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5BA6,#FFC224> 기호 | 정당 | 이름 | 비고 |
1 | 새누리당 | 홍사덕 | ||
2 | 민주통합당 | 정세균 | 당선 | |
| | | 사퇴¹ | |
6 | 국민의 힘 | 김준수 | ||
7 | 국민행복당 | 홍성훈 | ||
8 | 불교정도화합통일연합당 | 정재복 | ||
| | | 등록무효² | |
10 | 진보신당 | 최백순 | ||
11 | 무소속 | 류승구 | ||
10 | 무소속 | 서맹종 | ||
¹ 새누리당 홍사덕 후보와 단일화. ² 탈당으로 인한 당적이탈로 등록무효. | ||||
종로 · 중 · 용산 · 성동 갑 · 성동 을 · 광진 갑 · 광진 을 · 동대문 갑 · 동대문 을 · 중랑 갑 · 중랑 을 · 성북 갑 · 성북 을 · 강북 갑 · 강북 을 · 도봉 갑 · 도봉 을 · 노원 갑 · 노원 을 · 노원 병 · 은평 갑 · 은평 을 · 서대문 갑 · 서대문 을 · 마포 갑 · 마포 을 · 양천 갑 · 양천 을 · 강서 갑 · 강서 을 · 구로 갑 · 구로 을 · 금천 · 영등포 갑 · 영등포 을 · 동작 갑 · 동작 을 · 관악 갑 · 관악 을 · 서초 갑 · 서초 을 · 강남 갑 · 강남 을 · 송파 갑 · 송파 을 · 송파 병 · 강동 갑 · 강동 을 | ||||
13ㆍ14ㆍ15ㆍ보궐ㆍ16ㆍ보궐ㆍ17ㆍ18ㆍ19ㆍ20ㆍ21ㆍ보궐ㆍ22 | }}}}}}}}}}}} |
<colbgcolor=#4f1d12><colcolor=#fff> 가나반공정당코리아 상임고문 정재복 鄭在福 | |
| |
출생 | 1946년 5월 3일 ([age(1946-05-03)]세) |
현직 | 가나반공정당코리아 상임고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
소속 정당 | |
약력 | 알즈너 강남대리점 대표이사 중앙대학교 이사 전국정씨연합중앙회 이사 새마을지도자 10년 이상 활동 중앙대학교 동창회 상임이사 알즈너 창당준비위원장 국제녹색당 공동대표 건국당 총재 건국당 대표 평화민주당 최고위원 불교정도화합통일연합당 충청남도당위원장 이코바이오글로벌 총판 운영 가인친환경당 대표 겨레자유평화통일당 공동대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노원구협의회 자문위원 가자코리아겨레자유평화통일당 상임고문 가자코리아 상임고문 가나코리아 상임고문 |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 반공 민족주의 정당 가나반공정당코리아의 상임고문을 맡고 있다.2. 생애
1946년 5월 3일에 출생하여, 민중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였다.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중당 소속으로 충청남도 제11선거구(서산군[1])에 출마하였으나, 758표(0.84%)의 득표율로 민주공화당 박승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1년, 1991년 지방선거에서 공명민주당[2]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1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공명민주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301표(0.26%)의 득표율로 민주자유당 노승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소속 정당인 공명민주당은 비례대표 득표율 미달로 강제 해산되었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1동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683표(3.83%)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3동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301표(5.20%)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노년권익보호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제1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1,340표(3.77%)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노년권익보호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출마하였으나, 101표(0.11%)의 득표율로 한나라당 박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5년 11월, "알즈너"[3]라는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했고, 12월 명칭을 "국민건강당"으로 변경한다. 하지만 정식으로 창당하지 못한 채로 6개월 기간이 만료되어 해산된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시민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노원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482표(0.20%)의 득표율로 한나라당 이노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7년, 이래원과 함께 국제녹색당[4]을 창당하였으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2009년 10월 7일에 국제녹색당을 탈당하였다.
2009년, 국제녹색당을 탈당한 이후, 건국당을 창당하였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건국당[5] 소속으로 8년전에 출마하였던 서울특별시 종로구 제1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240표(0.62%)의 득표율로 한나라당 남재경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5회 지선 낙선 이후, 본인이 창당하고 대표직을 맡아 이끌고 있던 건국당은 2011년에 한화갑의 평화민주당으로 흡수되었다.
이후, 평화민주당 마저 2012년에 국민행복당에 흡수되자, 이에 반발했는지 탈당하여 이대마(당시 이름은 “이재열”로 이대마로 개명하기 전이였다.)가 이끌고 있던 불교정도화합통일연합당에 입당하여 충청남도당위원장직을 맡았다.[6]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불교정도화합통일연합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출마하였으나, 68표(0.08%)의 득표율로 민주통합당 정세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낙선 이후, 불교정도화합통일연합당은 비례대표 선거에서 2%를 얻지 못해 등록취소를[7] 당하고, 이후 세력을 모아 환경주의 정당인 가인친환경당[8][9]을 창당하였다. 이후, 종로구 총선에서 같이 경쟁하였던 류승구가 공동대표로 합류하여 당명을 겨레자유평화통일당으로 바꾸었다.
