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명이 조희진인 걸그룹 트레이서의 멤버에 대한 내용은 지니(트레이서)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정부법무공단 역대 이사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e4032e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초대 서상홍 | 2대 정동기 | 3대 김필규 | 4대 손범규 | |
5대 박청수 | 6대 장주영 | 7대 조희진 | }}}}}}}}}}}} |
역임한 직위 | ||||||||||||||||||||||||||||||||||||||||||||||||||||||||||||||||||||||||||||||||||||||||||||||||||||||||||||||||||||||||||||||||||||||||||||||||||||||||||||||||||||||||||||||||||||||||||||||||||||||||||||||||||||||||||||||||||||||||||||||||||||||||||||||||||||||||||
|
<colbgcolor=#674744><colcolor=#fff> 제7대 정부법무공단 이사장 조희진 趙嬉珍 | Cho Hee-jin | |
출생 | 1962년 10월 15일 ([age(1962-10-15)]세) |
충청남도 예산군 | |
현직 | 정부법무공단 이사장 법무법인 담박 대표변호사 |
학력 | 성신여자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
가족 | 배우자 송수근[1], 아들(1994년생) |
경력 | 제29회 사법시험 합격 제19기 사법연수원 수료 법무부 여성정책담당관 의정부지방검찰청 형사4부장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공판2부장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형사7부장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차장검사 대전지방검찰청 천안지청장 서울고등검찰청 차장검사 (박근혜 정부) 법무연수원 연구위원 제주지방검찰청 검사장 의정부지방검찰청 검사장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 (제17대 / 문재인 정부) 미래통합당 제21대 총선 공천관리위원 GS건설 사외이사 정부법무공단 이사장 (제7대 / 윤석열 정부)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직 검사이자 현직 변호사, 공공기관장으로 검찰 역사상 최초의 여성 검사장이다.2. 생애
1962년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태어났다. 서울성신여자고등학교 졸업 후 1981년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하였고, 1985년 졸업하였다.1987년에 제29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2] 그 후 1990년에 사법연수원을 수료했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19기. 서울지방검찰청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하였다. 사법연수원 19기 가운데 유일한 여성 검사였다.[3]
그 후 검찰 내 유일한 여성검사[4]로서 검찰 조직 내에서 승승장구했다. 1992년 수원지방검찰청 검사, 1996년 서울지방검찰청 북부지청 검사, 1998년 법무부 여성정책담당관, 1999년 서울지방검찰청 동부지청 검사를 거쳐, 2002년 서울고등검찰청 검사가 되었고, 그 얼마 뒤 법무부 부부장검사가 되었다.
2003년 법무부 검찰국 검사를 거쳐 2004년 6월에는 여성 최초로 부장검사가 되었다. 의정부지방검찰청 형사4부장검사가 된 것.
2005년에는 사법연수원 교수로 있었고, 2007년에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공판2부 부장검사, 2008년에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형사7부 부장검사, 2009년에는 서울고등검찰청 검사로 있었다.
2009년 8월에는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차장검사가 되었고, 2010년 8월에는 제43대 대전지방검찰청 천안지청장으로 임명되었다. 2011년 10월 다시 서울고등검찰청 검사로 갔다가, 2013년 12월 서울고등검찰청 차장검사가 되며 검사장으로 승진했다. 같은 날 20기 7명이 승진했고 조희진 검사장은 유일한 19기였는데 운 좋게 승진막차를 탄 셈.[5][6] 2015년 2월에는 제주지방검찰청 검사장, 2015년 12월에는 의정부지방검찰청 검사장이 되었다. 2017년 7월에는 검찰총장 후보자추천위원회가 추천하는 최종 후보 4인에 오르기도 했다.
2017년 7월 27일자 법무부 인사에서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발령받았다.
