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인단| 우인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여왕 |
[[여왕(원신)| 얼음의 신 | |
집행관 | |
[[피에로(원신)| {{{#!wiki style="margin: 1px; border:2px solid #a09b95; background-color: #444546; color:#fff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75%; text-align: center"피에로 ]][[카피타노|{{{#!wiki style="margin: 1px; border:2px solid #a09b95; background-color: #444546; color:#fff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70%; text-align: center"카피타노 ]][[도토레|{{{#!wiki style="margin: 1px; border:2px solid #a09b95; background-color: #444546; color:#fff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70%; text-align: center"도토레 ]][[콜롬비나|{{{#!wiki style="margin: 1px; border:2px solid #a09b95; background-color: #444546; color:#fff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70%; text-align: center"콜롬비나 ]][[아를레키노(원신)|{{{#!wiki style="margin: 1px; border:2px solid #a09b95; background-color: #444546; color:#fff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70%; text-align: center"아를레키노 ]][[풀치넬라|{{{#!wiki style="margin: 1px; border:2px solid #a09b95; background-color: #444546; color:#fff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70%; text-align: center"풀치넬라 ]][[스카라무슈|{{{#!wiki style="margin: 1px; border:2px solid #a09b95; background-color: #444546; color:#fff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70%; text-align: center"스카라무슈 ]][[산드로네|{{{#!wiki style="margin: 1px; border:2px solid #a09b95; background-color: #444546; color:#fff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70%; text-align: center"산드로네 ]][[시뇨라|{{{#!wiki style="margin: 1px; border:2px solid #a09b95; background-color: #444546; color:#fff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70%; text-align: center"시뇨라 ]][[판탈로네(원신)|{{{#!wiki style="margin: 1px; border:2px solid #a09b95; background-color: #444546; color:#fff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70%; text-align: center"판탈로네 ]][[우인단/집행관#s-6.11|{{{#!wiki style="margin: 1px; border:2px solid #a09b95; background-color: #444546; color:#fff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70%; text-align: center"??? ]][[타르탈리아|{{{#!wiki style="margin: 1px; border:2px solid #a09b95; background-color: #444546; color:#fff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70%; text-align: center"타르탈리아 ]] | |
일반 대원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wiki style="margin: -0px -10px;" |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데카라비안 · 안드리우스 | ||
오셀 · 훌리야 · 하겐투스 · 마르코시우스 · 침옥 협곡의 주인 · 교룡 · 부네 · | ||
오로바스 | ||
아몬 · 화신 · 정기(正機)의 신 · | ||
레무스 | ||
비프론스 | ||
달의 세 자매 · 「쿠타르」 | ||
기타 | ||
일곱 신 · 파네스 · 4명의 그림자 |
}}}}}}}}} ||
콜롬비나 Columbina | |
| |
프로필 | |
<colbgcolor=#683240,#010101><colcolor=#ffffff,#e0e0e0> 본명 | 불명[1] |
이명 | 「소녀」 「[ruby(쿠타르, ruby=달의 소녀)]」[서리달_아이] 서리달의 딸 새로운 달의 신 |
성별 | 여성 |
소속 | [[노드크라이| → [[노드크라이| |
직위 | 서리달의 여신 |
원소 | [[원신/원소#물| |
사안 | 불명[6] |
언어별 표기 |
Columbina
[ruby(哥伦比娅, ruby=Gēlúnbǐyà)]
コロンビーナ |
"The Damselette"[7]
「[ruby(少女, ruby=Shàonǚ)]」
「[ruby(少女, ruby=しょうじょ)]」
"Юная дева" | |
"Kuutar"
「[ruby(库塔尔, ruby=Kùtǎ'ěr)]」
「クータル」 | |
성우 |
유영
Lynn
양멍루[8]
에미 로 |
1. 개요
도토레, 오늘 굉장히 젊어 보이네요.
(도토레 : 알잖아, 나한테 그 말은 칭찬이 아니라는 걸)
그럼 전성기의 「조각」은 지금 어디 있나요?
(도토레 : 흥, 지금은... 모독에 관한 실험 속에 있지.)[9]
(도토레 : 알잖아, 나한테 그 말은 칭찬이 아니라는 걸)
그럼 전성기의 「조각」은 지금 어디 있나요?
(도토레 : 흥, 지금은... 모독에 관한 실험 속에 있지.)[9]
달로 돌아가고 싶어⋯. 내 이야기가 적힌 집으로⋯
그게⋯ 지금 내 소원이야⋯.
원신의 등장인물. 前 우인단 집행관으로 집행관이던 당시 서열은 3위 였으며, 원신 2.8 버전 업데이트 이후에 추가된 타르탈리아의 상호 대사로 처음 언급된 우인단 집행관이었다.그게⋯ 지금 내 소원이야⋯.
