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4 21:57:51

내셔널 리그(잉글랜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a274f,#ddd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colbgcolor=#1a274f><colcolor=#fff><rowcolor=#fff> 구분 대회 리그 단계
남자 <colbgcolor=#1a274f><colcolor=#fff> 프로 파일:프리미어 리그 패치.svg 프리미어 리그 1부 리그
파일:스카이 벳 EFL 로고.svg 잉글리시 풋볼 리그 파일:스카이 벳 EFL 챔피언십 로고.svg EFL 챔피언십 2부 리그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원 로고.svg EFL 리그 원 3부 리그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투 로고.svg EFL 리그 투 4부 리그
세미프로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5부 리그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노스 로고.svg 내셔널 리그 노스 6부 리그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사우스 로고.svg 내셔널 리그 사우스
파일:노던 프리미어 리그 로고.svg 노던 프리미어 리그 파일:노던 프리미어 리그 로고.svg 프리미어 디비전 7부 리그
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svg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 화이트.svg 서던 풋볼 리그 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svg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 화이트.svg 프리미어 디비전 센트럴
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svg파일:서던 풋볼 리그 로고 화이트.svg 프리미어 디비전 사우스
파일:이스미언 풋볼 리그 심볼.svg 이스미언 리그 파일:이스미언 풋볼 리그 심볼.svg 프리미어 디비전
U-21 파일:프리미어 리그 패치.svg 프리미어 리그 2 21세 이하
U-18 파일:프리미어 리그 패치.svg U18 프리미어 리그 18세 이하
여자 프로 파일:바클리스 FA 위민스 슈퍼 리그 로고(2022).svg FA 여자 슈퍼 리그 1부 리그
파일:바클리스 FA 위민스 챔피언십 로고(2022).svg FA 여자 챔피언십 2부 리그
세미프로 파일:FA 여자 내셔널 리그 심볼.svg FA 여자 내셔널 리그 3부 리그
}}}}}}}}}}}} ||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로고 가로형.svg
2025-26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373a3c,#dddddd
파일:게이츠헤드 FC 로고.svg
파일:로치데일 AFC 로고.svg
파일:모컴 FC 로고.svg
파일:보스턴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보어럼 우드 FC 로고.svg
파일:브래클리 타운 FC 로고.svg
파일:브레인트리 타운 FC 로고.svg
파일:사우스엔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서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솔리헐 무어스 FC 로고.svg
파일:스컨소프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올더숏 타운 FC 로고.svg
파일:올트링엄 FC 로고.svg
파일:요빌 타운 FC 로고.svg
파일:요크 시티 FC 로고.svg
파일:워킹 FC 로고.svg
파일:윌드스톤 FC 로고.svg
파일:이스트리 FC 로고.svg
파일:칼라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탬워스 FC 로고.svg
파일:트루로 시티 FC 로고.svg
파일:포레스트 그린 로버스 FC 로고.svg
파일:하틀리풀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FC 핼리팩스 타운 로고.svg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투 로고 가로형.svg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노스 로고 가로형.svg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사우스 로고 가로형.svg
}}}}}}}}}}}}}}} ||
<colcolor=#fff> National League
내셔널 리그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로고.svg
<colbgcolor=#36b86b> 창설 연도 1979년 (얼라이언스 프리미어 리그)
2006년 (컨퍼런스 내셔널)
2010년 (컨퍼런스 프리미어)
2015년 (내셔널 리그)
참가 구단 수 24개 구단
상위 리그 EFL 리그 투
하위 리그 내셔널 리그 노스, 내셔널 리그 사우스
최근 우승 구단 바닛 FC (2024-25)
최다 우승 구단 바닛 FC (4회)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진행 방식4. 특징
4.1. 수준
5. 참가 구단
5.1. 2025-26 시즌5.2. 2024-25 시즌5.3. 2023-24 시즌5.4. 2022-23 시즌5.5. 2021-22 시즌5.6. 2020-21 시즌5.7. 2019-20 시즌5.8. 2018-19 시즌5.9. 2017-18 시즌5.10. 2016-17 시즌
6. 시즌 결산
6.1. 승강제 이전6.2. 승강제 이후
6.2.1. 플레이오프제 이전6.2.2. 플레이오프제 이후
7. 구단별 우승 횟수8. 프로 구단으로서 내셔널 리그를 경험한 구단9. 관련 문서

1. 개요

잉글랜드의 축구 리그 구조[1]의 5부 리그이자 논 리그의 최상위 리그다. 즉 프로와 준프로의 경계선[2]을 이루는 리그다. 잉글랜드 축구에서 가장 낮은 단계의 전국구 리그로 총 24개의 구단이 리그에 참가한다.

관중 수는 3,000명선이며, 연봉은 이 기사(영문)[3]를 참고.

