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7:35:14

매티 캐시

2 캐시 파일:부상 아이콘.svg3 디사시4 콘사5 밍스 파일:부상 아이콘.svg6 바클리 파일:부상 아이콘.svgㆍ[[존 맥긴|7 맥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60433; font-size: .8em"]]ㆍ8 틸레만스
9 래시포드11 왓킨스12 디뉴14 파우 파일:부상 아이콘.svg16 가르시아17 말런21 M. 아센시오
22 마트센ㆍ[[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 |23 마르티네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60433; font-size: .8em"]]ㆍ24 오나나25 올센26 보하르더27 로저스30 호즈
31 베일리41 J. 램지44 카마라
파일:UEFA ESP.png 우나이 에메리 {{{#660433 {{{#!folding 스태프 더보기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매티 캐시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노팅엄 포레스트 FC 로고.svg
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svg
베스트팀
}}} ||
파일:Matty Cash (24-25).png
아스톤 빌라 FC No. 2
{{{#650932 매티 캐시[1]마티 카시다.]
Matty Cash}}}
<colbgcolor=#650932><colcolor=#ffffff> 본명 매튜 스튜어트 캐시
Matthew Stuart Cash
출생 1997년 8월 7일 ([age(1997-08-07)]세)
잉글랜드 버크셔주 슬라우
국적
[[폴란드|]][[틀:국기|]][[틀:국기|]]
|
[[영국|]][[틀:국기|]][[틀:국기|]] (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신체 185cm / 체중 80kg
포지션 라이트백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650932><colcolor=#ffffff> 유스 위컴 원더러스 FC (2010~2012)
FAB 아카데미 (2013~2014)
노팅엄 포레스트 FC (2014~2016)
선수 노팅엄 포레스트 FC (2016~2020)
대거넘 앤 레드브리지 FC (2016 / 임대)
아스톤 빌라 FC (2020~ )
국가대표 15경기 1골[2] (폴란드 / 2021~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50932><colcolor=#ffffff> 등번호 아스톤 빌라 FC - 2번
폴란드 대표팀 - 2번
후원사 언더아머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여담7.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폴란드 국적의 아스톤 빌라 FC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라이트백이다.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매티 캐시/클럽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잉글랜드 국적이지만, 어머니가 폴란드인이라 폴란드 축구협회가 귀화를 제안했다고 한다. 본인도 긍정적이라고.[3] 그리고 2021년 10월 26일자로 공식적으로 폴란드 국적을 취득함과 동시에 폴란드 여권이 발급되면서,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로 뛸 수 있게 되었다.

2021년 11월 2일 첫 국가대표 소집이 결정되었다.

3.1.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3.1.1. 예선

파일:[Downloader.la]-61971c8b500e6.jpg

2021년 11월 13일, 안도라전에 벤치멤버로 시작 후, 63분 경 프셰미스와프 프란코프스키와 교체되어 들어가며 데뷔하였다. 경기는 4:1 승.

11월 16일 I조 10차전 헝가리전에서는 오른쪽 윙백으로 선발 출전하여 전반이 끝난 뒤 교체되었다. 폴란드는 헝가리에게 1 : 2로 패배하면서 6승 2무 2패로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2022년 3월 30일 스웨덴과의 플레이오프 경기에 라이트백으로 출전하였고, 아주 견고한 모습까지는 아니었지만 풀타임으로 활약하면서 팀의 본선 진출에 기여하였다.

3.1.2. 본선

조별리그 3경기와 16강 경기 까지 총 4경기를 풀타임으로 소화했다.

4. 플레이 스타일

공수밸런스가 뛰어난 풀백. 본래는 윙어였으나 풀백으로 전향했는데, 윙어로 활약하던 노팅엄 포레스트 시절에도 주축 선수로 손꼽힐 만큼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으나 윙백으로 포지션을 변경한 뒤 잠재력이 더 크게 터졌다.

캐시의 플레이에서 가장 돋보이는 것은 바로 확실한 수비를 한다는 점이다. 발이 빠르고 활동량을 많이 가져가는 기동력 좋은 풀백으로, 수비 시 왕성한 움직임을 통해서 우측면의 수비 부담을 덜어준다. 키가 크고 피지컬도 좋아서 볼 경합 능력이 상당히 좋기에 1대1 경합에서 상대를 질식시키는 수비를 선보인다. 여기에 공격적인 능력도 떨어지지 않아서, 우측면을 왕성하게 오르내리며 크로스를 시도한다.