2. 작중 행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콜롬비나/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콜롬비나/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성격
아주 특이한 집행관이야. 그녀에게 질문을 던지면 절대로 「예상 범위 내의 답변」은 돌아오지 않아. 심지어 「제대로 된 답변」조차 아닐 때도 있지. 하지만 분명 「흥미로운 답변」이긴 할 거야
아를레키노의 대사 자료 中, 「콜롬비나」에 대해···
등장 이전부터 신비로움이 강조되었으며, 실제로 마신 임무 공월의 노래에서 첫등장할 때도 신비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아를레키노의 대사 자료 中, 「콜롬비나」에 대해···
하지만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낯을 많이 가리는 평범한 소녀에 가까우며, 여행자의 질문에 대답 대신 노래를 흥얼거리거나, 집행관 시절에는 아를레키노를 뒤에서 갑자기 나타나 놀래키고 산드로네의 방문 앞에서 노래하는 등 4차원적인 모습도 지니고 있다. 그래도 상식은 제대로 갖추고 있어서 아이노에게 월령의 악기 수리를 맡길 때 그동안 꺼려하던 외출도 마다하지 않고 직접 나와서 보수를 주기도 하였다. 전반적으로 카피타노, 산드로네와 함께, 노드크라이 편까지 본인이 직접 등장한 집행관들 중에서 가장 무난한 성격이며[10] 우인단을 탈주했음에도 불구하고 집행관들과의 사이도 무난한 것으로 묘사된다. 다만 이건 그들과 친하게 지냈다기보다는 콜롬비나가 시종일관 속세에 초연한 태도를 유지해서이다. 그래서 우인단의 계획에 대해서 질문을 받았을 땐 잘 모르는데다가 관심도 없다고 딱 잘라 말한다.
한편으론 태어나자마자 신으로 강제적인 숭배를 받고, 우인단 집행관 시절에도 힘을 이용당하는 등 여러모로 억압되어 살아왔기에 낯가림이 심하고 대가를 바라지 않는 순수한 호의에 낯설어하곤 한다. 여행자가 선물로 가져온 음식들을 공물로 여겨서 이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의무감을 가지는 모습을 보인다.[11] 하지만 나름 달의 신으로서 신도들을 위하는 마음은 진심이라서 달맞이 견문 첫번째·귀로를 밝히는 빛에서는 길을 잃어 울고 있는 아이를 위해 원래는 그림을 그리는 데 쓰려던 광석들을 길잡이용으로 기꺼이 써주었다.
4. 능력 / 강함
우인단 집행관 순위는 실력으로 정하는 건데, 어째서 그 여자아이가 「3위」인지 이해할 수 없어. 기회가 된다면 내 앞 순번 집행관들과 전부 붙어보고 싶은데, 그 애는 좀 꺼려진다랄까···. 어쨌든 너도 조심하는 게 좋을 거야
타르탈리아[12]의 대사 자료 中, 「콜롬비나」에 대해···
타르탈리아[12]의 대사 자료 中, 「콜롬비나」에 대해···
너라면 「언제나」 멍하며, 「뭘 하든」 무덤덤한 「콜롬비나」 를 만나면 어떻게 할 거야? 난 일단 한 번 싸워볼 거고, 넌··· 착한 게 탈이니까 피하는 게 좋을거야.
방랑자[13]의 대사 자료 中, 「콜롬비나」에 대해···
겉으로 드러나는 외형은 어리고 가녀린 소녀에 불과하지만[16] 나히다의 언급에 의하면 서열 3위 이상인 우인단 집행관은 신에 견줄 힘을 지녔다고 한다. 이후 마신 임무 공월의 노래 제1막에서 500년 전 탄생하여 서리달 아이에서 숭배해온 달의 여신 쿠타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서리달 아이가 탐욕에 물든 소원들을 빌었을 때 콜롬비나는 그 모든 소원에 응답해 그들의 소원을 이루어 주려 했고 이를 이루어 줄 때 마다 콜롬비나의 힘을 소모해 나중에는 더는 응답해주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17]. 결국 서리달 아이는 자신의 집이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한 콜롬비나는 서리달 아이를 떠났고 이후 스네즈나야의 얼음 여왕과 계약을 맺고 우인단 집행관이 되었다. 그러나 얼음 여왕 또한 콜롬비나에게서 그저 달의 신의 힘만을 원하는 모습을 보여줬고 여왕에게도 실망한 콜롬비나는 약속만을 이뤄준 후 우인단을 이탈해 노드크라이의 히시섬에 몸을 숨겼다. 콜롬비나는 이를 두고 두번째 가출이라 표현했다.방랑자[13]의 대사 자료 中, 「콜롬비나」에 대해···
권능 면에서는 과거 달의 세 자매가 죽은 이후 새로이 탄생한 새로운 달의 윤회, 현신이라고 소개되고 있다. 과거 달의 여신들은 현재 마신들의 이전 세대 종족이었던 전성기 천사들한테 명령을 내리며 티바트를 다스렸지만 니벨룽겐과 파네스의 대전쟁 이후 달의 세 자매가 모두 사망하면서 힘이 약해졌고 500년 전에 새로이 태어난 콜롬비나는 달의 세 자매와 비교해 비교적 힘이 약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너무 많은 달의 힘을 주변 사람들에게 제공하여 공월의 노래 제2막 기준으로는 힘을 완전히 잃어버릴지도 모른다고 독백하는 장면이 나올 정도로 굉장히 약화되어 있는 상황이다. 그런 상태임에도 여행자가 콜롬비나를 처음 만났을 때 우인단 얘기를 꺼내자 불편한 기색을 내비치며 힘을 사용했는데 이때 여행자가 엄청난 압박감을 느꼈으니 힘이 온전한 상태라면 매우 강력한 권능을 가졌음이 분명하다.[18]
달의 여신인 만큼 달의 힘을 다룰 줄 알며, 달의 힘을 감지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힘을 대부분 잃어 굉장히 약해진 상태에서도 여행자의 몸속에 있는 달의 정수를 단번에 감지해 낼 정도이며, 여행자의 도움으로 어느 정도 힘을 회복한 후에는 라우마 조차 시간이 너무 오래되어 단편적인 내용밖에 보여주지 못했던 여행자 남매의 우주선이 노드크라이에 불시착한 상황을 보다 더 자세히 보여주었다. 달의 신의 권속인 월령도 만나 본 적이 있다면 전부 누가 누구인지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의 위치를 원격으로 파악 하거나 필요 하다면 특정 대상을 자신이 있는 위치로 순간이동 시킬 수 있다.
