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4 17:51:17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여론조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8px"
사전투표일: KST 2026년 5월 29일(금)~2026년 5월 30일(토) 오전 6시~오후 6시
투표일: KST 2026년 6월 3일(수) 오전 6시~오후 6시
선거 이전
주요 변수 · 지역별 상황 · 정당별 상황 · 세대별 상황 · 선거구 · 선거구 획정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영남권 · 강원·제주) · 여론조사
선거 진행
선거 일정 · 참여 정당 · 출마 선언 · 공약 · TV 토론회 · 선거 연설 · 선거 광고 · 선거 방송 · 출구조사
광역단체장 후보군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대경권 · 동남권 · 강원·제주) · 공천 · 경선
기초단체장 후보군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공천 · 경선
교육감 후보군 · 단일화
광역의원 공천
기초의원 공천
개표
광역단체장 전국
기초단체장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교육감 전국
광역의원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기초의원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결과 분석
정당별 결과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조국혁신당 · 개혁신당 · 진보당
지역별 결과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대경권 · 동남권 · 강원도 · 제주도
기타 세대별 결과 ·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관련 문서
민선 9기 지방자치단체장 · 민선 9기 광역의회의원 · 민선 9기 기초의회의원 · 여담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1. 개요2. 전국 광역자치단체장 직무수행 긍정평가3. 전국 교육감 직무수행 긍정평가4. 지역별 여론조사5. 대통령 국정지지율6. 2026년 정당지지도7. 정부 지원론 vs 정부 견제론

1. 개요

본 문서는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를 모아둔 문서이다.

2. 전국 광역자치단체장 직무수행 긍정평가

조사 기관 리얼미터 한국갤럽
월차 2025년 4월 2025년 5월 2025년 6월 2025년 7월 2025년 8월 2025년 9월 2025년 10월 2025년 11월 2025년 12월 2026년 1월 2025년 상반기 2025년 하반기
<colbgcolor=#e61e2b> 서울 오세훈 하위권 하위권[1] 43.2% 41.4% 41.5% 42.8% 41%
부산 박형준 하위권 하위권 하위권 하위권 하위권 하위권 43%
대구 홍준표[사퇴] 미조사[사퇴] 49% 미조사[사퇴]
인천 유정복 44.5% 42.4% 하위권 하위권[5] 46.1% 47.9% 50%
광주 강기정 45.7% 45.1% 41.7% 하위권 하위권 하위권 52%
대전 이장우 44.3% 42.6% 43.5% 43.3% 41.7% 44.4% 42%
울산 김두겸 51.5% 48.9% 47.2% 45.5% 47.4% 52.3% 50%
세종 최민호 하위권 하위권 하위권[6] 40.5% 42.1% 48.0% 미조사[7]
경기 김동연 46.2% 46.5% 48.5% 50.0% 47.5% 45.0% 53%
강원 김진태 45.3% 46.4% 44.3% 43.1% 46.5% 48.6% 44%
충북 김영환 42.7% 하위권 하위권 하위권 하위권 하위권 37%
충남 김태흠 44.6% 45.1% 44.9% 41.5% 44.2% 45.5% 49%
전북 김관영 47.3% 50.3% 52.4% 49.6% 50.7% 52.1% 50%
전남 김영록 58.2% 59.5% 55.2% 50.7% 54.6% 54.9% 63%
경북 이철우 52.1% 51.2% 50.2% 50.7% 52.0% 49.3% 55%
경남 박완수 48.4% 47.7% 46.4% 44.0% 46.9% 44.5% 48%
제주 오영훈 하위권[8] 41.6% 41.5% 40.3% 하위권 하위권 47%

3. 전국 교육감 직무수행 긍정평가

4. 지역별 여론조사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지역별 여론조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svg
세종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
강원
파일:충청북도 휘장.svg
충북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남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svg
전북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남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북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남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
}}}}}}}}} ||