또 하나의 특기가 있다면 바로 장거리 스로인. 이 분야 본좌인 로리 델랍 수준은 아니지만 캐시의 장거리 스로인 능력도 상당한 편이라 상대편 진영에서 스로인이 있을 때 종종 장거리 스로인을 시도한다. 델랍과 마찬가지로 이 스로인이 하나의 세트피스이자 빌라의 또 다른 무기로 쓰이는 중.

단점이 있다면, 공격 방식이 클래식 윙어처럼 크로스에 편향되어 있다. 때문에 공격 패턴 자체가 비교적 한정적이고, 상대 입장에서 예측하기도 그만큼 쉬워진다. 더불어 발밑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빠르게 치고 올라가 크로스를 시도하는 플레이스타일 때문에 역습 상황이 아닌 지공 상황에서 빌드업에 기여하는 능력은 아쉬운 편이다.

수비력은 윙어에서 내려온 선수임에도 뛰어난 편이지만, 수비 시 슬라이딩 태클 비중이 높다는 게 지적된다. 슬라이딩을 통해 공을 확실히 끊을 수도 있지만 자칫하면 거친 파울로 이어져 본인뿐만 아니라 팀에게도 큰 피해가 될 수 있기 때문.[4] 실제로 페널티 박스 안에서도 과감하게 슬라이딩을 시도하는 편인데, 그러다 보니 PK를 내주는 경우도 잦은 편이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여담

  • 잘생긴 외모로 전체적인 외형이나 스타일이 전 팀 동료인 잭 그릴리쉬와 닮았다. 오죽하면 빌라가 그릴리쉬를 한명 더 영입했다는 농담도 나왔을 정도.
  • 그의 아버지가 웨스트 미들랜즈 출신이며 이러한 부분들도 아스톤 빌라 이적에 큰 영향을 끼친걸로 보인다. 스카이스포츠에서 진행한 인터뷰에 따르면 캐시는 "빌라는 모든 면에서 딱이었다"고 말하며 에이전트에게서 아스톤 빌라가 자신의 영입에 관심이 있다는 말을 듣자 무조건 빌라만을 원했다고 이야기했다. 실제로 AC 밀란셰필드 유나이티드의 관심도 진지했지만 본인은 오로지 빌라로의 이적만 바라보았다고 한다.

파일:Cash Polish Studying.png
  • 당연히 태어나서 쭉 영국에서 살았기 때문에 영어가 모국어고 폴란드어는 하지 못한다.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에 뽑히고 난 뒤 열심히 공부하고 있긴 하지만 기본적인 문장과 단어들을 제외하곤 대표팀 동료들과 영어로 대화한다. 그래도 폴란드인으로써 일원이 되기 위해 매일같이 열정적으로 폴란드어를 공부하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 폴란드어를 하는 영상이 유튜브에서 꽤 인기를 끌었다. 링크

7. 같이 보기

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svg
아스톤 빌라 FC 2024-25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스톤 빌라 FC 2024-25 시즌 스쿼드
파일:Matty Cash (24-25).png
파일:Axel Disasi_Aston_Villa_24-25.png
파일:p199798(24/25).png
파일:Tyrone Mings (24-25).png
파일:Ross Barkley (24-25).png
<rowcolor=white> 2 3 4 5 6
매티 캐시
Matty Cash

파일:폴란드 국기.svg | DF
1997.08.07 ([age(1997-08-07)])
2020~2026
악셀 디사시
Axel Disasi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8.03.11 ([age(1998-03-11)])
2025[1]
에즈리 콘사
Ezri Konsa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7.10.23 ([age(1997-10-23)])
2019~2026
타이론 밍스
Tyrone Ming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3.03.13 ([age(1993-08-23)])
2019~2026
로스 바클리
Ross Barkley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93.12.05 ([age(1993-12-05)])
2024~2027
파일:p122806 (24-25).png
파일:p166989 (24-25).png
파일:p178301 (24-25).png
파일:Lucas Digne (24-25).png
<rowcolor=white> 7(C) 8 9 11 12
존 맥긴
John McGinn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MF
1994.10.18 ([age(1994-10-18)])
2018~2027
유리 틸레만스
Youri Tielemans