5. 인간관계
5.1. 여행자
선대 달의 신의 축복을 받은 월령 루오노타르의 인도로 본의 아니게 서로를 알게 된다. 처음 여행자와 마주했을 때는 여행자의 입에서 우인단이 언급되자 자신을 잡으러 온 줄 알고 적대감을 드러냈다가 오해라는 것을 알고는 적대감을 거둔다. 이후 여행자가 콜롬비나에게 달과 노드크라이에 관한 질문을 던지지만 콜롬비나의 성격이 워낙 무심한 데다 많은 일로 인해 지쳐 있었기에 여행자에게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다. 거기다 그간 신으로서[19] 그녀에게 타인과의 관계란 공물을 받고 소원을 이루어 주는 것이 전부였기 때문에, 그 외의 인간다운 상호작용을 잘 배우지 못한 상태였기에 여행자와도 상당히 느리게 친밀감을 쌓는다.어느 정도 대면한 뒤엔[20] 왜 밖에 나가지 않냐는 페이몬의 질문에 콜롬비나는 "모르는 사람은 싫다"고 대답한다. 이에 여행자가 "그럼 우리는 아는 사람이네?"라고 하자 "모르는 사람보다는 나아"라며 애매모호한 답변을 하는가 싶더니 여행자와 페이몬이 떠나기 전 누우면서 "이곳의 꽃은 너같은 손님을 좋아해"라며 웃으면서 작별하는 것으로 서로 가까워지기 시작한다.
여행자가 달의 정수를 이용해 도와준 뒤에는 여행자를 걱정하며 레리르에게서 구해 주는 등 확실히 우호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2막이 끝난 뒤엔 바깥에 나가 보라는 여행자의 말을 기억해 뒀다가 나샤 마을에 남몰래 들러 지붕 위에서 아래를 구경하거나, 달빛 정원에 찾아온 여행자의 뒤편에 인기척 없이 슬그머니 나타나며 장난을 치기도 하며, 가끔 월령들에게 숲속 이야기를 해주며 말을걸면 너도 이야기가 듣고싶냐며 달은 거짓말을 하니 조심하라고 말해준다. 매번 대사가 바뀌는데, 노래를 불러주며 월령들을 재우고있으니 조용히 해달라고 부탁하기도 한다.
5.2. 노드크라이
- 라우마
라우마가 현 서리달 아이의 달을 읊는 사자기 때문에 잘 알고 있으며, 현재는 서리달 아이의 마을에 접근하지 않겠다고 라우마와 만나 약속까지 했음이 드러났다. 서리달 아이를 개혁하고 싶어해 눈에 띄지 않는게 나은 것 같다고 밝혔기 때문. 콜롬비나는 그런 일에는 딱히 관심은 없었지만 라우마가 과거의 서리달 아이를 대신해 사과까지 하는 걸 보고 지금까지의 서리달 아이와는 다른 것 같다고 여기고 있는데, 여행자에게는 라우마가 너무나도 눈부셔서 사람들이 더는 자기를 보려 하지 않을까 두려워해 힘을 억누르고 있다고 알려준다.
- 플린스
레리르의 공격으로부터 급하게 달빛 정원으로 피신시킬 때 함께 달빛 정원으로 데려오게 되었다. 산드로네나 여행자와는 달리 서로 초면이기에 아직 친분은 없지만 여행자의 동료인 만큼 우호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 아이노
늘 악기를 고쳐주는 아이노에게 보답하기 위해 직접 찾아갔다가 안면을 텄다. 다만 직접 본 적은 이때까지 한 번도 없었던지라 아이노와는 초면이었고 아이노도 여행자와 페이몬이 콜롬비나가 일을 맡긴 의뢰인이라는걸 알려주고 나서야 악기의 주인이라는걸 알아보았다. 그 후 이네파가 콜롬비나가 달의 여신이라는걸 눈치채고 그 보답은 달의 신의 선물인거 같다고하자 회로가 이상해진거 같다고하며 끝까지 콜롬비나의 정체는 알아채지 못했다.[21]
- 이네파
아이노에게 보답하기 위해 찾아갔다가 이네파가 갑자기 나타나서 안면을 텄다. 이네파는 콜롬비나와 서리달 아이의 달의 신상과의 일치도, 여행자와 페이몬의 어색한 반응을 통해 콜롬비나가 서리달 아이에서 모시는 달의 여신이라는 사실을 알아챘다. 반면 콜롬비나는 이네파가 자신을 스캔할 때 여행자의 뒤에 숨으며 경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22]
5.3. 우인단
- 도토레
공월의 노래 제2막 엔딩 부분에서 여행자와의 대화에서 도토레에 대해 늘 사람들을 부려먹는다고 언급했었는데, 달맞이 견문 첫번째에서 나온 대화에 의하면 도토레가 진행했었던 광계의 힘의 실험을 도와준 적이 있다고 언급한다. 이어지는 콜롬비나의 말로 봐선 도토레는 콜롬비나에게 여러가지로 지시 하는 것이 많았고[23], 몇 번 도와 주다가 금세 흥미가 떨어진 콜롬비나는 도토레의 실험실에 발길을 끊는다. 이전에 공개된 티바트편 막간 PV - 「한겨울 밤의 광대극」에서 콜롬비나가 도토레에게 오늘 굉장히 젊어 보인다며[24], 말을 걸었던 모습이 콜롬비나의 유일한 대화 장면이었는데, 그의 악행 때문에 마찬가지로 도토레를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 아를레키노