잉글리시 풋볼 리그(EFL)가 EFL 챔피언십, EFL 리그 원, EFL 리그 투의 세 개 디비전을 거느리는 것처럼, 내셔널 리그도 5부 리그인 내셔널 리그와 6부 리그인 내셔널 리그 노스, 내셔널 리그 사우스의 두 개 디비전을 포함해 3개의 리그를 거느린다. 또한 내셔널 리그는 잉글랜드 전국 단위 리그의 마지막 단계이기도 하다. 이 리그에서 강등될 경우 지역별 디비전으로 떨어진다.

내셔널 리그에 참가하는 24개 구단 중 EFL 리그 투로 승격되는 구단은 단 둘에 불과하다. 우승 구단만이 자동으로 승격하며, 2위부터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격할 수 있다. 한 번 떨어지면 다시 승격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프로 축구 클럽의 연옥으로 비유되기도 한다.

2. 역사

파일:external/greenscene.me/bluesquarepremierlogo.jpg
콘퍼런스 내셔널 시절의 로고.[4]

파일:k4RaZWk.jpg
콘퍼런스 프리미어 시절의 로고.[5]

파일:바나라마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15-16 시즌부터 2024-25 시즌까지 바나라마가 스폰서를 맡았을 당시 로고.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5-26 시즌부터 엔터프라이즈가 스폰서를 맡으면서 사용되는 로고.

1979년에 '얼라이언스 프리미어 리그'로 창설, 처음에는 노던 프리미어 리그의 팀들과 서던 프리미어 리그의 팀들이 참가한 것을 시작으로 1986년에 풋볼 리그로의 자동 승강제가 승인[6]되기 시작했는데, 원래는 한 팀만 승격했지만 2002년부터 두 팀으로 늘어난 뒤 2006년에 콘퍼런스 내셔널로 명칭을 변경, 2010-11 시즌부터 콘퍼런스 프리미어로 명칭을 재변경, 2015-16 시즌부터 현재의 이름으로 재변경했다.[7][8]

2025년 6월 23일(한국 시간), 렌터카 업체인 엔터프라이즈가 내셔널 리그(5~6부) 스폰서를 맡으면서 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노스/사우스로 결정되었다.#

3. 진행 방식

총 24개 팀이 46경기를 치른다. 우승팀은 별도의 플레이오프 없이 바로 승격 자격 심사 대상이 되며, 2위부터 7위는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플레이오프는 5위와 6위, 4위와 7위팀이 상위팀의 홈에서 단판 승부를 벌이고, 각각 승자가 2위팀과 3위팀의 홈에서 단판 준결승, 결승은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마찬가지로 단판 경기로 치른다. 리그 우승팀과 플레이오프 우승팀은 EFL 사무국의 심사에 따라 EFL 리그 투로 승격한다.

리그 21위부터 24위까지는 연고지에 따라 내셔널 리그 노스 혹은 내셔널 리그 사우스로 강등된다. 하위리그 또한 우승팀은 자동 승격, 2위~7위는 플레이오프를 거쳐 1팀만 승격한다.[9]

4. 특징

프로와 준프로의 경계선에 있는 만큼 상위 EFL 리그와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다.

대부분의 내셔널 리그 선수들은 일반 직장인 수준의 급여를 받으며, 일부 선수들은 파트타임 계약을 하기도 한다. 내셔널 리그의 선수 평균 급여는 EFL 리그 투 평균의 절반 정도[10]에 불과하다. 3년 이상의 장기 계약이 일반적인 상위 프로 팀들과 달리 내셔널 리그는 대부분 한 시즌마다 계약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다 보니 선수 발굴로 이적 수익을 내는 것도 어렵다. 좋은 선수들은 내셔널 리그 팀에서 뛰는 것을 꺼리기 때문에 프리미엄을 지불해야 하며, 외국인 선수의 취업 비자 발급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외국인 선수를 영입하지도 못한다.

상위 리그로 승격하는 팀은 단 두 팀에 불과하며, 리그를 우승하지 못하는 경우 플레이오프를 거쳐야 승격이 가능하다. 내셔널 리그 팀이 EFL 리그 투로 승격하면 못해도 연간 100만 파운드 가량의 추가 수입이 생기는데, 이는 반대로 내셔널 리그로 강등되는 경우 엄청난 재정난을 겪게 된다는 말이기도 하다. 강등된 팀이 상황을 빠르게 수습하지 못하는 경우 기약 없이 갇히는 일도 흔히 일어난다.

승격하는 팀이 둘밖에 없고, 선수 영입도 힘들기 때문에 돈을 쏟아부어도 승격을 장담할 수가 없다. 당장 라이언 레이놀즈와 롭 매킬헤니가 인수한 렉섬 AFC는 첫 시즌에 리그 2위를 기록하고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며 승격에 실패했다. 그 다음 시즌에 이를 갈고 EFL 리그 원 수준의 스쿼드를 구축한 후에야 승점 111점을 기록하며 리그 우승과 승격에 성공했다. 그마저도 2위 노츠 카운티 FC의 승점이 107점이어서 리그 막판까지 피말리는 우승 경쟁을 해야 했다.[11] 그야말로 연옥.

