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30 13:06:20

지박소년 하나코 군/등장인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지박소년 하나코 군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hanako_logo.png
등장인물 | 애니메이션 (TVA 1기 · TVA 2기 · 스핀오프 1기 · 스핀오프 2기 · 원작과의 차이점) | 뮤지컬
주요 등장인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jshk_icon_hanako.png
하나코
파일:jshk_icon_nene.png
야시로
네네
파일:jshk_icon_kou.png
미나모토
코우
파일:jshk_icon_teru.png
미나모토
테루
파일:jshk_icon_tsukasa.png
츠카사
파일:jshk_icon_sousuke.png
미츠바
소스케
파일:jshk_icon_sakura.png
나나미네
사쿠라
파일:jshk_icon_natsuhiko.png
휴가
나츠히코
파일:jshk_icon_tsuchigomori.png
츠치고모리
파일:jshk_icon_akane.png
아오이
아카네
파일:jshk_icon_aoi.png
아카네
아오이
7대 불가사의
1번째2번째3번째4번째5번째6번째7번째
}}}}}}}}} ||
1. 개요2. 주역 3인(화장실 조)3. 괴이4. 카모메 학교
4.1. 중등부4.2. 고등부4.3. 선생님
5. 주역 가족
5.1. 유기 일가5.2. 미나모토 일가5.3. 미츠바 일가5.4. 아카네 일가5.5. 야시로 일가5.6. 미사키 일가
6. 커플

1. 개요

지박소년 하나코 군에서 나오는 등장인물을 소개하는 문서.

2. 주역 3인(화장실 조)

파일:IMG_20180605_162338.jpg
파일:IMG_20180605_162340.jpg
파일:IMG_20180605_162343.jpg
하나코 야시로 네네 미나모토 코우

3. 괴이

괴이는 인간의 소문이 있을 때 존재할 수 있다. 소문이 사라지면 괴이 또한 사라져야 하며, 소문을 거스르는 괴이도 현세에서 사라지기 쉽다. 그래서 일부 괴이는 사람인 척하며 돌아다녀서 일부러 자기 소문을 퍼트리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 외에도 사람인 척할 때의 장점은 더 있다고 하니 사람인 척하는 괴이가 더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괴이 대부분은 무서운 이야기일수록 인상에 깊게 남기에 무서운 소문을 더 많이 퍼트린다고 한다. 단, 못케처럼 사람을 직접적으로 곤란하게 하는 괴이나 하나코처럼 소원을 들어준다며 호기심을 자극해 소문을 남기는 괴이도 있는 모양이다.

3.1. 7대 불가사의

파일:hanako_logo.png
7대 불가사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번째 2번째 3번째 4번째
파일:지하군 1번째 불가사의 카코.png
파일:지하군 1번째 불가사의 미라이.png
파일:지하군 1번째 불가사의 아카네.png
카코 • 미라이 • 아카네
파일:지하군 2번째 불가사의 야코.png
야코
파일:지하군 3번째 불가사의 미츠바 소스케.png
미츠바 소스케
파일:지하군 4번째 불가사의 시지마 메이.png
시지마 메이
5번째 6번째 7번째 (현 수장)
파일:지하군 5번째 불가사의 츠치고모리.png
츠치고모리
파일:지하군 6번째 불가사의 하쿠보.png
하쿠보
파일:지하군 7번째 불가사의 하나코.png
하나코
}}}}}}}}} ||
<nopad> 파일:7대불가사의.jpg
7대 불가사의 (七不思議)
ねぇ知ってる? この学園にある七不思議の話
혹시 알아? 이 학교의 7대 불가사의.
全部の正しい話を集めると何かが起こるって...
올바른 불가사의를 전부 모으면 무슨 일이 생긴대...[1]
학교에 있는 모든 괴이를 감독하며 사람과 괴이 사이를 관리하는 존재라고 한다. 이 중 7번째 불가사의는 이들의 리더격인 존재로, 괴이들이 꼬박꼬박 '7번째 님'이라고 존칭을 쓴다. 7대 불가사의는 특별히 전용 경계와 신물[2]이 존재하는데, 경계 내에서는 무척 힘이 강해지지만 신물을 파괴할 경우 약해진다는 특징 또한 있다. 경계는 다른 세계와 연결된 곳이기에 살아 있는 사람이 들어서면 존재 자체가 없어져 버리지만, 네네 같이 피안에 가까운 사람이나 코우 같이 영력이 강한 사람(퇴마사 등)은 경계로 사라진 사람을 기억할 수 있다고 한다. 현재 하나코는 7대 불가사의 중 배신자가 있다고 생각해 일단 전원의 신물을 파괴해보고 사건이 해결되면 7대 불가사의를 새로이 임명할 생각이라고 한다. 중간에 관리자가 바뀌어도 해당 7대 불가사의의 소문이 유지되어 있다면 능력을 이어받을 수 있는 듯하다.

단, 7대 불가사의의 경계에는 나름의 규칙이 있기에 정해진 임무에서 거스르는 행동을 하면 소멸할 수 있다고 한다.[3] 위의 대사처럼 만화 시작 부분에서 올바른 불가사의를 전부 모으면 무언가가 이뤄진다는 떡밥이 나오기도 했다.

성별, 종족, 나이 등 상관없이 7대 불가사의는 누구나 될 수 있는 듯하다. 물론 조건을 갖춰도 신에게 임명받지 않으면 안된다.

왜곡된 소문을 원래대로 돌려놓을 때, 그 소문도 같이 바꿔야 한다고 하나코가 언급한 적이 있다.[4]

70화에서 테루가 말한 바로는, 7대 불가사의는 학원을 위협하는 존재이자 학원을 수호하는 존재라고 한다. 원래 이 학원이 제물을 바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는 저주받은 마을 터에 세워졌기 때문에, 이 7대 불가사의가 권능을 잃으면 이 저주로부터의 보호가 약해진다고.

7대 불가사의는 전부 고로아와세[5]로 읽을 수 있어서 미리 눈치챈 독자들도 있는 듯 하다.
파일:카모메 학원 7대 불가사의.png
카모메 학원 7대 불가사의 (원작)
파일:카모메 학원 7대 불가사의 애니메이션.png
카모메 학원 7대 불가사의 (애니메이션)
불가사의 숫자
아오이 아카네
(蒼井 茜)
あお あかね = いち = 一 (1)
야코 = 여우(狐) ネ = two = 二 (2)
미츠바 소스케
(葉 惣助)
つば そうすけ = 三 (3)
시지마 메이
(島 メイ)
じま めい = 四 (4)
츠치고모리 류지로 (土籠) つちもり = 五 (5)
하쿠보 (薄暮)[6] はくぼ = 六 (6)[7]
하나코 (花子) こ = 七 (7)
  • 괴이 등장 에피소드를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2번째 - 5번째 - 3번째 - 1번째 - 4번째 - 6번째이다. 이것을 일본어로 적으면, [ruby(二, ruby=ふた)] [ruby(五, ruby=ご)] [ruby(三, ruby=さん)] [ruby(一, ruby=いち)] [ruby(四, ruby=し)] [ruby(六, ruby=ろく)]. 그대로 직약하면 "双子さんー白黒". 쌍둥이 흑백이 된다. 이 때 거울문자를 읽는 것과 같이 'ろ'를 기준으로"ろく"를 거꾸로 읽으면 黒라고 읽을 수 있다. 흑백의 뜻은 흑과 백이 아니라, 모노그램을 나타내는 것이다.
  • 7대 불가사의 담당 성우 대부분이 유명 성우이거나 경력이 화려한 편이다.

3.1.1. 첫 번째 불가사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 사람의 시계지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 사람의 시계지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 사람의 시계지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두 번째 불가사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야코(지박소년 하나코 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야코(지박소년 하나코 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야코(지박소년 하나코 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 세 번째 불가사의

프로필
파일:3관리자.jpg
이름 불명
나이 불명
성우 마도노 미츠아키
<nopad> 파일:3번째 불가사의 경계.jpg
거울 지옥
カガミジゴク
관리자 전 세 번째 불가사의
신물 유리 천장
파일:세 번째 불가사의 신물.jpg
파일:세 번째 불가사의 신물 거울천장.jpg
신물
"七不思議 三番目 カガミジゴク"
3번째 7대 불가사의 "거울 지옥".
鏡の向こうの不思議な世界。そこには迷い込んだ人の心を写し出す鏡があるの。とっても心の綺麗な人、勇敢な 人なら 大丈夫。無実に元の世界へ戻れるでしょう。だけどもしほんの少しでも醜いとことや怖いものがあるのなら 鏡はそれを写し出し、世界はたちまち地獄に変わって襲いかかってくるでしょう。
거울 너머에 있는 기묘한 세계. 그곳엔 거울 속에 빠진 사람의 마음을 비추는 거울이 있어. 마음이 굉장히 깨끗하거나, 용감한 사람이라면 괜찮아. 무사히 원래 세계로 돌아올 수 있겠지. 하지만 만약 조금이라도 추하거나 두려워 하는 게 있다면 거울은 그것을 비추어 낼 거고, 세계는 즉시 지옥으로 변해 그 사람을 덮치려 들겠지...

