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2:53:46

코난(모탈 컴뱃)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원작 코난 사가의 코난에 대한 내용은 코난 더 바바리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nopad>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vertical-align:middle; margin: -10px 0px"<tablebordercolor=#e6e6e6,#1f2023> 모탈 컴뱃 1의 출전 캐릭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ext-align: center; max-width: 1120px; font-size:0.73em"
플레이어블 캐릭터
{{{#!wiki style="margin: -15px -10px"
{{{#!wiki style="width: 351px; display:inline-flex"
<bgcolor=#1f1709>
<bgcolor=#1f1709> }}} {{{#!wiki style="width: 410px; display:inline-flex"<bgcolor=#1f1709>
<bgcolor=#1f1709>}}} {{{#!wiki style="width: 351px; display:inline-flex"<bgcolor=#1f1709>
<bgcolor=#1f1709>
[[해빅|파일:MK1_Select_Havik.png
파일:자물쇠 아이콘.png

해빅]]
}}}}}}
{{{#!wiki style="font-size: 0.85em; color: #fff"
카메오 캐릭터
[[스콜피온(모탈 컴뱃)#초대 스콜피온|파일:MK1_Kameo_Scorpion.png
파일:자물쇠 아이콘.png

스콜피온]]
[[서브제로#초대 서브제로|파일:MK1_Kameo_Sub-Zero.png
파일:자물쇠 아이콘.png

서브제로]]
[[쿵 라오|파일:MK1_Kameo_Kung_Lao.png
파일:자물쇠 아이콘.png

쿵 라오]]
[[슈진코|파일:MK1_Kameo_Shujinko.png
파일:자물쇠 아이콘.png

슈진코]]
[[모타로|파일:MK1_Kameo_Motaro.png
파일:자물쇠 아이콘.png

모타로]]
{{{#!wiki style="font-size: 0.85em; color: #fff"
기타 캐릭터
{{{#!wiki style="font-size: 0.85em; color: #fff"}}}}}}}}}

파일:모탈컴뱃로고.png
모탈 컴뱃의 게스트 캐릭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크레토스 프레디 크루거
모탈 컴뱃 X
제이슨
부히스
프레데터 레더페이스 에일리언
모탈 컴뱃 11
스폰 터미네이터 조커 로보캅 람보
모탈 컴뱃 1
옴니맨 피스메이커 홈랜더 고스트페이스 T-1000 코난
}}}}}}}}} ||
<colbgcolor=#e6e6e6><colcolor=#22326b> 코난
Conan
"Mighty Cimmerian Warrior"
- 막강한 시메리안 전사 -
파일:모탈 컴뱃 1 코난 프로필.png
출신지 시메리아
종족 인간
성별 남성
진영 중립[1][2]
성우 크리스 콕스[3](모탈 컴뱃 1)
파일:모탈 컴뱃 1 코난 배경.png

1. 개요2. 모탈 컴뱃 1
2.1. 성능2.2. 평가2.3. 기타

[clearfix]

1. 개요


▲ 예고편

모탈 컴뱃 1의 게스트 캐릭터. 영화 코난 더 바바리안의 주인공인 코난 더 바바리안이다.

2. 모탈 컴뱃 1

파일:모탈 컴뱃 1 코난.png


2025년 1월 17일에 트레일러가 공개되었고, 1월 21일에 본격적으로 출시되었다.

페이탈리티는 다음과 같다.
  • 상대를 기름이 펄펄 끓는 가마솥 쪽으로 걷어차고, 검으로 한 쪽 팔을 자른 뒤 입에 박아서 가마솥 안으로 집어넣는다. 검을 들어 올려서 상대가 녹은 걸 확인하고는 다시 안으로 처박아 검을 힘껏 돌려 머리를 절단하고 칼날에 걸린 두개골만 건져낸다.
  • 상대의 한쪽 쇄골을 검으로 내리치고, 뒤로 돌렸다가 걷어차 무릎을 꿇린 후 다시 반대편 쇄골을 두 차례 내리쳐 칼집을 만든 후 머리를 잡아 뽑는다.[4]
  • 애니멀리티 : 검을 던진 뒤 시메리아 황소로 변신해 돌진하여 상대를 뿔로 들이받고, 입에 뿔이 꽂힌 상대를 이리저리 내리치면서 조금 전에 땅에 박힌 검을 이용해 다리와 허리를 자르고 던진다.