처음에 여행자와의 대화에서 아를레키노에 대해 언급하려 한 것에서 알 수 있듯 의외로 가까웠던 사이다. 달맞이 견문 첫번째에서 콜롬비나는 아를레키노와의 놀이에서 딱 한 번밖에 이기지 못했다는 아리송한 말을 하기 때문. 내용인 즉슨, 아를레키노는 매번 자신의 뒤에서 소리 없이 나타나며 이른바 탐색을 했었다고 언급한다. 콜롬비나도 아를레키노와 똑같이 놀아 보고 싶어 뒤에서 다가갔지만 아를레키노가 워낙 눈치가 좋았던 탓에 늘 멀리서부터 알아채고 뒤를 돌아봤으며, 콜롬비나가 달의 힘을 사용해 뒤를 잡아 깜짝 놀라게 했더니 그 뒤로 다시는 그 놀이를 해 주지 않았다고 언급한다. 즉 콜롬비나는 순수하게 아를레키노가 자신을 상대로 놀아 주고 있다고 생각하고 그녀를 우호적으로 바라본 것.[25] 또한 우인단에 있을 동안 산드로네와 마찬가지로 아를레키노와는 잘 지냈다고 언급한다. 한편, 아를레키노는 콜롬비나에 대해 아주 특이하다라고 언급했는데, 무언가를 물어보면 늘 예상을 벗어난 답만 해서 도통 속을 종잡을 수 없지만, 그 답들이 매우 흥미롭기는 하다고. 한편 '달의 여신'인 콜롬비나와 아를레키노의 '붉은 달'이 어떤 관계인지, 어떤 연관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 스카라무슈
콜롬비나가 스카라무슈를 어떻게 보는지 나오지 않았지만 스카라무슈는 콜롬비나를 언제나 멍하고 뭘 하든 무덤덤하다고 평한다. 수메르 중간장 이후로 스카라무슈가 신분을 세탁했기 때문에 콜롬비나 역시 스카라무슈를 잊었을 것이다. 방랑자가 「달밤의 서사시」 PV에서 노드크라이로 향한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추후 다시 연결고리가 생길 가능성도 있다.
- 시뇨라
「한겨울 밤의 광대극」 PV에서 시뇨라의 관을 잡고 노래하는 모습과 이후 다른 집정관들과 함께 추모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후 첫번째 달맞이 견문에서 그녀를 회상하며 본명인 ‘로잘린‘으로 부르고 감사함을 표현할 줄 알아야한다고 가르쳐줬다는 말과 함께 여행자에게 달의 축복을 내려준 것을 보면 원만한 관계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 타르탈리아
콜롬비나가 타르탈리아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는 아직 언급이 없어 불명이지만, 타르탈리아는 그녀를 꺼리는데 전투라면 사족을 못쓰며 강자라면 그 상대가 누구든 붙어보고 싶어하는 전투광 타르탈리아가 유일하게 콜롬비나와 싸우는 것에는 거부감을 느낀다. 여행자에게도 조심하라고 경고할 정도.
5.3.1. 산드로네
|
보면 알겠지만, 본인의 인간관계 중 유일하게 놀려먹는 포지션[26]이 될 정도로 산드로네에게 상당히 호의적인 편[27]이다. 산드로네 역시도 콜롬비나에게 지금은 지명수배자에 불과하다며 자꾸 건드리면 잡아갈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을 정도로 악의 없이 자신의 신경을 건드리는 말을 하며 여러모로 참견하는 콜롬비나를 못마땅해 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말만 그렇게 하지 실제로는 잡아가는 것에 전혀 관심이 없다. 산드로네 자신의 기계를 계속 박살 내서 대놓고 싫어하는 타르탈리아에게 보이는 반응과 비교해보면 오히려 무르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양호한 편이다.
달맞이 견문 첫번째에서는 막 우인단에 가입했던 시절을 언급하는데, 산드로네가 밤에 연구하고 낮에 자는 생활을 하는데 콜롬비나가 하도 노래를 부르는 바람에 잠을 제대로 못 잔 산드로네가 노래를 자중해 줄 것을 요구했고, 이에 콜롬비나는 '그럼 연구를 하는 밤에 노래를 불러주자' 라는 생각으로 밤만되면 산드로네의 방문 앞에 가서 노래를 불렀다가 결국 열받은 산드로네에게 쫓겨났다고 한다. 아를레키노와 더불어 자신한테 잘해준 집행관으로 언급하는 점까지 볼때 서로 원만한 관계라고 할 수 있다.