7권에서 등장하는 불가사의. 거울 속으로 야시로 네네를 납치해갔다. 거기서 미츠바와 만나고 네네의 영혼을 빼앗으려 하지만 츠카사가 나타나 거울을 부수고 심장을 꺼내면서 결국 죽어버린다. 그리고 후에 세 번째 불가사의 자리는 미츠바 소스케가 이어간다.

여담으로 작중에서 사망해버렸는데도 하나코 포함해서 나머지 불가사의들이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 걸보면 6번째와 마찬가지로 나머지 불가사의하고 그닥 사이가 안 좋았던 것으로 추정.

3.1.4. 네 번째 불가사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지마 메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지마 메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지마 메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5. 다섯 번째 불가사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츠치고모리 류지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츠치고모리 류지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츠치고모리 류지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6. 여섯 번째 불가사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쿠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쿠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쿠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7. 일곱 번째 불가사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나코(지박소년 하나코 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나코(지박소년 하나코 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나코(지박소년 하나코 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츠카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기 츠카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기 츠카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기 츠카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미츠바 소스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츠바 소스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츠바 소스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츠바 소스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기타 괴이

3.4.1. 인어

프로필
<nopad> 파일:download.jpeg-3.jpg
이름 인어(人魚)
성우 미츠이시 코토노
마리사 렌티
괴이 No.001
千年を生きる人魚怪異。同じ人魚から取った鱗を飲んだ者同は半魚人になる呪いを受ける代わりに非常に強力な縁で結ばれるという。
천 년을 사는 인어 요괴. 같은 인어한테서 뜯어낸 비늘을 먹은 사람들은 반어인이 되는 저주를 받는 대신 매우 강력한 인연으로 맺어진다고 한다.
기념비적인 첫 괴이다. 1천 년 가까이 살아온 강한 괴이지만 하나코에게 한 방에 쓰러지고 만다. 물론 죽은 것은 아니며 회복되면 다시 찾아올 것이라는 떡밥이 나왔다. 하지만 츠카사가 활동을 개시하자 어쩔 수 없다며 야시로를 사실상 포기하는 듯한 반응을 보였다. 의외로 자기 권속을 제법 아끼는지 권속이 된 물고기들을 인어가 위로해주는 장면이 여백 공간에 살짝 나오기도 했으며 복어 권속의 죽음을 슬퍼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네네를 데려가려던 것도 자신의 권속으로서 무슨 일이 있기 전에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 역시 있었다. 여담으로 인어의 비늘은 괴이들 사이에서 굉장한 귀중품으로 여겨지는지 결계의 여름 축제에서 네네가 살구 사탕을 사기 위해 비늘을 건네자 노점 주인이 사탕을 미친듯이 주는 장면이 등장하며 구석에 귀중품이라는 설명 역시 존재한다.

괴이 No.003
千年を生きる人魚の怪異を従う眷属の魚たち。主人である人魚の鱗を飲んで呪われた寧々を次代主人に迎えるため、やってきた。
천 년을 사는 인어의 괴이를 모시는 권속 물고기. 주인인 인어의 비늘을 먹어 저주받은 네네를 차대 주인으로 맞이하고자 찾아왔다.
그 일이 있고 난 후, 인어의 권속들이 야시로를 다시금 유혹하러 왔지만 하나코의 방해로 실패하고 돌아가야 했으며, 이후 츠카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려다가 오히려 츠카사에게 권속 중 하나가 죽고 만다. 괴이의 죽음이 최초로 그려진 장면이자 츠카사의 광기가 잘 드러나는 장면이기도 했다. 죽은 권속은 물고기들 사이에서 교사 일을 하던 복어[9]였다.

3.4.2. 못케

프로필
<nopad> 파일:못케사탕.jpg
이름 못케(もっけ)[10]
좋아하는 간식 사탕[11] #
최근 고민 7대 불가사의에 들어가지 못하는 것[12]
성우[13] 요시다 유리, 모리나가 치토세, 카나자와 마이
린지 사이델, 매들린 모리스, 대니 체임버스, 에미 로, 모니카 피스커, 애비게일 블라이스, 우쿠 레일리
誰からも忘れられてしまった ものは一体どこへいくのでしょう? 消えてなくなってしまうにでしょうか?いいえ、それらは今でも私達のすぐ傍にいるのです。こんな噂、知ってますか?"ようせいさん"
누구에게나 잊혀 버린 것은 대체 어디로 가는 걸까요? 사라져 버리는 걸까요? 아니요. 그것들은 지금도 바로 우리 곁에 있습니다. 이런 소문 알고 계십니까? "요정 씨".
"よいせいさん"
注意深く扱っていたはずのモノを失くしたり、いつもあるモノがどうしても必要な時に限って失くなってしまうこと、ありませんか?それはきっと"ようせいさん"の仕業。でも決してその姿を見てはいけません。 もし、見てしまえば… 命まで盗られてしまうのです...
"요정 씨."
조심스럽게 다루던 것을 잃어버린다거나, 항상 있는게 꼭 필요할 때 없어진다거나 하는 일 없습니까? 그것은 분명 "요정 씨"의 짓. 하지만 결코 그 모습을 보아서는 안 됩니다. 만약 보게 되면... 목숨까지 도둑 맞아 버립니다...
괴이 No.002
古くから人間の側にいて、小さな盗みやいたずらをしてる 怪異。弱くて臆病なので、攻撃するときは 大勢で集まって変化する。
예로부터 인간의 곁에서 자잘한 도둑질이나 장난을 해왔던 요괴. 약하고 겁쟁이라서 공격할 때는 무리 지어 변화한다.
アメやる
사탕 줄게

원래는 사람의 물건을 훔치는 괴이지만 소문이 왜곡되어 무서운 괴이로 변하고 말았다. 요정 씨라고 불리며 자기 모습을 본 사람을 죽이는 괴이로 변질되었으나 네네의 도움으로 원래대로 돌아온다. 실상은 귀여운 토끼 모습의 괴이[14]로 이후 많은 인물에게 사랑받고 있다. 개체가 하나가 아니며 오히려 무척 많고 다양한 편이다.[15] 2화에서부터 등장해 그야말로 틈만 나면 나오고 있지만, 가벼운 낙서에서도 하나코를 필두로 한 주인공 파티 그림이 워낙 자주 나와 초기에는 마스코트로서 크게 활약하지 못했다. 그러나 끊임없는 등장과 관련 굿즈 제작으로 점점 입지를 다지고 있다. 초기판(단편) 시절에도 다수 등장한 적이 있다.[16] 입 위치는 얼굴 쪽과 양쪽 귀 가운데, 등 쪽에 있다고 한다. 특히 원작자인 아이다이로가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이기도 하다.[17] 특히 작가가 못케를 그릴 때 토끼 이모티콘을 자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못케의 모티브가 토끼로 추정된다.

애니메이션에선 원작보다 비중이 늘어났고 굿즈로도 많이 밀어주고 있어서 현재까지 마스코트로서 크게 활약하고 있다.

3.4.3. 코다마

프로필
<nopad> 파일:코다마.png
이름 코다마(木魅)
성우 오키아유 료타로
괴이 No.004
木の怪異。自分の木の下で告白した者の恋を叶えていたが、おかしなカップルが急増し、学園内が大混乱。 現在はブロッコリー程の大きさに。
나무 괴이. 자기 아래서 고백한 사람의 사랑을 이루어주고 있었으나, 이상한 커플이 급증하여 학교가 대혼란에 빠졌다. 현재는 브로콜리 정도의 크기.

고백나무라 불려지며 나무 아래서 고백하면 소원이 이뤄진다는 소문을 퍼트려 힘을 얻고 있었지만, 하나코에게 그 힘을 뺏긴다. 현재는 원예부 어딘가에 있는 인면나무로, 찾아낸 사람에게는 행운이 올지도 모른다는 소문으로 바뀌었다. 현재는 네네가 키우는 듯 하며 조금씩 성장 중이라고 한다.

