때 이런 모습을 보였으나 2007-2008 시즌 이후로는 프리미어 리그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모습을 보여줬다.[12]

2010년대 중반~후반에 들어서는 프리미어 리그의 중상위권 팀들도 전체적으로 경기력이 안 좋은 혼란기가 겹치면서 프리미어 리그와 챔피언십을 들락거리던 고정 하위권 팀들이 급격하게 몰락하고 사우스햄튼 FC, 크리스탈 팰리스 FC,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레스터 시티 FC 등의 팀들이 승격해 자리를 잡아 레스터 시티는 두 시즌 만에 프리미어 리그 우승을 하는 이변도 일어났다. 풀럼, 노리치 시티가 승격 - 강등 - 승격의 방식을 자주 이어나가는 실정이며, 번리, 브라이튼, 리즈 유나이티드, 본머스, 카디프 시티, 스완지 시티, 브리스톨 시티, 브렌트포드, 허더즈필드 타운, 밀월, 루턴 타운 등의 원래 3~4부 리그, 높아봤자 챔피언십 중위권에서 하위권이나 강등권 정도 했던 팀들이 팀이 이미 EPL에 있거나 이 챔피언십에 안정적으로 정착하여 승격을 경쟁하는 경우도 생기면서 다시 EPL의 판도는 뒤바뀔 것으로 보인다.

막대한 중계권료 수입을 20개 구단이 비교적 균등하게 가져가는 프리미어 리그와 달리, 챔피언십의 경우 중계해주는 경기도 많지 않고 구단의 중계권료 수입도 없다시피하다. 프리미어 리그의 수익성이 높아질수록 챔피언십과의 경제적 격차가 나날이 벌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프리미어 리그와의 처우 차이가 하늘과 땅인 만큼, 프리미어 리그는 챔피언십으로 강등된 팀에게 '낙하산 지원금'이라는 명목으로 3년간 일정 금액을 지원하며 강등 팀들의 재활을 돕는다. 그래서 자금 사정이 나쁘지 않은 팀들은 이 지원금까지 보태 잡을 만한 선수는 최대한 잡고 챔피언십 최상위급 선수나 1부에서 기회를 잘 얻지 못하는 유망주들을 데려오기도 한다. 이런 팀들의 선수 면면을 보면 이게 진짜 2부 리그 팀인가 의심스러울 정도의 스쿼드를 자랑하는데, 돈이 가장 많이 오가는 잉글랜드 축구 리그라서 가능한 일이다. 선수들도 1부 중상위팀 붙박이급 실력 이상이 아니면 괜히 무리하게 프리미어 리그 잔류를 추진했다 잘해봐야 저니맨이 되거나 하면서 팀에 정착하지 못하면 되려 커리어에 손해가 될 수 있다 보니 무리하게 상위 리그로 이적하지 않으려는 경우가 늘었다.

아무튼 프리미어 리그 승격을 노려서인지 2021-22 시즌만 해도 챔피언십 구단 절반(24개에서 14개) 이상이 외국 구단주다. 역으로 투자가 안되거나, 잘 되지 않거나 실패할 경우 수입은 천지 차이이기 때문에 프리미어 리그만 바라보고 달리던 팀들이 결국 챔피언십으로 강등한 이후에 재활에 실패해 2부 붙박이가 되거나 심하게는 나락으로 떨어지는 경우도 많다. 계속 추락중인 위건 애슬레틱 FC, 블랙번 로버스 FC, 코번트리 시티 FC, 볼턴 원더러스 FC와 챔피언십에서의 입지가 위험하다고 평가되는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입스위치 타운 등이 있다. 특히 한때 터무니없이 빈약한 자본으로도 프리미어 리그에 장기 생존하여 생존왕이라고 불릴 정도로 질긴 생명력을 보여줬던 위건 애슬레틱은 현재 2부~3부 리그를 왔다갔다하는 실정이다.

2010-11, 2011-12의 두 시즌 모두 연속 승격에 성공하는 팀들이 나왔는데, 노리치 시티 FC는 2009-10 시즌 풋볼 리그 1을 우승하고 2010-11 시즌에는 챔피언십 2위에 올라 두 시즌 만에 두 계단 위의 리그에서 뛰게 되었다. 전통 명가 사우스햄튼 FC 역시 2010-11 리그 원 2위, 2011-12 시즌 2위로 7년 만에 프리미어 리그 승격을 확정, 참으로 기분 좋은 콩라인 입성이 아닐 수 없다.

물론 두 시즌 연속으로 강등당하는 팀도 있다. 대표적인 팀이 선덜랜드, 볼튼 원더러스. 선덜랜드는 EFL 리그 원까지 갔다 왔고, 볼튼 원더러스는 EFL 리그 2까지 갔다온 상황이다.

중립 팬들의 관전 포인트는 프리미어 리그 자동 승격권인 2위권 싸움과 승격 플레이오프 진출권인 6위권 싸움, 그리고 강등권 싸움이다. 특히 리그에 팀이 많아 비슷한 승점을 얻는 팀들이 많은 탓에, 6위권과 강등권은 시즌 최종일까지도 박 터지게 경합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2013년의 경우 최종전의 후반 인저리 타임에 8위 레스터 시티 FC가 7위 노팅엄 포레스트를 상대로 결승골을 작렬시켜 극적으로 6위로 올라서면서, 포레스트는 물론 직전까지 6위였던 이청용의 볼튼 원더러스 또한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었다.

2023년 DAZN이 EFL 챔피언십, 리그 1, 리그 2 중계권 입찰을 시도하면서, 낙찰 시 전 경기를 중계하기로 약속하며 EFL의 미디어 중계권에도 획기적인 변화가 생길 전망이다.

2023년 5월부터 쿠팡플레이에서 챔피언십 플레이오프 결승전 경기부터 배준호, 황의조 두 선수의 소속팀인 스토크 시티 FC노리치 시티 FC 경기 해설 중계을 포함한 일부 챔피언십 경기를 중계하고 있다. 그런데 황의조알란아스포르 FC로 이적하더니 광주 FC에서 엄지성이 스완지 시티 AFC로 이적했다. 그리고 강원 FC에서 토트넘 홋스퍼 FC로 이적한 양민혁도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로 이적하면서 네이버 승부예측 시스템과 리그 순위 시스템에서도 스코틀랜드 프리미어십과 함께 추가되었다.(사실 에레디비시,수페르리가,메이저 리그 사커도 추가된 것 이다. )

2023-24, 2024-25 시즌[13] 프리미어리 그에서는 챔피언십 승격팀 3팀이 모두 두 시즌 연속 그대로 강등당하는 일이 일어났다.[14] 프리미어 리그 역사상 승격 구단 전원이 다음 시즌에 도로 강등되는 일은 이번이 세 번째인데[15] 세 번 중 두 번이 두 시즌 연속으로 벌어진 것. 이는 프리미어 리그와 챔피언십 간의 격차가 자본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점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이제는 챔피언십에서 프리미어 리그로 올라오는 팀들에게 거는 팬들의 기대가 떨어지고 강등권 경쟁의 치열함이 사라져 리그 흥행의 요소가 줄어들 염려가 있다.