5.4. 일곱 신
<nopad> |
- 얼음 여왕
전 상관[28]. 점차 탐욕스럽게 변하는 서리달 아이를 보고 콜롬비나는 이곳은 자신의 집이 아니라는 생각에 환멸을 느끼고 뛰쳐나온 뒤, 우인단이 또다른 집이 되어주겠다는 여왕을 따라 집행관이 되었으나, 결국 여왕조차 달의 신의 힘이 필요한 것뿐이었다며 실망하고 약속한 만큼의 힘을 사용해준 뒤 우인단을 이탈한다.[29] 하지만 여왕은 콜롬비나를 놓아줄 생각이 없는지, 우인단에게 콜롬비나를 반드시 회수하라는 칙령을 내려 현재 콜롬비나는 우인단의 추격을 받고 있다. 한편 콜롬비나는 단순 이해관계의 일치로 잠시 우인단에 몸 담았던 것일 뿐이기 때문인지 여왕에 대한 충성심이 없었던 것으로 보이며, 그렇기 때문에 다른 우인단 집행관들과는 달리 얼음 여왕을 부를 때 존칭을 붙이지 않고 그냥 '여왕'이라고 부른다.[30]
5.5. 기타
- 레리르
레리르가 달 사냥꾼이라 불리고 켄리아 재앙 직후에 자취를 감췄다는 것까지는 알지만, 정작 행방을 몰라서 콜롬비나가 직접 다른 우인단 동료들에게 묻자 되려 진짜 모르냐고 되물었다고 한다. 그 이유는 소문 속의 달 사냥꾼의 결말은 '두 번 다시 돌아올 수 없는 「달 그림자」에 빠지는 것'이었기 때문. 우인단이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레리르가 전력을 다하면 노드크라이 전체가 힘을 합쳐도 상대가 되지 못할거라고 말해주고, 실제로 레리르가 일격을 가하기 직전에 여행자 일행을 자신의 거처인 달빛 정원으로 이동시켰다.
6. 언어별 표기
<colbgcolor=#9b111e,#010101><colcolor=#ffffff,#e0e0e0>
한국어 | 콜롬비나 |
영어 | Columbina |
중국어 | [ruby(哥伦比娅, ruby=Gēlúnbǐyà)][간체자] [ruby(哥倫比婭, ruby=Gēlúnbǐyà)][번체자] |
일본어 | コロンビーナ |
독일어 | Columbina |
프랑스어 | Columbina |
포르투갈어 | Columbina |
스페인어 | Columbina |
러시아어 | Коломбина |
인도네시아어 | Columbina |
태국어 | Columbina |
베트남어 | Columbina |
<colbgcolor=#9b111e,#010101><colcolor=#ffffff,#e0e0e0>
한국어 | 쿠타르 |
영어 | Kuutar |
중국어 | [ruby(库塔尔, ruby=Kùtǎ'ěr)][간체자] [ruby(庫塔爾, ruby=Kùtǎ'ěr)][번체자] |
일본어 | クータル |
독일어 | Kuutar |
프랑스어 | Kuutar |
포르투갈어 | Kuutar |
스페인어 | Kuutar |
러시아어 | Куутар |
인도네시아어 | Kuutar |
태국어 | Kuutar |
베트남어 | Kuutar |
7. 테마곡
Elogia Cinerosa |
콜롬비나의 노래[가칭]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ff,#fff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Dormi cara, Columbula 잠들어라, 사랑스러운 비둘기야 O Columbula mea 오, 나의 작은 비둘기야 Senti ad fenestram 창가에서 느껴보렴 Adsint somnians flora 꿈꾸는 꽃들이 함께 하기를 O cara filia lunae 오, 사랑스러운 달의 딸아 Ne verum ambulo, vivo te tam 나는 진실을 걷지 않고, 오직 너로 살아가네 Nec ea cum est sua amans 그녀는 사랑하는 이와 함께 있지 않단다 Tam pia, bona 참으로 경건하고 착한 아이야 Somnians a luna 달로부터 꿈을 꾸는 아이야 | }}}}}}}}}}}} |
8. 여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콜롬비나/여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콜롬비나/여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wiki
||<tablealign=center><width=600><table bordercolor=#004e6a,#383b40><bgcolor=#004e6a,#010101> [[원신|[[파일:원신 로고.svg|width=85]]]] ||
||<bgcolor=#fff,#1c1d1f><keepall>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스토리 ]⠀
{{{#!wiki style="margin: -5px -1px"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1%> '''[[원신/스토리|{{{#ffffff 스토리}}}]]'''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연표|연표]] · [[원신/임무|임무]] {{{-2 ([[원신/임무/마신 임무|마신]] · [[원신/임무/전설 임무|전설]] · [[원신/임무/월드 임무|월드]] · [[원신/일일의뢰|의뢰]])}}} · [[원신/이벤트|이벤트]] {{{-2 ([[원신/이벤트/1.n 버전|1]] · [[원신/이벤트/2.n 버전|2]] · [[원신/이벤트/3.n 버전|3]] · [[원신/이벤트/4.n 버전|4]] · [[원신/이벤트/5.n 버전|5]] · [[원신/이벤트/「공월의 노래」|공월의 노래]] / [[해등절]] · [[원신/이벤트/여름 이벤트|여름 이벤트]])}}}}}} ||
