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하위 문서: 장(성씨)/목록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昌寧張氏 창녕 장씨 | |
시조 | 장간공 장일(張鎰) |
집성촌 | 경상남도 창녕군·김해시 경상북도 경산시 전라남도 고흥군 전라북도 정읍시 |
인구 | 6,052명(2015년) |
외부 링크 | 창녕 장씨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창녕 장(성씨) 경상남도 창녕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2. 본관
창녕장씨(昌寧張氏) 본관(本貫)에 대해서는 창녕의 옛 이름이 하성(夏城)에서 하산(夏山)으로, 다시 창녕(昌寧)으로 변천되었고, 시조 장간공이 하성군(夏城君)으로 봉군된 연유에 따라 지금까지 창녕장씨와 하산장씨(夏山張氏)가 함께 사용되고 있다.3. 시조
창녕장씨의 시조는 고려의 창업공신 삼태사(三太師)의 한 사람인 장정필의 후손 장일(張鎰)이다. 고려 원종 때 재신(宰臣)이며, 외교가인 장간공(章簡公)이 하성군(夏城君)에 봉군되었다.1. 인물개요
고려 후기에, 좌간의대부, 수로방호사, 동지추밀원사 등을 역임한 문신, 창녕 장씨의 시조2. 이칭
민창(敏昌), 이지(弛之), 장간(章簡)3. 생애 및 활동사항
창녕 장씨의 시조 장일(張鎰)은 고려의 창업공신 삼태사(三太師)의 한 사람인 장씨의 도시조(都始祖)인 장정필의 후손으로 전한다. 고려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전중시어사에 이르렀다. 장일이 고려 원종 때 삼별초의 난을 무마한 공으로 하성군(夏城君)에 봉해졌는데 하성은 창녕의 옛 이름인 까닭에 후손들이 창녕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장일(張鎰)의 초휘는 민(敏)이고, 자(字)는 이지(弛之)이며, 창녕의 호족(豪族)이다. 고려 희종 3년(1207)에 태어나서 고종 10년(1223)에 과거에 급제하고, 승평판관(昇平判官)에 임명되어 선정을 베풀었으며, 직사관(直史館)이 되었다가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로 옮겼다. 원종 초에 전라·충청·경상 삼도안찰사(全羅忠淸慶尙三道按察使)가 되었다가 이부낭중(吏部郎中)과 병부·예부의 이부시랑(兵禮二部侍郞),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가 되었다.
원종 10년(1269)에 국자제주(國子祭酒)로서 서경란(西京亂)을 토평(討平)하고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가 되었으며, 원종 12년(1271)에 삼별초군(三別抄軍)이 진도(珍島)에서 반거(叛據)할 때 공이 남방(南方)의 민심을 얻었으므로 경상도수로방호사(慶尙道水路防護使)에 제수되어 난을 진무(鎭撫)하였다. 그 다음 해에 첨서추밀원사(簽書樞密院事), 한림학사(翰林學士)가 되었고, 원종 14년(1273)에 전라도지휘사(全羅道指揮使),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동지공거(同知貢擧) 등을 역임한 후 충렬왕 1년(1275)에 지첨의부사(知僉議府事), 보문서태학사(寶文署太學士), 수국사(修國史)가 되었고, 하성군(夏城君)에 봉군되었다.
시조 장간공이 관직에 재직하던 중 “8차례나 元나라에 사신(使臣)으로 다녀왔지만, 왕명을 욕되게 하지 않았다.”(兪棨, 麗史提綱)는 기록이 있어서 원(元)의 침공이 있었던 고려 조정의 어려운 시절에 공께서 외교적 수완을 발휘한 것이라고 본다. 1276년 5월 3일에 향년 70으로 졸하시자 조정에서 장간공(章簡公)이란 시호(諡號)를 내렸다. 『고려사』의 사평(史評)을 보면 “성품은 온공 정직하고 글을 잘 지었으며, 행정을 수행하는 재주가 뛰어났다.”(性溫恭正直 善屬文 長於吏才) 라고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順天府」편과「慶州府」편에 장간공의 시 2수가 전한다.
연자루(燕子樓) : 순천(順天) / 순천의 ‘연자루’는 현재 중건 보존되어 있고, 장간 공의 연자루 시(詩)는 근대에 새로 만들어서 걸었다.
