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8 02:50:27

에밀리아노 부엔디아


2 캐시3 린델뢰프4 콘사5 밍스6 바클리ㆍ[[존 맥긴|7 맥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60433; font-size: .8em"]]ㆍ8 틸레만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9 엘리엇10 부엔디아 파일:부상 아이콘.svg11 왓킨스12 디뉴14 파우16 A. 가르시아
17 말런19 산초22 마트센ㆍ[[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 |23 마르티네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60433; font-size: .8em"]]ㆍ24 오나나26 보하르더
27 로저스29 게상40 M. 비조트44 카마라
파일:UEFA ESP.png 우나이 에메리 {{{#660433 {{{#!folding [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에밀리아노 부엔디아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EFL 챔피언십 로고.svg
베스트팀
파일:PFA 심볼.svg
}}} ||
파일:(25/26) Emiliano Buendía.png
아스톤 빌라 FC No. 10
에밀리아노 부엔디아
Emiliano Buendía
<colbgcolor=#660433><colcolor=#ffffff> 본명 에밀리아노 부엔디아 스타티
Emiliano Buendía Stati
출생 1996년 12월 25일 ([age(1996-12-25)]세)
아르헨티나 마르델플라타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페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2cm / 체중 72kg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윙어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650932><colcolor=#ffffff> 유스 카데테스 데 산마르틴 (2009)
레알 마드리드 CF (2009~2010)
헤타페 CF (2010~2014)
선수 헤타페 CF B (2014~2015)
헤타페 CF (2015~2018)
쿨투랄 레오네사 (2017~2018 / 임대)
노리치 시티 FC (2018~2021)
아스톤 빌라 FC (2021~ )
바이어 04 레버쿠젠 (2025 / 임대)
국가대표 1경기 (아르헨티나 / 2022~ )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660433><colcolor=#ffffff> 등번호 아르헨티나 대표팀 - 7번
헤타페 CF - 7번, 32번
쿨투랄 레오네사 - 17번
노리치 시티 FC - 17번
아스톤 빌라 FC - 10번
바이어 04 레버쿠젠 - 16번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
3.1. 연령대 대표팀3.2. 성인 대표팀
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아르헨티나 국적의 아스톤 빌라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윙어.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밀리아노 부엔디아/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밀리아노 부엔디아/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밀리아노 부엔디아/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3.1. 연령대 대표팀

태어나고 자란 곳은 아르헨티나였으나 2009년부터 스페인에서 생활했기 때문인지 2014년 9월에 스페인 U-19팀에 차출되어 3경기를 뛰었다.

그러다가 이듬해 4월, U20 월드컵을 준비중이었던 조국 아르헨티나의 부름을 받았고 최종명단에 올랐다. 본선 3경기 모두 출전했으나 팀은 1승도 거두지 못하는 등 조3위라는 충격적인 결과를 낸채 탈락하고 말았다.

3.2. 성인 대표팀

2021년 5월, A대표팀에 처음으로 이름을 올렸다.

2022년 2월, 월드컵 예선 콜롬비아전에서 80분경 로셀소와 교체되어 아르헨 국대 소속으로 처음 그라운드를 밟았다.

종종 소집은 되고 있으나 아르헨티나의 플레이메이커로는 모두가 아는 그 분이 있어 그 디발라조차 로테자원으로 분류되는 판국이라 출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가 없고, 공격에 자주 가담하는 2~3선 미드필더로서도 엔소 페르난데스, 지오바니 로 셀소, 알렉시스 맥 알리스터 등 앞서나가는 경쟁자가 많아 국대 경기에서 뛰는 부엔디아를 보기가 어려운 상황.

4. 플레이 스타일


아르헨티나 출신 테크니션으로, 측면에서 뛰어난 드리블로 상대를 흔드는 크랙 유형의 2선 자원이다. 172cm의 작은 신장을 보유했지만, 다부진 체형에 무게중심이 낮아서 상대에게 공을 빼앗기지 않고 저돌적인 돌파를 시도한다. 19-20 시즌 프리미어리그에서는 경기당 드리블 횟수 성공 3위, 27경기 3.3회를 기록했다.[1] 공을 다룰 때 개인 능력이 좋고, 주발인 오른발과 약발인 왼발을 모두 수준급으로 사용하는 선수다. 이를 바탕으로, 턴 동작을 할 때의 방향을 변칙적으로 가져가며 상대에게 혼란을 야기한다.

부엔디아는 드리블을 선호하는 드리블러지만, 공격형 미드필더로서 드리블을 통해 상대방을 무력화시킨 후 공격을 전개해가는 플레이를 선호한다. 미드필더로서의 시야가 넓어서 우측면에서 올려주는 크로스나 컷백, 중앙으로 접고 들어와서의 스루패스를 곧잘 시도한다. 18-19 시즌 노리치 소속으로 챔피언쉽에서 90분당 찬스메이킹 횟수 5위에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키패스 수치가 좋은 편이고, 순간적으로 아래나 중앙으로 내려가 자신의 기술로 경기를 풀어가는 능력도 좋다.[2]

부엔디아의 차별점이 있다면, 과거에 활약했던 정적인 테크니션들과는 다르게, 활동량을 많이 가져가는 상당한 하드워커라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공격 진영에서만 머무르지 않고 아래로 내려와 수비적인 기여를 하는데에도 일가견이 있다. 풀백이나 중미와의 협력 수비를 물론이고 상대방을 세게 압박해 공을 뺏어내오는 데에도 좋은 모습을 보인다.[3]

다만, 부엔디아에게서 빠른 스피드를 통한 폭발적인 돌파를 기대하기는 힘들다. 물론 느린 선수는 아니다만, 자신의 스피드를 바탕으로 드리블하는 유형의 드리블러보다는 기본기와 단단한 체구를 바탕으로 볼을 지키면서 운반하거나 동료에게 내어주는 링커의 플레이를 보여준다. 실제 지표 상 다른 드리블러들과 비교하면 볼 운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편이다. 직선적인 드리블 돌파로 역습을 주도하며 크로스나 슈팅을 하기보다는, 강한 압박이나 좁은 공간을 무너뜨리는 드리블을 구사하며 돌파 이후 곧바로 양질의 패스를 통해 공격을 지원하는 스타일이다.