4. 우승 트로피

파일:Snapinsta.app_351150296_815359493346574_6270551637488316552_n.jpg

일명 '올드 레이디(Old Lady)' . 풋볼 리그 초창기인 1890-91 시즌부터 이어져 온 유서 깊은 디자인의 트로피다. 최상단에 여성의 형상이 조각되어 있었기에 초기에는 '레이디(The Lady)'라는 이명으로 불리다가 오래된 역사에 의해 올드 레이디라는 별칭이 붙었다.

1991-92 시즌까지는 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의 우승 트로피였으나 이후 프리미어 리그가 창설되며 기존의 퍼스트 디비전이 폐지되자 풋볼 리그의 최상위 리그가 된 구 세컨드 디비전이자 현재의 챔피언십이 트로피를 이어받았다.

5. 국내에서 시청하는 방법

중계를 보기 위해서는 각 구단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ifollow 탭을 찾아가 시즌 패스 또는 매치 패스를 결제한 뒤 구단 어플리케이션 또는 PC 브라우저에서 볼 수 있었다. 매치 패스는 세금 포함 한화 8,000원 정도이지만 2023년 5월 챔피언십 결승전부터 쿠팡플레이에서 중계하여 앞으로도 일부 경기에 대해서 쿠팡플레이에서 볼 수 있다.

6. 챔피언스 리그?

챔피언스 리그와는 이름은 비슷하지만 엄연히 다른 리그이다. 프리미어 리그 시즌 종료 후 최상위 팀은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하고, 최하위 팀은 챔피언십으로 강등된다. 이름만 비슷하지 처지는 완전히 대비되는 셈. 이 때문에 UEFA 챔피언스 리그와 얽혀서 상중위권 팀들이 고전할 경우에 우스갯소리로 자주 등장한다. 예를 들어 시즌 전 올 시즌 목표는 '챔피언스 리그 진출' 혹은 '챔피언스 리그 우승'이라고 말한 감독 혹은 선수의 팀이 시즌 초반 형편없는 성적을 거두고 있을 경우 언론이나 다른 팀 팬들이 "내년엔 (강등당해서) 챔피언 리그에 진출하겠네 축하해","OOO 감독: 챔피언 우승은 레알 마드리드도 못해본 일" 이런 식으로 조롱하는 식이다. 대표적으로 슬로우 스타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는 매년 여름 이런 내용의 단골 손님. 토트넘 홋스퍼 FC의 경우 2007-2008 시즌 중반까지도 강등권인 17,18위에 머물며 이 농담이 현실이 될 뻔 했지만 막판에 힘을 내서 11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2019-20 시즌의 아스널도 한동안 부진하면서 강등이 현실화되는가 했으나, 하위권 팀들이 너무 못하는 바람에 그런 농담은 쏙 들어갔다. 그리고 2021-22시즌 에버튼이 엄청난 기세로 패를 적립하고 시즌이 진행되면서 챔피언십 진출 유력이 뜨는 등 정말로 강등이 현실화되는 듯 했으나 후반 들어서면서 부활하는 데 성공하며 일단 한숨은 돌렸다. 이런 농담들은 당연히 부진한 강팀들을 대상으로 한 농담이지만 그래도 어지간해선 팀들이 페이스를 되찾는 경우가 많기에 대부분은 농담에 그친다.

다만 2000년대 초반엔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2000-01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4강에 들 정도로 강팀이었던 리즈 유나이티드 FC는 2년 후 여기로 강등되었고 한때 3부 리그까지 떨어지며 국내에선 리즈 시절이라는 단어까지 생길 정도로 추락하다가 2019-20시즌이 되어서야 챔피언십 우승으로 프리미어 리그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그들이 다시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하는 데는 무려 16년이 걸렸다. 다행히 리즈는 2020-21시즌에 강등되지 않고 중위권에 안착하였다.

리즈만큼의 몰락은 아니지만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의 경우도 2000년대 초반에는 UEFA 챔피언스 리그, 2000년대 중반에는 UEFA 유로파 리그의 단골 손님이었으나 2년간 중위권에서만 머물더니 2008-09 시즌 아무도 생각치 못하게 강등되며 여기에 속했던 아픈 과거도 있다. 2009-10 시즌 챔피언십 리그에서 이를 악물고 시즌을 준비한 끝에 우승을 차지하고 2010-11 시즌 프리미어 리그로 올라왔다.

2016년 라파엘 베니테스 감독이 강등당한 뉴캐슬에 잔류하였고, 역시 강등당한 아스톤 빌라가 로베르토 디 마테오 감독을 선임하면서 빅 이어를 들어 본 감독이 두 명이나 챔피언십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과연 감독으로 챔피언스 리그와 챔피언십 리그를 모두 제패하는 초유의 기록이 달성될 것인지? 그리고 2016-17 시즌 베니테스의 뉴캐슬이 챔피언십 트로피를 따내면서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다.

그리고 2021년 뉴캐슬 구단주가 차기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이 될 이가 되면서 이건 옛 이야기가 되었지만.

레스터 시티도 비슷한 상황이다. 대부분 2부 리그 이하였지만 1990년대 들어 프리미어 리그에 있던 기간이 더 길었고 라니에니 감독의 동화 같은 우승을 기점으로 유럽 대항전에도 제법 나가던 팀이었지만 23년에는 이전 시즌의 8위가 무색하게 18위를 기록하며 강등되었다. 2023-24 시즌에 우승으로 한 시즌 만에 프리미어 리그로 재복귀했다. 하지만 한 시즌 만에 챔피언십리그로 재강등되고 말았다.

7. EFL 챔피언십과 대한민국

  • 2024-25 시즌 기준.
  • 현역은 볼드체로 표기한다.
파일:스카이 벳 EFL 챔피언십 로고 가로형.svg
순서[16] 이름 구단 시즌[17] 번호 출전 득점 구단 성적 비고
<colbgcolor=#b69b42> 1 설기현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2004-05 19 37 4 9위
2005-06 32 4 7위
2 김두현 파일: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로고.svg
2007-08[겨울] 12 4 1 우승 [임대]
3 이청용 파일:볼턴 원더러스 FC 로고(2001~2013).svg
2012-13 27 41 4 7위
파일:볼턴 원더러스 FC 로고.svg
2013-14 45 3 14위
2014-15 23 3 겨울 이적 시장서 크리스탈 팰리스 FC로 이적
4 김보경 파일:카디프 시티 FC 로고(2012~2015).svg
2012-13 13 28 2 우승
2014-15 2 0 11위
파일:위건 애슬레틱 FC 로고.svg
16 18 2 23위
5 윤석영 파일: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로고(2008~2016).svg
2013-14 13 7 1 4위
파일:동커스터 로버스 FC 로고.svg
27 3 0 22위 [임대]
파일: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로고(2008~2016).svg
2015-16 13 3 0 12위
파일:찰턴 애슬레틱 FC 로고.svg
2 9 0 22위 [임대]
6 박주영 파일:왓포드 FC 로고.svg
2013-14[겨울] 20 2 0 13위 [임대]
7 배준호 파일:스토크 시티 FC 로고.svg
2023-24 22 38 2 17위
2024-25 10 45 3 18위
2025-26
8 황의조 파일:노리치 시티 FC 로고.svg
2023-24 31 17 3 겨울 이적 시장서 원소속 구단 노팅엄 포레스트 FC로 임대 복귀
9 백승호 파일:버밍엄 시티 FC 로고.svg
2023-24[겨울] 13 18 1 22위 [강등]
2025-26 [승격]
10 엄지성 파일:스완지 시티 AFC 로고.svg
2024-25 10 37 3 11위
2025-26
11 양민혁 파일: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로고.svg
2024-25[겨울] 47 14 2 15위 [임대]
파일:포츠머스 FC 로고.svg
2025-26

