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18:53:08

포트 와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빵·튀김
말라사다 미가스(음식) 브로아(빵) 에그타르트 엠파나다 천사의 날개
초리소 츄러스 파스텔 팡드로 페이시뉴스 다 오르타
고기·생선
레촌 사르디냐 아사다 슈하스쿠 페이조아다 피리피리 치킨
마데이라 와인 상그리아 포트 와인
기타
지리적 표시제/유럽연합/포르투갈 }}}}}}}}}

🍷 포도주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종류 색상 적포도주(레드 와인) · 백포도주(화이트 와인) · 로제 와인
용도 식전주 · 테이블 와인 · 디저트 와인
특수주조방식
스파클링 와인 샴페인 · 크레망 · 스푸만테 · 프로세코 · 프리잔테 · 젝트 · 카바
늦수확 포도주 귀부 와인 ( 소테른 · 토카이 ) · 아이스 와인
강화 포도주 포트 · 셰리 · 마데이라 · 마르살라 · 말라가 · 베르무트
건조 포도주
품종 포도 품종 목록
생산지 구대륙 프랑스 ( 보르도 · 부르고뉴 · 샹파뉴 · · 알자스 · 프로방스 · 루아르 밸리 · 랑그독 루시옹 · 쥐라 ) · 이탈리아 ( 키안티 ) · 스페인 · 포르투갈 · 독일 · 헝가리 · 튀르키예 · 조지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이란 · 북아프리카
신대륙 미국 · 칠레 · 아르헨티나 · 남아프리카 · 호주 · 뉴질랜드
기타 한국 · 중국 · 일본 · 북한
관련 정보
관련 용어 · 종류 · 역사 }}}}}}}}}


파일:Port Wine.jpg

1. 개요2. 상세
2.1. 양조 과정2.2. 종류2.3. 유명 생산자
3. 매체에서4. 기타

1. 개요

포르투갈에서 포도주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당분이 남아있는 발효 중간 단계에 브랜디를 첨가하여 발효를 중단시키고, 이에 따라 도수와 당도가 높고 오래 보관이 가능한 포도주가 탄생하게 되었다. 2015년에는 와인 스펙테이터(WS)에서 포트 와인 중 하나인 빈티지 포트를 세계 100대 포도주 중 하나로 선정하기도 했다.[1] 스페인셰리와 더불어 주정강화 와인 중 가장 유명하다.[2]

2. 상세

영국인포도주 사랑은 중세에도 대단했으나, 영국 땅은 포도를 재배하고 와인을 생산하기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백년전쟁에서 프랑스에 패한 영국이 보르도 지역을 빼앗기고 교역이 중단되어 보르도산 포도주를 저렴하게 수입하기 곤란해졌고, 이후 윌리엄 3세에 의해 1693년부터 시행된 조세법으로 프랑스산 포도주에 대한 세금이 대폭 증가하게 되었다.[3]

프랑스산 포도주의 수입 판매가 점점 어려워짐에 따라 상인들은 영국에 포도주를 공급하기 위해서 적당한 포도주 산지를 물색하게 되었고, 잉글랜드에서 가까운 포르투갈의 북서부 연안으로 모여들었다. 대부분은 장거리 해상운송에 적합하지 않은 백포도주를 주로 생산했기 때문에 적포도주를 찾기 위해 도루(Douro)강 인근의 와인 산지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그러나 초기에는 험한 뱃길을 거치며 무더운 날씨 등으로 인해 운송 도중에 포도주가 식초처럼 변질되는 경우가 속출하여 다른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영국 수입상인들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브랜디를 인위적으로 첨가해서 발효를 중지시켜야 변질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4][5][6]

당시 포르투갈 도루(Douro)강 하구에 있는 아름다운 항구인 '오포르투(Oporto)'에서 와인을 선적했기 때문에 '포트(Porto)'가 이름에 붙게 되었다. 포트 와인은 원래 포르투(Porto)와인이라 부르는 것이 맞지만 17세기 후반부터 주로 영국에 의해 전 세계에 알려졌기 때문에 영어 발음인 포트로 불리고 있다.

