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2 16:32:32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주요 변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8px"
사전투표일: KST 2026년 5월 29일(금)~2026년 5월 30일(토) 오전 6시~오후 6시
투표일: KST 2026년 6월 3일(수) 오전 6시~오후 6시
선거 이전
주요 변수 · 지역별 상황 · 정당별 상황 · 세대별 상황 · 선거구 · 선거구 획정 · 여론조사
선거 진행
선거 일정 · 참여 정당 · 출마 선언 · 공약 · TV 토론회 · 선거 연설 · 선거 광고 · 선거 방송 · 출구조사
광역단체장 후보군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대경권 · 동남권 · 강원·제주) · 공천 · 경선
기초단체장 후보군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공천 · 경선
교육감 후보군 · 단일화
광역의원 공천
기초의원 공천
개표
광역단체장 전국
기초단체장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교육감 전국
광역의원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기초의원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결과 분석
정당별 결과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조국혁신당 · 개혁신당 · 진보당
지역별 결과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대경권 · 동남권 · 강원도 · 제주도
기타 세대별 결과 ·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관련 문서
민선 9기 지방자치단체장 · 민선 9기 광역의회의원 · 민선 9기 기초의회의원 · 여담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1. 개요2. 정당별 이슈
2.1. 더불어민주당
2.1.1. 공천 규정 변경2.1.2. 이재명 정부 10.15 부동산 대책2.1.3. 조국혁신당과의 단일화 문제
2.2. 국민의힘
2.2.1. 명태균 게이트2.2.2. 당성 평가 공천 도입
2.3. 조국혁신당2.4. 개혁신당2.5. 기타 정당
3. 교육감 관련 이슈4. 지역별 이슈
4.1. 서울특별시4.2. 경기도4.3. 인천광역시4.4. 강원특별자치도4.5. 대전광역시4.6. 세종특별자치시4.7. 충청북도4.8. 충청남도4.9. 대구광역시4.10. 경상북도4.11. 광주광역시4.12. 전북특별자치도4.13. 전라남도4.14. 부산광역시4.15. 울산광역시4.16. 경상남도4.17. 제주특별자치도

1. 개요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주요 변수를 정리한 문서다.

2. 정당별 이슈

2.1. 더불어민주당

2.1.1. 공천 규정 변경

특히 3회 이상 탈당한 전력이 있는 인사를 컷오프 대상으로 포함시키는 방안을 내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역 광역자치단체장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여기에 해당된다.

2.1.2. 이재명 정부 10.15 부동산 대책

2.1.3. 조국혁신당과의 단일화 문제

2.2. 국민의힘

2.2.1. 명태균 게이트

명태균 게이트 (위쪽부터 오세훈 서울시장, 김진태 강원지사, 박완수 경남지사)

2.2.2. 당성 평가 공천 도입

당성 평가 공천 도입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국면에서 공직후보자 기초자격평가(PPAT)를 실시한 것에 이어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공천 기준에 '당성[1] 평가'를 도입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장동혁 당대표는 외부 인사를 영입하는 것보다 당과 하나될 인물을 공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

한편 지방선거총괄기획단 위원장에 나경원 의원이, 위원에 강승규·김선교·김성원·박수영·배현진·박상웅·서명옥·서천호·이달희·조지연 의원이 임명되었는데, 친한계김성원 의원과 배현진 의원을 제외하고는 전부 친윤으로 분류되는 인사이다.

만약 당성 평가가 실제로 실시될 경우 개혁신당과의 연대를 강조한 오세훈 서울시장이 공천에서 불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2.3. 조국혁신당

2.4. 개혁신당

2.5. 기타 정당

3. 교육감 관련 이슈

4. 지역별 이슈

4.1. 서울특별시

4.2. 경기도

4.2.1. 경기북부특별자치도 분도 논의

경기북부특별자치도 분도 논의

4.2.2. 김포시 서울 편입 논의

김포시 서울 편입 논란

4.3. 인천광역시

4.4. 강원특별자치도

4.4.1. 레고랜드 사태

레고랜드 사태

4.4.2. 2025년 강릉 가뭄

2025년 강릉 가뭄

4.5. 대전광역시

4.6. 세종특별자치시

4.6.1.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

4.7. 충청북도

4.8. 충청남도

4.9. 대구광역시

4.10. 경상북도

4.11. 광주광역시

4.12. 전북특별자치도

4.12.1.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사태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사태

4.13. 전라남도

4.14. 부산광역시

4.14.1.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

4.15. 울산광역시

4.16. 경상남도

4.17. 제주특별자치도


[1] "에 대한 충도와 기여도"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