4.1. 수준

전반적인 리그 수준은 확실히 상위 리그에 비해서 떨어지는 편이다. 하지만 벗어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인지, 내셔널 리그에서 승격한 팀들은 EFL 리그 투에서도 좋은 성적을 내는 경우가 흔하다. 상기한 렉섬 AFC는 승격 직후인 2023-24 시즌부터 곧바로 우승 경쟁을 하고 있으며, 경쟁 상대 중 하나는 2021-22 시즌에 렉섬을 꺾고 내셔널 리그 우승과 승격을 이뤄낸 스톡포트 카운티 FC이다. 스톡포트 역시 승격 직후인 2022-23 시즌에 리그 4위로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연속 승격에 도전한 팀이다. 렉섬과 함께 승격한 노츠 카운티 FC도 승격 플레이오프 순위권을 유지하며 좋은 활약을 하고 있다.

세미 프로 리그이지만 선수 대부분은 프로 구단 경력이 있다. 4개의 프로 리그에서 밀려난 선수와 프로 선수의 꿈을 꾸고 축구에 입문했으나 프로 구단에서 기회를 얻지 못한 선수 혹은 2군에서 지내다 경기를 뛰기 위해 스스로 내려온 선수, 불운이 겹치며 연속 강등을 당해 굴러떨어진 클럽 소속 선수 등 그래도 한 가닥 하는 선수가 포진[12]해 있다. 5부 리그라고 해서 아마추어 취미인이 축구 좀 한다고 뛰는 리그는 아니다. 한국의 K리그2 중위권 수준의 관중을 동원하며, 수준은 K4리그 상위권~K3리그 최하위권 수준으로 추측된다.[13]

5. 참가 구단

5.1. 2025-26 시즌[14]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최근 1부 리그 참가
칼라일 유나이티드 FC - EFL 리그 투 23위 1974-1975
모컴 FC - EFL 리그 투 24위 -
사우스엔드 유나이티드 FC 7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 -
요크 시티 FC 2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
포레스트 그린 로버스 FC 3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
로치데일 AFC 4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
FC 핼리팩스 타운 6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
게이츠헤드 FC 8위 - -
올트링엄 FC 9위 - -
탬워스 FC 10위 - -
하틀리풀 유나이티드 FC 11위 - -
서튼 유나이티드 FC 12위 - -
이스트리 FC 13위 - -
솔리헐 무어스 FC 14위 - -
워킹 FC 15위 - -
올더숏 타운 FC 16위 - -
브레인트리 타운 FC 17위 - -
요빌 타운 FC 18위 - -
보스턴 유나이티드 FC 19위 - -
윌드스톤 FC 20위 - -
브래클리 타운 FC - 내셔널 리그 노스 우승 -
스컨소프 유나이티드 FC - 내셔널 리그 노스 플레이오프 우승 -
트루로 시티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우승 -
보어럼 우드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플레이오프 우승 -

5.2. 2024-25 시즌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최근 1부 리그 참가
서튼 유나이티드 FC - EFL 리그 투 23위 -
포레스트 그린 로버스 FC - EFL 리그 투 24위 -
솔리헐 무어스 FC 5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 -
바닛 FC 2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
올트링엄 FC 4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
게이츠헤드 FC 6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
FC 핼리팩스 타운 7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
올더숏 타운 FC 8위 - -
사우스엔드 유나이티드 FC 9위 - -
올덤 애슬레틱 AFC 10위 - 1993-1994
로치데일 AFC 11위 - -
하틀리풀 유나이티드 FC 12위 -
이스트리 FC 13위 - -
메이든헤드 유나이티드 FC 14위 - -
대거넘 앤 레드브리지 FC 15위 - -
윌드스톤 FC 16위 - -
워킹 FC 17위 - -
AFC 파일드 18위 - -
엡스플리트 유나이티드 FC 19위 - -
요크 시티 FC 19위 - -
탬워스 FC - 내셔널 리그 노스 우승 -
보스턴 유나이티드 FC - 내셔널 리그 노스 플레이오프 우승 -
요빌 타운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우승 -
브레인트리 타운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플레이오프 우승 -