||<|3> '''[[원신/지역|{{{#ffffff 지역}}}]]'''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티바트''': [[몬드]] · [[리월]] · [[이나즈마(원신)|이나즈마]] · [[수메르(원신)|수메르]] {{{-2 ([[적색 모래 바다|사막 지역]])}}} · [[폰타인]] · [[나타(원신)|나타]] · [[스네즈나야]] {{{-2 ([[노드크라이]])}}} · [[켄리아]]}}}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고대 국가''': [[살 빈다그니르]] · [[백야국]] · [[레무리아 제국]] · [[오치카나타]] · [[태고의 신성한 산|나타란티아]]}}}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특수 지역''': [[드래곤 스파인]] · [[층암거연]] · [[연하궁]] · [[침옥 협곡]] · [[지난날의 바다]] · [[태고의 신성한 산]] · [[잿더미 바다]] · [[셀레스티아(원신)|셀레스티아]] · [[금사과 제도]] · [[유리빛 신기루]] · [[시뮬랑카]] · [[느긋한 휴양촌]]}}} ||
||<|2> '''[[원신/설정|{{{#ffffff 설정}}}]]'''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지역별''': [[원신/설정/몬드|몬드]] · [[원신/설정/리월|리월]] · [[원신/설정/이나즈마|이나즈마]] · [[원신/설정/수메르|수메르]] · [[원신/설정/폰타인|폰타인]] · [[원신/설정/나타|나타]] · [[원신/설정/스네즈나야|스네즈나야]] {{{-2 ([[원신/설정/노드크라이|노드크라이]])}}} · [[원신/설정/켄리아|켄리아]]}}}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신(원신)|신]] {{{-2 ([[일곱 신]]· [[마신전쟁(원신)|마신전쟁]]· [[4명의 집정관]])}}} · [[신의 눈(원신)|신의 눈]] · [[원신/종족|종족]] · [[티바트 문자|문자 및 언어]] · [[심연(원신)|심연]] · [[대재앙]] · [[강림자(원신)|강림자]] · [[운명의 자리]] }}} ||
||<|2> '''[[원신/등장인물|{{{#ffffff 등장인물}}}]]'''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지역별''': [[원신/등장인물/몬드|몬드]] · [[원신/등장인물/리월|리월]] · [[원신/등장인물/이나즈마|이나즈마]] · [[원신/등장인물/수메르|수메르]] · [[원신/등장인물/폰타인|폰타인]] · [[원신/등장인물/나타|나타]] · [[원신/등장인물/스네즈나야|스네즈나야]] {{{-2 ([[원신/등장인물/노드크라이|노드크라이]])}}} · [[원신/등장인물/켄리아|켄리아]] · [[원신/등장인물|기타]]}}}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세력 및 집단''': [[모험가 길드(원신)|모험가 길드]] · [[페보니우스 기사단]] · [[선인(원신)|리월 선인]] · [[수메르 아카데미아]] · [[도금 여단]] · [[수선화 십자]] · [[우인단]] · [[심연 교단]] · [[마녀회]]}}}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게임 플레이 ]⠀
{{{#!wiki style="margin: -5px -1px"
||<|3><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1%> '''[[원신/콘텐츠|{{{#ffffff 콘텐츠}}}]]'''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캐릭터|캐릭터]] {{{-2 ([[원신/캐릭터/생활 특성|생활 특성]])}}} · [[원신/생물|생물]]}}}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비경|비경]] · [[원신/나선 비경|나선 비경]] {{{-2 ([[원신/나선 비경/역대 메타/3.n 버전|3]] · [[원신/나선 비경/역대 메타/4.n 버전|4]] · [[원신/나선 비경/역대 메타/5.n 버전|5]])}}} · [[원신/현실 속 환상극|현실 속 환상극]] {{{-2 ([[원신/현실 속 환상극/일정|일정]] · [[원신/현실 속 환상극/세부 사항|세부 사항]] · [[원신/현실 속 환상극/그림 속 궤적|그림 속 궤적]] · [[원신/현실 속 환상극/평가|평가]])}}} · [[원신/지맥 제압전|지맥 제압전]] {{{-2 ([[원신/지맥 제압전/일정|일정]] · [[원신/지맥 제압전/평가|평가]])}}}}}}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속세의 주전자|속세의 주전자]] {{{-2 ([[원신/속세의 주전자/선물 세트|선물 세트]])}}} · [[원신/낚시|낚시]] · [[일곱 성인의 소환]] {{{-2 ([[일곱 성인의 소환/카드일람|카드일람]])}}} · [[선율이 흐르는 악보]] · [[원신/코스튬|코스튬]] · [[원신/명함|명함]] {{{-2 ([[원신/명함/캐릭터|캐릭터]])}}} · [[원신/여행 일화|여행 일화]] · [[원신/별바다 세계|별바다 세계]]}}} ||
||<|2> '''[[원신/적|{{{#ffffff 적}}}]]'''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소 생명체]] · [[츄츄족]] · [[심연(원신)|심연]] · [[우인단/적|우인단]] · [[자동 장치(원신)|자동 장치]] · [[보물 사냥단]] · [[용(원신)/적|용]] · [[노부시패]] · [[도금 여단/적|도금 여단]] · [[부족 용 무사]] · [[돌연변이 마수]] · [[원신/적/기타 몬스터|기타]]