EFL 챔피언십은 비록 2부 리그지만 웬만한 국가들의 1부 리그를 상회하는 자본력과 경쟁도를 지닌 리그다. 그러다보니 타국의 2부 리그와 비교해서 훨씬 더 국제적이며 아시아 선수들도 영입하는 팀들이 여럿 있다. 그렇기에 EFL 챔피언십 구단들은 웬만한 유럽 중상위권 1부 리그 팀들과 견줄만한 자본력와 팬베이스를 갖췄고, 리그의 수준도 외국인 선수들의 유입으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수준 높은 2부 리그로 평가될 정도로 준수하다. 이런 배경으로 인해 대한민국 국가대표급 선수들도 프리미어 리그로의 이적이나 승격을 노리고 혹은 선수 개인의 폼 회복을 위해 챔피언십으로 이적하는 경우가 꽤나 있었다.

처음 EFL 챔피언십에 진출한 선수는 설기현이다. 벨기에 주필러 리그에서 뛰던 설기현은 04-05 시즌 울버햄튼과 계약하며 잉글랜드 무대에 적응하였고, 05-06 시즌을 마치고 레딩 FC로 이적하여 프리미어 리그로 진출하였다. 그 이후, 김두현이 WBA에 임대로 합류하였으며 팀이 우승하며 완전 이적하였고 그 다음 시즌에는 승격한 프리미어 리그에서 뛰었다. 이청용은 프리미어 리그에 있다가 팀이 강등되어 2부 리그에서 뛰게된 사례인데, 팀이 2부 리그에서 매 시즌 순위가 계속 하락하고 승격 가시권에서 점점 멀어지자 14-15 시즌 겨울 이적 시장에서 크리스탈 팰리스 FC로 이적하여 프리미어 리그로 돌아갔다. 김보경도 이전에 김두현과 마찬가지로 2부 리그 팀으로 이적했다가 팀이 우승하여 승격하자 1부 리그를 경험했다. 그러나 곧바로 강등되어 2부 리그에서 주로 뛰었다. 윤석영은 QPR에 이적했을 당시는 1부 리그에 있었지만 시즌 내내 한 경기도 출장하지 못했고, 데뷔전을 이듬해 2부 리그에서 치른 흔치않은 경험을 했다. 1부 리그와 2부 리그를 오가며 활약했고, 중간중간 출전 기회를 찾아 2부 리그 하위권 팀으로 임대가 뛰기도 했다. 박주영은 아스날 FC의 전력에서 완전히 배제되어 월드컵을 앞두고 실전 경험이 필요하여 왓포드로 임대를 왔지만 여기서 부상으로 제대로 뛰지도 못하고 소속팀으로 복귀한 바 있다. 2015-16 시즌 윤석영이 찰튼 임대를 마치고 QPR과 계약이 만료된 이후 챔피언십에서 뛰는 한국인 리거는 7년 동안 없었다.

2023-24 시즌 대전 하나 시티즌의 유망주 배준호가 스토크 시티 FC로 이적하며 7년 만에 챔피언십에서 뛰는 한국 선수가 나오게 되었다. 또 노팅엄 포레스트 FC에서 출전 기회를 잡지 못한 황의조 또한 이적 시장 마지막 날 노리치 시티 FC로 임대 이적하였으나 부상으로 인해 반 년 만에 임대가 종료되었고 대신 겨울 이적 시장에서 FA 신분이 된 백승호가 버밍엄으로 이적하며 숫자는 유지되었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 다시 챔피언십에 대한 관심이 생기기 시작하자 쿠팡플레이가 일부 경기를 중계하기 시작했다.[29] 배준호는 스토크 시티 2023-24 시즌의 선수로도 선정될 정도로 성공적인 유럽 무대 데뷔전을 치렀고 백승호는 분전했으나 팀의 강등을 막지 못했다.

2024-25 시즌, 전 시즌 인상적이었던 백승호, 배준호 등의 선수들의 활약 덕에 챔피언십에서 K리그의 유망주들을 눈여겨 보고 있다. 그 때문에 잘하는 선수들의 경우 챔피언십 팀들에게 오퍼가 적극적으로 오는 중. 그리고 2024년 여름 광주 FC엄지성스완지 시티 AFC로 이적하면서 한국 축구 역사상 10번째 EFL 챔피언십 참가 선수가 되었다.

이후 2025년 겨울 이적 시장에서 강원 FC에서 토트넘 홋스퍼 FC로 이적한 양민혁이 QPR로 임대되면서 11번째 EFL 챔피언십 참가 선수가 되었다.

2023-24 시즌 강등되었던 버밍엄이 2024-25 시즌 리그 원에서 압도적 1위를 달려 우승과 챔피언십 복귀에 성공했는데 차후 여름 이적 시장에서의 이적이 없다면 백승호의 챔피언십 복귀가 예정되어 있다. 한편 버밍엄에 겨울 이적 시장에 합류한 이명재가 12번째 한국인 챔피언십 참가 선수가 되나 했지만 계약 종료 후 대전 하나 시티즌으로 이적하면서 무산되었다.

2025-26 시즌을 앞두고도 다수의 한국 선수들의 이적설이 뜨고 있는데 지난 시즌 QPR에 임대되어 활약한 양민혁포츠머스 FC로 임대 이적하며 다시 챔피언십 무대를 누비게 되었고 세르비아 리그 대표 풀백으로 떠오른 설영우셰필드 유나이티드 FC와 링크가 있다. 한편 2025년 K리그1 득점왕 경쟁 중인 전진우가 한때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와 연결되기도 했지만 실제 이적까지는 이뤄지지 않았다.