포트 와인의 생산지인 포르투갈 북부 도우루지역은 매우 건조하고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큰 곳이다. 이곳에서 포트 와인이 만들어지면 이듬해 1월에 도우루강을 따라 포르투 시와 마주보고 자리한 빌라 노바 드가이아라는 도시로 옮겨져 숙성이 시작된다. 양조와 숙성 장소가 다른 이유는 포도 재배에 적합한 기후와 포도주의 숙성에 적합한 조건이 다르기 때문이다. 포트 와인은 숙성이 오래 진행될수록 복합적인 견과류의 맛이 난다.

포트 와인은 크게 그해 수확한 포도를 골라 양조한 뒤 수 년을 오크통에서 숙성시킨 빈티지 포트와 원산지와 생산연도가 다른 품종을 블랜딩한 토니(타우니) 포트, 흔히 식전주로 음용되는 화이트 포트 등으로 나뉜다. 숙성 방식에 따라서도 구분하는데, 루비 포트는 양조 후 산화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저장하는 반면, 토니 포트는 산화에 의한 맛의 변화를 일부러 유도하는 식이다.

포트 와인은 대개 스위트 와인으로 만들어지며 과일향이 풍부하고[7] 맛과 바디감이 진하기 때문에 디저트 와인으로 사랑받고 있다.

포트 와인은 특히 높은 도수를 선호하는 영국인들의 입맛에 딱 맞아떨어졌다. 영국에서 단연 최고로 인기있는 포도주가 되었고 뒤이어 포르투갈을 대표하는 포도주가 되었다. 이때부터 포르투갈은 포트 와인의 산지라는 이유로 영국과 경제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된다. 영국에서는 포트 와인이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가 가짜가 판을 치고 엉뚱한 지역의 포도로 만든 짝퉁 포트가 나돌게 된다.

이에 대한 조치로 1756년 포르투갈 정부는 국법으로 포트 와인용 포도 재배 지역을 못박았는데 AOP 제도와 같이 특정 재배지역 제한을 법으로 정한 최초의 나라가 포르투갈이다. 현재 EU 차원에서 시행하는 AOP 제도와 세계 각국의 원산지 관련 포도주 품질관리 제도의 원조격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의 주류 회사 산토리에서 처음으로 생산한 제품 중 하나가 아카다마 포트 와인(赤玉 ポートワイン) 이라는 포트 와인이었다. 이 아카다마 포트 와인은 1907년부터 지금까지 생산되고 있다. 1973년에 포르투갈 정부의 상표권 항의로 아카다마 스위트 와인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2.1. 양조 과정

포르투갈 북부 도우루강 상류지대에서 생산되는 포트 와인은 포도주에 포도 증류주브랜디를 섞어 만들어진다. 이렇게 알코올 도수나 당도를 높이기 위해 발효 중 또는 발효가 끝난 후에 브랜디나 과즙을 첨가한 와인을 주정강화 와인(또는 강화 와인)이라 부른다. 브랜디가 섞여 있기에 알코올 농도가 높은 편이지만 일반적인 포도주들보다 훨씬 더 농축되고 진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술이란 기본적으로 효모가 당분과 반응하여 알콜로 변하는 과정인데 당분이 더이상 없거나 알콜이 너무 많아지면 효모가 사멸해 발효가 멈추고 술이 된다. 이런 와인을 양조하는 과정에서 발효가 1/2에서 2/3정도까지 진행되었을 때 당이 알콜로 전부 또는 충분히 변하기 전에 브랜디를 첨가함으로써 당도와 알콜 도수를 기존 와인보다 훨씬 높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주정강화와인을 오크통에 담아 강을 따라 하루의 오뽀르뚜 항구에서 출하했고, 주로 영국으로 수출되었다. 지금은 무역이 훨씬 빨라진 관계로 강을 따라 보내고 다시 항구에서 기다렸다가 바다를 건너가는 시간만큼을 생산지에서 그냥 그대로 보관하며 숙성하고 있다.