3.5. 시계지기의 하수인들

  • 전령
프로필
<nopad> 파일:스크린샷 2025-06-22 225740.png
시계지기의 경계에 있으며, 기계에 가까운 존재인 듯하다. 못케처럼 여러 개체가 존재한다.
프로필
<nopad> 파일:스크린샷 2025-06-22 224644.png
전령과 마찬가지로 여러 개체가 존재하며, 아카네의 회중시계에 있던 부품들을 훔치려고 하다가 고양이가 등장하자 잡힌 상태로 퇴장했다.
프로필
<nopad> 파일:지하군_시계지기_검은고양이.jpg
네네가 시계지기의 경계에서 처음 만났다. 시계지기의 집으로 안내해주었으며 네네가 곤경에 처할 때 도와주었다. 평범한 고양이가 아니기 때문에 몸이 차갑고 등쪽 부분에 태엽이 있다.

3.6. 우물 신

파일:지하군 원작 우물 신.jpg.png 파일:지하군 애니메이션 우물신.jpg
원작 78화 애니메이션 2기 20화
지박소년 하나코 군만악의 근원이자 현재는 츠카사 몸에 융합되며, 신으로 불리는 인공적인 존재. 성우는 박로미.

50년전 유기 일가가 살았던 시대보다 훨씬 먼 예전부터 존재해왔으며, 모종의 이유[19]로 붉은 집에 봉인되어 있기 때문에 밖으로 나올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시계시기로 인해 개변된 세계[20]에서는 이미 죽어버린 4살 츠카사 몸에 빙의해서 카모메 학원에 소원을 이뤄주는 하나코 씨로 자리잡고 있는데, 이상한 건 하나코가 아닌 츠카사 이름 그대로 사용되었다는 점이 아이러니하다.[21]

118화에서 붉은집에 츠카사보다 아마네가 먼저 우물신과 접촉을 하며, 121화에서는 네네 일행[22]에게 우물 신에게 자신의 가족과 제물이 될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인간들을 끌어들였고 과거 스미레가 살았던 마을들 처럼 산재물로 받치는 조력자로 아마네를 끌어들인 게 밣혀졌다.

또한 산 자 죽은 자 상관없이 어느 몸에든 빙의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3] 공통으로 드러난 특징은 얼굴에 큰 구멍이 있었다는 것.[24] 다만, 지금까지 공개된 능력을 아주 극히 일부라는 사실을 간과해야 한다는 부분이여서 우물신이 얼마나 강력한 지는 추후에 밝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82화에서 그런 우물 신도 한 수 접고 갈 태생부터 똘기를 타고난 4살 츠카사의 광기 앞에서는 "......"라고 하며, 조용해지는 웃긴 연출도 나온다.[25]

여담으로 독자들 사이에서 이름에 대해 우물신 또는 구멍신으로도 불린다. 작가들도 이름 대신「🕳️」이모티콘으로 대체한단 점.

4. 카모메 학교

<nopad> 파일:카모메학교.png
작중에서 등장하는 학교. 본작은 카모메 학교내의 괴담을 주로 다루기에 스토리도 자연스럽게 주로 교내에서 진행한다.[26]

카모메는 갈매기란 뜻이다. 아마도 아이다이로 작가들이 도시락을 싸고 놀러갔을 때 갈매기를 만났는데, 거기에서 따온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카모메 학교라고 칭하지만, 일본에서는 카모메 학원이라고 한다.

중등부 3년, 고등부 3년 합쳐 6년제 교육기관이며, 적어도 1968년부터 개교한 역사깊은 학교인 걸로 추정된다.[27] 학교 기숙사 시설은 따로 없는 걸로 추정된다.

현재 남학생 교복은 블레이저,[28] 여학생 교복은 세일러복 원피스[29]이다. 60년대 후반의 과거에서는 남학생 교복은 가쿠란.여학생 교복은 평범한 세일러복이다.

2학년이 되면 반(문과, 이과, 예술, 체육 중 하나)을 선택할 수 있다.

학교는 구관과 신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 사진은 본 작품의 주요 무대가 되는 구관이다.

참고로 학교 이름은 '갈매기'라는 뜻이라 단행본 2권 책 날개에서 주역 3인방이 갈매기 흉내를 내기도 한다.

센터 컬러 77화 속 표지에 도쿄 타워가 보인다. 학원 위치는 일본의 수도인 도쿄로 추정된다.

4.1. 중등부

  • 미나모토 코우
  • 요코오 슌
    파일:요코오.jpg

    横尾 瞬[30](よこお しゅん)

    성우는 우자와 쇼타로/알렉시스 팁턴. 코우의 같은 반 친구. 중학교 3학년, 나이는 14살. 18화에서 코우, 사토와 같이 등교하며 최근 신발장 앞에 무언가가 나온다고 얘기를 꺼낸다. 그때 마침 신발장 앞이었고 말하자마자 누군가 "저기"라고 말하자 놀란다. 사토에게 하지 말라고 말하지만 사토는 자신이 한 짓이 아니라고 한다. 그 때 코우의 팔을 잡고있는 검은 물체를 보고 놀라 소리지른다. 그 후, 미츠바와 같이 있던 코우를 보고 여기서 뭐하냐고 묻는다. 코우가 사진 촬영한다고 하자 "너 이상한 짓 하네"라고 한다. 그러고나서 코우가 들고있던 카메라를 보며 혹시 미츠바 거냐고 묻는다. 놀랍게도 1학년 때 같은 반이었으며 미츠바는 올 겨울 쯤 사고로 죽었다고 말해준다. 미츠바와 그다지 친하진 않았고 반도 달라져서 잘 모른다고 한다. 23화에서 첫 번째 불가사의인 미라이에 의해 시간이 빨리 감겨져서 사토와 같이 할아버지가 되어 버린다. 후에 다시 돌아왔다. 41화 공상화 편에서 미츠바와 같은 반 친구로 나온다. 미츠바가 보이냐는 코우의 말에 오늘 무슨 소리를 하냐고 한다. 스핀오프에 나온 소개에 따르면 스포츠를 좋아한다고 한다.
  • 사토 요모기
    파일:사토사토.jpg

    佐藤 蓬[31](さとう よもぎ)

    성우는 우에니시 텟페이/스티븐 푸. 코우의 같은 반 친구. 중학교 3학년, 나이는 14살. 18화에서 코우, 요코오와 같이 등교하며 요코오의 얘기를 듣는다. 그때 어딘가에서 "저기"라는 말이 들리자 요코오는 사토에게 하지 말라고 하지만 자신이 한 게 아니라고 한다. 그 때 코우의 팔을 잡은 검은 물체를 보고 얼굴이 창백해진다. 23화에서 첫 번째 불가사의인 미라이에 의해 시간이 빨리 감겨져서 요코오와 함께 할아버지가 되어 버린다. 후에 다시 돌아왔다. 41화 공상화 편에서 미츠바와 같은 반 친구로 나온다. 미츠바가 보이냐는 코우의 말에 보인다고 한다. 59화 때 과자를 너무 많이 만들어서 코우와 요코오에게 자랑을 했는데, 본인은 쑥쓰러운 듯하다. 외전에 나온 소개에 따르면 단 것을 좋아한다고 한다. 요리 실력도 좋다고 한다.

4.2. 고등부

  • 나카하라 ○○○ (네네가 짝사랑했던 선배)
    파일:네네가 짝사랑했던 선배.png파일:20200129_051409.jpg

    원작 애니메이션

    성우는 우메하라 유이치로. 네네가 입학 초기부터 좋아했던 선배로, 3년에 걸쳐 그가 좋아하는 이상형에 맞추기 위해 노력했다고 한다. 네네가 1개월 전에 고백을 했지만 "하아? 좋아한다니... 누구야 너, 기분 나빠. 애초에 내 타입도 아니고. 너 같은 무다리..."라고 말하면서 네네를 찼다. 단편 연재에서는 실제로 네네와 사귀었던 사이었다. 하지만 장난감처럼 갖고놀다 차버렸기 때문에 네네가 하나코 씨에게 소원을 빌러가는 빌미[36]를 제공했다. 본편과는 달리 이쪽은 제대로 얼굴이 그려져있고, 비중도 은근히 높았다. 다만 끝까지 이름은 나오지 않았고 '선배'라는 명칭으로만 불렸다. 여담으로 0권 연재 초반에 이름이 아주 살짝 나왔는데, 영어 철자인 I(아이)군이라고 불렸고, 115화에서 네네가 나카하라 선배라고 성(名)을 언급한다.
  • 소문을 나누는 아이들
    파일:소문을 나누는 아이들_.jpg파일:소문을_나누는_아이들.png

    원작 애니메이션

    카모메 학원을 재학 중인 것으로 추정되는 2명의 여학생. 본작의 시작 부분에서 7대 불가사의가 다 모이면 소원이 이뤄진다는 이야기를 했으며, 외전작인 "방과 후 하나코 군"의 시작 부분에서도 등장해 하나코와 계약을 맺었다는 소녀의 이야기를 한다. 팬텀 측에서는 혹시 이 둘이 아이다이로가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 일리 있는 게 애초에 교실에서 둘이 소문을 나누지 않았다면, 작품은 시작도 안 했을 거라는 말도 나오고, 실제로 작가들이 같은 반이였다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에, 작중에서 가장 높은 가설이다. 하지만 같은 나이는 아닌데, 교복 색깔이 상반되어 있다. 양갈래 머리는 중등부, 단발 머리는 고등부다. 아마도 각자 본인들을 따와서 만든 캐릭터로 추정된다.