8. 여담

  • 볼턴 원더러스 FC의 강등으로 2012-13 시즌부턴 이청용이 활약하게 되는 리그다. 그리고 볼튼의 승격 실패로 2013-14 시즌도 활약하게 되었다.그러나 이청용은 2014-15 시즌 막바지에 크리스털 팰리스 FC로 이적하여 프리미어 리거로 돌아오게 된다.
  • QPR의 강등으로 2013-14 시즌부터는 박지성이 이 리그에서 뛸 뻔했다. 같은 팀의 윤석영도 팀 내에서 보여준 것이 없기 때문에 2013-14 시즌 QPR과 챔피언십을 누비게 되었으며, 이후 잠시동안 동커스터 로버스 FC에 임대되어 뛰기도 했다.
  • 상기된 이유와 김보경카디프 시티 FC로의 이적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MBC SPORTS+에서 2012-13 시즌 때 4억 원을 들여 챔피언십 리그를 중계한 바 있다. 바로 전 시즌까지 프리미어 리그 중계권을 사면 덤으로 줬던 챔피언십 리그의 중계권에 가격을 책정해 팔아제낀 영국 FA의 괘씸함은 둘째 치고라도 자국 리그도 제대로 중계하지 않으면서 영국 2부 리그 중계를 한 점에서 국내 축구 팬들의 분을 샀다. 결국 2013-14 시즌 때는 중계가 없는 걸 보니 안 산 모양. 김보경의 카디프 시티는 EPL로 승격했으니 결국 윤석영만 새 됐다. 그러나 카디프 시티는 한 시즌 만에 다시 강등하고 이번에는 퀸즈파크가 승격했으나 여기도 한 시즌 만에 재강등하고 만다. 다만, 김보경이 마쓰모토 야마가 FC에 자유 계약으로 입단하면서 챔피언십 리그에는 윤석영만 남아서 뛰게 되었다. 하지만 QPR은 벌금 여부로 인하여 자칫하면 논리그인 5부 리그(내셔널리그)로 강등할 수도 있기에 윤석영도 5부 리그에 뛸 수도 있다.
  • 2014년 1월 31일 박주영왓포드 FC와 시즌 말까지의 임대 계약이 이루어져 이 리그에서 뛰게 되었다. 그러나 정말로 공기 같이 활약하며 제대로 뛰지도 못하고 사라졌고 한국으로 돌아온다.
  • 우승 구단뿐만 아니라 리그 2위와 승격 플레이오프 최종 승리팀도 작은 트로피를 수여받는다. 특히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팀은 마지막 20번째 차기 시즌 프리미어 리그 팀이 되기에 해당 트로피를 수여받는 시상식에서 흡사 FA컵이나 리그 우승의 분위기가 뿜어져 나오기도 한다.
  • 빅클럽이 죽을 쑤고 있을 때면 EFL 챔피언십 공식 트위터가 해당 팀에게 인사를 건네기도 한다. 강등을 환영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기에[30] 당하는 팀에게는 최악의 굴욕이며 조롱과 자조의 짤이 된다.

9. 참가 구단 및 역대 시즌

9.1. 2016-17 시즌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최근 프리미어 리그/1부 리그 참가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8위) 2015-2016
노리치 시티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9위) 2015-2016
아스톤 빌라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20위) 2015-2016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3위 승격 플레이오프 4강 탈락 1982-1983
더비 카운티 FC 5위 승격 플레이오프 4강 탈락 2007-2008
셰필드 웬즈데이 FC 6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 1999-2000
입스위치 타운 FC 7위 - 2001-2002
카디프 시티 FC 8위 - 2013-2014
브렌트포드 FC 9위 - 1946-1947
버밍엄 시티 FC 10위 - 2010-2011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11위 - 1960-1961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12위 - 2014-2015
리즈 유나이티드 FC 13위 - 2003-2004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14위 - 2011-2012
블랙번 로버스 FC 15위 - 2011-2012
노팅엄 포레스트 FC 16위 - 1998-1999
레딩 FC 17위 - 2012-2013
브리스톨 시티 FC 18위 - 1979-1980
허더즈필드 타운 AFC 19위 - 1971-1972
풀럼 FC 20위 - 2013-2014
로더럼 유나이티드 FC 21위 - -
위건 애슬레틱 FC - 풋볼 리그 원 우승 2012-2013
버턴 앨비언 FC - 풋볼 리그 원 준우승 -
반즐리 FC - 풋볼 리그 원 6위,승격 플레이오프 우승 1997-1998

9.2. 2017-18 시즌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최근 프리미어 리그/1부 리그 참가
헐 시티 A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8위) 2016-2017
미들즈브러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9위) 2016-2017
선덜랜드 A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20위) 2016-2017
레딩 FC 3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승격실패) 2012-2013
셰필드 웬즈데이 FC 4위 승격 플레이오프 4강 탈락 1999-2000
풀럼 FC 6위 승격 플레이오프 4강 탈락 2013-2014
리즈 유나이티드 FC 7위 - 2003-2004
노리치 시티 FC 8위 - 2015-2016
더비 카운티 FC 9위 - 2007-2008
브렌트포드 FC 10위 - 1946-1947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11위 - 1960-1961
카디프 시티 FC 12위 - 2013-2014
아스톤 빌라 FC 13위 - 2015-2016
반즐리 FC 14위 - 1997-1998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15위 - 2011-2012
입스위치 타운 FC 16위 - 2001-2002
브리스톨 시티 FC 17위 - 1979-1980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18위 - 2014-2015
버밍엄 시티 FC 19위 - 2010-2011
버턴 앨비언 FC 20위 - -
노팅엄 포레스트 FC 21위 - 1998-1999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 풋볼 리그 원 우승 2006-2007
볼턴 원더러스 FC - 풋볼 리그 원 준우승 2011-2012
밀월 FC - 풋볼 리그 원 6위,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 1989-1990

9.3. 2018-19 시즌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최근 프리미어 리그/1부 리그 참가
스완지 시티 A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8위) 2017-2018
스토크 시티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9위) 2017-2018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20위) 2017-2018
아스톤 빌라 FC 4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승격실패) 2015-2016
미들즈브러 FC 5위 승격 플레이오프 4강 탈락 2016-2017
더비 카운티 FC 6위 승격 플레이오프 4강 탈락 2007-2008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7위 - 1960-1961
밀월 FC 8위 - 1989-1990
브렌트포드 FC 9위 - 1946-1947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10위 - 2006-2007
브리스톨 시티 FC 11위 - 1979-1980
입스위치 타운 FC 12위 - 2001-2002
리즈 유나이티드 FC 13위 - 2003-2004
노리치 시티 FC 14위 - 2015-2016
셰필드 웬즈데이 FC 15위 - 1999-2000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16위 - 2014-2015
노팅엄 포레스트 FC 17위 - 1998-1999
헐 시티 AFC 18위 - 2016-2017
버밍엄 시티 FC 19위 - 2010-2011
레딩 FC 20위 - 2012-2013
볼턴 원더러스 FC 21위 - 2011-2012
위건 애슬레틱 FC - EFL 리그 원 우승 2012-2013
블랙번 로버스 FC - EFL 리그 원 준우승 2011-2012
로더럼 유나이티드 FC - EFL리그 원 4위,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 -