포도 품종의 경우 토니 포트 및 빈티지 포트는 주로 토우리가 나시오날, 토우리가 프란카, 틴타 바로카, 틴타 아마렐라, 틴타 호리스 등의 포르투갈 토착 품종들을 이용해 만들어지며, 화이트 포트는 말바시아 피나, 라비가토, 비오지뉴 및 모스카텔 등의 품종들로 만들어진다.

아래는 체계적인 순서의 따른 제조 순서로, 포트 와인 뿐만 아니라 모든 주정강화 와인이 같은 방식이다. 다만 포도의 품종과 발효를 중지시키는 시점, 첨가하는 브랜디의 종류와 순도, 이후의 숙성 과정 정도만 다를 뿐 기본적으로 방식 자체는 같다. 발효를 중간에 끊고, 높은 알콜 도수의 증류주를 첨가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 수확: 상술했듯이 주로 포르투갈 도우루 지방의 토착 품종의 포도들을 이용해서 만든다.
  • 압착: 현재는 기계작업이 대부분이나,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사각의 발효조인 라가르(Lagar)에 포도를 넣고 발로 으깨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이다.
  • 발효: 와인을 숙성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큰 나무통인 캐스크(Cask)에 알코올이 10도 내외가 되도록 발효를 한다.
  • 브랜디 첨가: 발효 중 ABV 75~77%의 브랜디를 약 18도가량이 되도록 첨가하여 발효를 중지시킨다. 일정 도수 이상이 되면 효모가 발효를 멈추는데 발효가 덜 끝나 술에 잔당이 많이 남아 단맛이 난다.[8]
  • 오크통 숙성: 도우로(Douro)강 상류의 저장고에서 숙성 후, 하구의 빌라 노바 데 가이아(Vila Nova de Gaia)으로 옮겨서 계속 숙성한다. 오크통에서 최소 2년에서 최대 100년 이상까지도 숙성한다.
  • 혼합: 당연히 포트와인도 일반 와인처럼 블렌딩을 한다. 다만 와인은 주로 단일 연도의 생산품들 중에서 블렌딩을 하는 반면, 포트 와인은 다른 빈티지 간에도 블렌딩을 하는 편이다. 물론 단일 빈티지도 있고, 단일 품종 단일 빈티지의 포트 와인도 있다.
  • 병입
  • 출하

2.2. 종류

  • 루비 포트(Ruby Port): 양조 후 산화를 막기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통이나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오크통에 숙성한다. 루비색의 디저트 와인이다.
  • 화이트 포트: 청포도로 양조하며 3~5년 가량 통숙성한다. 황금색이다. 드라이 와인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많으나 Dry White는 White Port와는 엄연히 다른 제품군에 속한다. 루비 포트와 비슷하게 디저트 와인이다. 토니 포트 처럼 화이트 포트도 장기 숙성 제품이 존재한다. 대표적인게 콥케의 50년 화이트 포트.
  • 토니 포트(Tawny Port): 양조 후 산화를 일으키기 위해 오크통에서 숙성한다. 10/20/30/40년의 통숙성 기간 후에 병입하여 판매하는 것은 Aged Tawny로 구분된다. 숙성연도 미표기 및 10년 숙성 토니 포트가 널리 팔리며, 100년 이상된 토니 포트가 포트 와인 중에서 최고급이다. 빈티지 포트는 이에 비하면 훨씬 싸다.[9]
    • 콜례이타(Colheita): 단일 연도의 포트로 7년 이상 통숙성하여 병입한다. 수확 연도와 병입 연도가 모두 표기된다. 토니 포트의 하위 분류이다.[10]
  • 빈티지 포트(Vintage Port): 특정 연도의 포도만을 사용하여 양조하는 고급 포트이다. 수확 후 3년 미만에 모두 병입이 끝나며, 최대 50년 이상의 숙성이 가능하다. 서술한대로 50년 이상 초장기 숙성도 가능하지만 최고의 시음 적기는 와인하우스나 협회에서 빈티지 년도부터 15~30년 사이를 권장한다.
    • 레이트 보틀드 빈티지 포트(Late Bottled Vintage Port): 특정 빈티지의 포도를 골라 4~6년 가량 통숙성하여 출시한다. 일반 빈티지 포트를 만드는 경우보다 작황이 뛰어난 해가 아닌 경우가 많다. 대신 일반 빈티지보다 더 오래 숙성시켜 풍미를 돋군다. 가격도 일반 빈티지 포트보다 싸다.