====# 구단 순위 #====
파일:바나라마 내셔널 리그 로고 가로형.svg
2024-25 시즌 순위표
순위 경기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바닛 FC 로고.svg
46 31 9 6 97 38 +59 102
2 파일:요크 시티 FC 로고.svg
46 29 9 8 95 42 +53 96
3 파일:포레스트 그린 로버스 FC 로고.svg
46 22 17 7 69 42 +27 83
4 파일:로치데일 AFC 로고.svg
46 21 11 14 69 44 +25 74
5 파일:올덤 애슬레틱 AFC 로고.svg
46 19 16 11 64 48 +16 73
6 파일:FC 핼리팩스 타운 로고.svg
46 19 13 14 50 46 +4 70
7 파일:사우스엔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46 17 17 12 59 48 +11 68
8 파일:게이츠헤드 FC 로고.svg
46 19 10 17 76 68 +8 67
9 파일:올트링엄 FC 로고.svg
46 17 13 16 68 62 +6 64
10 파일:탬워스 FC 로고.svg
46 17 13 16 65 72 -7 64
11 파일:하틀리풀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46 14 18 14 59 62 -3 60
12 파일:서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46 15 15 16 59 64 -5 60
13 파일:이스트리 FC 로고.svg
46 14 17 15 58 61 -3 59
14 파일:솔리헐 무어스 FC 로고.svg
46 16 10 20 61 67 -6 58
15 파일:워킹 FC 로고.svg
46 13 19 14 52 59 -7 58
16 파일:올더숏 타운 FC 로고.svg
46 14 15 17 69 83 -14 57
17 파일:브레인트리 타운 FC 로고.svg
46 15 11 20 51 59 -8 56
18 파일:요빌 타운 FC 로고.svg
46 15 11 20 51 60 -9 56
19 파일:보스턴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46 15 10 21 54 67 -13 55
20 파일:윌드스톤 FC 로고.svg
46 13 14 19 56 76 -20 53
21 파일:대거넘 앤 레드브리지 FC 로고.svg
46 12 16 18 61 62 -1 52 [south]
22 파일:메이든헤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45 14 10 22 57 75 -18 52 [south]
23 파일:AFC 파일드 로고.svg
46 11 7 28 50 85 -35 40 [north]
24 파일:엡스플리트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46 3 13 30 38 98 -60 22 [south]
vanarama 내셔널리그 2024-25 시즌 우승 & EFL 리그 투 2025-26 시즌 승격
vanarama 내셔널리그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 & EFL 리그 투 2025-26 시즌 승격
vanarama 내셔널리그 승격 플레이오프 결승 진출
vanarama 내셔널리그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 진출
vanarama 내셔널리그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진출
vanarama 내셔널리그 2025-26 시즌 잔류
vanarama 내셔널리그 노스/사우스 2025-26 시즌 강등

[south] 사우스 디비전 강등[south] 사우스 디비전 강등[north] 노스 디비전 강등[south] 사우스 디비전 강등

5.3. 2023-24 시즌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최근 1부 리그 참가
하틀리풀 유나이티드 FC - EFL 리그 투 23위 -
로치데일 AFC - EFL 리그 투 24위 -
체스터필드 FC 3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 -
보어럼 우드 FC 6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
브롬리 FC 7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
워킹 FC 4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
바닛 FC 5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
사우스엔드 유나이티드 FC 8위 - -
이스트리 FC 9위 - -
대거넘 앤 레드브리지 FC 10위 - -
FC 핼리팩스 타운 11위 - -
올덤 애슬레틱 AFC 12위 - 1993-1994
윌드스톤 FC 13위 - -
게이츠헤드 FC 14위 - -
솔리헐 무어스 FC 15위 - -
도킹 원더러스 FC 16위 - -
올트링엄 FC 17위 - -
올더숏 타운 FC 18위 - -
요크 시티 FC 19위 - -
메이든헤드 유나이티드 FC 20위 - -
AFC 파일드 - 내셔널 리그 노스 우승 -
키더민스터 해리어스 FC - 내셔널 리그 노스 플레이오프 우승 -
엡스플리트 유나이티드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우승 -
옥스퍼드 시티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플레이오프 우승 -

5.4. 2022-23 시즌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최근 1부 리그 참가
올덤 애슬레틱 AFC - EFL 리그 투 23위[15] 1993-1994
스컨소프 유나이티드 FC - EFL 리그 투 24위 -
솔리헐 무어스 FC 3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 -
렉섬 AFC 2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
체스터필드 FC 7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
FC 핼리팩스 타운 4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
노츠 카운티 FC 5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1991-1992
대거넘 앤 레드브리지 FC 8위 - -
보어럼 우드 FC 9위 - -
브롬리 FC 10위 - -
토키 유나이티드 FC 11위 - -
요빌 타운 FC 12위 - -
사우스엔드 유나이티드 FC 13위 - -
올트링엄 FC 14위 - -
워킹 FC 15위 - -
윌드스톤 FC 16위 - -
메이든헤드 유나이티드 FC 17위 - -
바닛 FC 18위 - -
이스트리 FC 19위 - -
올더숏 타운 FC 20위 - -
게이츠헤드 FC - 내셔널 리그 노스 우승 -
요크 시티 FC - 내셔널 리그 노스 플레이오프 우승 -
메이드스톤 유나이티드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우승 -
도킹 원더러스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플레이오스 우승 -

5.5. 2021-22 시즌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사우스엔드 유나이티드 FC - EFL 리그 투 23위
그림즈비 타운 FC - EFL 리그 투 24위
토키 유나이티드 FC 2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
스톡포트 카운티 FC 3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노츠 카운티 FC 5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체스터필드 FC 6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브롬리 FC 7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렉섬 AFC 8위 -
이스트리 FC 9위 -
FC 핼리팩스 타운 10위 -
솔리헐 무어스 FC 11위 -
대거넘 앤 레드브리지 FC 12위 -
메이든헤드 유나이티드 FC 13위 -
보어럼 우드 FC 14위 -
올더숏 타운 FC 15위 -
요빌 타운 FC 16위 -
올트링엄 FC 17위 -
웨이머스 FC 18위 -
윌드스톤 FC 19위 -
워킹 FC 20위 -
킹스 린 타운 FC 21위 -
바닛 FC 22위 -
도버 애슬레틱 FC - [16]

2021-22 시즌은 23팀이 참가하며 3팀이 강등된다. 도버 애슬레틱 FC는 지난 시즌 중 기권으로 인한 징계로 승점 12점 삭감 징계를 받았다.