9.4. 2019-20 시즌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최근 프리미어 리그/1부 리그 참가
카디프 시티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8위) 2018-2019
풀럼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9위) 2018-2019
허더즈필드 타운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20위) 2018-2019
리즈 유나이티드 FC 3위 - 2003-2004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4위 - 2017-2018
더비 카운티 FC 6위 - 2007-2008
미들즈브러 FC 7위 - 2016-2017
브리스톨 시티 FC 8위 - 1979-1980
노팅엄 포레스트 FC 9위 - 1998-1999
스완지 시티 AFC 10위 - 2017-2018
브렌트포드 FC 11위 - 1946-1947
셰필드 웬즈데이 FC 12위 - 1999-2000
헐 시티 AFC 13위 - 2016-2017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14위 - 1960-1961
블랙번 로버스 FC 15위 - 2011-2012
스토크 시티 FC 16위 - 2017-2018
버밍엄 시티 FC[31] 17위 - 2010-2011
위건 애슬레틱 FC 18위 - 2012-2013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19위 - 2014-2015
레딩 FC 20위 - 2012-2013
밀월 FC 21위 - 1989-1990
루턴 타운 FC - EFL 리그 원 우승 1991-1992
반즐리 FC - EFL 리그 원 준우승 1997-1998
찰턴 애슬레틱 FC - EFL리그 원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 2006-2007

9.5. 2020-21 시즌 참가 팀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최근 프리미어 리그/1부 리그 참가
AFC 본머스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8위) 2019-2020
왓포드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9위) 2019-2020
노리치 시티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20위) 2019-2020
브렌트포드 FC 3위 승격플레이오프 준우승 1946-1947
카디프 시티 FC 5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 탈락 2018-2019
스완지 시티 AFC 6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 탈락 2017-2018
노팅엄 포레스트 FC 7위 - 1998-1999
밀월 FC 8위 - 1989-1990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9위 - 1960-1961
더비 카운티 FC 10위 - 2007-2008
블랙번 로버스 FC 11위 - 2011-2012
브리스톨 시티 FC 12위 - 1979-1980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13위 - 2014-2015
레딩 FC 14위 - 2012-2013
스토크 시티 FC 15위 - 2017-2018
셰필드 웬즈데이 FC 16위 - 1999-2000
미들즈브러 FC 17위 - 2016-2017
허더즈필드 타운 AFC 18위 - 2018-2019
루턴 타운 FC 19위 - 1991-1992
버밍엄 시티 FC 20위 - 2010-2011
반즐리 FC[32] 21위 - 1997-1998
코번트리 시티 FC - EFL 리그 원 우승 2000-2001
로더럼 유나이티드 FC - EFL 리그 1 준우승 -
위컴 원더러스 FC - EFL리그 1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3위) -

9.6. 2021-22 시즌 참가 팀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최근 프리미어 리그/1부 리그 참가
풀럼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8위) 2020-2021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9위) 2020-2021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20위) 2020-2021
스완지 시티 AFC 4위 승격플레이오프 준우승 2017-2018
반즐리 FC 5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 탈락 1997-1998
AFC 본머스 6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 탈락 2019-2020
레딩 FC 7위 - 2012-2013
카디프 시티 FC 8위 - 2018-2019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9위 - 2014-2015
미들즈브러 FC 10위 - 2016-2017
밀월 FC 11위 - 1989-1990
루턴 타운 FC 12위 - 1991-1992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13위 - 1960-1961
스토크 시티 FC 14위 - 2017-2018
블랙번 로버스 FC 15위 - 2011-2012
코번트리 시티 FC 16위 - 2000-2001
노팅엄 포레스트 FC 17위 - 1998-1999
버밍엄 시티 FC 18위 - 2010-2011
브리스톨 시티 FC 19위 - 1979-1980
허더즈필드 타운 AFC 20위 - 2018-2019
더비 카운티 FC 21위 - 2007-2008
헐 시티 AFC - EFL 리그 원 우승 2016-2017
피터버러 유나이티드 FC - EFL 리그 원 준우승 -
블랙풀 FC - EFL 리그 원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 2010-2011

9.7. 2022-23 시즌 참가 팀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최근 프리미어 리그/1부 리그 참가
번리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8위)[33] 2021-2022
왓포드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9위)[34] 2021-2022
노리치 시티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20위)[35] 2021-2022
허더즈필드 타운 AFC 3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 2018-2019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5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 탈락 2020-2021
루턴 타운 FC 6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 탈락 1991-1992
미들즈브러 FC 7위 - 2016-2017
블랙번 로버스 FC 8위 - 2011-2012
밀월 FC 9위 - 1989-1990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10위 - 2020-2021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11위 - 2014-2015
코번트리 시티 FC 12위 - 2000-2001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13위 - 1960-1961
스토크 시티 FC 14위 - 2017-2018
스완지 시티 AFC 15위 - 2017-2018
블랙풀 FC 16위 - 2010-2011
브리스톨 시티 FC 17위 - 1979-1980
카디프 시티 FC 18위 - 2018-2019
헐 시티 AFC 19위 - 2016-2017
버밍엄 시티 FC 20위 - 2010-2011
레딩 FC 21위 - 2012-2013
위건 애슬레틱 FC - EFL 리그 원 우승 2012-2013
로더럼 유나이티드 FC - EFL 리그 원 준우승 -
선덜랜드 AFC - EFL 리그 원 5위,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 2016-2017

9.8. 2023-24 시즌 참가 팀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최근 프리미어 리그/1부 리그 참가
레스터 시티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8위)[36] 2022-2023
리즈 유나이티드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9위)[37] 2022-2023
사우스햄튼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20위)[38] 2022-2023
미들즈브러 FC 4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 탈락 2016-2017
코번트리 시티 FC 5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 2000-2001
선덜랜드 AFC 6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 탈락 2016-2017
블랙번 로버스 FC 7위 - 2011-2012
밀월 FC 8위 - 1989-1990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9위 - 2020-2021
스완지 시티 AFC 10위 - 2017-2018
왓포드 FC 11위 - 2021-2022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12위 - 1960-1961
노리치 시티 FC 13위 - 2021-2022
브리스톨 시티 FC 14위 - 1979-1980
헐 시티 AFC 15위 - 2016-2017
스토크 시티 FC 16위 - 2017-2018
버밍엄 시티 FC 17위 - 2010-2011
허더즈필드 타운 AFC 18위 - 2018-2019
로더럼 유나이티드 FC 19위 - -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20위 - 2014-2015
카디프 시티 FC 21위 - 2018-2019
플리머스 아가일 FC - EFL 리그 원 우승 -
입스위치 타운 FC - EFL 리그 원 준우승 2001-2002
셰필드 웬즈데이 FC - EFL 리그 원 플레이오프 우승 (3위) 1999-2000