4.3. 선생님

  • 츠치고모리 류지로
    파일:코우담임.jpg

    土籠

    3학년 1반 미나모토 코우의 담임인 중등부 교사다. 네네에게 부딪혀 한 방에 날라가는 모습으로 나왔다. 네네에게 도서관에서 뛰지 말라고 하거나 코우에게 여자 화장실에 들어가지 말라고 하는 등 가끔 학생에게 주의를 주는 모습이 나온다. 그러고선 코우에게 몇시냐고 묻고 자신은 4시에 회의가 있다면서 돌아간다. 그리고 오후 4시의 서고에 들어간 네네와 코우는 선생님과 만나게 되어 이 사람의 정체를 알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츠치고모리 류지로 문서 참조.
  • 나기사 ○○○[37]
    파일:나기사선생.jpg

    ナギサ

    1-A반[38] 담임선생님으로 고등부 교사이다. 교과 과목은 세계사인데,[39] 사회과를 담당하고 있는 선생님이다. 미사키 계단 편에서 처음 등장. 아오이와 진로상담을 하고 나서 다음 날 네네가 아오이에 대해 물어보자 그런 애는 우리 반에 없다고 한다. 사실 아오이는 괴이의 짓으로 인해 사라진 것. 스핀오프에서 두 번째 불가사의인 야코와 마주치는데 야코는 미사키와 닮은 나기사를 보며 놀란다. 미사키가 다시 태어났나라고 생각할 정도로 많이 닮은 듯 하다. 하지만 성격은 야코 왈, 전혀 다르다고 한다.[40] 79화에서 추후에 밝혀지는 걸로는 현재 나기사 선생님의 할아버지 또는 아버지로 추정되는 "나기사 쿠니시게"라는 미사키 신사의 궁사인 분이 계신다. 나기사 미사키[41]의 후손으로 추정된다. 그래서인지 괴이들을 볼 수 있거나 만질 수 있는 이유가 선조들이 괴이의 접촉하는 능력을 후손 대대로 물려받은 듯하다.

5. 주역 가족

5.1. 유기 일가

생전에 살아있었던, 아마네(현재는 하나코)와 츠카사의 집안이다. 집 형편을 보면 큰 마당을 볼 수 있고, 지금로부터 50년 전이지만 상당히 부유했던 가정으로 추정된다. 팬덤 측에서 쌍둥이 학대설이 나돌아다닌 적이 무색하게 다른 가정들처럼 행복했던 것으로 보인다.
  • 유기 형제의 아버지
    파일:유기 형제 아버지.png

    [42][43]
    성우는 오노 다이스케. 외모는 이마 옆으로 쓸어 넘기는 약간 곱슬거리 머리카락과 짙은 눈썹을 가지고 있으며, 신장이 크다. 평소에 입고 다니는 옷은 하얀 셔츠 겉에 외투 스웨터를 걸치고 하얀 바지를 입고 있다.[44]
  • 유기 형제의 어머니
    파일:유기 형제 어머니.png

    [45]
    성우는 코시미즈 아미. 79화에서는 신사에 찾아온 유기 어머니의 언급으로는 유기 츠카사가 본인의 아들이 아니라고 하는데, 추후에 밝혀지는 얘기로는 쌍둥이 생일날 츠카사가 실종되는 사건이 벌어지고, 경찰들을 대동해 수색해서 찾아 해멨지만 아무 소용 없었다. 부모님이 거의 모든 걸 포기할 때 쯤, 어마무시한 반전이 일어난다. 무려 반년(6개월)[46] 만에 돌아온 아이(츠카사)를 찾게 된 것이다. 하지만 어머니가 돌아온 츠카사에게서 뭔가 이상한 낌새를 알아챈 건지 신사를 방문하게 되는데,[47] 본인의 언급으로는 겉모습은 똑같지만 속 상태가 무언가와 뒤바뀐 것 같다고 한다. 하지만 신사 측 입장에서는 아이(츠카사)의 상태를 살펴봤지만, 별 다른 증상이나 문제가 따로 있는 것처럼은 보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고, 역으로 어머니 쪽이 문제 있다 생각해 그대로 무시당하고 만다. 추후에 따로 밝혀진 것은 없지만, 아마 자신의 수명을 살다가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48] 두 아들(아마네, 츠카사)의 영향으로 인해 가족 전체가 불우한 운명에 말려들었다고 할 수 있다. 128화에서 자신의 쌍둥이 아들 생일을 준비하기 위해 아침부터 바쁜 것으로 보이는데, 겨울이여서 감기 걸리지 말라고 목에다가 목도리를 리본 모양으로 묶어주거나[49] 택배로 온 물건이 죄다 생일을 축하하기 위한 케이크와 아마네와 츠카사가 좋아하는 도넛을 만드는 식자재[50]였다는 것을 보면 어머니가 쌍둥이를 얼마나 사랑했는지 알 수 있다.[51][52] 추측이지만, 츠카사의 상태를 제일 먼저 알아챈 어머니 쪽이 아오이와 마찬가지로 무녀의 피를 이어받았을 가능성도 있다.[53]

5.2. 미나모토 일가

코우의 여동생과 부모님으로 이뤄져 있다는 모양이지만, 부모님은 본편에서 등장한 적이 없다. 코우의 입학식 사진에도 코우의 부모님 없이 삼남매만 등장할 뿐, 부모님은 나오지 않는다. 아이다 이로가 트위터에 그린 그림에서 아버지는 같이 사는 것이 밝혀졌다. 참고로 남매들 모두 다 금발벽안 또, 같은 화에서 어머니가 현재 없다는 사실이 밝혀진다.[54] 참고로 티아라라는 이름은 딸 탄생에 흥분한 아버지가 삘 받고 지은 것이라 한다고. 스미레 편 작중에서 테루가 말하기로는 카모메 학원과 미나모토 집안도 관계가 있다고 한다.
  • 미나모토 남매의 할머니
    "화장실의 하나코 씨"를 봉인한 전대 당주. 자신의 아들이 현 당주이기 때문에 현재는 고인일 가능성이 높다.
  • 미나모토 남매의 아버지
    테루, 코우, 티아라의 아버지이자, 미나모토 가문의 현 당주.[56] 현재는 세상을 떠난 아내를 대신해서 삼남매를 키우고 있다.[57][58] 또한 남매들이 금발인데도 직모로 추정되는 직모를 물려준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평소에 집에 안 계신다는 테루의 언급으로 볼 때, 일 때문에 집에 오지 못할 정도로 바쁜 것으로 보인다.[59] 여담으로 73화에서 테루는 단절에 대해 네네와 아카네에게 알려줄 때 종이와 펜을 꺼내서 설명할 준비하는 모습이나 74화에서 코우는 미츠바에 대해서 조사하러 갈 때는 메모장을 들고 적는 습관이 있는 것으로 보아 평소 아버지가 중요한 대화를 할 때는 두 형제에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면서 종이에다가 적는 것으로 보인다.
  • 미나모토 남매의 어머니
    파일:Minamoto Mom.png파일:미나모토 삼남매 어머니.jpg

    원작 애니메이션

    성우는 사이토 치와. 77화에서 처음으로 등장. 남매들의 금발의 벽안의 설정은 어머니 쪽에 영향을 받은 듯하다.[60] 곱슬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다. 남매들이 뻣뻣한 직모를 가지고 있는데, 아빠 쪽을 물려받은 것으로 보인다. 코우에게 가르쳐줄 정도로 요리 실력도 좋고, 상냥하고, 엄청난 미인이다. 남편과 꽤나 금슬이 좋았던 모양인지 요리하는 중에 결혼 반지가 껴 있는 걸 볼 수 있다. 코우가 언급하기론 여동생인 티아라가 태어난 후, 몸이 많이 안 좋아졌다고 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병으로 사망했다고. 여담으로 애엄마치고는 키가 상당히 작은 편인데, 둘째 아들인 코우와 키가 비슷하다.
  • 미나모토 티아라 (源 てぃあら)[61]
    파일:kou & Tiara.jpg파일:미나모토 티아라(애니).jpg