5.6. 2020-21 시즌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매클즈필드 타운 FC - EFL 리그 투 24위
노츠 카운티 FC 3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
요빌 타운 FC 4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보어럼 우드 FC 5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FC 핼리팩스 타운 6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바닛 FC 7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스톡포트 카운티 FC 8위 -
솔리헐 무어스 FC 9위 -
워킹 FC 10위 -
도버 애슬레틱 FC 11위 -
하틀리풀 유나이티드 FC 12위 -
브롬리 FC 13위 -
토키 유나이티드 FC 14위 -
서튼 유나이티드 FC 15위 -
이스트리 FC 16위 -
대거넘 앤 레드브리지 FC 17위 -
올더숏 타운 FC 18위 -
렉섬 AFC 19위 -
체스터필드 FC 20위 -
메이든헤드 유나이티드 FC 21위 -
킹스 린 타운 FC - 내셔널 리그 노스 우승
올트링엄 FC - 내셔널 리그 노스 플레이오프 우승
윌드스톤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우승
웨이머스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플레이오프 우승

그야말로 수난인데, 일단 첫번째로 매클즈필드 타운 FC이 리그 구성 도중 해체했으며, 도버 애슬레틱 FC은 리그가 진행되는 중에 시즌을 포기해버렸다. 도버는 시즌 포기이기 때문에 강등이 문제가 아니라 리그 퇴출 혹은 최악의 경우 구단이 해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일단은 다음 시즌 승점 12점 삭감이라는 징계가 나왔기 때문에 일단은 참가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즌 도중 해체 혹은 포기하는 팀이 나오면 자동으로 강등팀을 줄이는 규정에 따라 20위와 최하위를 기록한 팀만 강등될 예정이었으나, 6부 이하의 리그들이 아예 시즌 취소가 되면서 강등팀은 없게 되었다. 대신 2021-22 시즌에는 23개 팀이 시즌을 치르고 3개 팀만 강등된다.

플레이오프 결승전은 토키 유나이티드 FC하틀리풀 유나이티드 FC인데 결승전 장소로 쓰이는 웸블리 스타디움유로 2020 D조의 경기장으로 쓰이면서 EFL 챔피언십 브리스톨 시티 FC의 홈인 애쉬튼 게이트 스타디움에서 열리게 되었다.

5.7. 2019-20 시즌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노츠 카운티 FC - EFL 리그 투 23위
요빌 타운 FC - EFL 리그 투 24위
솔리헐 무어스 FC 2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렉섬 AFC 4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AFC 파일드 5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
해러것 타운 AFC 6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이스트리 FC 7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앱스플리트 유나이티드 FC 8위 -
서튼 유나이티드 FC 9위 -
배로 AFC 10위 -
브롬리 FC 11위 -
바닛 FC 12위 -
도버 애슬레틱 FC 13위 -
체스터필드 FC 14위 -
FC 핼리팩스 타운 15위 -
하틀리풀 유나이티드 FC 16위 -
대거넘 & 레드브리지 FC 18위 -
메이든헤드 유나이티드 FC 19위 -
보어럼 우드 FC 20위 -
올더숏 타운 FC 21위 [17]
스톡포트 카운티 FC - 내셔널 리그 노스 우승
촐리 FC - 내셔널 리그 노스 플레이오프 우승
토키 유나이티드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우승
워킹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플레이오프 우승

코로나19로 인해 시즌을 조기 종료시켰고, 2020년 6월 18일에 시즌 종료 방식을 발표했는데, 경기 당 승점의 방식으로 순위를 매겨 종료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배로 AFC가 다이렉트로 승격하게 되었고, 2~6위 팀은 경기 당 승점으로도 순위 변화가 없으나 11위의 바닛 FC가 경기 당 승점으로는 7위에 해당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되었다. 플레이오프는 영국 현지 시간으로 2020년 7월 17일 19시 5위 보어럼 우드 FC와 6위 해러것 타운 AFC의 경기를 시작으로 8월 2일 15시까지 진행됐다. 강등은 3팀인데 앱스플리트 타운 딱 한팀만 내셔널 리그 사우스로 강등되었고 나머지 AFC 필드와 촐리 FC는 내셔널 리그 노스로 강등되었다.