9.9. 2024-25 시즌 참가 팀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최근 프리미어 리그/1부 리그 참가
루턴 타운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8위)[39] 2023-2024
번리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9위)[40] 2023-2024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20위)[41] 2023-2024
리즈 유나이티드 FC 3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 2022-2023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5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 탈락 2020-2021
노리치 시티 FC 6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 탈락 2021-2022
헐 시티 AFC 7위 - 2016-2017
미들즈브러 FC 8위 - 2016-2017
코번트리 시티 FC 9위 - 2000-2001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10위 - 1960-1961
브리스톨 시티 FC 11위 - 1979-1980
카디프 시티 FC 12위 - 2018-2019
밀월 FC 13위 - 1989-1990
스완지 시티 AFC 14위 - 2017-2018
왓포드 FC 15위 - 2021-2022
선덜랜드 AFC 16위 - 2016-2017
스토크 시티 FC 17위 - 2017-2018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18위 - 2014-2015
블랙번 로버스 FC 19위 - 2011-2012
셰필드 웬즈데이 FC 20위 - 1999-2000
플리머스 아가일 FC 21위 - -
포츠머스 FC - EFL 리그 원 우승 2009-2010
더비 카운티 FC - EFL 리그 원 준우승 2007-2008
옥스퍼드 유나이티드 FC - EFL 리그 원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 (5위) 1987-1988

9.10. 2025-26 시즌 참가 팀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최근 프리미어 리그/1부 리그 참가
레스터 시티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8위)[42] 2024-2025
입스위치 타운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19위)[43] 2024-2025
사우스햄튼 FC - 프리미어 리그 강등 구단 (20위)[44] 2024-2025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3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 2023-2024
코번트리 시티 FC 5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 탈락 2000-2001
브리스톨 시티 FC 6위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 탈락 1979-1980
블랙번 로버스 FC 7위 - 2011-2012
밀월 FC 8위 - 1989-1990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9위 - 2020-2021
미들즈브러 FC 10위 - 2016-2017
스완지 시티 AFC 11위 - 2017-2018
셰필드 웬즈데이 FC 12위 - 1999-2000
노리치 시티 FC 13위 - 2021-2022
왓포드 FC 14위 - 2021-2022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15위 - 2014-2015
포츠머스 FC 16위 - 2009-2010
옥스퍼드 유나이티드 FC 17위 - 1987-1988
스토크 시티 FC 18위 - 2017-2018
더비 카운티 FC 19위 - 2007-2008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20위 - 1960-1961
헐 시티 AFC 21위 - 2016-2017
버밍엄 시티 FC - EFL 리그 원 우승 2010-2011
렉섬 AFC - EFL 리그 원 준우승 -
찰턴 애슬레틱 FC - EFL 리그 원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 (4위) 2006-2007

10. 시즌 승강 구단

시즌 프리미어 리그 강등 프리미어 리그 승격 EFL 챔피언십 승격 EFL 챔피언십 강등
18위 19위 20위 우승 준우승 플레이오프 우승 우승 준우승 플레이오프 우승 22위 23위 24위
10-11 블랙풀 FC 버밍엄 시티 FC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노리치 시티 FC 스완지 시티 AFC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사우스햄튼 FC 피터버러 유나이티드 FC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스컨소프 유나이티드 FC
11-12 볼턴 원더러스 FC 블랙번 로버스 FC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레딩 FC 사우스햄튼 FC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찰턴 애슬레틱 FC 셰필드 웬즈데이 허더즈필드 타운 포츠머스 FC[45] 코번트리 시티 FC 동커스터 로버스 FC
12-13 위건 애슬레틱 FC 레딩 FC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카디프 시티 FC 헐 시티 AFC 크리스탈 팰리스 FC 동커스터 로버스 FC AFC 본머스 요빌 타운 FC 피터버러 유나이티드 FC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브리스톨 시티 FC
13-14 노리치 시티 FC 풀럼 FC 카디프 시티 FC 레스터 시티 FC 번리 FC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브렌트포드 FC 로더럼 유나이티드 FC 동커스터 로버스 FC 반즐리 FC 요빌 타운 FC
14-15 헐 시티 AFC 번리 FC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AFC 본머스 왓포드 FC 노리치 시티 FC 브리스톨 시티 FC 밀턴킨스 던스 FC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밀월 FC 위건 애슬레틱 FC 블랙풀 FC
15-16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노리치 시티 FC 아스톤 빌라 번리 FC 미들즈브러 FC 헐 시티 AFC 위건 애슬레틱 FC 버턴 앨비언 FC 반즐리 FC 밀턴킨스 던스 FC 찰턴 애슬레틱 FC 볼턴 원더러스 FC
16-17 헐 시티 AFC 미들즈브러 FC 선덜랜드 AFC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허더즈필드 타운 AFC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볼턴 원더러스 FC 밀월 FC 블랙번 로버스 FC 위건 애슬레틱 FC 로더럼 유나이티드 FC
17-18 스완지 시티 AFC 스토크 시티 FC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카디프 시티 FC 풀럼 FC 위건 애슬레틱 FC 블랙번 로버스 FC 로더럼 유나이티드 FC 반즐리 FC 버턴 앨비언 FC 선덜랜드 AFC
18-19 카디프 시티 FC 풀럼 FC 허더즈필드 타운 AFC 노리치 시티 FC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아스톤 빌라 FC 루턴 타운 FC 반즐리 FC 찰턴 애슬레틱 FC 로더럼 유나이티드 FC 볼턴 원더러스 FC 입스위치 타운 FC
19-20 AFC 본머스 왓포드 FC 노리치 시티 FC 리즈 유나이티드 FC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풀럼 FC 코번트리 시티 FC 로더럼 유나이티드 FC 위컴 원더러스 FC 찰턴 애슬레틱 FC 위건 애슬레틱 FC 헐 시티 AFC
20-21 풀럼 FC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노리치 시티 FC 왓포드 FC 브렌트포드 FC 헐 시티 AFC 피터버러 유나이티드 FC 블랙풀 FC 위컴 원더러스 FC 로더럼 유나이티드 FC 셰필드 웬즈데이 FC
21-22 번리 FC 왓포드 FC 노리치 시티 FC 풀럼 FC AFC 본머스 노팅엄 포레스트 FC 위건 애슬레틱 FC 로더럼 유나이티드 FC 선덜랜드 AFC 피터버러 유나이티드 FC 더비 카운티 FC 반즐리 FC
22-23 레스터 시티 FC 리즈 유나이티드 FC 사우스햄튼 FC 번리 FC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루턴 타운 FC 플리머스 아가일 FC 입스위치 타운 FC 셰필드 웬즈데이 FC 레딩 FC 블랙풀 FC 위건 애슬레틱 FC
23-24 루턴 타운 FC 번리 FC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레스터 시티 FC 입스위치 타운 FC 사우스햄튼 FC 포츠머스 FC 더비 카운티 FC 옥스퍼드 유나이티드 FC 버밍엄 시티 FC 허더즈필드 타운 AFC 로더럼 유나이티드 FC
24-25 레스터 시티 FC 입스위치 타운 FC 사우스햄튼 FC 리즈 유나이티드 FC 번리 FC 선덜랜드 AFC 버밍엄 시티 FC 렉섬 AFC 찰턴 애슬레틱 FC 루턴 타운 FC 플리머스 아가일 FC 카디프 시티 FC