霜月凄凉燕子樓 : 서릿발 같이 찬 달빛 처량한 연자루(燕子樓)에는
郎官一去夢悠悠 : 낭관(郎官) 한번 간 후로 꿈만 유유하였네
當時座客休嫌老 : 당시 좌객(座客)을 늙었다고 혐의하지 마소
樓上佳人亦白頭 : 누각 위의 가인(佳人)도 역시 머리가 세었네
동경회고(東京懷古) : 경주(慶州)
四百年前將相家 : 4백년전의 신라 장군과 재상들은
競開臺사(木+射)幾雄誇 : 다투어 누대를 지었으니 그 웅장함 얼마나 자랑했을까?
只今繁麗憑誰問 : 이제 그 번성하고 화려했던 일들 누구에게 물으리
野杏山桃泣露華 : 들살구 산복사꽃이 이슬에 맺혀 눈물흐르듯 답해주네.
사가(四佳) 서거정(徐居正)이 지은『동인시화』의 ‘의성관루’(義城館樓) 편에 의하면 시조 장간공의 아들 정하(廷賀)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즉 시조공의 아들은 일찍이 의성현수(義城縣守)인 오적장(吳迪莊)의 딸과 약혼을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시조공의 묘소는 창녕군 대지면 용소리(龍沼里)의 헌진산(獻津山)에 계좌(癸坐)로 모셔져 있으며, 의성인 척암(拓菴) 김도화(金道和)가 지은 비문(碑文)의 묘비(墓碑)가 세워져 있고, 지난 1988년에 이 비문을 번역한 국역비(國譯碑)를 별도로 세웠다.
제 파(諸派)의 후손들이 참사하는 묘사는 음력 10월 첫 일요일이며, 한편 용소리 동민들이 매년 정월 보름날에 우리 시조공의 묘소에서 동제(洞祭)를 지내는 것이 고래(古來)의 전통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 고려사, 동국통감, 동인시화, 여사제강, 창녕읍지 등
4. 유래
우리나라 장씨(張氏)의 역사를 살펴보면 신라시대에 귀족계층이라 할 수 있는 육두품(六頭品: 得難)의 성씨에 李, 崔, 金, 鄭, 張, 孫, 裵씨 등이 문헌에 기록되어 있어서 장씨는 신라 귀족으로서 그 성씨의 역사가 매우 깊다.신라시대 저명인사로는 헌덕왕(憲德王) 14년(822)에 웅주도독(熊州都督) 김헌창(金憲昌)의 난을 진압한 일길찬(一吉?) 장웅(張雄)과 신무왕(神武王) 1년(839)에 청해진대사(淸海鎭大使)로 감의군사(感義軍使)와 진해장군(鎭海將軍)에 봉해진 장보고(張保皐), 그리고 경애왕(景哀王: 924-926) 때 병부시랑(兵部侍郞)을 지낸 장분(張芬) 등을 들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경상도 안동지방에서 권행(權幸), 김선평(金宣平)과 함께 고창성(古昌城)을 지키며 고려 태조 왕건(王建)을 도와 후백제를 파하는데 크게 공을 세운 장정필(張貞弼: 초명 吉)이 유명하다. 고려 태조는 이 3인에게 태사(太師)의 벼슬을 내렸으므로, 후인들이 이 분들을 삼태사(三太師)라 칭하였다. 그 가운데 장태사공은 본관(本貫)을 달리하는 대부분의 장씨의 족보에서 동국(東國) 장씨의 도(都) 시조로 삼고 있다. 그런데 태사공에 대하여 상계(上系)를 살펴보면 그가 중국에서 동래(東來)한 것으로 되어 있고, 청해진대사 장보고의 현손(玄孫)으로 표기되어 있다.
고려시대로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장씨는 수효가 매우 많아져서 여러 갈래의 본관(本貫)이 형성되었다. 『증보문헌비고』에 의하면 장씨(張氏)의 총 본관수가 245 본(本)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후대로 오면서 대부분의 본관이 대동(大同) 통합되었으므로, 현재는 인동(仁同), 안동(安東), 창녕(昌寧), 순천(順天), 울진(蔚珍), 단양(丹陽), 흥성(興城), 결성(結城), 덕수(德水) 등, 20여 본만이 남아 있다. 그 가운데 덕수장씨와 절강장씨는 귀화성씨로 알려져 있다.