    원작[62] 애니메이션

    성우는 쿠노 미사키 / 메이시 앤 존슨. 테루와 코우의 여동생. 초기에는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채 '??'로 표기되어 있었으며 추후 히메(공주)라는 가명으로 등장했다. 이후 외전인 방과 후 소년 하나코 군 13화에서 여동생의 이름이 티아라(てぃあら)인 것이 밝혀졌으며, 아무런 장비 없이 맨손으로 전기를 다루는 모습이 등장했다. 아직 만 5세 밖에 안 됐는데도 천재라고 불리고, 실제로 테루보다 더 강하다고 한다. 여담으로 남자 형제들 중에 유일하게 막내딸이여서 가족들에게 사랑을 듬뿍받는다.[63] 참고로 17권에서 오랜만에 다시 등장하며 좋아하는 음식은 "새우 피자".[64] 또래들처럼 채소를 싫어하며, 큰 오빠인 테루를 엄청 좋아한다. 또한 나중에 결혼도 하고 싶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여담으로 아카네가 미래의 남편이 만든 음식을 먹어보라고 권유하자 필요없다고 거절한다(...) 우연치 않게 테루가 만든 주먹밥을 먹고 기절하는 아카네 또한 여타 비슷한 또래들과 마찬가지로 손으로 만들면서 놀 수 있는 놀이에 관심이 많다고.[65]

5.3. 미츠바 일가

  • 미츠바의 아버지[66]
    파일:미츠바 가족 사진.png

    74화에서 사진으로만 등장한다. 미츠바처럼 사진찍기가 취미라고 하며, 아내가 "남편이 없다"고 언급하는 것으로 보아 현재는 자신의 아들과 마찬가지로 고인일 가능성이 높다.
  • 미츠바의 어머니
파일:미츠바의 어머니.jpg파일:15권 날개 커버.jpg
원작 애니메이션 책갈피[67]
성우는 미즈키 나나. 74화에서 첫 등장한다. 미츠바의 묘지를 청소하다가 넘어질 때 네네와 코우에게 일으켜진다.[68] 둘이 미츠바의 친구라고 하자 집으로 초대하고, 미츠바의 과거와 사인을 말해준다. 미츠바가 찍은 사진들도 보여준 뒤 헤어진다. 여담으로 미츠바 어머님이 가지고 있는 아파트로 추정되는 집 열쇠고리에 토끼 피큐어가 달려있다. 참고로 자신의 생일날이 아들 기일과 같은 날이다.[69] 직업은 간호사.[70]

5.4. 아카네 일가

  • 아카네 카타쿠리(カタクリ)
파일:아카네 카타쿠리.jpg
원작 애니메이션
성우는 미야타 토시야.[71] 80화에서 나온 단역 캐릭터.[72][73] 경계에 떨어진 네네를 무녀 괴이로부터 구해준다. 네네를 구해준 뒤 너도 붉은 집에서 온 거냐고 묻고, 자신도 다른 무녀와 함께 이곳에 바쳐졌다고 한다. 자신은 원래 약사를 목표로 하고 있었지만, 더이상 바칠 여성이 없자 비슷한 나이인 자신을 여장까지 시키고 바쳐졌다고.(...) 네네가 아오이와 츠카사를 본 적이 없냐고 하자, 아오이는 모르지만 꼬마 모습의 츠카사는 본 적 있다고 말한다. 네네가 나가는 곳을 알려주라고 하자 출구로 안내하지만, 작은 틈에 물이 들어오고 있는 곳 밖에 없다고 한다. 하지만 네네는 물고기로 변하면 된다고 하자 놀라는 모습을 보여준다. 네네가 도와줄 것이 없냐고 하자 여기에 영원히 같이 있어달라며[74] 본색을 드러내는 듯 하나, 장난인 것으로 드러난다. 네네가 이름을 말해달라고 하자 '카타쿠리'라고 밝힌 뒤 헤어진다. 회상을 보면 성은 아카네로 추정된다.[75] 카타쿠리의 투톤은 자신의 어머님의 유전으로 누나 또한 투톤인 것을 알 수 있다.
  • 아오이 할아버지
    60화에서 달맞이 축제의 어원을 알려준 게 바로 자신의 할아버지라고 아오이가 직접 언급한다.
  • 아오이 어머니
    114화인 개변된 세계에서 테루가 집안끼리의 결혼에 대해 묻자 아오이가 답변하면서 회상으로 잠깐 등장한다. 남편에게 배신당한 세계선이라서 자신의 딸인 아오이에게 미나모토 집안끼리의 약혼을 강제로 밀어붙인 것으로 보인다.[76]
  • 아오이 아버지
    69화에서 아오이가 과거 회상을 할 때, 아버지로 추정되는 인물이 아오이의 머리를 쓰다듬어주면서 자신은 와이프와 딸이 좋다고 말했지만, 아빠는 거짓말만 하고 하는 말로 보아 집안에 갈등이 있던 것으로 보인다.[77]

5.5. 야시로 일가

참고로 원작 4권 속표지에서 두 분 다 네네가 카모메 학교에 입학할 때, 함께 찍은 사진으로 등장한 적이 있는데 그와별개로 하나코와 마찬가지로 네네도 주인공[78]인데도 불구하고 가족 언급이 수상할 정도로 적다.[79]
  • 야시로 아버지
    안경을 쓰고 계시는 중년 남성.
  • 야시로 어머니
    성우는 이시카와 유이.[80] 72화에서 네네에게 친구(아카네, 테루)가 왔다는 것을 전한 것으로 등장.[81]
<네네가 키우는 햄스터>
* 화이트 인페르노(ホワイトインペルノ)
파일:네네가 키우는 햄스터 (화이트 인페르노).jpg
원작 애니메이션
원작 2화에 잠깐 나왔으며,[82]에서 언급한 바로는 네네가 하나코와 만나기 전부터 이미 햄스터를 키웠지만 태생부터 수명이 짧은 애완동물이기에 2년만에 죽은 것으로 보인다.(향년 2세 3개월)
  • 블랙 케니온(ブラックキャニオン)
파일:네네가 키우는 햄스터 (블랙 케니온).jpg
원작 애니메이션
네네가 현재 자신의 집에서 키우는 햄스터이다.[83] 스핀오프 16화[84]에서 자신이 키우는 햄스터가 불어나는 꿈을 자주 꿀 정도로 네네에게 가장 소중한 반려동물로 보인다. 참고로 2025년 03월 01일 작가의 헤더와 프로필에 하나코[85]와 츠카사[86]가 햄스터를 양손으로 조심히 들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87] 참고로 아이다이로 작가도 햄스터를 키운 적이 있다는 것으로 보아 그 설정을 네네한테 적용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5.6. 미사키 일가

파일:나기사 쿠니시게(현재).png
원작(과거) 원작(현재)
파일:나기사 쿠니시게 (현재).jpg
애니메이션(과거) 애니메이션(현재)
신사의 최고위 신관. 나기사 미사키의 후손으로 현재 카모메 학교 고등부 교사인 나기사[92]할아버지 또는 아버지로 추정되는 인물. 성우는 오노 아츠시, 어린 시절은 야마시타 세이이치로.[93] 참고로 작중에서 오른쪽 눈이 실명되었는지 꿰맨 자국이 남아있고, 나긋나긋하고 온화한 분위기와 달리 한 성깔하는 성격이다.