5.8. 2018-19 시즌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바닛 FC - EFL 리그 투 23위
체스터필드 FC - EFL 리그 투 24위
서튼 유나이티드 FC 3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보어럼 우드 FC 4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
올더숏 타운 FC 5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엡스플리트 유나이티드 FC 6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AFC 파일드 7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도버 애스레틱 FC 8위 -
브롬리 FC 9위 -
렉섬 AFC 10위 -
대거넘 & 레드브리지 FC 11위 -
메이든헤드 유나이티드 FC 12위 -
레이턴 오리엔트 FC 13위 -
이스트리 FC 14위 -
하틀리풀 유나이티드 FC 15위 -
FC 핼리팩스 타운 16위 -
게이츠헤드 FC 17위 -
솔리헐 무어스 FC 18위 -
메이드스톤 유나이티드 FC 19위 -
배로 AFC 20위 -
솔퍼드 시티 FC - 내셔널 리그 노스 우승
해러것 타운 AFC - 내셔널 리그 노스 플레이오프 우승
해번트 앤 워털루빌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우승
브레인트리 타운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플레이오프 우승

5.9. 2017-18 시즌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하틀리풀 유나이티드 FC - EFL 리그 투 23위
레이턴 오리엔트 FC - EFL 리그 투 24위
트란메어 로버스 2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준우승
대거넘 & 레드브리지 FC 4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올더숏 타운 FC 5위 전 시즌 승격 플레이오프 4강
도버 애슬레틱 FC 6위 -
배로 AFC 7위 -
게이츠헤드 FC 8위 -
매클즈필드 타운 FC 9위 -
브롬리 FC 10위 -
보어럼 우드 FC 11위 -
서튼 유나이티드 FC 12위 -
렉섬 AFC 13위 -
메이드스톤 유나이티드 FC 14위 -
이스트리 FC 15위 -
솔리헐 무어스 FC 16위 -
토키 유나이티드 FC 17위 -
워킹 FC 18위 -
체스터 FC 19위 -
귀즐리 AFC 20위 -
AFC 파일드 - 내셔널 리그 노스 우승
FC 핼리팩스 타운 - 내셔널 리그 노스 플레이오프 우승
메이든헤드 유나이티드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우승
엡스플리트 유나이티드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플레이오프 우승

5.10. 2016-17 시즌

참가 구단 전 시즌 순위 특이 사항
요크 시티 FC - 풋볼 리그 투 23위
대거넘 & 레드브리지 FC - 풋볼 리그 투 24위
포레스트 그린 로버스 2위 -
브레인트리 타운 FC 3위 -
도버 애슬레틱 FC 5위 -
트랜미어 로버스 FC 6위 -
이스트리 FC 7위 -
렉섬 AFC 8위 -
게이츠헤드 FC 9위 -
매클즈필드 타운 FC 10위 -
배로 AFC 11위 -
워킹 FC 12위 -
링컨 시티 FC 13위 -
브롬리 FC 14위 -
올더숏 타운 FC 15위 -
사우스포트 FC 16위 -
체스터 FC 17위 -
토키 유나이티드 FC 18위 -
보어럼 우드 FC 19위 -
귀즐리 AFC 20위 -
솔리헐 무어스 FC - 내셔널 리그 노스 우승
노스 페리비 유나이티드 AFC - 내셔널 리그 노스 플레이오프 우승
서튼 유나이티드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우승
메이드스톤 유나이티드 FC - 내셔널 리그 사우스 플레이오프 우승

6. 시즌 결산

6.1. 승강제 이전

시즌 리그 우승
1979-80 올트링엄
1980-81 올트링엄
1981-82 런콘
1982-83 엔필드
1983-84 메이드스톤 유나이티드
1984-85 윌드스톤
1985-86 엔필드

6.2. 승강제 이후

6.2.1. 플레이오프제 이전

시즌 리그 우승
1986-87 스카버러[18]
1987-88 링컨 시티
1988-89 메이드스톤 유나이티드
1989-90 달링턴
1990-91 바닛
1991-92 콜체스터 유나이티드
1992-93 위컴 원더러스
1993-94 키더민스터 해리어스
1994-95 매클즈필드 타운
1995-96 스티버니지 보로[19]
1996-97 매클즈필드 타운
1997-98 핼리팩스 타운
1998-99 첼트넘 타운
1999-2000 키더민스터 해리어스
2000-01 러시덴 & 다이아몬드
2001-02 보스턴 유나이티드