}}}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적/토벌 보스|토벌 보스]] · [[원신/적/주간 보스|주간 보스]] · [[지방 전설]] {{{-2 ([[지방 전설/수중|수중]] · [[밤혼 시련]])}}}
}}} ||
|| '''[[원신/시스템|{{{#ffffff 시스템}}}]]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원소|원소]] · [[원신/전투|전투]] {{{-2 ([[원신/전투/조합|조합]] · [[원신/전투/역대 메타|역대 메타]] · [[원신/전투/데미지 계산식|데미지 계산식]])}}} · [[원신/필드 기믹|기믹]] · [[원신/탐사|탐사]] · [[원신/기원|기원]] {{{-2 ([[원신/기원/캐릭터 이벤트 기원|캐릭터]] · [[원신/기원/무기 이벤트 기원|무기]] · [[원신/기원/묶음 기원|묶음]])}}} · [[원신/기행|기행]] · [[원신/업적|업적]]}}} ||
|| '''[[원신/아이템|{{{#ffffff 아이템}}}]]'''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무기|무기]] {{{-2 ([[원신/무기/한손검|한손검]] · [[원신/무기/양손검|양손검]] · [[원신/무기/장병기|장병기]] · [[원신/무기/법구|법구]] · [[원신/무기/활|활]])}}} · [[원신/성유물|성유물]] · [[원신/육성 아이템|육성]] · [[원신/음식|음식]] {{{-2 ([[원신/음식/회복|회복]] · [[원신/음식/공격|공격]] · [[원신/음식/모험|모험]] · [[원신/음식/방어|방어]])}}} · [[원신/재료|재료]] · [[원신/간편 아이템|간편]] · [[원신/임무 아이템|임무]] {{{-2 ([[원신/임무 아이템/월드 임무|월드 임무]] · [[원신/임무 아이템/책|책]]) }}} · [[원신/귀중한 물품|귀중한 물품]] · [[원신/장식|장식]] {{{-2 ([[원신/장식/실외 장식|실외]] · [[원신/장식/실내 장식|실내]])}}} · [[원신/기타 아이템|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1%> '''미디어 믹스'''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3 ([[원신(애니메이션)|장편]] · [[원신/단편 애니메이션|단편]])}}} · [[원신/OST|OST]] · [[https://genshin.hoyoverse.com/ko/manga|만화]]}}} ||
|| '''온/오프라인 이벤트'''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콘서트|콘서트]] · [[HoYoFair]] · 축제 {{{-2 ([[원신 2022 여름축제|2022 여름]] · [[원신 2023 여름축제|2023 여름]] · [[호요랜드|2024 가을]])}}}}}} · [[원신/한국 서비스|한국 서비스]] {{{-2 ([[원신 Cafe in Seoul]] · [[원신 PC 라운지 in Seoul]])}}} ||
|| '''기타'''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시스템 요구 사양|시스템 요구 사양]] · [[원신/업데이트|업데이트]] · [[원신/출시 전 정보|출시 전 정보]] · [[원신/여담|여담]] {{{-2 ([[원신/플레이 팁|플레이 팁]] · [[원신/일본 서비스|일본 서비스]] · [[원신/여담/공식 정보|공식 정보]])}}} · [[원신/평가|평가]] · [[원신/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원신/악성 팬덤|악성 팬덤]]}}} ||
|| '''관련 사이트'''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 공식카페|카페]] · [[원신 project 마이너 갤러리|갤러리]] · [[원신 채널|채널]]}}} ||}}}}}}}}}}}} ||
[1] 작중에서 콜롬비나 본인조차 자신의 이름을 모른다고 언급한다. 혹은 이름이 없을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서리달_아이] [3] 출신지는 스네즈나야의 자치구역 노드크라이에 위치한 히시 섬. 태어났을 때부터 서리달 아이로부터 달의 신으로 섬겨지다가 탐욕에 물든 그들에게 실망하고 서리달 아이를 떠난다. 이후 얼음 여왕과의 모종의 약속을 통해 집행관이 되었으며, 현재는 다시 이탈해 현재는 히시 섬 인근의 지하에 위치한 달빛 정원에 몸을 숨기고 있다. 또한 우인단은 창백한 별의 칙령에 따라 콜롬비나를 회수하기 위해 추격중인 상황이다. 참고로 라우마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서리달 아이에도 귀환하지 않고 있다.[4] 노드크라이가 행정상으로는 스네즈나야에 속하지만, 여왕의 실질적인 지배를 받지는 않기때문에 노드크라이 사람들도 여왕을 섬기지 않는다.[5] 공월의 노래 PV 「달밤의 서사시」에서 콜롬비나가 등장할 때 양쪽 발 아래에 물로 이루어진 구체가 보인다. 또한 콜롬비나와 함께 태어났다는 설정인 노드크라이 지역의 특산물 '달빛 은'을 원소시야로 살피면 물 원소의 표시가 뜬다.[6] 우인단을 탈퇴한 만큼 사안은 버리고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7] 영어단어 'damsel/dæmzl/(댐즐)'에서 파생되었다고 가정하면 '댐즐릿' 정도로 읽을 수 있겠지만 국내에서는 '담셀렛'으로 읽는 경우가 많고 영어권 원신 유저들 사이에서도 발음이 통일되지 않았다.[8] 쿠죠 사라와 중복.[9] 저 대화 바로 직후에 콜레이가 꿈에서 깨는 장면이 나와서 종종 콜레이의 대사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는데 콜레이가 아닌 콜롬비나가 도토레에게 하는 대사이다. 