파일:벨기에 국기.svg | MF
1997.05.07 ([age(1997-05-07)])
2023~2027
마커스 래시포드
Marcus Rashford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7.10.31 ([age(1997-10-31)])
2025[2]
올리 왓킨스
Ollie Watkin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5.12.30 ([age(1995-12-30)])
2020~2028
뤼카 디뉴
Lucas Digne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3.07.20 ([age(1993-07-20)])
2022~2026
파일:Pau Torres (24-25).png
파일:Andrés García_Aston Villa_24-25.png
파일:Donyell Malen_Aston Villa_24-25.png
파일:Marco Asensio_Aston_Villa_24-25.png
파일:p441302 (24-25).png
<rowcolor=white> 14 16 17 21 22
파우 토레스
Pau Torres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1997.01.16 ([age(1997-01-16)])
2023~2028
안드레스 가르시아
Andrés García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2003. 02. 07 ([age(2003-02-07)])
2025~2029
도니얼 말런
Donyell Malen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FW
1999.01.19 ([age(1999-01-19)])
2025~
마르코 아센시오
Marco Asensio

파일:스페인 국기.svg | FW
1996.01.21 ([age(1996-01-21)])
2025[3]
이안 마트센
Ian Maatsen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2002.03.10 ([age(2002-03-10)])
2024~2030
파일:p98980 (24-25).png
파일:Amadou Onana (24-25).png
파일:p111782 (24-25).png
파일:p515597.png
파일:p244850 (24-25).png
<rowcolor=white> 23 24 25 26 27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
Emiliano Martinez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GK
1992.09.02 ([age(1992-09-02)])
2020~2027
아마두 오나나
Amadou Onana

파일:벨기에 국기.svg | MF
2001.08.16 ([age(2001-08-16)])
2024~2029
로빈 올센
Robin Olsen

파일:스웨덴 국기.svg | GK
1990.01.08 ([age(1990-01-08)])
2022~2025
라마어 보하르더
Lamare Bogarde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2004.01.05 ([age(2004-01-05)])
2024~
모건 로저스
Morgan Roger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2.07.26 ([age(2002-07-26)])
2024~2029
파일:p123354_21-22.png
파일:Leon Bailey (24-25).png
파일:Jacob Ramsey (24-25).png
파일:Boubacar Kamara (24-25).png
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svg
<rowcolor=white> 30 31 41 44 -
코트니 호즈
Kortney Haus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5.07.16 ([age(1995-07-16)])
2019~2025
레온 베일리
Leon Bailey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 FW
1997.08.09 ([age(1997-08-09)])
2021~2027
제이콥 램지
Jacob Ramsey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2001.05.28 ([age(2001-05-28)])
2020~2027
부바카르 카마라
Boubacar Kamara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9.11.23 ([age(1999-11-23)])
2022~2027
구단 정보
구단주: [[나세프 사위리스|{{{#660433 나세프 사위리스}}}]] / 감독: 우나이 에메리 / 수석 코치 : [[파코 아예스트란|{{{#660433 파코 아예스트란}}}]] / 홈 구장: 빌라 파크
출처: 아스톤 빌라 FC 공식 홈페이지, 트랜스퍼마크트
}}}}}}}}} ||

[1] 첼시 FC에서 임대[2]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에서 임대[3] 파리 생제르맹 FC에서 임대