창녕장씨(昌寧張氏) 본관(本貫)에 대해서는 창녕의 옛 이름이 하성(夏城)에서 하산(夏山)으로, 다시 창녕(昌寧)으로 변천되었고, 시조 장간공이 하성군(夏城君)으로 봉군된 연유에 따라 지금까지 창녕장씨와 하산장씨(夏山張氏)가 함께 사용되고 있다.창녕장씨의 계통에 대해서는 세월이 오래되어 정확한 자료가 남아 있지 않지만, 대체로 창녕장씨는 고려의 창업공신으로서 삼태사(三太師)의 한 사람인 장정필의 후손으로 보고 있고, 문헌에 따라서는 태사공 6대손 을파(乙波)가 하산군(夏山君)에 봉군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후 고려 원종 때 재신(宰臣)이며, 외교가인 장간공(章簡公) 장일(張鎰)이 하성군(夏城君)에 봉군되었으므로, 현재 시조로 삼고 있다.
5. 집성촌
도시로의 인구 집중 현상으로 인하여 농촌의 토박이 인구가 감소하고 외지인의 귀농등으로 인하여 전통적인 집성촌이 점점 사라져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옛날부터 지금까지 일가들이 다수 거주해 온 창녕장씨의 집성촌을 간략히 적어보면,
1. 경남 창녕군 고암면 대암리, 간상리
2. 경남 창녕군 유어면 미구리
3. 경남 김해시 일원
4. 경북 경산군 남산면 일원
5. 경북 경산군 하양읍, 진량면 일원
6. 전남 고흥군 동강면 덕암마을
7. 전북 정읍시 소성면 화룡리 한정부락 44-8:우리 문중의 자랑인 보물 제 726호 '창산군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 이 있는 곳이다.
6. 인구
연도별 인구 | |
2015년 | 6,052명[1] |
7. 창녕장씨 분파도
8. 각 파의 파조(派祖)
*장우성(張友誠 : 1417-1497) : 승지공파 파조이며, 자(字)는 문회(文會)이고, 1456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참의(禮曹參議), 승정원 도승지(都承旨)에 이르렀다. 공의 성 품은 공검(恭儉)하고 정직하였으며, 문장과 덕행이 당세에 이름 높았다. 공의 행적 이『창녕읍지』에 실려 있다. 묘소는 창녕군 부곡면(釜谷面) 부곡촌(釜谷村) 뒷산 에 자좌(子坐)하고 있다.*장중성(張仲誠 ; 1445-?) : 전한공파의 파조이며, 자는 보인(輔仁)이고, 1459년에 생원 (生員) 시험 입격, 다시 1462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전한(典翰)에 이르렀다. 문장과 덕업이 뛰어나서 한 세대에 명망 높았고, 점필재(?畢齋) 김종직(金宗直) 선생을 비롯하여 姜希孟(私淑齋), 徐居正(四佳), 成俔(?齋) 등과 교분이 있었다. 묘 소는 김해시 생림면(生林面) 나전(羅田)의 작약산(芍藥山)에 곤좌 (坤坐)하고 있다.
*장효성(張孝誠 : 1454-1515) : 참봉공파 파조이며, 벼슬이 참봉(參奉)에 이르렀다. 묘소 는 밀양군 동면(東面) 안태산(安泰山)에 자좌(子坐)하고 있다.
*장여필(張汝弼 : 1464-?) : 맥계공파 파조이며, 자는 성보(聖輔)이고, 벼슬이 부사(府 使)에 이르렀다. 묘소는 창녕군 북쪽 안심촌(安心村) 뒷산에 자좌(子坐)하고 있다.
* 장익(張翼) : 부사공파 파조이며, 벼슬이 부사(府使)에 이르렀다. 묘소는 창녕군 부곡 면 부곡촌(釜谷村)의 뒷산에 자좌(子坐)하고 있는데, 그 곳에는 선대의 묘소가 많 고 그 위차(位次)를 알지 못하여 현재 제단을 설치하여 봉사(奉祀)하고 있다.
*장관(張寬 : 1373-?) : 창산군파 파조이며, 자(字)는 사유(士裕)이고, 벼슬이 밀직부사 (密直副使), 한성좌윤(漢城左尹)에 이르렀다. 조선개국원종공신(朝鮮開國原從功臣) 으로 창산군(昌山君)에 봉군되었는데, 그 공신녹권이 현재 국가문화재 보물 제726 호로 지정되어 있다. 묘소는 전란(戰亂) 중 실묘(失墓)하여 현재 제단을 설치하여 봉사하고 있다.
9. 주요인물
창녕장씨(주요인물)10. 주요사적
창녕장씨(주요사적)[1] 창녕 4,814명, 하산 1,238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