6.2.2. 플레이오프제 이후

시즌 리그 우승 플레이오프 우승
2002-03 요빌 타운 동커스터 로버스
2003-04 체스터 시티 슈루즈베리 타운 FC
2004-05 바닛 칼라일 유나이티드
2005-06 애크링턴 스탠리 헤리퍼드 유나이티드
2006-07 대거넘 앤 레드브리지 FC 모컴 FC
2007-08 올더숏 타운 엑서터 시티
2008-09 버턴 앨비언 토키 유나이티드
2009-10 스티버니지 보로 옥스퍼드 유나이티드
2010-11 크롤리 타운 AFC 윔블던
2011-12 플릿우드 타운 요크 시티
2012-13 맨스필드 타운 뉴포트 카운티
2013-14 루턴 타운[20] 케임브리지 유나이티드 FC
2014-15 바닛 브리스톨 로버스
2015-16 첼트넘 타운 FC 그림스비 타운
2016-17 링컨 시티 포레스트 그린 로버스
2017-18 매클즈필드 타운 트란메어 로버스 FC
2018-19 레이턴 오리엔트 FC 솔퍼드 시티 FC
2019-20 배로 AFC 해러것 타운 AFC
2020-21 서튼 유나이티드 FC 하틀리풀 유나이티드 FC
2021-22 스톡포트 카운티 FC 그림즈비 타운 FC
2022-23 렉섬 AFC 노츠 카운티 FC
2023-24 체스터필드 FC 브롬리 FC
2024-25 바닛 FC 올덤 애슬레틱 AFC

7. 구단별 우승 횟수

구단명 우승 횟수
바닛 4
매클즈필드 3
올트링엄, 엔필드, 메이드스톤 유나이티드, 키더민스터 해리어스, 스티버니지, 첼트넘 타운, 링컨 시티, 모컴 FC 2
런콘, 동커스터 로버스, 요빌 타운, 체스터 시티, 애크링턴 스탠리, 대거넘 & 레드브리지, 올더숏 타운, 버턴 앨비언, 크롤리 타운, 플릿우드 타운, 러시덴 & 다이아몬드, 보스턴 유나이티드, 핼리팩스 타운, 윌드스톤, 위컴 원더러스, 루턴 타운, 달링턴, 콜체스터 유나이티드, 레이턴 오리엔트 FC, 배로, 서튼 유나이티드 FC, 스톡포트 카운티 FC, 렉섬 AFC, 체스터필드 FC 1

8. 프로 구단으로서 내셔널 리그를 경험한 구단

승강제가 가장 체계적으로 연결된 잉글랜드라 프로 구단들이 심각한 부진이나 재정난에 빠지게 되면 이 리그까지 강등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구단을 꼽으면 다음과 같다.
  • 뉴포트 카운티 AFC
    1987-88 시즌 후 구단 파산으로 인해 프로 자격을 박탈당하고 세미 프로로 강등되었다. 그 후 한동안 오랜 기간 세미 프로 리그에서 뛰다 2012-13 시즌 25년 만의 프로 리그에 복귀하였다.
  • 콜체스터 유나이티드 FC
    1989-90 시즌 컨퍼런스 리그로 강등당하며 사상 첫 프로 리그에서 성적으로 아웃된 프로팀이란 불명예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1990-91 시즌 곧바로 승격에 성공해 프로 리그로 복귀한 이후 다시 5부 리그로 강등되지 않고 있다.
  • 동커스터 로버스 FC
    1997-98 시즌 잉글랜드 프로 축구 역사상 한 시즌 최다패인 34패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최하위로 컨퍼런스 리그 강등을 경험했다. 2002-03 시즌 다시 승격하며 2003-04 시즌부터는 꾸준히 프로 리그에 참가한다.
  • 노츠 카운티 FC
    2018-19 시즌 처음 내셔널 리그로 강등. 이후 2022-23 시즌 승격하며 다시 프로에 복귀했다.
  • 올덤 애슬레틱 AFC
    2021-22 시즌 처음으로 내셔널 리그로 강등, 2022-23 시즌부터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세미 프로 리그를 경험하고 있다가 2024-25 시즌 승격해 프로로 복귀했다. 또한 사상 최초로 프리미어 리그 클럽이 세미 프로 리그로 강등된 사례가 되었다.
  • 루턴 타운 FC
    2008-09 시즌 처음으로 내셔널 리그로 강등되어 2013-14 시즌 리그 우승을 통해 다시 프로로 복귀했다. 이후 팀은 재강등없이 승격을 거듭하며 올덤과 반대로 2023-24 시즌 프리미어 리그 승격에 성공해 사상 최초로 내셔널 리그를 경험한 프리미어 리그 구단이 되었다.
  • 레이턴 오리엔트 FC
    2016-17 시즌 처음으로 내셔널 리그로 강등. 2018-19 시즌 다시 승격하며 프로로 복귀했다.
  • 칼라일 유나이티드 FC
    2003-04 시즌 처음으로 내셔널 리그로 강등. 한 시즌만에 4부 리그에 복귀하나 곧바로 강등되며 2006-07 시즌부터 2013-14 시즌까지 7시즌 동안 5부리그 생활을 하다 다시 프로로 올라갔다. 이후 2024-25시즌 내셔널 리그로 강등되었다.
  • 그림즈비 타운 FC
    2009-10 시즌 처음 내셔널 리그 강등을 겪고 2015-16 시즌에 다시 프로로 복귀하나 다시 2020-21 시즌이 도중 중단되며 중간 성적으로 다시 강등되는 불운을 맞이했다. 그러나 2021-22 시즌 곧바로 승격에 성공하며 다시 프로 리그로 돌아갔다.
  • 트란메어 로버스 FC
    2014-15 시즌 처음 내셔널 리그로 강등됐으나 2017-18 시즌 4부 리그 승격에 성공했다.
  • 스톡포트 카운티 FC
    2010-11 시즌 처음 내셔널 리그로 강등, 이후 11 시즌만인 2021-22 시즌 다시 프로 리그 복귀에 성공했다.
  • 배로 AFC
    이 팀은 좀 특이한 경우로, 1972년 4부 리그 최하위를 찍은 이후 당시 룰에 의해 투표를 통해 제명되며 리그에서 탈퇴 처분을 받아 아마추어 리그로 강등된 팀이다. 이후 지역 리그를 다시 거치며 올라와 2019-20 시즌 내셔널 리그 우승을 통해 48년 만에 프로에 복귀했다.
  • 맨스필드 타운 FC
    2007-08 시즌 첫 세미 프로 리그 강등을 경험했으나 2012-13 시즌부터 4부 리그에 복귀했다.
  • 렉섬 AFC
    라이언 레이놀즈가 운영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2007-08 시즌 처음 5부 리그로 강등되어 15시즌 동안 고군분투하다 2022-23 시즌 5부 리그 우승을 통해 다시 프로로 복귀했다.