약점으로는 상술한 대로, 작은 신장으로 인해 공중볼 경합 과정에서 매우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엔디아는 투쟁심 넘치는 본인의 하드 워커적 성향으로 인해, 2선에서 활동하는 선수임에도 경고는 물론 다이렉트 레드 카드를 받는 횟수가 높은 편이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여담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스톤 빌라 FC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20250814_104942_Aston_Villa.png
파일:20250907_090354_Aston_Villa.png
파일:20250823_140018_Aston_Villa.png
파일:20250816_194542_Aston_Villa.png
파일:20250814_105040_Aston_Villa.png
<rowcolor=white> 2 3 4(3C) 5(VC) 6
매티 캐시
Matty Cash

파일:폴란드 국기.svg | DF
1997.08.07 ([age(1997-08-07)])
2020~2026
빅토르 린델뢰프
Victor Lindelöf

파일:스웨덴 국기.svg | DF
1994.07.17 ([age(1994-07-17)])
2025~2026
에즈리 콘사
Ezri Konsa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7.10.23 ([age(1997-10-23)])
2019~2026
타이론 밍스
Tyrone Ming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3.03.13 ([age(1993-08-23)])
2019~2027
로스 바클리
Ross Barkley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93.12.05 ([age(1993-12-05)])
2024~2027
파일:20250814_105045_Aston_Villa.png
파일:20250814_105050_Aston_Villa.png
파일:20250907_090406_Aston_Villa.png
파일:20250814_105054_Aston_Villa.png
파일:20250814_105140_Aston_Villa.png
<rowcolor=white> 7(C) 8(4C) 9 10 11
존 맥긴
John McGinn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MF
1994.10.18 ([age(1994-10-18)])
2018~2027
유리 틸레만스
Youri Tielemans

파일:벨기에 국기.svg | MF
1997.05.07 ([age(1997-05-07)])
2023~2027
하비 엘리엇
Harvey Elliott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2003.04.04 ([age(2003-04-04)])
2025~2026[1]
에밀리아노 부엔디아
Emiliano Budendía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FW
1996.12.25 ([age(1996-12-25)])
2020~2028
올리 왓킨스
Ollie Watkin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5.12.30 ([age(1995-12-30)])
2020~2028
파일:20250814_104958_Aston_Villa.png
파일:20250814_105003_Aston_Villa.png
파일:20250823_135517_Aston_Villa.png
파일:20250817_001430_Aston_Villa.png
파일:20250907_090416_Aston_Villa.png
<rowcolor=white> 12 14 16 17 19
뤼카 디뉴
Lucas Digne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3.07.20 ([age(1993-07-20)])
2022~2028
파우 토레스
Pau Torres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1997.01.16 ([age(1997-01-16)])
2023~2028
안드레스 가르시아
Andrés García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2003. 02. 07 ([age(2003-02-07)])
2025~2029
도니얼 말런
Donyell Malen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FW
1999.01.19 ([age(1999-01-19)])
2025~2029
제이든 산초
Jadon Sancho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0.03.25 ([age(2000-03-25)])
2025~2026[2]
파일:20250814_105023_Aston_Villa.png
파일:20250823_140024_Aston_Villa.png
파일:20250814_105103_Aston_Villa.png
파일:20250814_105030_Aston_Villa.png
파일:20250814_105111_Aston_Villa.png
<rowcolor=white> 22 23 24 26 27
이안 마트센
Ian Maatsen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2002.03.10 ([age(2002-03-10)])
2024~2030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
Emiliano Martinez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GK
1992.09.02 ([age(1992-09-02)])
2020~2029
아마두 오나나
Amadou Onana

파일:벨기에 국기.svg | MF
2001.08.16 ([age(2001-08-16)])
2024~2029
라마어 보하르더
Lamare Bogarde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2004.01.05 ([age(2004-01-05)])
2024~2028
모건 로저스
Morgan Roger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2.07.26 ([age(2002-07-26)])
2024~2029
파일:20250814_105118_Aston_Villa.png
파일:20250814_104925_Aston_Villa.png
파일:20250814_105133_Aston_Villa.png
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svg
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svg
<rowcolor=white> 29 40 44 - -
에반 게상
Evann Guessand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 FW
2001.07.01 ([age(2001-07-01)])
2025~2030
마르코 비조트
Marco Bizot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GK
1991.03.10 ([age(1991-03-10)])
2025~
부바카르 카마라
Boubacar Kamara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9.11.23 ([age(1999-11-23)])
2022~2030
구단 정보
구단주: [[나세프 사위리스|{{{#660433 나세프 사위리스}}}]] / 감독: 우나이 에메리 / 수석 코치 : [[파코 아예스타란|{{{#660433 파코 아예스타란}}}]] / 홈 구장: 빌라 파크
출처: 아스톤 빌라 FC 공식 홈페이지, 트랜스퍼마크트
}}}}}}}}} ||

[1] 1위는 아다마 트라오레, 2위는 윌프리드 자하.[2] 19-20 시즌 셰필드 원정, 켄트웰이 드르미치와 교체된 후반전과 같은 경기에서는 부엔디아가 아예 밑으로 내려가 빌드업의 시발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 18-19 시즌, 챔피언십에서 90분당 태클 성공 8위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