11. 시즌 결산

11.1. 풋볼 리그 챔피언십

시즌 리그 우승 승점 리그 준우승 승점 플레이오프 우승 플레이오프 준우승
2002-03 포츠머스 FC 98 레스터 시티 FC 92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2003-04 노리치 시티 FC 94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89 크리스탈 팰리스 FC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2004-05 선덜랜드 AFC 94 위건 애슬레틱 FC 87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2005-06 레딩 FC 106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90 왓포드 FC 리즈 유나이티드 FC
2006-07 선덜랜드 AFC 88 버밍엄 시티 FC 86 더비 카운티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2007-08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81 스토크 시티 FC 79 헐 시티 AFC 브리스톨 시티 FC
2008-09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90 버밍엄 시티 FC 83 번리 FC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2009-10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102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91 블랙풀 FC 카디프 시티 FC
2010-11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88 노리치 시티 FC 84 스완지 시티 AFC 레딩 FC
2011-12 레딩 FC 89 사우스햄튼 FC 88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블랙풀 FC
2012-13 카디프 시티 FC 87 헐 시티 AFC 79 크리스탈 팰리스 FC 왓포드 FC
2013-14 레스터 시티 FC 102 번리 FC 93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더비 카운티
2014-15 AFC 본머스 90 왓포드 FC 89 노리치 시티 FC 미들즈브러 FC
2015-16 번리 FC 93 미들즈브러 FC 89 헐 시티 AFC 셰필드 웬즈데이

11.2. EFL 챔피언십

시즌 리그 우승 승점 리그 준우승 승점 플레이오프 우승 플레이오프 준우승
2016-17 뉴캐슬 유나이티드 94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93 허더즈필드 타운 AFC 레딩 FC
2017-18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99 카디프 시티 FC 90 풀럼 FC 아스톤 빌라 FC
2018-19 노리치 시티 FC 94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89 아스톤 빌라 FC 더비 카운티 FC
2019-20 리즈 유나이티드 FC 93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83 풀럼 FC 브렌트포드 FC
2020-21 노리치 시티 FC 97 왓포드 FC 91 브렌트포드 FC 스완지 시티 AFC
2021-22 풀럼 FC 90 AFC 본머스 88 노팅엄 포레스트 FC 허더즈필드 타운 AFC
2022-23 번리 FC 101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91 루턴 타운 FC 코번트리 시티 FC
2023-24 레스터 시티 FC 97 입스위치 타운 FC 96 사우스햄튼 FC 리즈 유나이티드 FC
2024-25 리즈 유나이티드 FC 100 번리 FC 100 선덜랜드 AFC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12. 구단별 우승 횟수

<rowcolor=#ffffff> 구단명 우승 횟수
레스터 시티 FC 8
맨체스터 시티 FC 7
셰필드 웬즈데이 FC, 선덜랜드 AFC, 노리치 시티 FC, 리즈 유나이티드 FC 5
버밍엄 시티 FC, 더비 카운티 FC, 리버풀 FC, 미들즈브러 FC,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번리 FC
4
볼턴 원더러스 FC, 입스위치 타운 FC, 노팅엄 포레스트 FC, 노츠 카운티 FC,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풀럼 FC
3
아스톤 빌라, 첼시 FC, 크리스탈 팰리스 FC, 그림즈비 타운 FC,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레딩 FC, 스토크 시티 FC, 토트넘 홋스퍼 FC,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2
블랙번 로버스 FC, 블랙풀 FC, AFC 본머스, 브래드포드 시티 AFC, 브렌트포드 FC,
브리스톨 시티 FC, 베리 FC, 카디프 시티 FC, 찰턴 애슬레틱 FC, 코번트리 시티 FC,
에버튼 FC, 허더즈필드 타운 AFC, 루턴 타운 FC, 밀월 FC, 올덤 애슬레틱 AFC,
옥스퍼드 유나이티드 FC, 포츠머스 FC,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1

13. 역대 득점왕

<rowcolor=#ffffff> 시즌 이름 소속 구단 득점
2004-05 네이선 엘링턴 위건 애슬레틱 FC 18
2005-06 말론 킹 왓포드 FC 21
2006-07 제이미 큐레튼 콜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3
2007-08 실반 이뱅크스블레이크 플리머스 아가일 FC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23
2008-09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25
2009-10 피터 위팅엄 카디프 시티 FC 22
2010-11 대니 그레이엄 왓포드 FC 24
2011-12 리키 램버트 사우스햄튼 FC 27
2012-13 글렌 머레이 크리스탈 팰리스 FC 30
2013-14 로스 맥코맥 리즈 유나이티드 FC 28
2014-15 대릴 머피 입스위치 타운 FC 27
2015-16 안드레 그레이 번리 FC 25
2016-17 크리스 우드 리즈 유나이티드 FC 27
2017-18 마테이 비드라 더비 카운티 FC 21
2018-19 테무 푸키 노리치 시티 FC 29
2019-20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풀럼 FC 26
2020-21 아이반 토니 브렌트포드 FC 31
2021-22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풀럼 FC 43
2022-23 추바 악폼 미들즈브러 FC 28
2023-24 사미 스모딕스 블랙번 로버스 FC 27
2024-25 조엘 피루 리즈 유나이티드 FC 19

14. 올해의 선수

<rowcolor=#ffffff> 시즌 이름 소속 구단
2005-06 필 야기엘카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2006-07 제이슨 쿠마스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2007-08 케빈 필립스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2008-09 실뱅 이뱅스블레이크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2009-10 케빈 놀란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2010-11 아델 타랍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2011-12 리키 램버트 사우스햄튼 FC
2012-13 마테이 비드라 왓포드 FC
2013-14 대니 잉스 번리 FC
2014-15 패트릭 뱀포드 미들즈브러 FC
2015-16 안드레 그레이 번리 FC
2016-17 앙토니 크노카르트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2017-18 라이언 세세뇽 풀럼 FC
2018-19 테무 푸키 노리치 시티 FC
2019-20 올리 왓킨스 브렌트포드 FC
2020-21 에밀리아노 부엔디아 노리치 시티 FC
2021-22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풀럼 FC
2022-23 추바 악폼 미들즈브러 FC
2023-24 크리센시오 서머빌 리즈 유나이티드 FC
2024-25 구스타보 하머르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15. 관련 문서

