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7 01:16:52

파블로바(음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E41D2C> 상징 국가 · 국기 · 국장 · 캥거루 · 에뮤
역사 역사 전반 · 호주 자치령 · 백호주의
정치 정치 전반 · 호주 헌법 · 호주 국왕 · 호주 총독 · 호주 의회 · 호주 총리 · 호주 연합(호주 자유당 · 호주 국민당 · 자유국민당 · 지역자유당) · 호주 노동당 · 호주 녹색당
외교 외교 전반 · 호주 여권 · CANZUK · APEC · 파이브 아이즈 · IPEF · 태평양 공동체 · 영연방 왕국 · 영미권 · Quad · AUKUS · G20 · APEC · JUSCANZ · 영국-호주 관계 · 호주-뉴질랜드 관계 · 캐나다-호주 관계 · 남아프리카 공화국-호주 관계 · 미국-호주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독일-호주 관계 · 프랑스-호주 관계 · 이탈리아-호주 관계 · 한호관계 · 일본-호주 관계 · 대만-호주 관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경제 경제 전반 · 호주 달러 · 교통
사회 복지 · 마일 트레인
교육 교육 · 호주의 대학 (대학 틀) · Go8(시드니 대학교 · 멜버른 대학교 · 애들레이드 대학교 · 퀸즐랜드 대학교 · 서호주 대학교 · 호주국립대학교 ·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 모내시 대학교)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국방 호주군 · 호주 육군 · 호주 해군 · 호주 공군 · 호주 경찰 · 호주군 특수작전사령부(SASR, 제2코만도연대) · 파인 갭
사법·치안 호주 경찰 · ABF · ASIS · ASIO
관광 관광 · 워킹홀리데이 · 호주 비자
문화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파블로바 · 완지나 ·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호주 크리켓 국가대표팀 · AFL · NRL · 수퍼 럭비 · 빅 배시 리그 ·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호주 영어 · 호주빠 · 공휴일
지리 오스트랄라시아 ·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 태즈메이니아 섬
민족 호주인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 호주계 미국인 · 호주/인종 차별 · 호주 시민권 · 그리스계 호주인 · 네덜란드계 호주인 · 독일계 호주인 · 레바논계 호주인 · 아일랜드계 호주인 · 영국계 호주인 · 이탈리아계 호주인 · 중국계 호주인 · 크로아티아계 호주인 · 폴란드계 호주인 · 프랑스계 호주인 · 한국계 호주인 · 러시아계 호주인 · 튀르키예계 호주인 · 인도계 호주인 · 헝가리계 호주인 · 핀란드계 호주인 · 스페인계 호주인 · 포르투갈계 호주인 · 위구르계 호주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c8102e> 상징 국가 · 국기 · 국장 · 키위 새 · 키위 과일
역사 역사 전반(와이탕이 조약)
정치 정치 전반 · 뉴질랜드 국왕 · 뉴질랜드 총독 · 뉴질랜드 총리 · 뉴질랜드 의회
외교 외교 전반 · 뉴질랜드 여권 · CANZUK · APEC · 파이브 아이즈 · IPEF · 태평양 공동체 · 영연방 왕국 · JUSCANZ
경제 경제 전반 · 뉴질랜드 달러
사회 교육(유학 · 대학 틀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교통 교통 전반 · 항공(오클랜드 공항 · 크라이스트처치 공항 · 웰링턴 국제공항 · 퀸스타운 공항 · 더니든 공항 · 에어 뉴질랜드) · 철도(브리토마트 역) · 오클랜드 교통공사(뉴마켓 역 · 서던 라인 · 오네항가 라인 · 웨스턴 라인 · 이스턴 라인 · 파넬 역 · 노던 버스웨이)
국방 뉴질랜드군 · 뉴질랜드 해군 · 뉴질랜드 공군
치안·사법 뉴질랜드 경찰 · 뉴질랜드 관세청 · GCSB
문화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파블로바 ·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뉴질랜드 크리켓 국가대표팀 · 영어(뉴질랜드 영어) · 마오리어 · 마오리 하카 · 키리 테 카나와 · 피터 잭슨(웨타 디지털 · 반지의 제왕) · Pokarekare ana
관광 관광 · 비자
지리 오스트랄라시아 · 남섬 · 북섬 · 채텀 제도 · 서던 알프스 산맥(밀포드 사운드) · 아오랑기 쿡 산 · 테와히포우나무
민족 뉴질랜드인 · 마오리족 · 뉴질랜드계 미국인 · 유럽계 뉴질랜드인(영국계 뉴질랜드인 · 폴란드계 뉴질랜드인 · 라트비아계 뉴질랜드인 · 리투아니아계 뉴질랜드인) · 인도계 뉴질랜드인
기타 뉴질랜드 시민권 }}}}}}}}}