9. 관련 문서


[1] 잉글랜드의 리그 체계는 1부 프리미어 리그부터 24부 미드-서식스 풋볼 리그 디비전 11까지 있다.(참고 다만 참고한 글의 작성 연도가 2013년이라서 명칭이 바뀐 리그가 있다.) 프리미어 리그부터 EFL 리그 투까지를 프로 리그, 내셔널 리그부터 노스, 사우스까지는 준프로 리그, 노던 프리미어 리그, 서던 풋볼 리그, 이즈미언 리그부터는 아마추어 리그다. 한국어 위키백과에는 잉글랜드 축구 리그 시스템 항목 구조를 10부 리그까지 적고 그 이하는 한국어권에서 저명성을 얻을 가능성이 극히 희박해 생략했다.[2] 프로 구단에게 EFL 리그 투는 프로 레벨의 마지막 디비전이고, 반대로 아마추어 구단에게 내셔널 리그는 프로 승격의 마지막 관문이기 때문이다. 아마추어 구단이 내셔널 리그에서 승격에 해당하는 성적을 거두고 잉글리시 풋볼 리그의 심사를 통과하면 프로 구단으로 공인받게 된다.[3] 2024년 5월기준 평균 연봉 9,300만-1억 4,000만 원 정도다.[4] 당시 스폰서는 블루스퀘어.[5] 2014-15 시즌부터 2024-25 시즌까지 스폰서는 공구업체 바나라마.[6] 그 이전에는 노던과 서던 소속 팀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별해 프로로 승격시켰다.[7] 5~6부로 보면 풋볼 컨퍼런스에서 2015-16 시즌부터 명칭을 변경했다.(변경 날짜는 2015년 6월 6일)[8] 똑같은 명칭 때문에 위키백과에는 풋볼 컨퍼런스였던 내셔널 리그를 '내셔널 리그 (잉글랜드)'로 컨퍼런스 프리미어였던 내셔널 리그를 '내셔널 리그 (디비전)'으로 구별한다.[9] 다만 6부리그 플레이오프 결승전은 상위팀의 홈구장에서 진행한다.[10] 개요의 기사에 의하면 2024년 5월 기준 내셔널 리그 선수들의 평균 연봉은 9100만 원 정도이다.[11] 역으로 노츠 카운티는 하마터면 승점 107점을 쌓고도 승격에 실패할 뻔했지만, 승부차기 끝에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며 겨우 승격에 성공했다. 이때 노츠 카운티와 승부차기까지 간 체스터필드 FC는 리그 3위를 기록한 팀이었는데, EFL 리그 원에서 연속 강등을 당한 끝에 2018년 이후로 쭉 내셔널 리그에 갇혀버린 팀이다.[12] 엄연히 평균 연봉 1억 원 가까이 받는 나름 능력있는 축구 선수들이다.[13]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강등당하기 전인 2023년 영위벡 자료에 따르면 K리그2는 2,000명대 초반이고 내셔널 리그는 3,000명대이지만, 지금은 수원 삼성의 원정 팬으로 K리그2 관중이 4,400명대로 늘었다. 참고로 2023년 내셔널 리그는 3,000명대, K3리그는 500명대다.[14] 스폰서가 바나라마에서 엔터프라이즈로 바꼈다.[15] 프리미어 리그 팀 출신 최초로 5부 강등[16] 2020-21 시즌 리그 진행 중 재정 부족으로 중도 기권[17] 원래 17위의 게이츠헤드 FC가 2018-19 시즌 재정 불안정으로 내셔널 리그 노스로 강등되고 올더숏 타운이 잔류하게 됐다. #[18] 2007년 해체.[19] 現 스티버니지 FC[20] 2023-24 시즌 현재 프리미어 리그까지 승격하면서 내셔널 리그에 참가한 클럽 중 최초로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한 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