{{{#!wiki style="color: #e61e19;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555555"
<rowcolor=#e61e19>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우카시 스코룹스키
(Łukasz Skorupski)
1991년 5월 5일 ([age(1991-05-05)]세) 13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1909
12 마르친 부우카
(Marcin Bułka)
1999년 10월 4일 ([age(1999-10-04)]세) 3 0 파일:프랑스 국기.svg OGC 니스
22 바르토시 므로체크
(Bartosz Mrozek)
2000년 2월 23일 ([age(2000-02-23)]세) 0 0 파일:폴란드 국기.svg 레흐 포즈난
DF 2 카밀 피옹트코프스키
(Kamil Piątkowski)
2000년 6월 21일 ([age(2000-06-21)]세) 4 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3 파베우 다비도비츠
(Paweł Dawidowicz)
1995년 5월 20일 ([age(1995-05-20)]세) 17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엘라스 베로나 FC
5 얀 베드나레크
(Jan Bednarek)
1996년 4월 12일 ([age(1996-04-12)]세) 64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우스햄튼 FC
14 야쿠프 키비오르
(Jakub Kiwior)
2000년 2월 15일 ([age(2000-02-15)]세) 29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
15 티모테우시 푸하치
(Tymoteusz Puchacz)
1999년 1월 23일 ([age(1999-01-23)]세) 14 0 파일:독일 국기.svg 홀슈타인 킬
18 바르토시 베레신스키
(Bartosz Bereszyński)
1992년 7월 12일 ([age(1992-07-12)]세) 56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C 삼프도리아
MF 6 막시 오예델레
(Maxi Oyedele)
2004년 11월 7일 ([age(2004-11-07)]세) 8 0 파일:폴란드 국기.svg 레기아 바르샤바
7 카츠페르 우르반스키
(Kacper Urbański)
2004년 9월 7일 ([age(2004-09-07)]세) 9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1909
8 야쿠프 모데르
(Jakub Moder)
2002년 6월 5일 ([age(2002-06-05)]세) 30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10 피오트르 지엘린스키
(Piotr Zieliński)
1994년 5월 20일 ([age(1994-05-20)]세) 97 1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3 야쿠프 카민스키
(Jakub Kamiński)
2002년 6월 5일 ([age(2002-06-05)]세) 16 1 파일:독일 국기.svg VfL 볼프스부르크
16 바르토시 카푸스트카
(Bartosz Kapustka)
1996년 11월 23일 ([age(1996-11-23)]세) 15 3 파일:폴란드 국기.svg 레기아 바르샤바
17 미카엘 아메야프
(Michael Ameyaw)
2000년 9월 16일 ([age(2000-09-16)]세) 2 0 파일:폴란드 국기.svg 라쿠프 쳉스토호바
19 프셰미스와프 프란코프스키
(Przemysław Frankowski)
1995년 4월 12일 ([age(1995-04-12)]세) 47 3 파일:프랑스 국기.svg RC 랑스
20 세바스티안 시만스키
(Sebastian Szymański)
1999년 5월 10일 ([age(1999-05-10)]세) 40 5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SK
21 니콜라 잘레프스키
(Nicola Zalewski)
2002년 1월 23일 ([age(2002-01-23)]세) 25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S 로마
FW 9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파일:주장 아이콘.svg
(Robert Lewandowski)
1988년 8월 21일 ([age(1988-08-21)]세) 156 84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11 카롤 스비데르스키
(Karol Świderski)
1997년 1월 23일 ([age(1997-01-23)]세) 17 11 파일:미국 국기.svg 샬럿 FC
23 크시슈토프 피옹테크
(Krzysztof Piątek)
1995년 7월 1일 ([age(1995-07-01)]세) 32 1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일정 2024-25 네이션스 리그 A 2024년 10월 12일(토)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2024년 10월 15일(화)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0월 15일
}}}}}}}}} ||


[1] 폴란드어 표기를 적용하면[2] 2024년 3월 22일 기준[3] 게다가 국대 출전을 강하게 원하는 캐시 입장에서 잉글랜드 국대가 우풀백이 넘쳐나는 상황이라 후보마저도 뽑히기 힘들다. 대표적으로 카일 워커,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 리스 제임스, 키어런 트리피어가 있고, 명단에 뽑히지 않는 선수도 맥스 애런스, 아론 완비사카, 루크 아일링, 카일 워커피터스, 티노 리브라멘토 등 넘쳐난다. 심지어 이들도 폼이 조금이라도 떨어지면 소집 명단 탈락에 후보로도 못 뽑히고 다른 대체자가 바로 채워질 정도.[4] 주전으로 자리잡고 출전이 늘어난 18/19 시즌 경고 5장, 19/20 시즌 경고 7장, 20/21 시즌 경고 6장+누적 퇴장 1회, 21/22 시즌 경고 8장, 22/23 시즌 경고 4장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