<colbgcolor=#222C64>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공통 음식
구운 치킨 다이제 당근 케이크 로스트 디너 매시드 포테이토
미트파이 민스 파이 밀크티 베이컨 비스킷
사과 파이 쇼트브레드 쿠키 스콘 애프터눈 티
잉글리시 브렉퍼스트 치킨 티카 마살라 칠면조 구이 커리 파블로바
파운드케이크 팬케이크 페어리 브래드 피시앤칩스 핫 크로스 번
{{{#!wiki style="margin: -16px -10.5px" 뉴질랜드
마마이트 오타 이카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호주
래밍턴 베지마이트 악어 크림 파이
팀탐 플랫 화이트 할랄 스낵 팩 }}} }}}}}}}}}
파일:external/www.taste.com.au/7271_l.jpg
Pavlova

1. 개요2. 설명3. 유래 및 원조 논란
3.1. 뉴질랜드의 주장3.2. 호주의 주장
4. 대중매체
4.1. 애니메이션/드라마4.2. 게임
5. 여담

1. 개요

머랭 베이스로 만든 케이크 형태의 디저트. 이름은 20세기 초 전설적인 러시아 발레리나 안나 파블로바 (Anna Pavlova)에서 따왔다.[1]

2. 설명

파일:파블로바 (1).jpg

파블로바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에는 다양한 색상을 입힌 젤리 베이스 디저트였다고 한다.[2] 그것이 시간이 지나면서 현재처럼 머랭 베이스로 바뀌게 된 거라고.
파일:파블로바 (2).jpg 파일:파블로바 (3).jpg 파일:파블로바 (4).jpg

비주얼상 흰 머랭 위에 과일이 듬뿍 올라가서 생크림 케이크처럼 보이기도 한다. 머랭 베이스로 만들 때도 그냥 1단처럼 보이게 처리하는 버전이 있는가 하면, 대놓고 머랭 구운 걸 층층이 깐 버전도 있다. 보통은 큼지막한 케이크 사이즈로 만들지만 작은 걸 여러 개 만들기도 한다.

3. 유래 및 원조 논란

호주뉴질랜드에서는 이 음식의 국적을 꽤 심각하게 따지기도 한다. 일종의 원조 논쟁.

3.1. 뉴질랜드의 주장

1929년, 파블로바가 방문했던 웰링턴의 한 호텔 주방장이 그녀의 튜튜(발레 스커트)에서 영감을 받아 이 디저트를 처음 개발했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1927년 뉴질랜드에서 출판된 요리책에서 '파블로바 케이크'라는 이름의 레시피가 발견되면서 이것이 현재 파블로바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인정받고 있다. 옥스퍼드 영어사전 역시 파블로바의 첫 번째 레시피가 뉴질랜드에서 나왔다고 명시하고 있다.

3.2. 호주의 주장

1935년, 퍼스에 위치한 에스플러네이드 호텔(Hotel Esplanade)의 주방장 버트 사스(Bert Sachse)가 '파블로바처럼 가벼운(as light as Pavlova)' 디저트를 만들었다고 주장하며 이를 원조로 내세운다.

4. 대중매체

4.1. 애니메이션/드라마

  • 블루이 - 블루이랑 빙고가 이 음식을 좋아한다고 한다.[3]
  • 웬트워스 - 호주의 인기 드라마로 극중 인물들이 디저트로 파블로바를 먹는 장면이 나온다.
  • 드레스메이커 - 1950년대 호주의 한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로 작중 마을 파티 장면에서 커다란 파블로바가 등장한다.

4.2. 게임

  • 쿠키런: 킹덤 - 파블로바맛 쿠키가 해당 디저트를 모티브한 캐릭터이다. 전체적으로 머리의 하얀 부분과 날개는 크림, 머리 위 헤일로와 화살 등은 파블로바 위에 올라가는 과일 토핑을 표현한 듯하다.

5. 여담

  • 뉴질랜드에서는 마트의 제빵 코너에서 이미 구워진 파블로바 머랭 시트를 판매한다. 집에서 생크림과 과일만 올려 간편하게 완성할 수 있다.

[1] 1920년대 안나 파블로바가 월드 투어의 일환으로 호주뉴질랜드를 방문했을 때 그녀를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2] 현대로 따지면 층층이 나누어진 젤리 케이크 같은 요리였을 듯.[3] 그것 때문에 아빠인 밴디트가 케찹을 뿌려서 둘을 황당하게 만든 에피소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