2018년 6월 사의를 표명했고, 9월부터 변호사 활동을 시작했다. #
2023년 6월 26일, 법무부 산하 공공기관인 정부법무공단 신임 이사장으로 임명되었다. #
3. 여검사 성추행 진상규명 및 피해회복 조사단
2018년 서지현 검사가 제기하여 검찰청 내부 성추문이 불거지자, 조사단장으로서 그 진상 조사를 맡게 되었다. 그런데 훨씬 전에 어느 여검사가 해당 문제를 거론하자 "그런 사람(안태근)은 내가 못 건드린다"라고 했다는 의혹이 있어, 제대로 진상조사를 할 리가 있겠냐는 회의적인 전망이 있다.[7][8] '도가니 검사' 또는 '무죄구형'으로 잘 알려진 임은정 검사도 과거 조 검사장이 성폭력을 폭로한 자신에게 징계를 내린다며 정신병원으로 가라고 폭언했으며, 성추문 사건 진상조사단장 자리에서 사퇴하지 않으면 증거를 공개하겠다고 발언했다. #2018년 5월 2일, 서지현 검사가 조희진 검사가 조사단장으로 적절하지 않았다고 말하였다.
4. 여담
- 초임 검사는 형사부에서 6개월을 일하고 자동으로 공판부에 배치된다. 그런데 동기 검사 중 조희진만 공판 업무에서 제외되고 형사부에 남겨졌다.[9] 그러자 공판부에 자리가 비기를 기다려 손을 들고 공판부를 자원했다. 공판부가 비(非)선호 부서임에도 불구하고 그러했다.
- 검찰 내에서 여성으로서 언제나 최초의 인물이었기 때문에 항상 조심하며 살았다고 한다. 회식 자리에 매니큐어를 바르고 참석했다가 그 사실을 뒤늦게 깨닫고, 국자를 들 때마다 손톱이 보이지 않게 손가락을 오므렸을 정도였다.
- 조희진 검사가 검찰조직 내에서 인정을 받고 훌륭히 적응하며 활동하자, 그녀를 지켜보며 용기를 낸 후배가 늘어나면서 지금은 검찰 내에 여성 검사 간부 비율이 예전에 비해 높아졌다. 2019년 기준 대략 전체 검찰 인원 가운데 약 10%가 여성일 정도. 간부급을 빼면 평검사 가운데 15% 정도가 여성이다.
-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검사장 승진에 성공하였다. 다만 고검장으로 승진하지는 못하였고 역대 최초의 여성 고검장 타이틀은 노정연 전 대구고검장이 가져가게 되었다.
- ‘워킹맘’으로서 1998년 법무부 여성정책관으로 근무할 때 청주여자교도소 안에 직장 어린이집을 처음 만들었다. 새로 짓는 검찰청에 직장 어린이집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어린이집 설치를 요구하기도 했다.
- 남편은 송수근 전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이다. 송수근 전 차관은 2014년 10월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의 지시를 받고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집행 세부 실행계획을 세우고 집행한 바가 있다. # 이후 계원예술대학교 9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둘 사이에는 아들이 하나 있다.
- 2020년 1월 22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대비 미래통합당 공천관리위원으로 선임되었다. 200122 데일리안 기사
[1] 현재 계원예술대학교 총장으로, 박근혜 정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을 역임하였다.[2] 여성이 시험에 붙으면 신문에 이름이 실리던 시절이었다. 전국에 여성 법조인이 50명도 안 되는 때에 사법시험에 합격했다.[3] 함께 있던 연수원 여성 동기 9명은 모두 법원이나 법무법인을 선택했다. 앞서 검찰을 선택했던 여자 선배들이 모두 금세 전업한 영향이 컸다. 예를 들어 첫 여성 검사였던 조배숙은 4년 만에 판사로 전직했다.[4] 전체 755명 검찰 정원 가운데 여자 검사는 조희진 혼자였다.[5] 검사장은 ‘검찰의 별’로 불린다. 고등법원 부장판사, 대기업 고위 임원에 비견되는 자리다. 검사장이 되는 길은 ‘바늘구멍’에 비유된다. 동기 10명 중 1명꼴로 이 좁은 문을 통과하는 행운이 주어진다.[6] 고검 차장은 보통 초임 검사장이 맡는다.[7] https://youtu.be/CFtSbW429AE?t=660[8]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30328.html|#[9] 아마도 지휘부에서 ‘유일한 여성 검사가 공개된 재판정에 나서면 어떤 불상사가 벌어질지 모른다’고 생각한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