6. 커플

6.1. 공식 커플

6.1.1. 야시로 네네 & 하나코(지박소년 하나코 군)

파일:1000012836.jpg

지박소년 하나코 군의 메인커플이다.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곳은 여기가 아니니까.[94]
나는 좋아하는 사람을 만나러 온거야!
다시 만나서 기뻐라고 생각하다니 내가 미쳤나봐.
나도 다시 만나서 기뻐. [95] [96]
구교사 화장실에서 네네가 하나코를 부르며 처음 만나게 되었다. 인어의 비늘을 먹고 물고기의 권속이 된 네네를 구해주고, 하나코도 인어의 비늘을 먹으며 둘은 연을 맺는다. 그렇게 네네는 하나코의 조수가 된다. 이후 못케들에게 습격당한 네네를 하나코는 인간은 약하다며 구해준다. 옥상에 올라간 둘은 하나코의 쓸쓸하다는 말에 네네는 친구가 되어주겠다며 "하나코군" 이라고 부르게 된다. 코우의 등장으로 하나코가 살인자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둘은 서먹서먹 해지지만 도넛을 하나코에게 건내주며 네네는 하나코에게 친구로서 좋아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번에도 츠카사의 등장으로 하나코는 자리를 피한다. 축제에서 8살의 하나코를 만나고 네네는 하나코가 우주비행사가 되기를 바란다며 이마에 입을 맞추고 현세로 돌아온다. 나츠히코와 함께 어느곳도 아닌곳에 갇힌 네네는 익숙한 소리가 들리는 문을 통해서 나오자 중학생 아마네를[97] 만나고 잠시후 하나코 덕분에 다시 화장실로 돌아오게 된다. 4번째의 그림속 세계에서는 아마네의 모습인 하나코와 평범한 학교생활과 함께 별을 보기도 하다가 아마네는 하나코냐고 묻고 하나코를 좋아한다 고백하며 말한다. 진짜 세계로 돌아가자며 하나코를 데리고 밖을 다니다 기절하고 하나코의 등에 업혀가던 중 하나코는 갑자기 네네를 데리고 탑의 감옥에서 이마에 입을 맞추며 내가 왜 이러는걸까라는 이야기와 네네를 지켜준다고 이야기 하지만 원래 세계로 돌아가기 위해서 고군분투 하다가 코우와 미츠바 메이 일행과 하나코를 만나고 네네는 100살까지 살고싶다며 하나코에게 소원을 빌고, 하나코는 모두를 밖으로 돌려보내준다. 6번째의 경계에서는 아오이는 네네가 좋아하는건 하나코냐며 묻기도하고, 재물로 바쳐지기 직전 하나코가 나타나 자신의 조수를 누군지도 모르는 녀석에게 보낼 수 없다며 네네를 구해준다. 현실로 돌아오자 하나코는 피안으로 사라지고 이후 테루 아카네 코우 일행과 경계로 향해서 하나코와 둘이 빠져나와 둘은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고 입을 맞춘다. 학교 축제에서는 하나코와 함께 강당에 가서 장난을 치기도 하고 함께 축제를 즐긴다. 시계지기들의 경계에서 네네는 축제가 끝나면 하나코에게 고백하려 했기에 시간이 멈추면 안된다고 이야기한다. 계변된 세계에서는 하나코는 과학 선생님이 되었고, 그에게 행복하냐고 물으며 원래의 세계로 돌려야할지 고민한다.

6.1.2. 아카네 아오이 & 아오이 아카네

파일:1000027753.jpg
그 소원만은 이루어 줄 수 없어!
왜?
왜긴 그거야 당연히 널 좋아하니까 그렇지.
...그럼 이제 날 좋아하지 않아도 돼.

어릴적 옆집으로 이사온 아카네가 인사하러 오며 처음 만났다. 아카네는 어릴적부터 인기가 많아 사귀자고 헤코지 할 때 아오이를 구해주기도 하게된다. 시계지기가 된 아카네는 아오이에게 그 사실을 숨긴다.[98] 이후 하나코가 시계지기를 찾기위해서 강당 조명을 떨어트려 아오이를 위협하자 아카네가 구한다. 6번째의 경계에서 이상해진 아오이는 아카네를 치우겠다고 하지만 아카네는 그녀를 안으며 함께 구멍으로 떨어진다. 이후 그곳에서 아오이는 아카네에게 붕대를 감아준다. 눈을 뜬 아카네는 결혼하자고 늘 그렇듯 이야기하지만 아오이는 평소와 다르게 그 대답에 승낙하며 어짜피 진심이 아니라며 시계를 들어보이며 이야기한다. 이전에 안경을 왜 썼냐고 물었을 때 왜 대답해주지 않았냐고 한다. 아카네는 어렸을적 항상 울지않던 아오이에게 싫어한다고 했던 아오이가 처음으로 울었던 아오이가 귀여웠다고 말한다. 또한 늘 거짓말쟁이에 네네에게도 솔직하지 않은 아오이가 쭉 싫었다고 하자 우는 아오이를 보고 아오이는 자신이 늘 싫다고 하면 운다고 하자 아오이는 아카네를 밀쳐낸다. 그런 아카네를 보고 소꿉친구니까 다 안다며 아오이를 안아준다.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고 등장한 테루의 도움을 받아 현새로 돌아오는길 아오이는 기린을 좋아한다고 하고 둘은 나중에 함께 동물원에 가자며 약속한다.

6.1.3. 아카네 스미레 & 하쿠보

파일:하쿠보&스미레1.png
이번엔 진짜로 널 데려가줄까?

스미레는 하쿠보를 자신의 샛서방으로 인식하며 집안일을 못하는 하쿠보 대신 스미레가 집안일을 하게된다.