5. 대통령 국정지지율

파일:대한민국 대통령기.svg이재명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
한국갤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년차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선거 득표율
제21대 대통령 선거
49.42%
조사 기간 긍정 부정
2025년 6월 4주
64%
21%
2025년 7월 1주
65%
23%
2025년 7월 2주
63%
23%
2025년 7월 3주
64%
23%
2025년 8월 2주
59%
30%
2025년 8월 3주
56%
35%
2025년 8월 4주
59%
30%
2025년 9월 1주
63%
28%
2025년 9월 2주
58%
34%
2025년 9월 3주
60%
31%
2025년 9월 4주
55%
34%
2025년 10월 3주
54%
35%
2025년 10월 4주
56%
33%
2025년 10월 5주
57%
33%
2025년 11월 1주
63%
29%
이 자료는 한국갤럽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3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파일:대한민국 대통령기.svg이재명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
리얼미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년차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선거 득표율
제21대 대통령 선거
49.42%
조사 기간 긍정 부정
2025년 6월 2주
58.6%
34.2%
2025년 6월 3주
59.3%
33.5%
2025년 6월 4주
59.7%
33.6%
2025년 7월 1주
62.1%
31.4%
2025년 7월 2주
64.6%
30.0%
2025년 7월 3주
62.2%
32.3%
2025년 7월 4주
61.5%
33.0%
2025년 7월 5주
63.3%
31.4%
2025년 8월 1주
56.5%
38.2%
2025년 8월 2주
51.1%
44.5%
2025년 8월 3주
51.4%
44.9%
2025년 8월 4주
53.6%
42.3%
2025년 9월 1주
56.0%
39.2%
2025년 9월 2주
54.5%
41.1%
2025년 9월 3주
53.0%
43.6%
2025년 9월 4주
52.0%
44.1%
2025년 10월 1주
53.5%
43.3%
2025년 10월 3주
52.2%
44.9%
2025년 10월 4주
51.2%
44.9%
2025년 10월 5주
53.0%
43.3%
2025년 11월 1주
56.7%
38.7%
이 자료는 에너지경제신문이 리얼미터에 의뢰하여 조사한 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주간집계 결과임. 매주 평일동안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파일:대한민국 대통령기.svg이재명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
전국지표조사 (NB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년차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선거 득표율
제21대 대통령 선거
49.42%
조사 기간 긍정 부정
2025년 6월 2주
53%
19%
2025년 6월 4주
62%
21%
2025년 7월 2주
65%
23%
2025년 7월 4주
64%
22%
2025년 8월 1주
65%
24%
2025년 8월 3주
57%
33%
2025년 9월 1주
62%
28%
2025년 9월 3주
59%
31%
2025년 10월 1주
57%
34%
2025년 10월 3주
56%
35%
2025년 10월 5주
56%
35%
이 자료는 엠브레인퍼블릭ㆍ케이스탯리서치ㆍ코리아리서치ㆍ한국리서치에서 공동으로 조사한 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3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전국지표조사 (NBS)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파일:대한민국 대통령기.svg이재명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
여론조사꽃 (전화면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년차 ]
선거 득표율
제21대 대통령 선거
49.4%
조사 기간 긍정 부정
2025년 6월 3주
73.4%
23.6%
2025년 6월 4주
72.8%
24.2%
2025년 7월 1주
73.6%
23.4%
2025년 7월 2주
74.7%
22.7%
2025년 7월 3주
76.2%
21.9%
2025년 7월 4주
76.2%
21.6%
2025년 8월 1주
71.6%
26.1%
2025년 8월 2주
71.3%
27.7%
2025년 8월 3주
68.0%
30.9%
2025년 8월 4주
64.2%
34.3%
2025년 8월 5주
67.3%
31.0%
2025년 9월 1주
69.5%
28.7%
2025년 9월 2주
69.1%
29.4%
2025년 9월 3주
69.9%
28.2%
2025년 9월 4주
67.4%
31.6%
2025년 10월 1주 추석 연휴 관계로 조사 쉼
2025년 10월 2주
64.8%
34.6%
2025년 10월 3주
66.9%
32.3%
2025년 10월 4주
65.2%
33.4%
2025년 11월 1주
69.1%
29.2%
2025년 11월 2주
67.8%
31.2%
이 자료는 <여론조사 꽃>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주간 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2일 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
파일:대한민국 대통령기.svg이재명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
한국사회여론연구소 (KSOI)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년차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선거 득표율
제21대 대통령 선거
49.42%
조사 기간 긍정 부정
2025년 7월 1주
59.3%
34.6%
2025년 7월 3주
61.6%
32.9%
2025년 7월 5주
58.8%
35.5%
2025년 8월 2주
54.7%
39.5%
2025년 8월 4주
57.6%
38.0%
2025년 9월 2주
54.6%
40.3%
2025년 9월 4주
52.2%
43.3%
2025년 10월 3주
51.3%
43.8%
2025년 10월 5주
51.5%
43.6%
2025년 11월 2주
55.5%
39.8%
이 자료는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자체조사한 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주간집계 결과임. 격주간 이틀동안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사회여론연구소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6. 2026년 정당지지도

7. 정부 지원론 vs 정부 견제론



[1] 40.4%[사퇴] 2025.04.11.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로 인한 사퇴.[사퇴] [사퇴] [5] 39.4%[6] 41.1%[7] 조사 샘플 수가 200명 이하로 미조사.[8]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