브루탈리티는 다음과 같다.
  • 브로드소드를 위로 던지고 상대의 턱에 단검을 꽂고 비틀어서 턱을 뽑아버린다. 이후 내려온 브로드소드로 상하체를 둘로 갈라낸다.
  • 브로드소드로 상대의 배를 관통한 후 뽑아서 자세가 구부려진 상대의 머리를 참수한다.
  • 온몸을 벌리며 도발하는 반사기에 상대의 공격에 막히자 코난이 웃으면서 상대의 머리를 주먹으로 내리친다. 상대는 머리와 목 근방이 터진 채로 쓰러진다.
  • 어깨에 브로드소드를 꽂다 뽑고, 무릎을 꿇은 상대의 머리를 잡고 한손으로 브로드소드로 참수한다. 단번에 자르지 못해 두번 벤다.
  • 브로드소드로 단번에 참수를 한다. 어퍼컷 브루탈리티와 별개로 취급된다.
  • 브로드소드를 땅에 꽂고 상대를 들어서 브로드소드의 손잡이에 꽂아버린다. 상대의 뱃가죽은 터진 상태.
  • 발길질 한번으로 상대의 상하체를 찢어버린다.

2.1. 성능

적은 타수에 반비례하는 큰 데미지와 검캐 특유의 긴 리치를 가졌다. 때문에 콤보를 이어나가도 데미지가 잘 줄어나가지 않아서 상대 입장에선 콤보를 허용하면 바로 큰 위기로 이어지기도 한다.

대신 공격 간 텀이 긴 편이라 오히려 타수로 승부를 보는 캐릭터나 발동 시간이 빠른 기술에 쉽게 파훼되기도 한다. 그렇기에 상대의 자세를 방해하는 카메오가 반강제되는 편.

2.2. 평가

2.3. 기타

전작의 터미네이터를 이어 아놀드 슈워제네거 모습을 한 게스트 캐릭터다. 그래서 성우도 동일하게 아놀드 성대모사로 유명한 크리스 콕스가 맡았다. 차이점은 터미네이터의 경우 원작과 동일하게 아무리 맞아도 신음소리를 안냈던 것에 반해, 코난의 경우 평범한 사람이다보니 맞거나 죽어가면서 내는 신음소리도 전부 더빙했다.

원작 영화에서 수염을 기르고 고뇌하는 엔딩 컷신은 이후 많은 매체에서 오마주 되었는데, 모탈 컴뱃 3 애니메이션 왕국의 수호자에 등장한 제로드 왕의 외형도 그 중 하나라 그런지 신델이 코난에게 제로드를 보는 것 같다고 말해준다.

1932년에 처음 나온 코난의 참전으로 모탈 컴뱃 시리즈에 참전한 게스트 중 데뷔일이 가장 오래된 캐릭터라는 기록이 깨졌다. 그 이전은 1940년에 데뷔한 DC 코믹스조커

모탈 컴뱃 세계관으로 넘어와서 어스렐름과 아웃월드를 여행했다는 인트로가 여럿 있다. 원작에서 처럼 문명인은 여리다고 까대거나, 린 쿠에이를 적대하고, 백련교에서 아수라나 리우 캉에게 여러 문제를 일으킨 거 외엔 어스렐름에선 꽤 얌전하게 지냈는지 무려 쟈니의 영화를 봤다는 대사도 있다. 콴치와는 그의 실험 동물들을 썰어버린 걸로 원수관계가 되었다.

배우인 아놀드 슈월제네거가 터미네이터로 유명한 만큼 미러전 인트로에서 터미네이터의 패러디 대사를 볼 수 있다.[5]


[1] 엔딩에서 샤오의 쿠데타의 과정인 아웃월드의 수호룡 오린과 카로를 사냥하는 모습을 보면 전쟁을 즐기는 정복자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준다. 켄시와의 인트로에선 드디어 칼잡이랑 싸운다며 천진난만하게 기뻐하는 모습을 보이고 켄시가 당황하기도 한다.[2] 유달리 신과 마법(특히 흑마법이거나 사용자가 악한 경우)에 불호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악한이 아니면 마법보다 신체 능력에 가깝다거나 무기를 쓰거나 아예 비무장으로 싸우는 인물에겐 중립적이거나 먼저 호감을 보인다. 예외적으로 신델과 게라스에겐 중립적인데, 겪은 일에 차이가 있긴하나 신델에겐 진홍색 성채에서의 일과 겹쳐보였을 수 있고, 게라스는 개입이 잦지 않은 존재기에 적대심이 적었을 수 있다.[3] 전작터미네이터와 마찬가지로, 모델은 아놀드 슈워제네거지만 목소리는 콕스가 담당했다.[4] 원작 영화에서 가족을 몰살한 숙적 툴사 둠을 처형하던 장면의 재현이다. 특히 본 작의 섕쑹은 툴사 둠 처럼 뱀으로 변신도 가능해서 섕쑹에게 시전 시 가장 원작에 근접해진다.[5] "살고싶다면 날 따라와라."(If you want to live, come with me.) 터미네이터 시리즈의 유명한 대사인 "Come with me, if you want to live."에서 앞뒤 순서만 바꾼 대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