2.3. 유명 생산자

포트는 한 회사가 여러가지의 포트 라벨(하우스)을 소유하고 있다. 포트와인기구(IVP, Instituto do Vinho do Porto)에 의해 품질 인증이 엄격하게 실시되기 때문에, 생산자보다는 포트의 종류를 파악하는 것이 유리하다. 생산자에 따른 차이보다는 포트의 종류에 따른 차이가 더 크다는 의미이다.
  • 콘스탄티노 드 알메이다(Constantino de Almeida) :

    • 킨타 두 크라스투 (Quinta do Crasto)
  • 플라드게이트 파트너쉽(Fladgate Partnership) :

    • 크로프트 (Croft)
      델라포스 (Delaforce)
      폰세카 (Fonseca)
      테일러스 (Taylor's)
  • 소그라페(Sogrape) :

    • 페레이라 (Ferreira)
      오플레이 (Offley)
      샌드맨 (Sandeman)

  • 시밍턴 패밀리(Symington Family) :

    • 다우 (Dow)
      굴드 캄벨 (Gould Campbell)
      그라함스 (Graham’s)
      스미스 우드하우스 (Smith Woodhouse)
      콸레스 하리스 (Quarles Harris)
      와레스 (Warres)
  • 그 외 유명 포트 하우스 :

    • 브로드벤트 (Broadbent)
      버메스터 (Burmester)
      세드로 (Cedro)
      콕번 (Cockburn)
      크로프트 (Croft)
      콥케 (Kopke)
      마르타스 (Martha's)
      니에푸르트 (Niepoort)
      오스본 (Osborne)
      킨타 두 노발 (Quinta do Noval)

주정 강화 와인답게 기본 가격대가 비싼 편이다. 국내에서 그리 메이저한 장르가 아니라 구하기도 쉽지 않았다.

하지만 코스트코에서 커클랜드 브랜드를 붙인 괜찮은 품질의 10년 숙성 토니 포트를 약 $17 혹은 2만원 대에 판매하니 궁금한 사람은 도전해보도록 하자.[11] 옆에서 다른 브랜드의 10년 숙성 토니 포트 역시 판매하기도 하며, 주류 픽업 앱들을 통해서도 구매 가능하다.

3. 매체에서

  • 죽은 등산가의 호텔에서는 주인공인 글렙스키 경위가 눈사태로 길이 없어진 호텔에서 따뜻하게 데워서 큰 컵에 따라서 마시는데, 여기에 검열이 들어가[12] 블랙커피를 마시는 걸로 나오기도 했다.
  • 미드 높은 성의 사나이에선 위스키에 취한 오노다 장군이 자신의 시중을 드는 여급에게 "너도 술 좀 마실래? 무슨 술 좋아하냐?"고 묻자, 여급이 포트 와인이라고 대답한다. 덧붙여서 장군이 정복한 땅에는 포트 와인이 안 나온다고 하자, 오노다는 동맹국에게 한 병 달라고 해서 주겠다 답한다.
  • 상술한 산토리의 아카다마 포트 와인은, 일본의 소설가 모리미 토미히코의 작품에서 간간이 등장한다. 모리미의 외할머니가 가장 즐겨 마셨던 술로, 작가의 추억이 반영되어 있는 소재여서인지 일부러 '아카다마 스위트 와인'이 아닌 '아카다마 포트 와인'이라는 원래 상표를 쓰고 있다. 한국어 역본에서는 '적옥포트와인'이라는 이름으로도 나타난다.
    모리미의 작품은 대학을 무대로 한 것이 많다 보니 낭만적인 음주 묘사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자주 언급되는 술은 판타지적 요소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가짜 덴키브란"이지만, 아카다마 포트 와인은 작품 속에서 언제나 '와인 가운데 으뜸'으로 묘사된다.