2014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류승구와 함께 공동대표직을 역임중인 겨레자유평화통일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노원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2,652표(0.95%)의 득표율로 새정치민주연합 김성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가자코리아[10]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253표(0.25%)의 득표율로 새누리당 지상욱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6년 이후로는 어떠한 선거에도 출마하지 않아, 70세가 넘는 고령의 나이로 인하여 정계 미련을 버린듯 하다. 그리고 상술하였겠지만, 소속 되어 있던 겨레자유평화통일당이 가자코리아로 개편된 이후에는 공동대표직에서 물러나고 현재까지 정당이름이 바뀐 가나반공정당코리아에서 상임고문직을 맡고 있다.
3. 여담
군소정당 소속인지라 단 한번도 당선된 적은 없지만 1971년부터 2016년까지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 5번,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2번, 광역의회의원 선거 3번, 기초의회의원 선거 2번, 총 12번의 선거에 출마하였다.[11]4.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충남 11[12] | | 758 (0.84%) | 낙선 (5위) | |
1991 | 1991년 지방선거 | 서울 동대문 1 | 공명민주당 | - | 낙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동대문 갑 | 301 (0.26%) | 낙선 (8위) |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노원 공릉1동 | | 683 (3.83%) | 낙선 (9위) | |
1998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노원 공릉3동 | 301 (5.20%) | 낙선 (4위) | ||
2002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종로 1 | 노년권익보호당 | 1,340 (3.77%) | 낙선 (3위)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종로 | 101 (0.11%) | 낙선 (7위)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노원구청장 | ''' 시민당 ''' | 482 (0.20%) | 낙선 (7위)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종로 1 | 건국당 | 240 (0.62%) | 낙선 (4위)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종로 | [[불교정도화합통일연합당|]] | 68 (0.08%) | 낙선 (8위)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노원구청장 | | 2,652 (0.95%) | 낙선 (3위)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중·성동 을 | | 253 (0.25%) | 낙선 (5위) |
처음으로 출마한 1971년 국회의원 선거를 제외하고는 모두 최하위로 낙선하였다.
5.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 1971 - 1973 | 입당 정계 입문 |
| 1973 - 1991 | 정당 해산 정계 은퇴 |
공명민주당 | 1991 - 1992 | 정계 복귀 입당 |
| 1992 - 2002 | 정당 해산 |
노년권익보호당 | 2002 - 2004 | 입당 |
| 2004 - 2006 | 정당 해산 |
''' 시민당 ''' | 2006 - 2007 | 입당 |
| 2007 | 탈당 |
| 2007 - 2009 | 창당 |
| 2009 | 탈당 |
건국당 | 2009 - 2011 | 창당 |
| 2011 - 2012 | 합당[13] |
[[국민행복당(2011년)| 국민행복당 ]] | 2012 | 합당[14] |
| 2012 | 탈당 |
[[불교정도화합통일연합당|]] | 2012 | 창당 |
| 2012 | 정당 해산 |
[[가인친환경당| 가인친환경당 ]] | 2012 - 2014 | 창당 |
| 2014 - 2016 | 당명 변경 |
2016 | 당명 변경 | |
| 2016 - 2020 | 당명 변경 정계 은퇴 |
[[가나반공정당코리아| 가나코리아 ]] | 2020 - 2024 | 당명 변경 |
| 2024 - 현재 | 당명 변경 |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정재복 | 제2대 정재복 류승구 | 제3대 류승구 | }}}}}}}}}}}} |
[1] 현재의 서산시와 태안군 지역이다.[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후 득표율 미만으로 해산.[3] 여기서 알즈너는 발 교정용 기구 브랜드이다.[4] 현재는 한국독립당으로 당이 개편되었다.[5] 2009년 창당. 2011년 한화갑을 중심으로 창당했던 평화민주당에 흡수되었다. #[6] 그러나 정작 후술하겠지만 충남도당위원장직이 무색하게 총선 출마는 서울 종로구에 하였다.[7] 2014년 헌법재판소가 득표율 미만 정당 해산 규정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렸다.[8] 이름이 이런 이유는 선거시에 가나다순으로 되어있는 원외정당 기호순서 때문에 이렇게 당명을 지은것으로 보인다.[9] 이전에도 이래원과 함께 국제녹색당을 함께 창당하였던 경력을 보면, 정재복은 환경주의 성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10] 겨레자유평화통일당에서 가자코리아(처음에는 가자코리아겨레자유평화통일당으로 당명을 바꿨다가 나중에 다시 가자코리아로 당명을 바꾼것이다.) 바뀐 이후에는 공동대표직에서 물러나고, 당에서 상임고문직을 현재까지 맡고 있다.[11] 정재복 본인은 13번 출마하였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예비후보 등록에 그친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서울특별시장 예비후보 출마 경력까지 포함된 수치를 말한 것이라 보아야한다.[12] 서산군[13] 평화민주당에 흡수합당.[14] 국민행복당에 흡수합당.