6.1.4. 야코 & 나기사 미사키

신사의 동상이었던 야코는 어느날 미사키를 만나서 머리도 잘라주고 사진도 함께 찍는다.
[1] 애니판에서는 아랫줄은 생략되었다. 여담으로 한국 정발본에서는 무슨 일이 생긴로 오타가 났다. 종이책 정발본도 마찬가지.[2] (神の依り代) 신의 그릇이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해당 괴이에게 특별히 의미가 있거나 소중히 여기는 물건이라고. 신물에는 '봉할 봉'(封) 자가 써있는 검은 부적이 붙어있다. 무녀(カンナギ)가 부적을 뗄 경우 이 물건은 파괴되고 경계의 관리자 자격(=7대 불가사의의 자격)을 잃어버리는 듯하다. 추가로 무녀(巫)가 신물이 파괴되면서 동시에 그 물건에 깃든 기억이 동시에 볼 수 있는 듯하다.[3] 예를 들어 츠치고모리가 서고에 있는 책의 내용(미래)를 바꾸려 할 경우, 미래를 바꾸는 게 가능은 하지만 그렇게 하면 제거당할 거라고.[4] 예) 못케, 코다마, 7대 불가사의 2번째 미사키 계단 등.[5] 일종의 일본 말장난. 꼭 숫자를 뜻하는 한자가 들어있어야 가능한 것은 아니다.[6] 이름 그대로 직역하면 황혼.[7] 별명인 사신(시니가미)으로 불리고 있으며, 19권에서 이름이 밝혀졌다. 참고로 7대 불가사의 중에 유일하게 이름에 숫자가 들어가지 않는다는 점.[8] 참고로 이름은 애니판(크레딧) 한정. 원작에서는 이름이 없다.[9] 애니에서의 이름은 하리센본.[10] 원래 物怪라고 쓰지만, 실제 공식에서는 히라가나(もっけ)나 카타카나(モッケ)로 쓴다.[11] 레몬 맛은 너무 셔서 그들에게 인기가 없다고 한다. 참고로 공식 스핀오프 만화 '방과후 하나코 군'에 따르면 좋아하는 사탕은 용각산 목캔디(龍角散のど飴)라는 모양. 그래서 못케 성우 세 사람이 하나코 군 라디오에 나와서 '좋아하는 캔디는 용각산 목캔디'라며 드립을 치기도 한다. 추가로 작가 트위터에서 그리는 못케들은 전부 다 다른 개체이기 때문에 좋아하는 사탕맛도 다양하다고 한다.[12] 공식 스핀오프에서는 이를 노리고 하나코를 습격하기도 하며, 7대 불가사의에 들어가면 인간을 노예로 만들어서 사탕밭을 일구게 할 것이라고 한다. 본인들이 작사/작곡한 노래도 틀어줄 거라고. 이 때 묘사는 밀레의 그림 이삭 줍는 여인들의 패러디.[13] 참고로 애니 감독과 프로듀서, 심지어 작가 아이다이로까지 못케 역 오디션을 봤다가 떨어졌다고 한다. 이외에도 하나코 군 애니에서 못케가 아닌 배역을 맡은 다른 성우들이 못케 오디션을 봤다가 다른 역 오퍼를 받았다는 경우가 꽤 있다.[14] 단, 위협을 느끼면 여러 마리가 합체해서 무서운 모습으로 변한다고 한다.[15] 색깔은 분홍색과 검은색 두 가지로 나눠진다.[16] 0권에서의 못케는 호기심과 장난을 좋아하지만 반대로 힘도 약하고, 인감에게 해를 가할 수 없으며, 의외로 겁쟁이라서 자주 도망간다. 특히 사나운 유령과 요괴를 싫어해서 못케가 접근하지 않는 곳은 영력이 없는 평범한 인간도 절대 가까이 가면 안된다고.[17] 하나코, 네네, 츠카사 다음으로 일러스트에 자주 등장한다. 지하군 최강자가 하나코가 아닌 못케라는 가설도(...)[18] 츠카사나 하나코(아마네), 아카네로 추측된다.[19] 원작 4화에서 코우가 말하기를 "화장실의 하나코 씨"는 자신의 할머니가 모든 힘을 다 쏟아부어서 밖으로 기어나오지 못하게 겨우 봉인한 것으로 언급된다. 또한 79화에서 쿠시시게도 테루에게 "아무리 영력이 뛰어난 미나모토 후손이라고 해도 붉은집의 저주를 감당할 수 없으며, 너의 할머니가 정하신 일이라고" 호통을 치며 비슷한 내용을 얘기한다.[20] 원작 115화[21] 물론 개변된 세계여서 하나코의 자리를 츠카사가 매꾼 것이기에 이름이 바뀌었을 수도 있다.[22] 네네, 아오이, 아카네, 테루.[23] 116화에서 츠카사와 코우, 120화에서 아마네, 126화에서는 독자들을 여러므로 충격에 빠트렸던 네네까지.[24] 파일:우물신이 의해서 빙의된 사람 얼굴.png[25] 파일:광기어린 츠카사와 대화를 하다가 멈추고 대꾸도 안하는 우물신.png[26] 가끔씩 등장인물들의 집(주로 안쪽)만 살짝 나올 뿐 주변 풍경이나 마을 자체는 거의 나온 적이 없다. (공상화 편은 그림 속이라 제외.)[27] 정확한 날짜는 나오지 않았다. 쌍둥이가 태어나서 초등학교 입학식 때까지는 카모메 학원은 자체가 없었지만, 중학교 입학하기 전에 학교를 건설한 것으로 보인다. 이 시대의 시간인 2014년도로 계산해보면 대략 46년 정도된다.[28] 중등부는 하얀바지, 고등부는 검은바지이며, 교복 조끼와 넥타이 색깔이 흰색으로 동일하다.[29] 중등부는 갈색, 고등부는 하얀색.[30] 방과후 소년 하나코 군 24화에서 츠치고모리에 의해 밝혀졌다.[31] 요코오처럼 방과후 소년 하나코 군에서 츠치고모리에 의해 밝혀졌다.[32] 성우 코야스 타케히토의 아들이다.[33] 본인도 이게 그냥 일 떠넘기기라는 걸 인식하고 있는 듯하다.[34] 이때 자세는 미켈란젤로의 피에타의 오마주.[35] 다만 이건 장편 하나코 군 연재 이전에 그려진 것이라 본편에 그대로 적용되는지는 의문이다.[36] "전남친을 저주해 죽이고 싶다."[37] 풀네임은 공개되지 않았다.[38] 네네, 아오이, 아카네, 야마부키, 후지가 소속되어 있는 반이다.[39] 네네가 가지고 있는 교과서.(원작 36화, 애니 1기 12화)[40] 나기사가 야코의 종족을 여우가 아닌 개, 고양이, 흰코사항 고양이라고 착각하며, 마침 도시락을 먹으러 온 츠치고모리에게 이 상황을 발견하게 된다. 끼부리고 있었냐?는 말에 부정을 하며, 7대 불가사의 2번째인 여우조각상 화신인 나를 길들일 수 있다고 멋대로 착각하며, 나기사 품에서 날뛰며 도망친다. 하지만 이때 야코는 떨어질 뻔한 나기사한테 이 녀석! 얌전히 있어! 못된 흰코사항고양이네! 떽하며 꾸지람을 듣는데, 과거 회상을 하는 야코는 미사키를 닮았다며 상당히 부끄러워한다. 옆에서 츠치고모리는 점심인 도시락을 먹다가 못볼 꼴을 봐서 사레에 걸렸다 나기사는 야코의 종족이 뭐냐고 질문하며 온갖 추측을 하는데, 만약에 흰코사항 고양이라면 잡아서 없애야된다는 발언을 해서 야코와 츠치고모리를 벙찌게 만들었다. 츠치고모리가 젓가락으로 잡고 있던 계란말이가 떨어지는 건 덤 나기사는 눈물 찔금 흘리면서 흰코사항 고양이는 외래종으로 인해 문화재에 흠집, 주택침입, 번식 문제 때문에 해로운 동물이라고 언급하며, 야코를 보며 츠치고모리에게 재질문을 하고 그 의견에 동의하자 야코가 머리 끝까지 화나서 두 교사를 때리고 도망가며 적당히 거리를 유지하다가 자신을 얕보고 있다는 생각에 겁을 줄려다가 고양이라면 나기사가 데려가서 키울 의향이 있었다는 말 때문에 야코는 자신이 여우가 아닌 고양이인 척 연기를 하며 태도를 싹 바꾼다. 나중에 츠치고모리가 야코에게 긍지높은 여우조각상님 께서 사랑에 빠지셨나?라고 디스하며 야코가 시끄럽다는 반발과 함께 에피소드는 끝난다.[41] 야코가 좋아하던 미사키의 풀네임이다.[42] 아들의 웃는 모습이 아버지를 상당히 닮았다. 파일:표정.jpg[43] 여담으로 작중에서 쌍둥이들의 성별, 털털한 성격과 각진 손은 아빠를 닮았다.[44] 자신의 두 아들 4번째 생일날 곰인형을 선물로 사주기 위해서 가게 앞에 고민하는 모습도 보인다. 파일:지하군 유기 형제 아버지.png[45] 유독 눈매가 자신의 아들들과 쏙 빼닮았다. 쌍둥이를 엄마가 직접 낳았으니까 닮은 게 당연하다. 살짝 올라가서 날카로운 느낌을 주는데, 그래서인지 아마네와 츠카사의 눈매가 평소 때는 동그랗지만, 간혹 표정 변화로 인해 날카롭거나 유연하게 그려지는 경향이 있다. 미나모토 가의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평상시에 기모노를 입고 있다. 참고로 쌍둥이가 금안인 이유가 아버지가 아닌 어머니가 금안이기 때문에 유전된 것으로 보인다.[46] 실종된 날이 겨울이였으니, 다시 찾은 날이 이 맞다.[47] 신사에서 난동을 피울 때, "그 사람도 당신들도 왜 내 말을 못 믿는 거야"라고 하는데, 아마도 그 사람은 부인의 남편으로 추정된다. 이 계기로 화목했던 유기 집안에 조금씩 금이 가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48] 원작에서는 일가 동반자살이라고 나와있다.[49] 일본은 어린 아이들이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건강하게 자라라고 한겨울에도 반바지를 입히는 문화가 있다.[50] 달걀, 버터, 설탕, 밀가루 등.[51] 생일 저녁 식탁을 확인해보면 케이크, 도넛, 반찬 등 어머니가 직접 만들었다는 것. 참고로 오렌지 주스는 배달하는 업체에서 작은 서비스로 준비했다고.[52] 어머니가 이미 만든 요리를 아마네와 츠카사가 마음대로 먹고 있는 것으로 보아 요리도 수준급으로 잘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파일:지하군 유기 형제 어머니.png[53] 신사의 사람들도 눈치채지 못 했던 것을 본인 혼자 감지한 것은 본인도 모르는 숨겨진 힘이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또한 앞머리가 투톤인 것을 보아 아카네 가문의 칸나기이거나 그게 아니라도 연관성이 있는 중요한 인물로 추정된다.