1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a274f,#ddd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colbgcolor=#1a274f><colcolor=#fff><rowcolor=#fff> 구분 대회 리그 단계
남자 <colbgcolor=#1a274f><colcolor=#fff> 프로 파일:프리미어 리그 패치.svg 프리미어 리그 1부 리그
파일:스카이 벳 EFL 로고.svg 잉글리시 풋볼 리그 파일:스카이 벳 EFL 챔피언십 로고.svg EFL 챔피언십 2부 리그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원 로고.svg EFL 리그 원 3부 리그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투 로고.svg EFL 리그 투 4부 리그
세미프로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5부 리그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노스 로고.svg 내셔널 리그 노스 6부 리그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사우스 로고.svg 내셔널 리그 사우스
파일:노던 프리미어 리그 로고.svg 노던 프리미어 리그 파일:노던 프리미어 리그 로고.svg 프리미어 디비전 7부 리그
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svg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 화이트.svg 서던 풋볼 리그 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svg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 화이트.svg 프리미어 디비전 센트럴
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svg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 화이트.svg 프리미어 디비전 사우스
파일:이스미언 풋볼 리그 심볼.svg 이스미언 리그 파일:이스미언 풋볼 리그 심볼.svg 프리미어 디비전
U-21 파일:프리미어 리그 패치.svg 프리미어 리그 2 21세 이하
U-18 파일:프리미어 리그 패치.svg U18 프리미어 리그 18세 이하
여자 프로 파일:바클리스 FA 위민스 슈퍼 리그 로고(2022).svg FA 여자 슈퍼 리그 1부 리그
파일:바클리스 FA 위민스 챔피언십 로고(2022).svg FA 여자 챔피언십 2부 리그
세미프로 파일:FA 여자 내셔널 리그 심볼.svg FA 여자 내셔널 리그 3부 리그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1489> 파일:스카이 벳 EFL 로고.svg잉글리시 풋볼 리그
주관 대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스카이 벳 EFL 챔피언십 로고.svg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원 로고.svg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투 로고.svg 파일:카라바오 컵 로고.svg 파일:버투 트로피 로고.svg
EFL 챔피언십 EFL 리그 원 EFL 리그 투 EFL컵 EFL 트로피
}}}}}}}}}}}} ||

[1] 현재는 20개 팀만 참가.[2] 당시 명칭. 현재는 프리미어 리그.[3] 2015-16 시즌 이전까진 풋볼 컨퍼런스[4] 3위-6위, 4위-5위간의 홈 앤드 어웨이 4강전 후 승자간의 단판 결승전으로 치러진다.[5] 1부 리그에서 강등된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클럽들이나 돈이 많은 외국인 구단주가 전권을 잡은 클럽들이 평균치를 올려버렸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리그 원에서 승격된 중소 클럽들은 주급이 훨씬 적다.[6] 한 시즌 동안 치르는 리그 경기만 한정해도 프리미어 리그보다 8경기나 많다. 여기에 3위 팀부터 6위 팀까지 승격 플레이오프를 치러야 하기 때문에 46경기를 진행하고도 프리미어 리그보다 정규 시즌이 2주 정도 일찍 끝나는 살인적인 밀도를 자랑한다. 심지어 프리미어 리그 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스쿼드로 FA컵과 리그컵까지 전부 치러야 하기 때문에, 축구팬들 사이에선 프리미어 리그 강등권 팀의 리그 잔류보다 챔피언십 팀의 프리미어 리그 승격이 더 어렵다는 말도 나온다.[7] 이 2년 연속 강등은 5년 후 선덜랜드 AFC가 다시 당하게 된다.[8] 이렇게 프리미어 리그에 속한 팀들이 강등되고 나서 챔피언십에서도 버티지 못하는 경우는 대개 프리미어 리그에서 살아남기 위해 지나치게 큰 규모로 운영을 하다 적자를 버티지 못해 팀 운영 규모를 긴축하자 주전급 선수들 상당수가 떠나고, 그 빈 자리를 대체하지 못하면서 전력 자체가 챔피언십 미만급으로 떨어져 버리는 경우이다. 연속 강등까지는 아니라도 이렇게 한때 프리미어 리그에서 잘 나갔던 팀들이 3부 리그 이하 맛을 보는 경우는 울버햄튼과 선덜랜드 AFC뿐만 아니라 리즈 유나이티드 FC, 볼턴 원더러스 FC, 블랙번 로버스 FC 등등 생각보다 그리 드물지 않으며, 프리미어 리그 출범 이전 시즌까지 보면 노팅엄 포레스트 FC, 맨체스터 시티 FC 역시 프리미어 리그 출범 이전에는 잘 나갔다가 프리미어 리그가 생긴 이후 한때 3부 리그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온 케이스이다.[9] 뉴캐슬과 입스위치의 전설적 감독 바비 롭슨 경이 시즌 시작 직전 사망해 양 팀의 합의 하에 롭슨 경 추모 경기로 펼쳐져 만원 관중이 들어찼다. 경기 결과는 숄라 아메오비가 해트트릭을 기록한 뉴캐슬의 3:0 승리.[10] 2017-18 시즌에 셰필드 유나이티드가 리그 원에서 승격함에 따라 다시 한 번 이루어지게 되었다.[11] 웨스트 브롬위치는 3번을 당했다.[12] 선덜랜드마저도 3년 동안 강등권 싸움을 했다. 오히려 웨스트 브롬위치가 더 안정적인 모습이다. 결국 선덜랜드는 2016-17 시즌 프리미어 리그 최하위로 강등이 확정되었다.[13] 2024-25 시즌 PL은 강등권 3팀이 일찍이 정해져서 하위권을 달리던 맨유와 토트넘은 리그는 과감히 포기하고 유로파 리그에 올인했다. 그 결과는...[14] 2023-24 시즌 번리, 루턴 타운, 셰필드 유나이티드 2024-25 시즌 사우스햄튼, 레스터시티, 입스위치 타운[15] 1997-98, 2023-24, 2024-25[16] 출전일을 기준으로 한다.[17] 소속 구단이 챔피언십 소속일 시기만 기재한다.[겨울] 겨울 이적 시장서 합류[임대] [임대] [임대] [겨울] [임대] [겨울] [강등] [승격] [겨울] [임대] [29] EFL 챔피언십부터는 모든 경기를 중계하지 않고 일부 경기만 중계하기 때문에 한국 선수들이 뛰는 경기를 100% 볼 수 있는 건 아니다. 중계 편성이 되지 않은 경기를 보기 위해서는 각 구단 홈페이지에서 운영하는 유료 중계를 봐야 한다.[30] 빅클럽이 강등을 당하면 프리미어 리그 복귀 여부를 놓고 주목도가 높아지고 덤으로 중계권료도 높아질 테니 EFL 측에는 엄청난 호재가 된다.[31] 버밍엄 시티는 수익성 및 지속 가능성 규칙을 지키지 못해서 승점 9이 삭감이 됐다.[32] 위건 애슬레틱 FC의 재정 문제(임금 체불)로 인한 승점 12점 삭감 징계 항소가 기각이 되어 반즐리 FC가 21위가 되어 잔류, 위건 애슬래틱이 23위가 되어 강등되었다.[33] 6년 만의 강등[34] 1년 만의 강등[35] 1년 만의 강등[36] 9년 만의 강등[37] 3년 만의 강등[38] 11년 만의 강등[39] 1년 만의 강등[40] 1년 만의 강등[41] 1년 만의 강등[42] 1년 만의 강등[43] 1년 만의 강등[44] 1년 만의 강등[45] 재정난으로 승점 10점 삭감이 결정되어 또다시 강등의 아픔을 겪었다. 삭감이 없었다면 잔류 가능한 승점. 최대의 지역 라이벌인 사우샘프턴이 1년 만에 프리미어 리그로 올라온 것을 생각하면 포츠머스 팬들의 슬픔은 더 클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