사실 콜레이와 도토레의 관계성을 생각 해보면 저런 대화를 나눌 수 있을 리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10] 도토레는 말할 필요도 없을 정도로 제정신이 아니고, 아를레키노와 시뇨라는 상당히 냉혹한 성격, 스카라무슈는 배배 꼬인 성격, 타르탈리아는 전투광이다. 그리고 풀치넬라는 공리주의자, 판탈로네는 돈을 위해서라면 뭐든지 하는 성격이다. 그나마 타르탈리아와 아를레키노는 인간적인 면모가 있어 무난한 집행관 측에 끼인다.[11] 자신의 몸 상태가 매우 안좋은 상황에서 조차 보답에 신경쓰는 모습에 페이몬이 지금 상황에서 왜 그런걸 신경 쓰냐면서 네 몸부터 챙기라고 말하며 안타깝게 여길 정도.[12] 現 우인단 집행관 서열 11위[13] 前 우인단 집행관 서열 6위[14] 중국어 원문에는 신명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일곱신을 포함해 마신을 이르는 또다른 말이다. 신 문서 참조.[15] 원신에서의 신은 넓게 보면 다양하지만 주로 '마신'을 의미한다. 또한 착각하기 쉽지만 '집정관'은 별개의 종족명이 아니라 마신전쟁에서 이겨 7국의 군림자가 된 7명의 마신에게 붙은 일종의 '직위'이며 이들은 여전히 집정관인 동시에 마신이다. 다만 마신의 경우 신앙이나 속성에 따라 전투력 편차가 크기에 저 신이 넓은 범위의 '마신'을 기준으로 하는지 아니면 '7인의 집정관'을 기준으로 하는지는 불명. 이후 카피타노가 마비카를 상대로 약간 밀리면서도 호각으로 전투를 벌인 것을 보면 7인의 집정관 기준일 가능성이 높다.[16] 집행관 중 가장 어린 타르탈리아가 콜롬비나를 여자아이라고 언급하는데, 이는 우인단 집행관들의 모티브로 쓰고 있는 유럽에서 유행한 가면극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등장인물인 소녀를 가리킨다. 실제로도 그럴만큼 어린 외형을 지녔다.[17] 당시 서리달 아이는 기본적인 의식주마저 콜롬비나에게 소원을 빌어서 해결하려 했을 정도로 광신도 기질이 심했고, 그 영향은 아직까지도 남아있어 자기 자식이 아픈데도 의사의 치료를 거부하고 오로지 기도만 올리는 신도마저 있을 정도라 현 달을 읊는 사자인 라우마는 오래전부터 개혁을 준비했는데 이를 위해 콜롬비나를 직접 찾아갔을 정도였다.[18] 서리달 아이를 떠날 때에도 힘을 상당히 소모한 상태에서 우인단에 들어갔음에도 서열 3위였다는 것을 생각하면 본래의 힘은 더 강할 가능성이 높다.[19] 사실 바람 신인 바르바토스를 제외하고는 신보다는 왕이나 스타 취급에 가까운 일곱 집정관보다 좀 더 신에 가까운 취급을 받고 있었다.[20] 정확한 시점은 여행자가 달의 정수를 산드로네로부터 받고 라우마와 대화한 뒤 콜롬비나를 찾아갔을 때다.[21] 낯이 익다고는 생각했지만, 아이노가 어리기도 한데다 이네파 몰래 간식 먹은걸 들킬까봐 전전긍긍해하느라 콜롬비나에게 신경을 많이 쓰지 못한듯하다.[22] 그저 자신을 날카롭게 쳐다보는 이네파를 부담스러워했던건지 이네파가 고대 나타 용 문명의 잔재라서 그걸 경계했던건지 아니면 그냥 여행자와 라우마, 산드로네같은 지인이 아니라서 낯가림이 심했던건지는 알 수 없다. 어쩌면 셋 다일 수도.[23] 한글 번역에서는 '금지'라고 나오나 이는 오역이며, 원문은 도토레의 지시에 따라 콜롬비나가 달의 힘을 써서 물건을 맞추거나 조종을 했다는 내용이다.[24] 도토레가 그 말은 자신에게 칭찬이 아닌 걸 알지 않냐고 답한것으로 보아 도토레를 자극할 목적으로 말한 모양이다.[25] 물론 이미 아를레키노의 성격을 알고 있던 페이몬은 속으로 아를레키노는 그걸 한 번도 놀이로 여긴 적이 없었을 것이라고 혼잣말을 한다. 아를레키노의 성격상 콜롬비나가 어떤 인물인지 「탐색전」을 시도한 것이 뻔하기 때문. 콜롬비나의 순수함을 나타내는 부분이기도 하다.[26] 물론 콜롬비나의 인간관계 중 우인단 집행관들의 경우, 산드로네를 제외한 다른 우인단 집행관들의 성격이 놀린다고해서 재밌는 반응을 보이는 성격이 아니란 것을 감안해야 한다. 현재까지 자세한 성격이 드러난 우인단 집행관들 중에서 자신을 놀리는 듯한 말에 열받아하거나 발끈하는 모습, 즉 '놀리는 재미가 있는 반응'을 보이는 집행관은 산드로네가 유일하다. 아를레키노를 상대로도 놀래킨 적이 있긴 하지만, 콜롬비나가 달의 힘까지 사용해서 자신을 놀리는 걸 본 후로는 아를레키노 쪽에서 콜롬비나를 기피했다고 하며 아를레키노는 애초에 이걸 장난이라고 생각해본 적도 없다고.[27] 애초에 타인과의 접촉을 굉장히 꺼리는데다, 현재 우인단에 지명수배당한 자신을 당장 잡아가도 이상하지 않을 집행관인 산드로네를 비밀리에 자신이 은둔하고 있던 장소가 발각되는걸 각오하면서까지 구해준다는건 어지간한 신뢰가 없으면 불가능하다.[28] 사실 상관이라기보단 계약으로 맺어진 비즈니스 관계에 더 가깝다.[29] 상당히 많은 힘을 요구했던 것인지, 마신 임무 공월의 노래 편에서 등장한 콜롬비나는 굉장히 약해져 있는 상태인데다 힘의 회복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30] 아를레키노도 작중에서는 '여왕님'이나 '여왕폐하'가 아닌 '얼음여왕' 이라고 지칭하기도 했지만 해당 상황은 여행자에게 자신이 모시는 신을 이야기하는 상황이라 생략한 것이고, 플레이어블 캐릭터의 음성자료에서는 여왕님이라고 확실하게 존칭으로 언급한다. 스카라무슈와 함께 유이하게 여왕에게 존칭을 쓰지 않는 셈. 마침 둘은 일곱 신이 아닌 여러 인외 캐릭터중 가장 일곱 신에 가까운 존재이기도 하다.[간체자] [번체자] [간체자] [번체자] [가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