4. 기타

  • 포트 와인처럼 브랜디 등의 알코올을 첨가한 포도주들을 “주정강화 와인(fortified wine)”이라 부르는데, 영단어 fortified를 우리말로 읽으면 “포티파이드”이므로 “포트(port)”가 “포티파이드”의 축약어로 오해하는 이들이 우리나라 한정으로 존재한다. 물론 영미권에선 p와 f의 발음이 명백히 다르므로 이런 오해는 없다.

[1] 다우(Dow)의 빈티지 포트는 WS99으로 평가되었다.[2] 주정강화의 개념을 사용하는 또 다른 양조주로는 한국의 주정강화 청주과하주가 있다.[3] 반대로 이 조치에 의해 수혜를 입은 술이 이다.[4] 이 기원설은 영국 측에서 주장하고 있는 내용이다. 어느 한쪽이 정설이다라고 못 박힌 게 없어 영문위키포르투갈어 위키에서도 서로 다른 기원을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재미있는 점은 영문 위키는 포르투갈측 서술을 쓰고 있고, 포르투갈어 위키에서는 영국측 서술을 쓰고 있다. 아마 포르투갈인들은 당연히 자신들이 알고 있는 기원설이 정설이라 믿고 있을 터인데, 영국인들이 하는 이야기에 대해서도 알아는 둬라 정도로 썼을 수도 있다.[5] 포르투갈측 기원설은 영국 상인들이 와인산지를 물색하다가 도루강 중상류에 이르러 라메구 지역에서 브랜디를 첨가하여 도수가 높으면서도 당도가 높게 유지된 주정강화와인을 발견하고 이 와인들을 강을 따라 하류 항구, 지금의 포르투항에 모아 영국으로 수출하면서 후술된 이름의 기원까지 갖추게 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영국 상인들이 실험적으로 만들어서 포르투갈 와이너리들에게 알린 게 아니라, 자체적으로 원래 시도하고 있었다는 주장이다.[6] 비슷한 케이스로는 한국의 전통주인 과하주가 있다.[7] 쉽게 비유하자면 에 절인 건포도 계열의 향. 건포도나 건자두 등 건과일에서 느낄 수 있는 그 맛과 향을 생각하면 비슷하다.[8] 보통 자연 발효가 완료되면 남아 있는 당도는 원재료 포도 품종에 따라 다르고, 알코올 도수는 13~14도가 된다. 이는 당분이 더 남아 있더라도 도수가 이정도 되면 효모가 사멸해 버리기 때문이다. 또 보통 당도 1%당 알코올 0.6%로 변환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니 그대로 발효 완료시킨 포도주보다 대충 5~7% 정도 더 당분이 많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발효를 중지시킨 채 오히려 도수를 더 끌어올렸기 때문에 당분과 도수가 5~7% 정도 훨씬 강한 포도주가 되는 셈이다. 그리고 달콤함과 도수는 보통 평론가들이 말하는 '바디감'을 묵직하게 만들어 준다. 발효를 중간에 멈추어서 더욱 향긋함이나 신선함이 살아나는 부분은 화학적인 부분이면서도 아직 과학으로도 제대로 설명하기 힘든 전통의 감각이므로 무엇이 더 낫다고 할 수 없지만 적어도 바디감, 도수와 달콤함은 다른 포도주들과 비교 불가로 풍부한 셈이다.[9] 다만 평가 전문 매체나 평론가들에 의해 각 포트 하우스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제품들은 대부분 빈티지 포트이다.[10] 콜헤이타라고 읽으면 안 된다. 포르투갈의 L+H는 우리가 아는 L+Y처럼 발음한다.[11] 파일:kirkland tawny.webp[12] 동화책 출판사였으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