[54] 티아라를 낳고 병으로 사망했다고 한다.[55] 풀컬러 채색은 18권 날개 속표지에 스미레와 하쿠보와 함께 나온다.[56] 79화에서 쿠니시케가 미나모토 가문의 당주를 직접 언급하며, 테루가 자신의 아버지라고 하는 것을 보아 현 당주가 삼남매의 아버지로 추정된다.[57]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경제적인 부분은 아버지가 책임을 지고, 학업과 집안일은 아들 둘이 나눠서 하고 있다. 막내딸은 아직 너무 어리기에 주변에서 케어를 해줘야한다는 점.[58] 실질적으로 테루가 장남이기에 밖에서 궂은 일을 도맡고, 차남인 코우는 어렸을 때 집에서 엄마와의 시간을 많이 보냈기에 집안일을 하고, 막내인 티아라는 아직 어리기에 아빠나 오빠들의 관심과 보살핌이 필요한 나이이다.[59] 원래 살던 세계가 아닌 시계지기로 인해 뒤틀어진 세계인데, 코우가 엄마랑 식사 준비를 할 때 식탁에 "그릇을 3개만 꺼냈다"가 엄마가 의문을 제기하자 이때 코우는 당황하며 헷갈렸다고 반문한다.[60] 참고로 설정상 금발벽안은 "미나모토 요리미츠" 때부터 있었기에 삼남매 어머니의 머리카락이 금발인 이유가 먼 조상부터 대대로 내려온 유전인 셈.[61] 왼쪽은 티아라, 오른쪽은 페어리라는 못케다. 둘째 오빠인 코우와 마찬가지로 덧니가 있다.[62] 항상 오빠들이랑 같이 등장하고, 이미지의 위치로 볼 때 돌아가신 어머니 묘지다.[63] 특히 코우보다 테루 쪽이 과보호가 심한 편인데, 중요한 경우를 빼놓고 거의 티아라 관련된 얘기를 하거나, 스핀오프에서도 동생 코우와 함께 경호원으로 변장하여 심부름을 미행하기도 한다.[64] 칠석날 티아라가 탄자쿠에 적은 소원이 새우인데, 새우 요리를 잔뜩 먹고 싶다는 것.[65] 특히 어릴 때 손을 자주 움직여주는 운동이나 놀이가 뇌가 발달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66] 왼쪽은 미츠바 어머니, 오른쪽 상단은 미츠바, 오른쪽 하단은 미츠바 아버지다.[67] 원작에서는 컬러판으로 나오지 않았지만, 14권 책 책갈피에 풀 컬러판이 실렸다. 추측해보기론 미츠바 아버님이 찐한 분홍색 머리카락이였거나, 할머니 또는 할아버지일 가능성도 있다.[68] 헤어스타일과 달리 얼굴을 보면 동글동글한 눈매와 여리여리한 체형, 분위기가 자신의 아들인 미츠바와 똑같다.[69] 이른 나이에 유기 형제를 잃은 유기 부모님과 마찬가지로 친자식을 잃은 두번째 부모이기도 하다. 심지어 자신은 간호사이기 때문에 아들의 죽음으로 인해 더더욱 안타까움이 부각되는 인물이기도 하는데, 간병 뿐만이 아니라 죽은 사람들을 수도 없이 많이 봐왔거나 그쪽에서 일하기 때문에 시신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기 싫어도 알 수 밖에 없는 것.[70] 아들이 살아있었을 때, 엄마가 평소에 옷을 이상하게 매치시켜서 그대로 입고 다닌다고 해서 엄청 혼났다고. 엄마가 아들한테 잔소리를 듣고 있는(...) 참고로 직장에서는 간호사복을 입고 다니기 때문에 외출복에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다. 미츠바가 그렇게 이상하게 입고 다니면 직장에서 무시당한다는 언급으로 보아 엄마도 자신과 같은 일을 당하지 않기 바라는 마음에서 귀가 따가울 정도로 잔소리를 해준 것. 참고로 한국의 왕따와 달리 일본의 이지메는 사회에 배제시켜서 아예 없는 사람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왕따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71] 2025년 08월 24일에 공식 X에서 공개됐다. 참고로 전문 성우가 아닌 아이돌 가수를 섭외했으며, 2기 초반 때부터 지하군 2기 제작부터 스페셜 서포트로써 여러번 얼굴을 비췄고, 지하군 방과후 라디오에도 출연했다. 또한 성공한 덕후이기도 한데, 좋아하는 작품에 스페셜 서포트를 맡고 성우로써 참여했기 때문. 본인도 인용해서 카타쿠리 더빙에 참여했다고 언급했다. 자신의 집 화장실에 하나코 스탠드가 여러개 장식되어 있다고(...) 공식에서 인터뷰와 직접 현장에 가서 더빙하는 영상이 올라왔는데, 전문 성우들 못지않게 연기가 일품인 것을 알 수 있다.[72] 89화에서 어머니 품에 안겨있는 어린 모습을 볼 수 있다. 6번째 하쿠보로 인하여 부모를 죽인 원수이며, 피해를 입은 인물들 중 한 명이였던 것.[73] 여담으로 25권 특장판에서 카타쿠리도 등장하는 것을 보아 앞으로의 전개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일 것으로 보인다. 파일:지하군 25권 특장판 굿즈.jpg[74] 여기에 계속 있으면 자아를 잃고 괴이처럼 변한다고 하는데, 카타쿠리도 팔이 살짝 검어지는 것을 보아 곧 다른 괴이처럼 변할 듯 하다.[75] 참고로 17권 속 표지에는 데포르메 전신 컷이 채색되어 나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담이지만, 카타쿠리가 네네와 비슷한 헤어스타일이나 투톤으로 나눠진 컬러를 확인해볼 수 있는데, 야시로 네네아오이 아카네 방계 측으로 나눠져서 같은 세대인 칸나기인 동시에 "아카네 카타쿠리"의 먼 후손으로 추정된다. 또한 방과후 소년 하나코 군에서 사쿠라가 츠카사로 인해 남자로 변했을 때, 카타쿠리와 스타일과 분위기가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76] 다만, 아오이는 원치 않는 혼례이기도 하지만 엄마가 아빠 때문에 힘들어하는 것을 너무나도 잘 알기에 본인 혼자서 "나만 참으면 된다"는 식으로 속앓이를 했다고.[77] 114화인 시계지기로 인해 개변된 세계에서는 아버지로 추정되는 인물이 바람나서 집을 나갔고, 불륜녀와의 사이에 생긴 딸이 2명정도 있다고(...)[78] 메인 히로인이자 더블 주인공인 셈.[79] 얼마나 적냐면 네네가 키우고 있는 햄스터인 블랙 캐니온보다도 언급이 적을 정도.[80] 지하군 공식 X를 인용해서 글을 남겼다.[81] 참고로 네네는 혼자 독립해서 따로 사는 것. 다만 이때 만큼은 단절 때문에 일시적으로 "아오이와 수명이 뒤바뀐 대가로 아오이의 가정환경이 네네에게 네네의 가정 환경이 아오이에게로 운명이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82] 하나코가 햄스터 이름에 이질감을 느껴서 네네한테 "미안, 뭐라고?" 반문한 적이 있다.[83] 품종은 장가리안, 성별은 수컷.[84] 코우가 햄스터 이름에 이질감을 느껴서 네네한테 "블랙... 네?"라고 반문한 적이 있다.[85] 파일:햄스터를 양손으로 감싸는 하나코.jpg[86] 파일:햄스터를 양손으로 감싸는 츠카사.jpg 특히 햄스터가 츠카사 손을 살짝 물고 있는 것과는 별개로 츠카사가 동공에 하이라이트를 띄우며, 왼쪽 볼이 살짝 붉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양손으로 조심히 감싸는데 자신의 손을 물고 있는 햄스터를 신기하게 쳐다보고 있다. 또한 츠카사의 평소에 거칠고 난폭한 모습을 비교해보면 많이 다르다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는데, 그게 아니라면 본인 기준에서 약한 동물들은 보호해줘야 하는 것일 수도 있다고.[87] 예전에 네네가 방에서 도망친 햄스터를 잡을 때 어떻게 유인하는지를 설명한 적이 있었다. (원작 26화, 애니 2기 2화) 파일:햄스터가 도망쳤을 때 먹이로 유인해서 잡는 네네.jpg[88] 애니메이션 공식 설정화.[89] 야코는 이미 알고 있었지만 하염없이 미사키를 기다리다가 언제부터인지 미사키를 만들기 위해 시작했고, 현재는 미술실 옆 계단 4번째 계단에 대한 소문이 왜곡되어 수많은 사람들을 희생시키며 자신이 가해자 겸 피해자가 됐다.[90] 현재 이 포지션과 흡사한 인물이 바로 츠치고모리 류지로. 평소에 관심없는 척 연기를 하지만 교사로써 항상 학생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부분.[91] "미사키 계단"은 야코가 미사키의 이름을 따와서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92] 네네, 아오이, 아카네, 레몬, 후지의 담임.[93] 공식 X를 인용으로 쿠니시게의 젊은 시절(청년)역할을 참여했다고 글을 남겼다.[94] 공상화에서 아마네로 변한 하나코에게 네네가 하는 대사.[95] 경계에서 다시만난 하나코의 말에 네네가 대답하는 대사.[96] 2기 2쿨 오프닝에서는 하나코의 대사가 들어갔다[97] 아마네는 네네의 두꺼운 다리를 보고 두근거렸다.[98] 하루동안 아무일도 없는 날은 아오이를 한참 바라본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